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Meta-Pragmatic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송승하,김정아,김영태,김예린 한국언어치료학회 2023 言語治療硏究 Vol.32 No.4

        Purpos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HF-ASD) have difficulty interacting with others due to a defect in pragmatic language skills.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pragmatic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HF-ASD were compared with tthose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ethods: Twenty-five children with HF-ASD aged 4 to 10 years old and thirty-thre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ho have matching chronological age were evaluated using the Korean Child Meta-Pragmatic Language Test (KOPLAC) for communication regulations, discourse and story information inferences and metalinguistics awareness (indirect expressions, references, ironies and metaphors). The KABC-II performance score was used as a covariate in an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to determine if the total KOPLAC score and the scores for each subdomain of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urthermore, a two-way ANCOVA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agmatic language features of the two groups based on age (pre-school age and school age). Results: Children with HF-ASD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all areas except irony and metaphor after analyzing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agmatic language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Furthermore, the findings of a comparison of the pragmatic language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ages showed that interaction effects were significant in communication regulations, discourse, and story information inferences. Conclusions: The pragmatic langu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HF-ASD were examined by subdomain, and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intervention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KOPLAC.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의 의사소통 촉진을 위한 부모주도 중재 앱 개발 및 사용성 평가

        송승하,김붕년,이수은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3

        본 연구는 자폐스렉트럼장애 영유아의 의사소통 촉진을 위하여 부모 및 양육자가 가정에서 아동을 지원할 수 있는 부모주도 중재 프로그램을 앱으로 개발하여, 앱의 사용성을 용의성과 교육적 가치(적합성), 흥미성, 그리고 상호작용성의 측면에서 확인하였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의 의사소통 촉진을 위하여, 언어발달 특성과 촉진 방법에 대한 정보 제공, 그리고 아동의 의사소통을 기록하는 형식으로 앱 콘텐츠를 구성하였다. 개발된 콘텐츠는 5인의 전문가에게 타당도를 검증 받았으며, 타당도 내용을 반영하여 수정한 뒤 앱으로 개발하였다. 앱의 사용성 평가를 위해 언어치료사 10명과 자폐 영유아의 보호자 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5점 척도의 평가 설문지를 통해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사용성 평가 결과, 전반적으로 그렇다(평균 4.2점)라고 평가하였고, 사용의 용이성에서 상대적으로 높이 평가 받았으며(언어치료사 평균 4.44±0.63 ; 보호자 평균 4.5±0.67), 흥미성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 받았다(언어치료사 평균 3.74±0.68 ; 보호자 평균 3.78±0.69).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앱의 개선점과 시사점, 그리고 앱을 활용하여 진행할 후속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Vocabular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High and Low Functioning Autism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송승하(Seung Ha Song),김훼린(Huai Rhin Kim),천근아(Keun Ah Chun),김영태(Young T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4

        배경 및 목적: 비장애 아동의 경우 표현 가능한 어휘보다 수용 어휘가 높은 것에 비해, 자폐성 아동의 경우 공식검사 결과에서 수용어휘 결과가 낮게 보고 되고 있다. 새로운 낱말을 실제 사물과 연결시킬 때, 자폐성 장애 아동은 다른 비장애 아동과 같이 상호배타성의 원리를 활용할 수 있지만 사회성 결함으로 인하여, 낱말 연결에서 상대방이 제공하는 강화를 적절하게 수용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 아동과 지적장애를 동반한 자폐성장애 아동, 그리고 지적장애 아동의 세 그룹 간 표현 및 수용어휘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각 그룹에서 보이는 표현 및 수용언어 능력의 차이가 그룹 간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방법: 연구에는 10명의 고기능 자폐성 아동과 11명의 지적장애를 동반한 자폐성 아동, 그리고 12명의 지적장애 아동이 참여하였고, 이들의 수용 및 표현어휘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수용 및 표현어휘 점수는 세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각 그룹 내에서 표현 및 수용어휘의 격차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자폐성 아동에게 보이는 표현어휘 우세 양상이 고기능 자폐성 아동 집단과 지적장애를 동반한 자폐성 아동 집단에서 일정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에 대한 논의 및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서 고려할 사항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논의 및 결론: 세 집단의 어휘 능력 간 보이는 경향성은 지적장애 그룹의 상호배타성 원리 사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후속 연구에서는 대상자 수를 늘리고 어휘능력 평가 도구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Objectives: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shows atypicality in various domains in language. One of atypical characteristics in their language can be found in vocabulary. Usually children show greater receptive than expressive vocabularies, but for ASD children the opposite results are reported. Even though children with autism show mutual exclusivity when mapping new words to the correct objects, their social deficits prohibit them from being reinforced by others' feedback. Thus they can have more difficulty in receiving initiation and directions from others, and as a result, can demonstrate atypical vocabulary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expressive and receptive vocabulary abilities among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SD, low functioning ASD,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and the discrepancies in expressive and receptive vocabulary among the three groups. Methods: Ten high functioning ASD, 11 low functioning ASD, and 12 ID children were tested with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ies test (REVT).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i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mong three groups even though trends of higher expressive vocabularies over receptive can be found in the high and low functioning ASD group. Conclusion: The trends of higher expressive vocabulary in the two ASD groups compare to ID group tells high possibilities that children with ID can be reinforced by the feedback that the interaction partner gives. For the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ample size and add assessment tools which can prove vocabulary abilities.

      • KCI등재

        A Meta-analysis of Children’s Communication Checklist (CCC) for Children & Adolescents with Pragmatic Language Impairment

        송승하(Seung Ha Song),양윤희(Yoon Hee Yang),김영태(Young Tae Kim),임동선(Dong 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아동 의사소통 체크리스트(Children’s Communication Checklist, CCC)를 사용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CCC가 화용에 어려움이 보고된 장애 집단과 비장애 집단을 유의하게 변별해줄 수 있는지, 각각의 장애 집단별 프로파일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화용언어장애 집단으로 자폐범주성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s & hyper-activity disorder), 그리고 윌리엄스증후군(Williams syndrome)을 포함하였다. 방법: 화용언어장애 및 비장애 집단의 CCC 점수를 비교한 연구들을 PsycINFO, Academic Search Complete, ERIC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Pragmatic language assessment’를 주제어로 최초 검색한 결과, 총 238편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선정 및 제외기준에 적합한 총 14편의 문헌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CCC 결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해 ASD, ADHD 집단은 비장애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WS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난 장애군의 세부적 프로파일로는 ASD 집단의 경우 언어구조, 화용, 사회성 영역 모두에서, ADHD 집단은 언어구조 및 화용영역에서 비장애 집단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CCC를 활용하여 ASD, ADHD 집단의 변별적인 프로파일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두 집단 모두 화용영역에 따른 어려움이 나타날지라도 장애집단에 따라 세부적으로 다른 프로파일을 보일 수 있다. 이들의 차별적인 어려움을 고려하여 체크리스트 형식 외에도 직접 평가를 병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Objectives: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pragmatic language impairment show overall communication problems. However, the pragmatic problems vary depending on their diagnostic characteristics. The Children’s Communication Checklist (CCC, CCC-2) was developed to assess overall language ability through parents’ and/or teacher’s reports (Bishop, 2003). This research reviews studies of pragmatic language assessment using CCC or CCC-2, and investigates i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pragmatic deficits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s [ADHD], and Williams syndrome [WS]) can be differentiated through CCC or CCC-2. Methods: Fourteen studies which met the inclusive and exclusive criteria were selected from three electronic databases: PsycINFO, Academic Search Complete, and ERIC. A systematic review was done using meta-analysis (Comprehensive Meta-Analysis II, 2005).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between ASD and ADHD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ypically development (TD),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WS and TD controls. The sub-domains (structural/pragmatic/autism-social domain) that brought group differences were all three sub-domains in the ASD group. Structural and pragmatic domai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ub-domains in the ADHD group. Conclusion: CCC or CCC-2 is a useful tool for discriminating ASD and ADHD groups from TD controls. However, it is not enough to represent various pragmatic profiles depending on diagnostic groups such as ASD and ADH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both direct and indirect assessment tools to reveal the differential profiles of pragmatic problems in various groups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 취학전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화용언어능력

        송승하(Seung ha Song),김영태(Young Tae K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한국언어치료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12

        Purpose: Pragmatic language impairment(PLI) is known to be difficult to assess. However it is necessary to identify children with PLI since a new diagnosis,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SCD) has been m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in typically developing(TD) preschool children and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HF-ASD). Methods: Thirteen TD children and 12 HF-AS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completed Korean Pragmatic Language Assessment for Children(KOPLAC), a newly developing pragmatic assessment tool which is consisted of five sub-domain: (1) Communication Regulation by Communication Partners, (2) Situational Context, (3) Story Rules & Information Inferences, and (4) Meta-language for Indirect Expressions & (5) References. In addition, non-verbal cognitive and language tasks were administer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them. Results & Conclusion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has been found in KOPLAC and in every sub-domains of KOPLAC. TD group showed higher performances in KOPLAC compare to HF-ASD group and they showed different profiles in KOPLAC sub-domain. