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9·11테러 이후 일본의 방위정책에 관한 전망

        송이랑(Yi-Rang Song) 한국통일전략학회 2005 통일전략 Vol.5 No.1

        탈냉전의 도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제정세는 불투명하고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다. 그 단적인 예가 2001년 9·11테러사건 일 것이다. 이 사건을 계기로 일본은 보다 적극적인 방위정책을 추구하고 있다. 일본의 적극적인 방위정책의 구체적 내용들은 PKO법안의 성립과 제정에 이어 1995년 11월 ‘신방위대강’이 각의에서 결정되었다. 신방위대강이 추구하는 방위력은 질적향상을 추구하고 있다. 이어 1996년 9월에 일본은 미·일 방위협력을 위한 지침(신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다. 여기서 양국은 21세기에도 아태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그 효과인 방법을 양국의 긴밀한 방위협력에서 찾는다고 천명하였다. 이것은 바로 일본의 자위대의 활동영역이 확대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9·11테러 후, 일본의 미국의 아프카니스탄 공격에 대하여 적극적인 지지를 표명하고 나아가 미·일안보조약에 입각한 미군의 후방지원을 위하여 ‘테러대책 특별조치법’제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일본은 자위대의 해외파견과 집단자위권 행사를 기정사실화하면서 동시에 군대로 전환시키고자 PKO법안을 개정하였다. 아울러 일본은 유사시 자위대의 신속한 활동을 위한 유사법제를 정비하고 있다. 향후 일본의 방위정책은 단기적으로 기존 자위대의 역할과 기능을 강화하여 방위능력을 꾸준히 확대하고자 할 것이고, 국제사회에서의 정치적·군사적 위상을 제고시키면서, 중장기적으로 경제력과 불균형적 방위력을 증강시켜 자주국방을 실현시키고, 나아가 국제사회에서 독자적 목소리를 구가할 것으로 보인다. Japan is seeking more aggressive defense policy since the 9.11 terror attack in 2001. The details on Japan's aggressive defense policy were decided in November 1995 through the new National Defense Program Outline by its Cabinet following the formation and enactment of PKO bill. The new National Defense Program Outline seeks qualitative improvements in defensive strength. Subsequently, Japan proclaimed the guidelines for Japan-US defense cooperation (or “New Guidelines”) in September 1996, which led to expansions in the sphere of activities of the Self-Defense Forces. Since the 9.11 terror attack, Japan declared positive support for the US attacks on Afghanistan, and further enacted “Antiterrorism Special Measures Law” in order to support the rear of the US Army based on the Japan-US Security Treaty. Through these, Japan revised the PKO bill in order to convert the Self-Defense Forces to military forces, while considering it as accomplished facts to dispatch the Self-Defense Forces overseas and to exercise the right to collective self-defense. Furthermore, it is reviewing similar laws to facilitate rapid actions of the Self-Defense Forces in time of emergency. It is considered that Japan will try to continuously expand its defensive strength by reinforcing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existing Self-Defense Forces in the short-term defense policy. In the mid-term and long-term, it will further try to realize independent national defense by improving the imbalance between the economic strength and defense strength and to raise its independent voice.

      • 가로의 색채 현황분석

        송이수(Isoo Song),이석현(SeokHyun Lee) 한국색채학회 2019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5

        최근 과거에 비해 많은 도시에서 다양한 연구와 정책개선을 통해 가로환경 개선을 위한 통일성과 연속성 향상의 시도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심리적 안정감과 쾌적함이 느껴지는 가로 색채현황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통해, 국내 가로환경의 연속성과 정체성을 높일 수 있는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조사에서는 서울 종로구 북촌로 5길의 가로환경색채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북촌로 5길의 가로환경 색채는 중명도 저채도의 색채로 통일성과 연속성이 높으며 이러한 연속적 배색특성을 통해 거리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KCI등재

        제품 라벨의 첨가물 표기 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 연구: 첨가물 비중과 수에 대한 정보처리를 중심으로

        송이령 ( Mee-ryoung Song ),임미자 ( Mee-ja Im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6

        웰빙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소비자들은 제품 선택 시 패키지 라벨의 영양 및 건강 정보를 보고 구입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첨가물 표기 정보가 소비자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먼저 특정 첨가물을 포함하지 않았다고 패키지 전면에 표기하는 무첨가 표기 제품에 대해 소비자들이 어떻게 지각하는지를 조사한다. 또 무첨가 마크와 함께 패키지 후면의 다른 첨가물 정보를 보았을 때 소비자의 반응은 앞면의 무첨가 마크만을 보았을 때와 비교해서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소비자들이 패키지에 제시되지 않는 첨가물 비중 정보를 어떻게 추론하는 지, 그리고 첨가물 개수와 첨가물 비중에서 어떤 정보를 소비자들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더 영향을 받는 지 등을 조사하였다. 4개의 실험 결과는 매우 흥미로웠다. 소비자들은 무첨가 표기에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있었다. 이러한 긍정 지각 효과는 패키지 후면의 상세 정보를 보게 되는 경우 감소하고 있었다. 소비자들은 원재료 비중 정보에서 첨가물 비중 정보를 추론하고 있었다. 그리고 명시적으로는 첨가물 비중이 첨가물 개수보다 더 중요하다고 응답하고 있으나, 무의식적으로는 첨가물 개수에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첨가물에 대한 높은 관심과 기업의 첨가물 표기 관련 마케팅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패키지 라벨 표기와 관련된 선행 연구의 폭을 확장시켰다는 이론적인 공헌은 물론 기업과 소비자, 정책 입안자에게 많은 관리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With growing consumer interest in wellness and health, nutrition and health claim information on product packaging labels is becom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fluencing consumers’ purchase decisions. Consumers feel great anxiety about additives in food products and consumer-packaged goods. As a response to such consumer concerns, many companies have been gradually increasing additive-free marketing and expanding its use on new product categor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additive-related claim information on consumer perception. The paper examines how consumers respond to the additive-free claim on the front package, which declares the exclusion of specific additives in a product. This study also evaluates how consumer’s response differs when consumers are provided with both front and back package labeling tha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rest of the additives included in the product. Furthermore, we determine how consumers process additive?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weight and the number of additives, and which of the two has greater influence on consumers. We investigated how consumers infer the weight of additives when it is not specified in the package. Four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our study. Participants demonstrated more positive response to the additive-free condition compared to the controlled condition. In addition, the findings show that this positive response is reduced when subjects are provided with both front and back package labels. Moreover, the results indicate that consumers infer the weightage of additives from the weightage of raw materials listed in the package. Additionally, the study demonstrates that individuals are more influenced by the number of additives specified unconsciously. Interestingly, however,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 weight is more important in explicit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paper provide many meaningful implications to consumer perception of the additive-free claim, as well as theoretical implications by expanding prior literature pertaining to package label marketing.

      • KCI등재후보

        도시지역 저소득층 노인의 우울, 지각된 건강상태, 주관적 기억장애와의 관계

        송이철 ( Yi Chol Song ) 이화간호과학연구소 2018 Health & Nursing Vol.30 No.2

        Purpose: This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 among the depressi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of urban low-income old adult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243 elders living in a metropolitan city, Korea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Korean- Memory Complaint Scale-A,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and Health Status Selfappraisal Tool.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e post hoc,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The average score of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was 4.89, 77.4% of subjects showed higher than mild memory complaint sca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with gender (t=-4.78, p<.001), education level (F=6.78, p<.001), regular exercise (t=-3.84, p=.005) among other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r=-.58, p<.001). T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and perceived health status (r=-0.51, p<.001). but posi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r=0.46, p<001). Conclusion: Based on this resul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nursing invention and substantial education program for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which can predict the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Additionally, various programs developed in view of the depression and the perceived health status, can reduce the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 KCI등재

        아동과 주거환경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송이수 ( Song¸ Isoo ),김영주 ( Kim¸ Youngj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아동은 생활적 특성상 많은 시간을 주거환경 내에서 보내기 때문에 주거가 가지는 영향과 의미는 다른 연령층보다 더욱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20년간 아동과 주거환경에 관련된 선행연구 문헌을 조사하여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아동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학문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동시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20년간 국내 전문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아동과 주거환경과의 관계성을 다룬 연구를 중심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한 분석틀로 논문게재시기, 연구방법, 연구분야, 연구대상, 연구목적, 키워드와 같은 변수를 포함시켰다. (결과) 분석대상 논문의 시기별 분포 경향을 보면 아동과 주거환경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었다. 연구방법에서는 양적연구가 주를 이루는 가운데 질적연구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연구분야에서는 생활·과학분야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물리적 환경을 다루는 건축 및 도시분야, 예술·디자인 분야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의 경우 주거, 놀이공간 및 시설, 보육시설, 복지시설 등의 순으로 많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연구목적에서는 아동과 다양한 주거환경 및 관련변인 간의 상관관계와 인과성을 다룬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과 주거환경 관련 논문에서 많이 언급된 키워드 영역은 주거환경 심리·발달·정서, 보육·복지시설, 놀이공간·시설 등이었다. (결론) 최근 들어 아동과 주거환경에 관한 연구에서 공간계획 및 디자인지침이나 디자인제안을 다룬 연구가 많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아동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층적 차원의 물리적 환경계획을 통해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연구의 경향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전반적으로 설문조사와 패널분석을 통한 양적연구가 가장 많지만 향후에는 질적연구와 다른 연구방법을 결합시킨 복합연구를 통해 아동과 주거환경과의 관계 및 요구 등을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최근 들어 주택 이외에 어린이보호구역, 지역사회 등 보다 포괄적인 아동의 주거환경을 분석대상으로 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향후에는 아동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다양한 교육시설환경에 대한 심층적 후속연구도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children spend a lot of time in a residential environment, the influence and meaning of housing is more important than other age grou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research trend up to the present by examining previous research articles related to childre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last 20 years to draw academic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children and to mak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Metho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mong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research journals from 2000 to 2019. As an analysis framework for this, variables such as the time period of publication, research method, research field, research object, research purpose, and keyword were included. (Results) Studies on children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since the 2000s. In terms of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predominant, while qualitative research was gradually increasing. In the field of academic research, research in the fields of human ecology continued to take the largest portion, followed by the fields of architecture and urban, art, and design that deal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In the case of the research subjects, it was dealt with in the order of residence, play space and facilities, childcare facilities, and welfare facilities. For research purposes, it was found that the study of correlation and causality between children and various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related variables was the most frequent. The keyword areas that were frequently mentioned in the subject papers related to childre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psychological, phys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childcare and welfare facilities, and play spaces and facilities. (Conclusions) In recent years, studies on children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have seen many studies dealing with space planning and design guidelines or design proposals. Based on the existing theoretical background, it can be seen that it shows the trend of research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through concrete and practical physical planning for children. Overall, quantitative research through questionnaire and panel analysis is the most common, bu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relationship and needs between children an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a variety of ways through complex research that combines qualitative research with other research methods.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tendency to analyze residential environments of more comprehensive children, such as child protection areas and communities, in addition to housing. In the future, in-depth follow-up studies on various educational facilities environments where children spend a lot of time are also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