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약자를 배려한 공공역사의 사인 색채환경 평가 -서울시 주요 지하철 역사를 대상으로-

        이석현 ( Lee¸ Seokh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모든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이 주요한 사회이슈가 되고 있으며, 대중교통시설에서는 시각약자도 불편함 없이 이용가능한 공공사인의 색채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공간의 효율적인 공공사인 컬러유니버설디자인 환경 구축을 위한 방안의 제고를 기본적인 목적으로, 주요 서울시 지하철 역사의 공공사인을 대상으로 현황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공공공간에서 요구되는 사인색채 및 공간환경 구축과 관련된 이론적 토대를 정리를 바탕으로, 서울시의 주요 환승역을 대상으로 공공사인의 색채시스템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현황특성과 문제점을 파악한다. 다음으로 조사 분석 결과를 정리하여 공공공간에서 사인색채 시스템 구축을 위한 요소를 정리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결과) 조사 분석의 결과, 국내 대중교통시설의 공공사인의 컬러유니버설 환경은 접근성은 다소 양호하였고, 소재와 색채, 크기, 레이아웃의 통일성도 열악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사인의 디자인이 체계적이지 않고 무분별하게 설치되어 정보의 파악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었다. 공공사인의 색채도 대비가 약한 배색, 과도한 광고물의 색채, 가독성의 저하된 사인으로 인해 공공사인의 색채 인지성과 함께 사인정보 파악을 어렵게 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공공사인의 색채개발과 함께 공공사인의 시인지성 향상을 위해 과도한 대중교통시설의 광고물 색채 규제 및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요구된다. 특히 광고물의 크기와 규격, 채도 규정을 적용하여 쾌적한 정보획득환경의 구축이 시급히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지하철역과 같은 교통시설 전체의 이용환경을 고려한 컬러유니버설디자인 환경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다. 특히 지하철 출입구에서부터 교차로, 주요광장 등 이동 동선 전체에 시각약자의 색채인지성 향상에 기반을 둔 정보획득을 위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또한 이를 위한 제도적 장치 및 지방자치단체와 관련부처의 공간조성계획에 대한 규정마련도 중요하다. (결론) 대중교통시설의 공공사인의 컬러유니버설디자인 개선을 위해서는 공공사인의 색채에 대한 연구, 색채가이드라인의 개발, 광고물 색채의 규제, 지하철역과 같은 교통시설 전체의 이용환경을 고려한 컬러유니버설디자인 환경 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본 연구가 시각약자뿐 아니라 모든 대중교통의 사용자들에게 보다 쾌적한 사용환경의 개선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incorporating a universal design for amenities used by all of the society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particular, an environment that incorporates color in the universal design to aid the visually handicapped with public signage and in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universal design solution of color-coded public signage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in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based on data from a field survey conducted at the main subway station in Seoul city. (Method) Th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1) the contents of assessment of color-coded universal design are derived through analysis of existing research; 2) the assessment items for color-coded universal design of public signs are arranged through an expert questionnaire survey; and 3) examination of the situation and problems surrounding the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y through a survey of public signage in the main subway station in Seoul city, and suggesting improvement methods according to the assessment result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urvey assessment indicate a poor environment in terms of color-coded universal design in material, color, mass, and layout, as well as access environment have a low good situation. Due to numerous kinds of public signs and advertising, it has been difficult to understand to recognize information by color. Thus, to improve signage through universal color design, a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y needs to build a system with specific guidelines for signage colors, while regulating advertising colors simultaneously. Such a basic design guidelines are required to improve signage visibility in the interior spaces of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Furthermore, the establishment of a universal design color system must consider the entire transportation facilities environment, such as subway stations. It is essential to create a basic environment for information understanding based on a systematic survey and analysis of color recognition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taking into account the entire movement of subway entrances, intersections, and major public squares. To this end, it is important to prepare regulations on institutional devices and space plans for local governments and related administrative departments. (Conclusions) This study has an important implications as it was derived from a field survey on color public signage for the blind, the elderly, and pedestrians. This study will contribute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on public signs in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such as subways and bus terminals, for all users―including the visually handicapped.

