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경 여성의 골밀도에서 제지방의 중요성

        송재연 ( Jae Yen Song ),송록 ( Rok Song ),조현희 ( Hyun Hee Jo ),권동진 ( Dong Jin Kwon ),유영옥 ( Young Ok Lew ),임용택 ( Yong Taik Lim ),김장흡 ( Jang Heub Kim ),김진홍 ( Jin Hong Kim ),김미란 ( Mee Ran Kim ) 대한폐경학회 2009 대한폐경학회지 Vol.15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폐경 여성에서의 신체 구성 (body composition) 중 체지방, 제지방과 골밀도 (bone mineral density, 이하 BMD)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 폐경기 클리닉에서 모집한 지원자 중 건강한 폐경 여성 55명을 대상으로 신장, 체중을 측정하고 체질량 지수를 산출하였다. 골밀도와 체조직 분포는 최근에 개발된 양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기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이하 DXA)를 이용하여 요추와 양측 대퇴골의 골밀도를 측정하고 체지방량과 제지방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평균나이는 57.19±6.13세 (범위 50∼77세), 평균 신장은 156±5 cm, 체중은 57.82±5.80 kg, 평균 체질량 지수는 23.73±2.42였다. 폐경 여성에서 남성형 지방량의 비율이 여성형 지방량보다 높게 나타났다. 체지방의 경우 남성형 지방과 총체지방량이 양측 대퇴골의 골밀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좌, 우측 팔, 다리 몸통 각각과 양측 팔, 다리, 몸통, 여성형 체지방량은 골밀도와 상관관계가 없었다. 제지방량의 경우 좌, 우측 팔 각각과 양측 팔의 경우 골밀도와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좌, 우측 각각의 다리, 몸통, 양측 다리, 몸통의 경우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신체 지방량 중 남성형 지방량과 총지방량의 비율이 낮을수록 골밀도가 높고, 제지방량중 다리, 몸통의 제지방량이 높을수록 골밀도가 높다는 결론을 얻었다.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lean body mass for bone mineral density (BMD)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The BMD of the lumbar spine and both femurs was measured with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in 55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ages 50∼77 years. Candidates were selected from a group of patients who visited the menopausal clinic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Lean body mass and fat mass were assessed in both arms and legs and in the trunk. The BMD of the lumbar spine and both femur necks and trochanters was measured using DXA. Results: The mean patients age was 57.19±6.13 (range 50∼77) years, height was 156±5 cm, weight was 57.82±5.80 kg, and body mass index was 23.73±2.42. In postmenopausal women, the percentage of android fat mass (42.84±0.12%) was higher than that of gynoid fat mass (39.57±4.37%).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BMD of both femurs and both android fat mass and total fat mass. The fat mass in the arms, legs, and trunk and the gynoid fat mass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MD. The lean body mass in the legs and trunk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BMD of the lumbar spine and femur, although the lean body mass of the arms did not.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MD increases as android and total fat mass decrease, and that BMD increases as the lean body mass of the legs and trunk increases.

      • KCI등재후보

        열성홍조 치료를 위한 SSRI와 SNRI의 이용

        송재연 ( Jae Yen Song ),김미란 ( Mee Ran Kim ),김장흡 ( Jang Heub Kim ) 대한폐경학회 2011 대한폐경학회지 Vol.17 No.2

