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구연 : In vitro에서 C형 간염바이러스 core 단백이 간섬유화 기전에 미치는 영향

        신주엽,윤승규,허원희,최종영,한준열,안병민,한남익,이영석,이창돈,차상복,정규원,선희식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C형 간염바이러스(HCV)는 만성 간질환을 유발하는 주 원인체이나 현재까지 in vitro상 배양이 어려워 HCV에 의한 병태생리연구에 제한이 되어왔다. 간경변의 병리기전 중 간섬유화에 대한 기전 연구는 주로 동물 모델을 통한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이루어져 왔고 이 과정에서 주로 관여하는 세포는 간성상세포(hepatic stellate cell, HSC)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HCV가 직접적으로 HSC을 자극하여 간 섬유화를 유도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보고 된 바 없다. 왜냐하면 HCV는 HSC에 감염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in vitro상에서 쉽게 배양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형 간염바이러스의 core gene을 삽입한 HepG2-core 영구세포주를 이용하여 in vitro co-culture system을 구축하여, HCV와 HSC의 관계와 그에 따른 간섬유화 기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사람과 Rat으로 부터 primary HSC를 분리하였고, 기존의 상용화된 사람 HSC인 LI90 과 Rat HSC인 HSC-T6세포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HCV core gene을 이용하여 제작한 영구세포주 HepG2-core와 HSC를 혼합 배양한후 전환성장인자-β1(transfoming growth factor-β1, TGF-β1)과 α-smooth muscle actin (α-SMA)을 이용하여 면역화학 염색을 시행하여 상호간의 간섬유화 기전에 미치는 활성도를 측정 하였으며, 0.2 ㎛ pore를 갖는 막을 이용하여 공동 배양 후, -SMA, TGF-β1, transforming growth factor receptor II (TGF RII) 그리고 collagen type I (Col I)등을 Western blot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MMP2의 양과 Col I을 각각 zymogram과 ELISA를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 HepG2-core와 HSC간의 혼합배양에서 TGF-β1과 α-SMA의 발현 양상은 HepG2-core와 함께 배양한 HSC쪽에서 더 강하게 발색되었고, Western blot을 통해 확인한 β-SMA, TGF 1, TGF RII, DDR2 그리고 Col I 등에서도 HepG2 core와 함께 공동 배양한 HSC에서 더 강하게 발현되었다. 또한 MMP2의 발현과 콜라겐의 발현량은 HSC 단독으로 배양하거나 HepG2와 공동 배양한 것보다 HepG2-core와 공동 배양한 HSC에서 더 높게 발현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HCV core 단백이 발현되는 세포와 함께 배양한 HSC가 간섬유화의 기전에서 관여하는 사이토카인이나 호르몬 혹은 호르몬수용체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HCV core 단백이 간섬유화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 기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17~18세기 대구 사족 沃川全氏의 서인계 儒疏 활동과 院宇 건립

        신주엽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9 민족문화논총 Vol.72 No.-

        Frequent political changes by Confucian funerary rituals(禮訟) and political power change(換局) that occurred in the 17th century affected Sajok(士族) society in Daegu where Gyeongsang provincial office(慶尙監營) was established. After moving to Daegu in the early 17th century, Okcheon Jeon-ssi(沃川全氏) married family, a disciple of Jeong Gu(鄭逑). They also had the identity of Nam-in(南人), including serving as the head of the YeonGyeong-Seowon(硏經書院). However, in the mid-17th century, they developed a relationship with the Seo-in line(西人係) governor of Gyeongsang province(慶尙道觀察使), and changed their identity to the Seo-in(西人). Okcheon Jeon-ssi continued their Seo-in line petition(儒疏), starting with the petition for defending Song Si-yeol(宋時烈) and for dedicate Lee I(李珥) · Seong Hon(成渾) to a Confucian shrine(文廟). This process involved the families who had become Seo-in through marriage with them. Based on the support of Seo-in line governor of Gyeongsang province, Okcheon Jeon-ssi built DeokHeung-Seowon(德興書院) and Sangdeoksa(尙德祠) in Daegu and cooperated in the reconstruction of Pyochungsa(表忠祠). DeokHeung-Seowon hall was destroyed by political fluctuations. However, Sangdeoksa remained until the 19th century. And Okcheon Jeon-ssi also participated in the operation until the 19th century. In the 18th century, the construction scope of the Seo-in line Seowon and the Sawoo(祠宇) was expanded to Yeongnam(嶺南). Jeon Geukhwa(全克和) was at the forefront of building a Lecture hall memorial for his mentor Song Si-yeol(宋時烈) in Yeongnam. He led built a Bangok-Seowon(盤谷書院) in Geoje(巨濟), Jukrim-Seowon(竹林書院) in Janggi(長鬐) and Nogang-Seowon(老江書院) in Seongju(星州). The fact that he served as a representative of Seowon is known through letters(簡札). 17세기 중 · 후반 예송과 환국으로 인한 잦은 정국 변동은 경상감영이 설치된 대구의 사족 사회에도 영향을 미쳤다. 대구의 옥천 전씨는 17세기 초반 대구로 이거한 뒤 정구의 문인 가문과 혼인하였고, 연경서원의 원장을 지내는 등 지역 내에서 남인으로 활동하였다. 그러나 17세기 중반 서인계 대구부사 및 경상도관찰사와 교유하면서 서인으로 정체성을 전환하게 되었다. 옥천 전씨는 지역 내 서인계 공론을 수합하여 송시열변무소와 이이·성혼 문묘종사소, 김장생 문묘종사소 등 유소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 과정에 옥천 전씨와 혼인을 통하여 서인으로 활동하게 된 가문들의 참여가 있었다. 옥천 전씨는 17세기 중반부터 서인계 관찰사의 지원을 바탕으로 대구에 덕흥서원과 상덕사를 건립하고, 표충사의 중건에 협조하였다. 덕흥서원은 갑인예송의 여파로 파괴되었으나 상덕사는 흥선대원군의 서원훼철령까지 존속하였으며, 옥천 전씨는 19세기까지 그 운영에 참여하였다. 18세기에는 원우의 건립 범위를 영남으로 확대하였다. 전극화는 송시열을 제향하는 거제 반곡서원, 장기 죽림서원, 성주 노강서원을 건립하는 데 앞장섰다. 그가 세 서원의 원장으로서 송시열의 후손 및 문인과의 관계망을 활용하여 서원을 운영한 사실은 간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디지털 홀로그래피를 이용한 포토리소그래피로 제작된 ITO 박막 패턴에 대한 증착 높이 측정

        신주엽,김경석,정현철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20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40 No.1

        Indium tin oxide (ITO) thin films have high visible light transmittanc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re used as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s in the manufacturing of displays. The ITO transparent electrode is fabricated by a physical or chemical method to form a thin film. In this paper, for measuring the deposition step-height, the ITO thin film patterns were fabricated by the 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method. After the ITO thin films were deposited on the glass substrates with 150, 160, 170, 180, 190, and 200 nm heights, respectively, using in-line magnetron sputtering, the ITO thin film patterns were fabricated using photo-lithography. A digital holography system was constructed to measure the deposition step-height of the ITO thin film nondestructively,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roposed measurement technique could be verified. ITO 박막은 높은 가시광 투과율과 높은 전기전도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디스플레이의 투명 전극 으로 사용되는 소자이다. 이러한 ITO 투명 전극은 사용 목적에 따라서 박막을 형성하기 위해 물리적인 방법 또는 화학적인 방법으로 제작된다. 본 논문에서는 ITO 증착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PVD 방법을 이용하여ITO 박막 패턴을 제작하였다. 먼저, In-line 방식의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150, 160, 170, 180, 190, 200nm 높이로 유리기판 위에 ITO 박막을 증착한 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으로 패턴을 가공하였다. ITO 박막 패턴의 증착 높이에 대한 비파괴 측정을 위해 디지털 홀로그래피 시스템을 구성하여 측정하였으며, FE-SEM 측정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제안한 기술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17-18세기 箕子 유적의 정비와 기자 인식

        신주엽 대구사학회 2022 대구사학 Vol.148 No.-

        This article attempt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Gija(箕子), which had previously been analyzed mainly in historical books, through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remains of Gija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 name of the country, Joseon(朝鮮), comes from Gija Joseon. Therefore, Joseon revered Gija as the progenitor of the country. Gijajeon(箕子殿), a space to revered Giza, began to be maintained in the early 15th century. The perception of GiJajeon changed when the envoy of the Ming(明) Dynasty of China visited the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place and China was considered a lot when the envoy of the Ming Dynasty visited GiJajeon. A visit to the Confucian shrine, where Confucius(孔子)'s memorial service was held, was recommended first to the Chinese envoy, and GiJajeon was next. In the 15~16th centuries, Gija's status fell short of Confucius. In the early 17th century, GiJa's shrine was renamed from Gizajeon to Soonginjeon(崇仁殿). ‘Soongin(崇仁)’ means to worship In(仁), which Confucius claimed. However, the name of Gija's shrine was given to Gija, not Confucius, as a symbol of In(仁). It also shows that the status of the GiJa has changed to a position equivalent to Confucius. This change can also be found in the term ‘Gisung(箕聖)’, which describes a Gija as an saint. The Joseon intellectuals who visited the ruins of Gija in the 17~18th centuries did not leave a record of what they thought of linking this place with China. Through this, it can be proved that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remains of Gija is not the result of loyalty and respect for China. This process and perception is also confirmed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seowon(書院) and a shrine to store the Gija's paintings. During the Joseon Dynasty, six spaces were built to store Gija's paintings. The painting, which was kept at Inhyeonseowon(仁賢書院) in Pyongyang, disappeared through the Chinese Invasion of Joseon in 1627(丁卯胡亂). As the original disappeared, many regions began to build a shrine for Gija, claiming that their paintings were genuine. The people who built these spaces raised a problem with the fact that Gija's shrine was less than Confucius's. They needed to build a shrine for Gija, which was superior to Confucius, and hoped that the state would recognize this shrine. In the 18th century, the public opinion of intellectuals to establish a shrine for Gija nationwide was conveyed to the state. Unlike the 15~16th centuries, the maintenance of the remains of Gija in the 17~18th centuries and the recognition reflected in them were carried out in the process of making Gija in China into a Gija in Joseon. 이 글은 기존에 역사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던 조선시대의 箕子 인식을 기자를 제향하는 사당과 서원, 祠宇 등 기자와 관련된 유적이라는 장소를 중심으로 다시 살펴보고자 하였다. 17~18세기에 기자 유적의 정비가 진행되는 과정이 기자를 어떻게 인식하고 기억하고자 하는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특히 평양의 기자 유적은 조선의 국왕과 지식인뿐만 아니라 명나라의 사신도 한 번쯤 방문하고자 한 장소였다. 고려시대에 세워진 기자의 사당은 조선 태종대에 箕子殿으로 명칭이 정해지고 세종대에 祀典에 등재되면서 정비가 일단락되었다. 15세기의 기자 인식을 보여주는 유적은 기자전에 세워진 箕子廟碑이다. 卞季良이 작성한 碑銘에는 箕子受封說, 中華와 東夷 등 기자를 중국과 연결하여 인식하는 내용이 담겨있었다. 이는 기자의 사당을 방문한 명나라 사신의 記文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 시기에 기자전과 箕子墓를 정비하는 과정은 기자와 중국의 연관성, 명나라 사신의 기자 유적 방문 등이 고려되었다. 한편 이러한 인식은 임진왜란을 겪은 직후인 17세기 광해군대부터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기자전의 명칭은 崇仁殿으로 바뀌었다. 기존 연구는 임진왜란을 계기로 조선의 再造之恩 및 명나라와의 同類 의식이 강화된 결과로 기자 유적이 정비되었다고 파악하였다. 그러나 평안도 유생과 李廷龜 등이 기자 제사의 禮를 높이고 후손인 鮮于氏가 대대로 제사를 잇도록 요구한 글에서는 기자와 중국을 연결 짓는 내용이 확인되지 않는다. 이정구가 작성한 箕子廟碑를 보면 15세기의 箕子受封說과 기자의 敎化에 대한 해석은 보편적인 현상으로 변화하였다. 그는 기자를 箕聖으로 표현하며 하늘이 단군을 잇도록 하였다는 내용의 詩를 지었다. 17세기에 변화한 기자 인식은 평안도와 황해도에 기자를 제향하는 서원과 사우를 건립하고, 18세기에 기자를 제향하는 장소를 전국적으로 확대하려는 움직임에서도 찾을 수 있다. 평양의 仁賢書院에 봉안되었던 기자 그림이 정묘호란으로 인하여 사라지자, 평안도와 황해도 각지에서 그림의 진본을 주장하며 기자의 院宇를 건립하고 사액을 요구하였다. 18세기 영조 · 정조대에는 한양의 文廟와 전국 8도에 기자의 사당을 별도로 만들 것을 요구하는 유생의 공론이 제기되었다. 이들은 모두 기자가 조선에 끼친 功德이 孔子보다 작지 않음에도 기자의 사당이 공자를 제향하는 공간보다 적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처럼 17~18세기 기자 유적의 정비는 17세기를 기점으로 기자를 ‘중국의 기자’에서 ‘조선의 기자’로 만들어가고, 변화한 기자 인식을 확립하여 나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徐贊奎(1825~1905)의 현실 인식과 지역 활동

