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확실성 충격의 지역별 효과 분석

        심명규,임영주,김민승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019 延世經濟硏究 Vol.26 No.2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real economy of South Korea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an increase in economic policy uncertainty(EPU), but is affected by an increase in financial uncertainty(FU). Using a Vector Autoregression(VAR) analysis, this paper analyzes if this finding also appears at the regional level. First of all, an increase in domestic economic policy uncertainty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ndustrial production and unemployment rate of both regional and aggregate economy of South Korea. An increase in uncertainty from the asset markets (financial uncertainty), in contrast, has a significantly adverse effect on the industrial production and unemployment rate in most regions, while the effects do not seem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regions. These results are robust to global EPU and VIX. 기존연구에 따르면 한국 실물경제는 경제정책 불확실성 증대에는 유의미한영향을 받지 않지만, 자산시장 불확실성의 증대에는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자기회귀적 벡터모형(Vector Autoregression, VAR)을 통해 이러한 발견이 지역별 분석에서도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먼저, 국내 경제정책 불확실성의 증대는 한국 경제 전체나 개별 지역의 산업생산지수 및 실업률에 크게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하지만, 자산시장에서 계측한 불확실성이 증대하는 경우 산업생산지수와 실업률이 대부분의 지역에서 유의미하게 악영향을 받지만 효과의 지역 별 차이가 크지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세계 경제정책 불확실성 충격과 미국 VIX 충격에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 KCI등재후보

        The Macroeconomic Consequences of Stimulating Offline Consumption during COVID-19

        심명규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21 Global economic review Vol.50 No.1

        This paper analyses the macroeconomic consequences of a fiscal policy implemented in South Korea during COVID-19, ‘Korean Economic Impact Payment (KEIP)’ program, that aims to stimulate offline consumption. In doing so, we modify a SIR-macro model by explicitly distinguishing online- and offline consumption goods. Benchmark analysis predicts that (1) there are positive effects on key macro variables at the impact while progress of the epidemic hardly changes and (2) the transfer multiplier from the KEIP is estimated to be about 0.5 at the impact, a value with what we expect from the usual neo-classical business cycle model.

      • KCI등재

        대등소비 후생을 활용한 지역 간 삶의 질 격차 연구

        심명규,한재욱 한국응용경제학회 2021 응용경제 Vol.23 No.2

        한국의 지역 간 삶의 질(Quality of Life; QOL) 차이는 어느 정도인가? 본 연구는 Jones and Klenow (2016)의 방법론을 한국의 개인 및 가구 수준의 미시 자료에 적용하여 지역 별 대등소비 후생(Consumption-equivalent welfare)을 측정함으로써 소득 단순 비교를 넘어서 위 질문에 대한 답을 하였다. 분석 결과, 후생에 모든 지역에 전반적으로 크게 영향을 주는 요소는 기대수명으로 분석되었으며 지역 간 삶의 질 이질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는 1인당 지역 내 총생산 대비 소비 비중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기존 연구와 달리 대등소비 후생과 1인당 지역 내 실질총생산간의 상관관계가 전국적으로 음(-)의 관계를 나타나 우리나라의 경우 1인당 지역 내 실질총생산이 소비자들의 삶의 질을 잘 대변하지 못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analyzes which region in South Korea has the highest Quality of Life. In doing so, we follow Jones and Klenow (2016) by measuring consumption-equivalent welfare across regions, to micro and macro data of South Korea. We find that (1) life expectanc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consumption-equivalent welfare and (2) the ratio between consumption per capita and income per capita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heterogeneity in the welfare across regions in Korea. We further show that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GRDP) per capita and the consumption-equivalent welfare are negatively related.

      • 생산자동화 및 기술발전이 금융산업 고용 및 임금구조에 미친 영향 : 미국의 사례(1980년과 2007년 비교)

        심명규,양희승 한국금융연구원 2018 기타보고서 Vol.2018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utomation on the labor market outcomes in the U.S. financial industry. Since the mid-1980s, the automation, which has been facilitated due to the decline of ICT capital price, has caused job polarization in many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Europe. We test whether the financial industry has been more affected by technological progress than other industries using the U.S. Census data. The results show that during 1980 and 2007, the increase in ICT capital is not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the employment and wage bill share of routine workers. However, the financial industry has decreased the employment and wage bill share of routine workers with the increase in ICT capital,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literature that ICT capital has led to job polarization. This study shed a light on a question of the effects of technological progress on job loss with the U.S. experience.

      • KCI등재후보

        Is Job Polarisation ICT-Driven? Evidence from the US

        심명규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21 Global economic review Vol.50 No.2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utomation on job polarisation. Automation has been claimed to be one of the main causes for the job polarisation observed in many countries such as the US since the mid-1980s. Using the US Census data, we show that between 1980 and 2007 the increase in the usage of ICT capital is not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changes in the employment and wage bill share of routine workers, although there is heterogeneity across industries. The main findings imply that ICT capital per se might not be the main factor driving job polarisation in the US.