      • 공공건축물의 내외장 환경색채 경향 분석

        이석현 ( Lee¸ Seokhyun ) 중앙대학교 예술문화연구원 2020 예술문화융합연구 Vol.12 No.-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methods to improve environment color of public architecture based on local landscape identity. We investigated the environment color trend and material of main public architecture in Seoul-city through the analysis of color measurement and observation survey. The target of the research was a government building, the museum, the station, and library located on Seoul city and Gyeonggi-do. To achieve this goal, we conducted critical literature review about the trend of environment color and material in public architecture mainly a government office and then identified its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a museum architecture and a traffic building. We carried out a color trend of public architecture that consist of glass and metal panel have a BG, B, PB croma and high value, And all survey target showed uniform color pattern and material. Finally, we propose improvement methods of color designing on a public architecture. The study suggested the value of a sustainable color design of public architecture and the relationship of a local identity color.

      • KCI우수등재

        국내 Holstein종에서 milk β-hydroxybutyrate acid, milk acetone, 에너지 보정유량 및 산유량의 유전모수 추정

        이석현,최성운,당창권,도창희,Lee, SeokHyun,Choi, Sungwoon,Dang, Chang-Gwon,Mahboob, Alarn,Do, ChangHee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7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8 No.6

        케토시스 질병의 지표 형질인 milk ${\beta}$-hydroxybutyratc acid (BHBA), milk acetone, 그리고 사료효율의 지표형질 에너지보정유량 및 젖소의 주요 경제 형질인 산유량에 대한 유전력과 이들 간의 유전적 관계를 통하여 젖소의 케토시스 저항성 증진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 젖소 14,397두에서 수집된 산유능력 검정자료 75,072건의 기록과 혈통기록 44,954두의 기록을 다형질 임의회귀 검정일 선형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케토시스 지표형질들의 유전력은 범위 0.06 ~ 0.15, 평균 0.08 (${\pm}0.03$)로 추정되었으며, 케토시스 지표형질들 간에 표현형 상관은 범위 0.73 ~ 0.90, 평균 0.78 (${\pm}0.04$), 유전 상관은 0.93 ~ 0.98 평균은 0.97 (${\pm}0.01$), milk BHBA, milk acetone과 산유량의 표현형 상관은 범위 -0.18 ~ -0.05 평균 -0.08 (${\pm}0.027$), 범위 -0.05 ~ -0.23, 평균 -0.1 (${\pm}0.041$), 유전상관은 -0.55 ~ 0.05, 평균 -0.16 (${\pm}0.18$), -0.62 ~ -0.04, 평균 -0.24 (${\pm}0.17$)로 각각 추정이 되었다. mill BHBA, milk acetone과 ECM의 표현형 상관관계는 0.056 (${\pm}0.023$), -0.04 (${\pm}0.029$), 유전적 관계는 평균 0.023 (${\pm}0.08$), 0.09 (${\pm}0.067$)로 각각 추정되었다. 따라서 산유능력 검정자료 수집 시 부가적으로 수집되는 케톤체를 이용하면 케토시스 저항성 증진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genetic parameters for common ketosis indicators (${\beta}$-hydroxybutyrate acid, BHBA; milk acetone), feed intake efficiency indicator (energy-corrected milk, ECM), and milk yield (MY) in Korean Holstein. A total of 75,072 monthly test-day records from 14,397 first parity cows were collected, between 2012 and 2016, from Korea animal improvement association enrolled farms. Variance components were estimated using a multiple trait random regression model. The heritability of BHBA and acetone levels ranged from 0.06 to 0.15 at different DIMs. The phenotypic and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BHBA and acetone were between 0.73 and 0.90, and between 0.93 and 0.98, respectively. The phenotypic correlation between BHBA and MY, between acetone and MY, between BHBA and ECM, and between acetone and ECM ranged from -0.18 to -0.05, -0.23 to -0.05, 0 to 0.10, and -0.09 to 0.01, respectively. Genetic correlation estimates between BHBA and MY, between acetone and MY, between BHBA and ECM, and between acetone and ECM also ranged from -0.55 to 0.05, -0.62 to -0.04, -0.10 to 0.11, and -0.20 to 0.00, respectively. We hope that these results would greatly assist in the improvement of ketosis disease in the local Holsteins.

      • KCI등재

        역사적 상징공간 주변경관의 색채 관계성 평가

        이석현(SeokHyun Lee)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4

        역사문화적 상징성 건축물의 색채는 지역의 역사성을 반영하는 대표적 요소로서 지역 경관형성의 기준역할을 하며 주변과의 관계성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서울과 일본의 동경, 중국의 북경의 대표적인 역사적 상징 건축물인 광화문과 에도성, 천안문을 대상으로 관리현황의 조사, 주변 건축물과의 주조색채 비교를 통해, 역사적 상징공간의 색채관계성을 조사, 분석하여, 국내 역사적 상징건축물 주변의 색채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 경관의 색채환경 형성에 시각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건축물을 대상으로 역사적 상징건축물과의 색채의 관계성과 연속성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대상지의 색채환경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 상징건축물과 주변 건축물의 색채 관계성은 세 곳의 대상지가 전체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광화문 주변은 색상의 종류가 다양하고 통일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옥외 광고물과 주변 건축물 색채의 연속성 역시 에도성과 천안문 주변에 비해 다소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국내 역사적 상징건축물 주변 건축물의 소재와 색채의 연속성과 관계성이 개선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역사적 경관의 관리에서 역사적 상징건축물과의 관계를 고려한 주변 건축물과 시설물의 색채개선방향을 정리하고, 색채기준을 정량화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역사적 상징건축물 주변의 색채정체성 강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Historical landscape is the symbolic heritage that helps to establish the sustainable formation and identity. Nevertheless, domestic architecture color surround historical heritage was complicated situation by used diverse color and materials that not related traditional color characteristics. To solve the problem, the methods of sustainable color managements and color design technique was developed by an objective assessment and analysis. The aim of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ownscape color of historical architecture and the surrounding architecture main color by reviewing the sequence of color scheme on historical landscape heritages. In the study, we tried to four methods for definitized a color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landmark structure and surround landscape. The first, we have identified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landscape color, current problem and tasks through survey reference and research. The second, the field survey was practised on a representative historical landmark of KOREA, JAPAN and CHINA - Gwanghwamun in Seoul, Edo castle in Tokyo, and Tiananmen in Beijing. The result data was analyzed by the degree of sequence of a keynote color with the standard color chart, MUNSELL, for the castle walls, surrounding architectures, signs and facilities of historical townscape. The third, a characteristics of sequentially architecture color and a improvement methods on historical landscape color was proposed by a analysis of color system and difference CIE L*a*b. Furthermore, we have proposed a color of sign design and street furniture based on historical color system. The result shows that the feature of historical color was clarified by analyzing the relation of a keynote color on 3 target areas; Firstly, the color relationship of historical resource are concentrated on the YR hue system with high value and low chroma. Secondly, structure color of surrounding Gwanghwamun show a low sequence and relationship with main color of historical landscape. Also historical landscape color should be considered by a sustainable color management with building and facilities of locality site. Through this research, we gained a result that historical landmark needs to management improvement for sustainable landscape and systematic management based on relationship of historical landscape color. This study id helpful to produce the sustainable management and improve the historical landscape.

      • KCI등재

        한중일 전통주택 대문색채의 특성 비교

        이석현(SeokHyun Lee)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1

        전통 주택은 건축과정에서 지역의 풍토 특성과 건축문화 양식에 따른 독자적인 건축양식을 가지게 되며, 시대의 흐름에 따라 지역과 문화의 연관성이 지속적으로 반영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대문의 색채는 건축문화의 특징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인으로서, 건축물의 출입구이자 소유자의 신분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지역마다의 차별화된 경향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주택의 대문색채와 건축양식의 문화적 특성과의 관계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목조주택양식이라는 공통점 속에서 독자적인 건축문화를 가지고 있는 한국과 중국, 일본의 대표적 전통가로의 주택대문의 색채를 현지조사를 통해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문헌고찰을 통해 대문색채의 문화적 형성과정을 비교하여 대문색채의 문화적 특징을 검토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표적 전통주택 보전지구인 서울 북촌한옥마을과 북경 난뤄구쌍후통, 사이타마 카와고에의 역사적 가로의 전통주택 대문색채를 정량적으로 비교한 결과, 북촌이 고명도, 저채도색채의 경향을 보인 반면, 징산공원 후통은 중명도, 고채도의 경향을 보였으며, 카와고에는 저명도, 저채도의 경향을 보여 지역에 따른 대문색채의 차이를 보였다. 둘째, 대문색채 형성의 문화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대문색채가 지역의 건축양식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었으나, 사회적 신분과 권위, 신앙과 관련된 문화적 표현양식의 특성에 따라 대문색채가 다르다는 점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전통주택 대문색채의 특성을 건축문화와의 관계에서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환경색채의 문화적 특성파악에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고 생각되며, 향후 역사성을 살린 도시환경의 보전과 정체성 형성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raditional housings show different architectural styles according to the region’s cultural and architectural traditions. The gate is not just an entrance to the building, but an integral part of the building that shows the social status of the owner through its symbolic colors. In order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te color of traditional housing 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style, this research will study the gate color of a typical traditional housing in Korea, Japan and China. The method is based on studying existing research papers, quantitatively measured and inspected on field survey, quantitatively measured and inspected on field survey, search by analyzing the results from this study. The method is as follows. First, by studying the existing research papers and texts on the gate color of tradition housing, I will look into the current situation of research on the gate color and examin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gate color. Second, the gate colors of traditional streets will be quantitatively measured and inspected through field survey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lors will be organized by comparative analysis. Third, the results from field survey and the cultural differences that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gate colors will be analyzed to unfold any trace of regionalism 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gate colors. Fourth, the meaning of the gate colors of traditional housing will be looked at by analyzing the results from this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will be made on better ways to preserve the gate colors for restoration of traditional streets. Suggestions will be made on better ways to preserve the gate colors for complete restoration of traditional streets. Through text study and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papers, this study focused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the gate colors of traditional housings in Korea, Japan, and China. Results were also obtained from field survey analysis on gate colors. In particular, Korea’s Bukchon, Japan’s Kawagoe, China’s Nanluoguxiang are traditional housing districts that are representative of the three countries. Even though they all use wood as the main material for the gate, differences in the climate and the method of treatment for the surface resulted in different color changes over time in each region.

      • 주민참여형 범죄예방디자인 추진 프로세스 연구 - 서울시 동작구를 대상으로 -

        이석현(Lee, Seokhyun) 더나은도시디자인포럼 2019 도시디자인저널 Vol.-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lor contrast with adjacent colors on architectural formation according to time and various perspectives of palace architecture. The subjects of analysis include Geunjeongjeon, Sajeongjeon and Gangryeongjeon of Gyeongbok Palace. While approaching them from the farthest point, the dominant colors of the motif and members of the framework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any noticeable contrasting color schem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or contrast and the architectural form was then analyz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ascertained from the study: First, the color contrast of the palace embodies the formative language of an infinite dimension according to time and space. More specifically, although the palace produces a simple monochrome architecture image from a distance, it is transformed into a much more colorful one from a closer distance. Second, it takes the form of a holistic structure from a distance, but when seen from closer it takes the form of motif and member of framework. Third, it establishes the effect of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from a distance, but forms that of the motif and member of framework upon closer inspection. Fourth, the shape of the supporting roof, the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gongpo, and the emphasis on the main structural members compensate for the visual anxiety of elevation which is unfavorable in terms of color weight. Fifth, although it uses a small number of colors, the orderly symmetrical repetitive color scheme contributes to the expression of hierarchy (degree of splendor). Sixth, it can be interpreted as a metaphorical expression for long-term sustainability without damages from water, fire, cold and foreign invasions.

