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과 주거환경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송이수 ( Song¸ Isoo ),김영주 ( Kim¸ Youngj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아동은 생활적 특성상 많은 시간을 주거환경 내에서 보내기 때문에 주거가 가지는 영향과 의미는 다른 연령층보다 더욱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20년간 아동과 주거환경에 관련된 선행연구 문헌을 조사하여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아동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학문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동시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2000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20년간 국내 전문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아동과 주거환경과의 관계성을 다룬 연구를 중심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한 분석틀로 논문게재시기, 연구방법, 연구분야, 연구대상, 연구목적, 키워드와 같은 변수를 포함시켰다. (결과) 분석대상 논문의 시기별 분포 경향을 보면 아동과 주거환경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었다. 연구방법에서는 양적연구가 주를 이루는 가운데 질적연구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연구분야에서는 생활·과학분야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물리적 환경을 다루는 건축 및 도시분야, 예술·디자인 분야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의 경우 주거, 놀이공간 및 시설, 보육시설, 복지시설 등의 순으로 많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연구목적에서는 아동과 다양한 주거환경 및 관련변인 간의 상관관계와 인과성을 다룬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과 주거환경 관련 논문에서 많이 언급된 키워드 영역은 주거환경 심리·발달·정서, 보육·복지시설, 놀이공간·시설 등이었다. (결론) 최근 들어 아동과 주거환경에 관한 연구에서 공간계획 및 디자인지침이나 디자인제안을 다룬 연구가 많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아동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층적 차원의 물리적 환경계획을 통해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연구의 경향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전반적으로 설문조사와 패널분석을 통한 양적연구가 가장 많지만 향후에는 질적연구와 다른 연구방법을 결합시킨 복합연구를 통해 아동과 주거환경과의 관계 및 요구 등을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최근 들어 주택 이외에 어린이보호구역, 지역사회 등 보다 포괄적인 아동의 주거환경을 분석대상으로 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향후에는 아동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다양한 교육시설환경에 대한 심층적 후속연구도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children spend a lot of time in a residential environment, the influence and meaning of housing is more important than other age grou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research trend up to the present by examining previous research articles related to childre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last 20 years to draw academic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children and to mak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Metho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mong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research journals from 2000 to 2019. As an analysis framework for this, variables such as the time period of publication, research method, research field, research object, research purpose, and keyword were included. (Results) Studies on children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since the 2000s. In terms of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predominant, while qualitative research was gradually increasing. In the field of academic research, research in the fields of human ecology continued to take the largest portion, followed by the fields of architecture and urban, art, and design that deal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In the case of the research subjects, it was dealt with in the order of residence, play space and facilities, childcare facilities, and welfare facilities. For research purposes, it was found that the study of correlation and causality between children and various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related variables was the most frequent. The keyword areas that were frequently mentioned in the subject papers related to childre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psychological, phys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childcare and welfare facilities, and play spaces and facilities. (Conclusions) In recent years, studies on children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have seen many studies dealing with space planning and design guidelines or design proposals. Based on the existing theoretical background, it can be seen that it shows the trend of research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through concrete and practical physical planning for children. Overall, quantitative research through questionnaire and panel analysis is the most common, bu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relationship and needs between children an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a variety of ways through complex research that combines qualitative research with other research methods.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tendency to analyze residential environments of more comprehensive children, such as child protection areas and communities, in addition to housing. In the future, in-depth follow-up studies on various educational facilities environments where children spend a lot of time are also needed.

      • 가로의 색채 현황분석

        송이수(Isoo Song),이석현(SeokHyun Lee) 한국색채학회 2019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5

        최근 과거에 비해 많은 도시에서 다양한 연구와 정책개선을 통해 가로환경 개선을 위한 통일성과 연속성 향상의 시도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심리적 안정감과 쾌적함이 느껴지는 가로 색채현황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통해, 국내 가로환경의 연속성과 정체성을 높일 수 있는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조사에서는 서울 종로구 북촌로 5길의 가로환경색채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북촌로 5길의 가로환경 색채는 중명도 저채도의 색채로 통일성과 연속성이 높으며 이러한 연속적 배색특성을 통해 거리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