        호르몬 치료 받기를 꺼려하거나, 60대 이상의 여성이 지속적이고 심한 열성홍조를 호소하거나, 유방암의 병력이 있는 여성에서 열성홍조의 치료를 위해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이외의 치료를 고려해야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약물로 SSRI/SNRI가 있다. 열성홍조에 관한 메타분석과 임상시험을 종합해볼 때, paroxetine은 일반형에서 30~40%, 서방형에서 60~70% (대조군보다 13~41% 더 효과적) 열성홍조 감소를 보이고, venlafaxine은 30~60% (대조군보다 33%), desvenlafaxine은 30~70%의 효과를 보인다. Fluoxetine과 citalopram은 효과가 덜하며, 각각 20% (대조군보다 13%), 40~50%의 열성홍조 감소를 보인다. Sertraline은 대조군보다는 3~18% 감소를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는 효과가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italopram 20 mg, paroxetine 10 mg, venlafaxine 37.5~150 mg, desvenlafaxine 100~200 mg 군에서는 열성홍조 호전 외에도 수면, 기분, 활력지수, 삶의 질 향상 등의 부가적인 이점이 있었다. Citalopram 20 mg, fluoxetine 20 mg, paroxetine 10 mg, venlafaxine 75~150 mg, desvenlafaxine 150 mg이 효능과 부작용 두 측면을 모두 고려할때 추천할만한 용량이다. 그러나 SSRI/SNRI는 tamoxifen이 중간 활성물질인 endoxifen로 전환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tamoxifen을 복용하는 유방암 환자에서는 SSRI/SNRI을 사용하면 안 된다. 억제 정도는 paroxetine이 가장 강하고, fluoxetine, sertraline, citalopram, venlafaxine 순서이다. 또한 유방암 환자에서 paroxetine을 사용할 경우 유방암 관련 사망률의 증가가 보고되어, 유방암에서는 paroxetine의 사용이 추천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호르몬 치료를 받을 수 없는 여성에서는 차선책으로 SSRI, SNRI가 유용하게 시도될 수 있다. For postmenopausal women who fear hormone therapy, women 60 years of age with continuous, severe hot flushing or women with a history of breast cancer, we should consider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s), serotonin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SNRIs) as therapeutic agents. Base on the results from a meta-analysis and clinical trials regarding hot flushing, paroxetine and the conetrolled-release formultation of paroxetine have been shown to effectively reduce hot flushing by 30~40% and 60~70%, respectively, and 13~41% more reductions as compared to placebo. Venlafaxine reduced hot flushes by 30~60% (133% reductions compared to placebo), and desvenlafaxine reduced hot flushes by 30~70%. Fluoxetine and citalopram were shown to be less effective than paroxetine and venlafaxine, by 20% (113% reductions compared to placebo) and 40~50%, respectively. Sertraline reduced hot flushes 3~18% compared to the placebo group, but was considered ineffective. Citalopram (20 mg), paroxetine (10 mg), venlafaxine (37.5~150 mg), and desvenlafaxine (100~200 mg) not only reduced vasomotor symptoms, but demonstrated additional beneficial outcomes with respect to sleep disturbances, mood, the vigor index, and improved quality of life. Citalopram (20 mg), fluoxetine (20 mg), paroxetine (10 mg), venlafaxine (75~150 mg), and desvenlafaxine (150 mg) are recommended at the corresponding doses after weighing the risks and benefits of these medications. SSRIs and SNRIs were shown to interrupt the conversion of tamoxifen into the active metabolite, endoxifen, and thus SSRIs and SNRIs must not be used in breast cancer patients who are taking tamoxifen. Paroxetine suppressed vasomotor symptoms most potently, followed by fluoxetine, sertraline, citalopram, and venlafaxine. (J Korean Soc Menopause 2011;17:68-74)

      • KCI등재

        월경 주기에 따른 IGF-1과 -2의 혈중농도와 난소에서의 발현

        송재연 ( Jae Yen Song ),위지선 ( Ji Sun Wee ),조현정 ( Hyun Jung Cho ),국일영 ( Ill Young Kook ),조현희 ( Hyun Hee Jo ),김미란 ( Mee Ran Kim ),권동진 ( Dong Jin Kwon ),강창석 ( Chang Suk Kang ),김장흡 ( Jang Heub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7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가임기 여성에서 생리 주기에 따른 혈액과 난소에서 IGF-I과 IGF-II의 농도 및 발현 변화를 알아보고, FSH, LH, Estradiol과 어느 정도 연관성을 가지고 작용하는지 살펴보며, 또한 인간에서는 IGF-I과 IGF-II중 어느 쪽이 인간의 난소 기능에 더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월경주기와 난소기능이 정상인 가임기 여성 80명의 정맥혈을 채혈하여 IGF-I, IGF-II, FSH, LH, estradiol 농도를 측정하였고, 14예의 난소조직을 얻어 IGF-I과 IGF-II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환자들의 연령은 20세에서 45세 사이였고, 평균은 32.6±9.15세이었다. 월경주기는 27-29일 사이였다. 결과: 1. 정상적인 가임기 여성의 월경주기에 따른 IGF-I의 농도는 평균 204.43±50.92 ng/mL 이었고, IGF-II의 농도는 평균 1381.56±292.56 ng/mL 이었다. 2. 월경주기에 따른 IGF-I과 IGF-II의 혈중 농도 변화는 규칙적인 양상을 보이지 않았고, 상호 연관성도 없었다 (P=0.19). 3. 월경 주기에 따라 FSH, LH, estradiol의 혈중 농도와 IGF-I, IGF-II의 혈중 농도를 비교하였을 때, FSH와 IGF-II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48). 4. 정상 난소 조직에서 IGF-I은 1차, 2차, 성숙 난포, 황체 및 난소 간질에서 발현되었고, 백체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5. 정상 난소 조직에서 IGF-II는 1차, 2차, 성숙 난포 및 황체에서 발현되었고, 난소 간질과 백체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6. 정상 난소 조직에서 전반적으로 IGF-II가 IGF-I보다 더 강하게 발현되었다. 결론: IGF-I과 IGF-II는 난소에서 생성되며, paracrine 및 autocrine 작용으로, 월경주기에 따른 난포의 성숙과 분화에 관여하며, IGF-I보다 IGF-II가 FSH의 영향을 받아 인간의 월경주기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사료된다. Objective: We designed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physiologic effects and secretory pattern of IGF-I and IGF-II in human serum and changes in expression of IGF-I and IGF-II in human ovarian tissues during menstrual cycle, and to know which one is more important on human ovarian function between IGF-I and IGF-II, related to FSH, LH and estradiol. Methods: IGF-I, IGF-II, FSH, LH and estradiol levels were measured in 80 serum samples by ELISA from normal reproductive women. We also examined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the IGF-I and IGF-II in the ovarian tissues of 14 normal reproductive women. The mean age was 35.6±9.15 years-old, ranged from 20 to 45. The average menstrual cycle was 27 to 29 days. Results: 1. The average serum concentration of IGF-I was 204.43±50.92 ng/mL, and that of IGF-II was 1381.56±292.56 ng/mL. 2. The regular pattern or relationship on serum IGF-I and IGF-II concentrations were not observed (P=0.19). 3. To cross-correlation of serum concentrations of FSH, LH, estradiol and IGF-I, IGF-II, IGF-II was thought to effect on human ovarian menstrual cycles, affected by action of FSH (P=0.048). 4. In the normal reproductive ovaries, we observ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IGF-I in primary, secondary, mature follicle, corpus luteum and stroma, but not in corpus albicans. 5. In the normal reproductive ovaries, we observ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IGF-II in primary, secondary, mature follicle, and corpus luteum but not in corpus albicans and stroma. 6. Stronger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observed in ovaries for IGF-II, rather than IGF-I. Conclusion: IGF-I and IGF-II were produced by ovarian tissues, and participated in ovarian folliculogenesis according to menstrual cycles by paracrine, autocrine functions. IGF-II, rather than IGF-I, was thought to effect greater on human ovarian menstrual cycles, affected by action of FSH.

      • KCI등재

        폐경 전, 폐경 여성에 있어서 체 성분과 골밀도와의 연관성

        정재은 ( Jae Eun Chung ),황성진 ( Sung Jin Hwang ),김민정 ( Min Jung Kim ),송재연 ( Jae Yen Song ),조현희 ( Hyun Hee Cho ),권동진 ( Dong Jin Kwon ),유영옥 ( Young Oak Lew ),임용택 ( Young Taik Lim ),김은중 ( Eun Jung Kim ),김장흡 대한폐경학회 2010 대한폐경학회지 Vol.1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폐경 전과 폐경 여성에서의 신체구성 (body composition) 중 체지방, 제지방 및 다른 인자와 요추골밀도 및 대퇴골 경부 (femoral neck), ward 삼각주, 대퇴골 전자부위 (trochanter), 대퇴골 전체 (total) 골밀도 (bone mineral density, BMD)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재료 및 방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성모병원 건진 의학과 건진 센터에서 건강검진을 시행한 여성 394명을 대상으로 체 성분 및 지질, 공복혈당, 혈압, 골밀도 등을 측정하였다. 골밀도는 양 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 기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를 이용하여 요추 골밀도와 대퇴골 경부, ward 삼각주, 대퇴골 전자부위, 대퇴골 전체의 골밀도를 측정하고, bioimpedence 기계를 사용하여 체 성분을 분석하였다. 골밀도와 각 변수들과의 연관성은 통계적 분석 SPSS (for windows 13.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bivariable correlat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교란변수 보정을 위해서는 부분상관분석 (partial correlation) 분석을 이용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학적 의미가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평균나이는 49.5±9.8세였고, 이중 51.5%인 203명이 폐경 전 여성, 48.5%인 191명이 폐경 여성이었다. 폐경전 여성에서 나이와 체중을 보정하고도 요추 골밀도 및 대퇴골 경부, ward 삼각주, 대퇴골 전자부위(trochanter), 대퇴골 전체 (total) 골밀도는 근육량, 제지방량, 부위별 근육량, 기초대사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복부지방률, 체지방량, 허리둘레, 체지방률, 총 콜레스테롤 등이 음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폐경 여성의 요추 골밀도와 대퇴골 경부 골밀도는 부위별 근육량 중 몸통과 하체 근육량, 근육량, 제지방량, 기초대사량 등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체지방량, 체지방률, 이완기 혈압에 대해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폐경 전, 폐경 여성에서 요추 및 대퇴골 특히 경부 골밀도는 체 성분 중 제지방량, 근육량, 부위별 근육량, 골격근육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체지방량, 체지방률, 허리둘레 등 중심비만과 연관 있는 인자들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Objectives: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metabolic parameters, and lumbar and femur bone mineral density (BMD) in pre-and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Of 394 females who participated in a medical check-up program,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fasting glucose levels and lipid profiles were measured. Body composi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bioimpedence method and the BMD of the lumbar spine, femur neck, trochanter, ward`s triangle, and total were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Results: The mean age was 49.5±9.8 years, and among the subjects, 203 (51.5%) were pre-menopausal and 191 (48.5%) were post-menopausal women. Skeletal muscle mass, fat-free mass, lean body mass, and basal metabolic rat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umbar and femur spine BMD, even after adjustment for age and weight in pre-menopausal women. The abdominal fat ratio, fat mass, waist circumference, percent fat, and total cholesterol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lumbar and femur spine BMD, even after adjustment for age and weight in pre-menopausal women. The