      • KCI등재

        국립역사박물관 실내색채계획 경향분석

        이석현(SeokHyun Lee)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1

        2000년 이후 역사문화적 자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함께 국립역사박물관의 신축과 증개축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의 역사박물관은 단순한 전시 위주 공간에서 내외관의 개성적인 디자인과 체험을 중시하는 차별화된 스토리텔링을 통해 지역 문화의 특징을 전달하고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종합적인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와 함께 건축물 실내환경의 색채도 박물관 고유의 정체성과 전시유물의 특성을 반영한 개성적인 공간연출을 위한 다양한 계획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0년 전후로 진행된 국내의 대표적 국립역사박물관의 실내환경 색채계획에 대한 경향분석을 통해, 최근 색채계획의 진행특성을 정리하고 시사점과 개선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기존의 역사박물관 색채계획의 경향과 문제점 분석, 관련 문헌과 현지조사를 통한 국내외 국립역사박물관 실내 환경색채의 특성 파악, 2010년 전후로 신축, 개축이 진행된 국립역사박물관 중에서 실내색채계획이 진행된 나주박물관, 청주박물관, 진주박물관의 계획내용에 대해 계획의 내용과 특성분석을 통해 시사점과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국내의 역사박물관의 색채계획의 문제점이 정리되었으며, 건축계획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주조색의 배치와 함께 역사박물관의 정체성을 고려하여 통일감과 안정감이 부여된 색채환경 구축이 요구되었다. 둘째, 2010년 이후로 진행된 대표적인 3곳의 박물관에 대한 실내환경 색채계획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기존의 건축물 중심의 계획과 달리 주변 경관과의 관계 및 연속성 등의 통합적인 색채의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색채의 적용에 있어 주조색은 주로 YR, Y계열의 저명도 저채도의 색상을 사용하는 경향이 강했으며, 보조색은 주조색과 유사한 색상 또는 역사유물의 색상을 반영하여 고명도 중채도의 G, GY, BG 계열이 주고 사용되고 있었다. 반면 강조색은 고채도의 R 또는 G계열의 색상이 사용되었는데 주조색과 보조색과의 배색관계를 고려되어 박물관의 정체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박물관 외부와의 관계성의 고려가 요구되었으며, 박물관 세부 구성요소와의 종합적인 색채계획의 제시와 같은 개선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가 국내 역사박물관의 색채계획의 기준 수립과 질적인 향상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ith rising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historical culture since 2000, the building and rebuilding of national history museums have actively been in progress. Together with this, diverse attempts in colors of indoor environment of buildings have been made for characteristic space production reflecting the museum’s own identity and the nature of exhibition remain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recent color planning are discussed through the trend analysis on indoor environment color planning of the country’s representative national museums of history promoted from around 2010, and based on this, this researcher attempts to derive its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researcher conducted the analysis on the trend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history museums’ color planning, identified the trends of indoor environment colors of national history museums at home and abroa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field survey, and conducted the analysis on the color planning of Naju Musium, Cheongju Museum, and Jinju Museum where color planning was performed among national history museums that were newly built or rebuilt from around 2010, and derived implications of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on the cases at home and abroad, the building of the museum identity, to which the sense of unity and stability is give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museum, together with the arrangement of main color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relationship with exterior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was also required in the color planning in the construction plan. Seco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oor environment color planning that has been performed in three representative museums since 2010 showed that, unlike the existing building-oriented plans, approaches of integrated color such as inter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landscape and continuity were being made. In the application of color, there was a strong tendency of using the colors of low brightness and low chroma mainly of YR and Y colors as the main color, and as the assistance color, the colors of high brightness and intermediate chroma of G, GY, BG colors reflecting the color similar to the main color or the color of historical remains were used. On the other hand, R or G colors of high chroma were used as the highlighting color in consideration of a combination of the main color and the assistance color. However, the improvement of the unity with the exterior of the museums and the application of the plan contents was found to be needed.

      • KCI등재

        사회적 약자를 고려한 공공 행정서비스시설 재난대응 안전디자인 평가

        이석현 ( Lee Seokhyun ),이형승 ( Lee Hyeongse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도시환경 및 생활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다양한 이슈 중 하나가 공공공간과 공공시설의 안전성 확보이다. 이는 최근 화재와 지진 등의 사회적 및 자연재해로 인한 지역주민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으로부터 보다 안전한 생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사회적 요구가 반영된 것이다. 그러한 사고 피해자 중 많은 수가 재난에 취약한 고령자와 장애인 등에 집중되어 있어, 화재 등과 같은 사회적 재난시 효과적인 대피와 대응을 위한 공간환경 조성은 보다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필수적인 요건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공공서비스시설의 안전취약계층을 고려한 재난대응 안전 디자인의 현장평가를 통해, 현황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의 제안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문헌 및 연구자료의 분석을 통해 화재를 중심으로 한 재난대응 안전환경구축을 위한 공공디자인에 대한 개념과 내용을 정리. 2)안전취약계층의 안전환경 구축과 관련된 공공디자인 연구분석을 통해 평가의 기본적인 방향과 내용 도출. 3) 이상의 자료분석을 통해 공공시설 평가를 위한 평가지표를 제안하고 공공서비스시설을 대상으로 한 현장평가를 실시하고 시사점을 정리. 4) 분석결과를 정리하여 공공서비스시설을 중심으로 한 공공시설의 안전취약계층을 고려한 안전환경 조성의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공공서비스시설은 접근성과 대응성을 고려한 공공디자인 개선이 신속히 요구되었다. 특히 안전취약계층의 신체적 환경을 고려한 연속적 대피환경과 인지설비의 확충, 긴급 소화장비의 설치 및 손쉬운 사용을 위한 디자인 개선이 요구되었다. 둘째, 현장평가 결과 대다수 공간이 재난대응 안전디자인이 기본적인 안전취약계층의 대응환경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피공간의 확보와 약시자를 배려한 공공사인 및 색채디자인, 원활한 이동을 위한 환경 조성 등의 보완이 필요하였다. 셋째, 현장결과를 종합한 결과 안전디자인 5요소에 기반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제도적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향후 공공서비스시설의 안전취약계층을 고려한 안전디자인 현황 평가 및 디자인 개선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One of the issues important for improving urban and living environments is securing the safety of public spaces and public facilities. This reflects social demands to create a safe living environment from the recent increasing disaster to local residents due to social and natural disasters, such as fires and earthquakes. Many of the victims of such accidents are concentrated on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who are vulnerable to disasters; thus, creating a public environment for effective evacuation and response in the event of a social disaster such as fire is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a safer and more sustainable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rive current status problems and propose improvement methods through site evaluation of disaster response for safety design considering socially disadvantaged public service facilities.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methods. First,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s and contents of public design for public buildings in a disaster response safety environment centered on fires in public administrative facilities were organized, and basic directions and contents for spatial evaluation were derived through related research and institutional analysis. Next, the evaluation metrics for evaluating public facilities were selected, and evaluation items were finally proposed through expert evaluation.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omestic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 facilities were quickly required to improve public design considering accessibility and responsiveness. In particular, design improvement is required for the expansion of continuous evacuation environments and cognitive facilities, installation of emergency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and easy use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vulnerable. Second, as a result of the field survey, most of the space was found to be inadequate for the response environment of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with disaster response safety design. In particular, it was necessary to secure evacuation spaces, public sign design, and color design taking weak marketers into account and create an environment for expeditious movement. Third, as a result of synthesizing the field results, an improvement plan based on the five elements of safety design was presented, and the need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was suggested. (Conclusions) In addition, the task of improving the safety design of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 facil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is not a partial improvement at each facility level, but an institutional improvement to establish safety design, such as manuals, guidelines, and certification systems.