      • KCI등재

        CDS센서를 이용한 이동 가능형 태양추적시스템 설계

        심명규(Myung-Gyu Sim),지언호(Un-ho Ji),전순용(Soon-yong Chun) 大韓電子工學會 2010 電子工學會論文誌-SC (System and control) Vol.47 No.6

        태양광발전은 발전 셀의 특성상 태양광의 일사량에 따라 발전량이 달라지며, 태양과 셀 단면이 이루는 각도에 의하여 발전량에 차이를 가져온다. 일사량은 경도와 위도로 분류되는 지구표면의 위치와 계절에 의하여 결정되는 반면, 태양과 발전 셀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는 고정된 위치에서 태양광발전 장치의 각도를 가변함으로서 변경가능하다. 실용적인 발전효율 향상 방안으로 태양광 발전 장치의 각도 조절방법이 많이 사용되며, 이를 위한 태양추적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발전 효율향상을 위한 태양추적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태양추적시스템은 광도전효과(Photo conductive effect)를 이용한 반도체 포토센서를 이용하여 태양의 위치확인을 위한 센서부를 구성하였으며, 센서의 출력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해석하고, 태양을 추적하기위한 구동부 제어신호를 발생시켰다. 태양추적시스템의 성능분석을 위한 태양발전장치(10W)를 제작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연구에서 설계및제작된 태양추적장치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Amount of power generated from solar photovoltaic can vary according to solar flux of sunlight due to nature of solar cell panel, and an angle that the sun and the surface of cell makes brings difference in amount of power generation. Solar flux is decided by location of surface of the Earth that is classified into longitude and latitude, but on the other hand, an angle that the sung and the surface of cell makes can be changed by changing the angle of a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at the fixed location. A method of changing the angle of a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as a measure for improving practical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d studies about a solar tracking device for this are in active. This study conducted a research on a solar tracking system for improvement of sola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 solar tracking system of this study is composed of a sensor part to confirm a location of the sun with a semiconductor photosensor using the photo conductive effect, and it analyzed output signal of a sensor by using microprocessor and it produced a control signal of driving part for tracking the sun. A solar power generator (25W) was produced to analyze performance of a solar tracking system and usefulness of a solar tracking device that was designed and produced in this study was confirmed through experiments.

      • KCI등재
      • KCI등재

        정부 R&D 지출 효과 분석을 위한 동태일반균형(DSGE) 모형 개발

        심명규 ( Myungkyu Shim ),이동진 ( Dong Jin Lee ) 한국국제경제학회 2022 국제경제연구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정부 R&D 지출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반영할 수 있는 소규모 개방경제 동태확률일반균형(DSGE) 모형의 원형을 개발하였다. Jones and Williams(1998) 모형의 소규모 개방경제 버전을 기본으로 하되 이산화 과정을 통해서 생산성 충격, 선호 충격, 정부지출 충격 등을 반영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R&D 투자가 생산기술에 미치는 영향은 내생성장모형과 준내생성장모형 모두 가능하도록 설정하였다. 기존 모형과 달리 정부 R&D 지출과 민간 R&D 지출을 구분하고 두 지출이 생산기술에 미치는 승수도 비대칭적일 수 있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 경제는 내생성장모형보다 준내생성장 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develops a DSGE model for examining the effects of government R&D expenditure on technology progress. We improve the small open economy version of Jones and Williams(1998) by allowing for capturing the productivity, preference and government expenditure shocks. Our model covers both endogenous growth theory and semi-endogenous growth theory and also allow for the asymmetric effects of government and private expenditure on productivity skill. The parameters in the model are estimated using Bayesian method. We find that Korean economy is better fit by semi-endogenous growth model. The effect of R&D expenditure on technology is greater in private expenditure case than government one. The government R&D expenditure promotes private R&D expenditure in the short run via improving the private technology skills, while crowding out presents in the long run.

      • KCI등재

        경기변동이 실직자 고용, 임금 및 후생에 미치는 영향

        이영호,심명규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2023 韓國經濟의 分析 Vol.29 No.1

        What is the economic cost of job displacement over the business cycle? To answer this question, we analyze the extent to which the business cycle faced by displaced workers affects their subsequent employment and wages, using the data from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spanning from 1998 to 2021. In particular, we employ a fixed-effects model for estimating wage loss after job displacement and find that the workers who lost their jobs during a recession suffered a larger and more persistent wage loss than those who lost their jobs during a boom, with a cumulative wage loss of about 1.5 times. This difference was prominent among workers who were displaced from the small and medium-sized firms and service sector, those who were re-employed in different industries and occupations, and among the long-term unemployed. We then estimate the welfare cost of job displacement by following Kreps (2007) based on our empirical results. 경기변동이 실직자에게 미치는 경제적 효과는 어느 정도인가? 해당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논문은 한국노동패널조사 전 기간(1998년~2021년) 자료를 활용하여 실직 시점의 경기 국면이 실직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용, 임금, 및 후생 측면에서 분석해보았다. 먼저 패널 고정효과 모형으로 임금근로 실직자의 임금손실을 분석한 결과 불황 때 실직한 근로자가 호황 때 실직한 근로자보다 크고 장기적인 임금 손실을 겪었으며, 약 1.5배의 누적 임금 손실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중소기업, 서비스업 실직자, 타산업ㆍ직종 재취업 실직자, 장기 실업 근로자에게서 나타났다. 해당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Kreps (2007) 모형을 활용하여 경기변동이 높은 후생비용(sizable welfare cost)을 초래함을 밝혔다. 또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로 후생비용이 작아지는 현상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