lean body mass in the legs and trunk, skeletal muscle mass, and fat free ma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BMD of the lumbar spine and femur neck, unlike the lean body mass of the arms did not, after adjustment for age and weight in post-menopausal women. Conclusion: In pre- and post-menopausal Korean women, body composition, lean body mass, fat -free mass, and skeletal muscle mass were positive correlates, and fat mass and percent fat were negative correlates with the lumbar spine and femur BMD. (J Korean Soc Menopause 2010;16:29-38)

      • KCI등재

        가임 여성에서 제왕절개술 동안 Deciduosis의 유병율과 자궁내막증과의 관계

        김민정,김현정,송재연,김수연,정재은,조현희,김진홍,김장흡,유영옥,권동진,김미란,임용택,Kim, Min-Joung,Kim, Hyun-Jung,Song, Jae-Yen,Kim, Sue-Yeon,Chung, Jae-Eun,Jo, Hyun-Hee,Kim, Jin-Hong,Kim, Jang-Heub,Lew, Young-Ok,Kwon, Dong-Jin,Kim, Mee 대한생식의학회 2009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6 No.2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the distribution of deciduosis, and the relationship with endometriosis in fertile women during Cesarean delivery. Methods: In this study, pelvic tissues suspicious for ectopic deciduas were taken for biopsy during Cesarean section from 154 parturients of full term pregnancy from January 1990 to December 2003. And then those patients were followed up till April 2008. Results: Tissues from 94 parturients (94/154, 61%) were evaluated histopathologically, and ectopic decidua was observed in 70.2% (66/94). Ectopic sites were ovaries only (65/94, 69.1%), ovaries and uterine serosa (12/94, 12.8%), uterine serosa only (9/94, 9.6%), and pelvic serosa. Twenty seven (27/66, 40.9%) parturients had past history of diagnosis and treatments for endometriosis. We have tried to connect 39 (39/66, 59.1%) patients who had never been diagnosed for endometriosis but pathologically confirmed for deciduosis, and 18 patients were able to contact by phone. Twelve patients (12/18, 66.6%) showed no symptoms of endometriosis and had not received any treatments for endometriosis. Conclusion: We can conclude that most of incidental cases confirmed pathologically for deciduosis during pregnancy do not symptomatically progress. 목 적: 임신 능이 확인된 가임 여성에서 다능성 세포가 화생되거나 이전에 존재하던 골반 내 자궁내막증으로부터 발생하는 deciduosis의 발생빈도와 분포, 자궁내막증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0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만삭임신에 이른 154명에서 제왕절개술시 의심되는 병변에서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deciduosis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결 과: 여러 다른 장기의 ectopic decidua는 94명 (94/154, 61%)에서 조사되었고, 이 중 66명 (66/94, 70.2%)에서 조직 검사상 deciduosis로 진단되었다. 발생빈도는 난소 (65/94, 69.1%), 난소와 자궁장막 (12/94, 12.8%), 자궁장막 (9/94, 9.6%), 복막 (2/94, 2.1%) 순이었다. 이 중 27예 (27/66, 40.9%)는 임신 전에 이미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받아 다른 치료를 받았던 경력이 있던 여성이었고, 39예 (39/66, 59.1%)는 임신 전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받지 않았던 경우였다. 임신 중에 deciduosis로 조직학적 확진을 받았지만 자궁내막증의 기왕력이 없었던 38명을 대상으로 2008년 4월 전화연락을 시도한 결과 통화 가능했던 18명 중 12명 (66.6%)이 다른 증상이 없어 특별한 치료 없이 지내고 있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임신 시 조직학적으로 deciduosis가 확인된 대부분의 경우 자궁내막증으로의 진행은 없었다.

      • KCI등재
      • KCI등재

        난소의 원발성 섬유육종

        신우미 ( Woo Mi Shin ),송재연 ( Jae Yen Song ),김용욱 ( Yong Wook Kim ),김태응 ( Tae Eung Kim ),정재근 ( Jae Keun Jung ),노덕영 ( Duck Yeong Ro ),맹이소 ( Lee So Mae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9

        Fibrosarcoma of the ovary is an exceedingly rare primary ovarian stromal tumor, which has a poor prognosis. Fibrosarcoma may arise de novo or as a result of malignant change in a benign fibromatous or fibrothecomatous tumor of the ovary. There are only about 30 cases in the literature reported within past three decades, showing the extreme rarity of these tumors. We report a case of primary ovarian fibrosarcoma with a review of the available literature.

      • KCI등재

        선천성 자궁기형 110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현정 ( Hyun Jung Kim ),신현미 ( Hyun Mee Shin ),송재연 ( Jae Yen Song ),김수연 ( Sue Yeon Kim ),정재은 ( Jae Eun Chung ),권동진 ( Dong Jin Kwon ),김진홍 ( Jin Hong Kim ),김장흡 ( Jang Heub Kim ),유영옥 ( Young Ok Lew ),임용택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12

        목적: 선천성 자궁기형이 있는 여성들에서 임상적 증상, 진단방법, 생식력, 산과적 문제점, 자궁성형술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1990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한 자궁기형을 가진 환자 110명을 대상으로 자궁기형의 빈도, 증상, 진단 방법, 태위와 생식력, 자궁성형술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선천성 자궁기형은 American Fertility Society (1988)의 분류법에 의해 분류를 했으며 의무기록을 이용한 후향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자궁기형은 입원환자 752명당 1명 (0.13%)의 빈도로 발견되었다. 대부분이 골반초음파와 내진에 의해 진단되었고(45.5%), 제왕절개술 도중에 발견된 경우가 24.5%, 그 외 수술적 방법, 자궁난관조영술 등에 의해 진단되었다. 두뿔자궁, 두자궁이 42예 (38.2%), 39예 (35.5%)로 많았으며 전체 110명 중 21명 (19.1%)이 신장기형을 동반하였는데 두뿔자궁과 두자궁의 경우가 많았다. 26명이 자궁성형술을 시행받았고 이들 중 9예 (34.6%)가 두뿔자궁이었고 8예 (30.8%)가 중격자궁이었다. 처음 병원을 방문한 증상은 산전진찰을 받다가 초음파상 자궁기형이라는 진단을 받고 전원된 경우가 35.5%였다. 그 외 월경통, 골반통, 습관성 유산으로 병원을 방문하였고 일차적 불임은 3예 (2.7%)로 유산보다 적었으며 일차성 무월경이 2예 (1.8%), 골반염과 무증상이 1예 (0.9%)씩 있었다. 241예의 임신 중 만삭임신 46.9%, 유산 24.34%, 조산 9.5%, 자궁외임신 0.83%였다. 자궁기형 환자의 태위는 둔위 16.67%, 횡위 1.51%였으며 81.3%의 환자가 제왕절개 분만을 하였다. 결론: 자궁기형이 있는 여성은 주로 월경통과 같은 증상을 호소하기도 하지만 무증상이고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비뇨기계통의 기형과 잘 동반되었고, 산과적 합병증 즉, 조산, 반복유산, 이상태위, 자궁내 태아성장지연, 자궁수축부전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자궁기형이 진단되었을 때, 그 환자의 생식 예후, 임신 시 예상되는 결과를 상담하고, 발생할 수 있는 산과적 합병증에 대한 정보를 주며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ymptoms, diagnostic procedures, infertility, obstetrical complications, and surgical corrections in women with congenital uterine anomalies. Methods: Between January 1990 and December 2007, 110 patients diagnosed with uterine anomalies from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charts of patien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for uterine anomaly type, clinical symptom, diagnostic workup, fertility, fetal presentation, and uteroplasty. Congenital anomaly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classification by the American Fertility Society (1988). Results: Uterine anomaly was noticed in 1 in 752 patients (0.13%) who visited the inpatient department. The diagnosis was made by pelvic ultrasonography and manual examination (45.5%), incidental discovery during Cesarean section (24.5%), and other surgical procedures and salpingography. Most common types of uterine anomaly were bicornuate uterus (42 cases, 38.2%) and uterine didelphys (39 cases, 35.5%). Renal anomaly was accompanied in 21 patients (19.1%), frequently associated with bicornuate uterus and uterine didelphys. Uteroplasty was performed in 26 patients with 9 cases of bicornuate uterus (34.6%) and 8 cases of septate uterus (30.8%). The cases diagnosed incidentally during prenatal ultrasound examination were 35.5%. Other initial symptoms were dysmenorrhea, pelvic pain and habitual abortion. Primary infertility was reported in 3 cases (2.7%) which was fewer than abortion. Primary dysmenorrhea was observed in 2 cases (1.8%). One case of PID (0.9%) and one asymptomatic case were noted. Among 241 pregnancies, there were 46.9% full term birth, 24.34% abortion, 9.5% preterm birth, and 0.83% ectopic pregnancy. Fetal presentations were 16.67% breech and 1.51% transverse lie. Cesarean section rate was 81.3%. Conclusions: Women with uterine anomaly complain symptoms such as dysmenorrhea and pelvic pain, but most are aymptomatic and diagnosed incidentally. They are frequently accompanied with urologic anomalies and complicated with obstetrical challenges such as preterm labor, habitual abortion, malpresentation,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and uterine atony. Thus, when diagnosis of uterine anomaly is made, it is crucial to discuss sufficiently with patients about their expected prognosis on fertility and possible obstetrical outcomes and complications and to provide appropriate therapy accordingly.

      • KCI등재

        난소의 생식세포 Apoptosis에 대한 JNK1과 JNK2의 역할

        김미란 ( Mee Ran Kim ),최윤경 ( Yoon Kyong Choi ),송재연 ( Jae Yen Song ),신현미 ( Hyun Mi Shin ),정재은 ( Jae Eun Chung ),임용택 ( Young Taik Lim ),김장흡 ( Jang Heub Kim ),김진홍 ( Jin Hong Kim ),유영옥 ( Young Oak Lew ) 대한폐경학회 2007 대한폐경학회지 Vol.13 No.3

        연구목적: 난자와 난포 과립막세포가 외부 자극에 대하여 JNK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JNK 유전자 중 JNK1이나 JNK2가 결핍된 마우스를 이용하여 난자와 과립막세포의 apoptosis에 대한 JNK유전자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생후 21∼24일의 C57BL/6 마우스를 이용하여 과배란 유도를 통해 난자를 채취하여 자외선 조사 후 phospho-JNK에 대한 면역세포화학법을 시행했다. 과립막세포를 배양하고 자외선 조사 후 단백질을 추출하여 웨스턴블롯을 시행했다. Hepa 1c1c7 cell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웨스턴블롯팅을 시행하였다. JNK1이나 JNK2 유전자 결핍 마우스에서 난자의 apoptosis의 차이를 알기 위해 난소 전체의 난자의 수를 비교하였다. 과립막세포를 자외선 조사 2시간, 4시간, 6시간 후 고정하고 Hoescht 33342로 염색 후 현광현미경으로 핵의 형태를 관찰하여 apoptosis 여부를 판별했다. 결과: 자외선 조사 후 난자에서 인산화 JNK에 대한 면역세포화학염색 반응이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되었다. Hepa 1c1c7 cell에서는 자외선 조사 후 인산화 JNK의 발현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과립막 세포에서는 자외선 조사 30분 후 각각 55 kD와 46 kD의 인산화 JNK의 단백이 발현되었다. JNK1 유전자 결핍 마우스의 난소에서 총 난자의 수와 원시난포의 수는 출생 후 제 4일과 제 42일 정상 마우스에서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JNK2의 경우도 JNK2 유전자 결핍 마우스의 난소에서 총 난자의 수와 원시난포의 수가 정상 마우스에서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자외선 조사에 의한 과립막세포의 apoptosis는 대조군의 13.0±3.3%에서 자외선 조사 2시간 후에 22.2±12.8%, 4시간 후에 32.0±10.4%, 6시간 후에 42.9±11.3%로 관찰되었다. JNK1 유전자 결핍 마우스의 난포 과립막 세포는 대조군의 10.5±4.1%에서 2시간 후에 18.3±9.1%, 4시간 후에 24.8±9.1%, 6시간 후에 29.5±12.4%의 apoptosis를 보여 부분적으로 apoptosis에 대한 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였지만, 통계적인 의미가 없었다. JNK2 유전자 결핍 마우스에서도 정상 마우스에서의 apoptosis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JNK는 포유동물의 세포 생리작용에 중요한 매개체로서 세포의 증식, 생존, 사망, DNA의 대사에 다양하게 작용하며 향후 치료적 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JNK는 마우스의 난자와 과립막 세포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특이적으로 활성화 되었다. JNK1이나 JNK2 유전자결핍 마우스를 이용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마우스의 난소에서 JNK1과 JNK2는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함으로 특이한 표현형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폐경 전 여성에서 비정상적으로 가속화되는 난자 고갈에 대한 JNK의 역할을 규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노화로 인한 자연적인 난소기능의 퇴화기전을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ives: Each female is endowed with a finite numbers of oocytes, which when depleted leads to ovarian senescence, the menopau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JNK1 and JNK2 in murine ovarian germ cell apoptosis. Methods: Murine oocytes were retrieved by superovulation of female C57BL/6 mice at the age of 21∼24 days. At 10 minutes after UV irradiation, immunocytochemistry was performed. Ovarian granulosa cells were cultured from antral follicles. At the 24 hours of the culture period, UV was irradiated on culture dishes. After 30 minutes, protein was extracted and western blotting done. Same procedures were performed with Hepa 1c1c7 cells. Serial ovarian sections (8μm) were stained with modified Lee`s picric methyl blue, and we estimated the numbers of oocyte-containing primordial, primary and small preantral follicles of female mice at day 4 and day 42 postpartum. Ovarian granulosa cells were cultured from female wild-type and JNK1-/-or JNK2-/-mice. The granulosa cells were fixed at 2, 4, 6 hours after UV irradiation and stained with Hoescht 33342, and then evaluated for characteristics of apoptosis under fluorescence microscopy. Results: After UV irradiation, oocytes showed intense signal of phospho-JNK. In ovarian granulosa cells, JNK was activated to phospho-JNK after UV irradiation, but not in Hepa 1c1c7 cells. There was no difference in oocyte counts between wild type and JNK1-/-or JNK2-/-at day 4 and day 42 postpartum. The incidence of apoptosis of ovarian granulosa cells from wild type were 13.0±3.3%, 22.2±12.8%, 32.0±10.4%, 42.9±11.3% after 0, 2, 4, 6 hour of UV irradiation, respectively. The incidences were 10.5±4.1%, 18.3±9.1%, 24.8±9.1%, 29.5±12.4%, respectively in granulosa cells from JNK1-/-mice. These results showed only a partial suppression of apoptosis in granulosa cells from JNK1-/-mice,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apoptosis of granulosa cells after UV irradiation between wild type and JNK2-/-mice. Conclusion: JNK1 and JNK2 are recognized as critical regulators of various aspects of mammalian physiology, including cell proliferation, cell survival and cell death. This study showed that UV irradiation caused activation of JNK in murine oocytes and granulosa cells of ovary. In murine ovary, JNK1 and JNK2 may be redundant or have compensatory role to each other in apoptosis. These findings may help to elucidate the one of mechanisms for acceleration of oocyte depletion in women with premature menopa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