        신주엽 부경역사연구소 2022 지역과 역사 Vol.- No.50

        This article examines the ideas, perceptions of reality, and community activities of Confucian scholar Seo Chan-gyu(徐贊奎, 1825~1905), who worked in Daegu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The main material to be used is his collection of writings ≪Imjaejip(臨齋集)≫. He learned to study from Hong Jik-pil(洪直弼) when he was 26 years old in 1850. Taking this opportunity, he met with Noron(老論) scholars and discussed current problems. Joseon, where he lived, faced a crisis of studying abroad due to the popularity of Western scholarship(西學) and a national crisis due to the invasion of Western force. He tried to find a way to reject Western scholarship called Sahak(邪學) and protect Confucianism called Jeonghak(正學) in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system. Learning regulations were created and implemented in Daegu's educational institutions, Gwanhagwon(官學院) and Myeonhagwon(面學院), also Nakdongjeongsa(洛東精舍), an individual's educational space. In order to defend against the invasion of Japan and the West, a plan to repair and use the mountain fortresses(山城) of Yeongnam(嶺南) was proposed. He also paid attention to the operation of the village society, and tried to maintain the village order by preparing Hyangyak(鄕約) at the village, Dangyak(堂約) of Nakdongjeongsa, and Uijang(義庄) of Dalseong Seo's family. He did not continue to adhere to a position of rejection of Western scholarship. In his collections of literature, the thinkings of acknowledging and accepting Western technology can also be confirmed. 이 글은 19~20세기 대구에서 활동한 유학자 徐贊奎(1825~1905)의 사상과 현실 인식, 그리고 지역 활동을 그의 문집인 臨齋集 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그는 1850년(철종1)에 26세의 나이로 洪直弼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노론 낙론계 유학자와 교유하며 현실 문제를 논의하였다. 그가 살아간 조선은 서학의 유행으로 인한 유학의 위기와 서양의 무력 침입으로 인한 국가적 위기에 봉착하였다. 그는 邪學인 西學을 배척하고 正學인 儒學을 지키는 방안을 교육 제도의 개선에서 찾고자 하였다. 관직에 진출하지 않은 서찬규는 지역 사회의 활동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대구의 官學院과 面學院, 자신의 강학처인 洛東精舍의 學規를 제정하고 시행하였다. 또 일본과 서양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하여 영남의 산성을 수리하여 방어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는 향촌 단위의 鄕約과 낙동정사를 중심으로 한 堂約, 달성 서씨 문중의 義庄을 마련하여 향촌 질서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서찬규는 19~20세기 근대 전환기에 문중 단위로부터 향촌과 지역, 그리고 국가에 이르기까지 발생한 현실의 문제점을 위정척사의 입장에서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대안을 제시한 현실참여형 유학 지식인으로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1810년(순조10) 慶州府 鄕飮酒禮의 시행과 의미

        신주엽(Shin, Joo-yeop)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8 No.-

        이 글은 1810년(순조10) 5월에 慶州府에서 열린 鄕飮酒禮의 시행 배경과 의미를 『東都鄕飮禮』를 통하여 살펴본 것이다. 경주부윤 李采의 주도로 시행된 향음주례는 약 688명이 참석하였다. 행사는 기근이 해결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개최되었지만, 그 이면에는 18-19세기에 신분, 계층 간의 갈등을 해결하려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었다. 이는 향음주례가 나이와 지위에 따라 자리를 구분하고 역할을 나누어 질서를 바로잡는 기능에 주목한 것이다. 경주부 향음주례는 정조가 『향례합편』을 편찬, 보급하여 향례를 통하여 풍속 교화와 사회 갈등을 해결하고자 한 의도를 실현한 행사였다. 경주에서는 1699년(숙종25) 이후 112년만에 시행된 향음주례였다. 사족부터 어린 아이, 官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신분과 계층이 참여하였다. 이 행사는 경주부윤이 향음주례를 통하여 갈등을 해소하고자 시도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18~19세기 경주는 舊鄕과 新鄕, 南人과 老論, 嫡派와 庶派가 鄕權을 다투는 鄕戰이 벌어지는 상황이었다. 이 향음주례의 시행으로 갈등과 향전이 완화되지는 않았다. 옥산서원과 남인계 사족은 향음주례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자신들의 지위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경주부의 향음주례는 향례를 통하여 질서를 유지하고 풍속을 교화하고자 한 정조의 의도가 향촌에서 실현된 사례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Hyangeumju-rye(鄕飮酒禮) held in Gyeongju in May 1810. The data used for research is 『Dongdo-hyangeumrye(東都鄕飮禮)』. Hosted by Gyeongju s Minister Lee Chae(李采), 688 people participated in the Hyangeumju-rye. The event was held to celebrate the resolution of the drought. However, it was intended to resolve conflicts between status and clas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is is because Hyangeumju-rye has the function of correcting order according to age and position. The event was a realization of King Jeongjo(正祖) s intention to correct the customs and maintain order by compiling and distributing 『Hyangrey-habpyeon(鄕禮合編)』. The event was held 112 years after 1669. It was an event involving various classes, from aristocrats to young children to servants. This event is meaningful in that the minister of Gyeongju attempted to resolve the conflict through a Hyangeumju-rye. Conflicts were arising in Gyeongju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due to status and class problems. This event did not stop the conflict. However, the meaning can be found in that King Jeongjo s intention to maintain order and enlighten customs through the ritual was realized in the local vill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