      • KCI등재

        공공역사 사인색채의 시각 인지 특성 분석

        이석현(SeokHyun Lee)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1

        최근 공공디자인의 개선을 위한 다양한 움직임과 함께, 지역의 개성과 편의성을 존중한 공공공간 색채환경의 조성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주변과의 경관적 조화나 기능적인 측면에서의 발전에 비해 시각장애인과 고령자와 같은 사회적 약자를 비롯한 다양한 연령과 계층을 고려한 색채의 시각 인지성 향상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역사 사인색채의 시각 인지성 향상을 위한 개선방향 도출을 주요한 목적으로, 서울과 도쿄 주요 역사의 사인색채를 조사, 분석하고 시각 인지성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국내의 사인색채가 이전의 단순한 고채도색 위주에서 공공성을 고려한 세련되고 조화로운 색채로 변화되고 있었으나, 장소의 특성고려와 다양한 사용자를 고려한 시각 인지성 향상이 요구되고 있었다. 둘째, 서울시 공공역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사인색채 현황을 조사 분석한 결과, 색채의 명시성과 주목성이 전체적으로 낮고 유형에 따른 색채적용의 통일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울과 도쿄의 사인색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일본의 사인색채가 노약자와 시약자와 같은 신체약자를 고려한 명시성과 주목성에서 높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국내의 경우 유형에 따른 사인색채의 통일성과 유지관리가 요구되었고, 색채 외에 사인과 배치 등에서 개선점이 요구되었다. 이 연구가 시각장애인을 고려한 공공역사 사인색채의 시각인지 환경개선에 기본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길 기대한다. Along with recent diverse movements to improve public design, in public color also, attempts to build color environment that respects the identity and the sustainable design. However, compared with lots of developments in the landscape and functional aspects, researches on the enhancement of visual cognition of color in consideration of diverse age groups and classes including the vulnerable members of society such as the blind and the aged are still in short supply. This research with the main purpose of deriving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enhancement of visual cognition of sign color of public works, sign colors of main works of Seoul and Tokyo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the improvement plans for visual perception were derived.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eoul’s sign color has been changing from previous high chromatic color to refined and stable color in consideration of public, but consideration for the characteristics of places and the enhancement of visual perception were required. Second,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sign color of our country’s public works showed that the individuality of places and the attractiveness of color were generally low. Third,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sign color of Seoul and Tokyo showed that Japan’s sign color showed higher results in the explicitness and attractiveness in consideration of the elderly and the weak and people with weak eyesight. Also, in the case of our country, unity and maintenance management of sign color according to types were required and improvements of signs and arrangements besides color were required.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basic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color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visually impaired persons and to creating more considerate color environment for public desig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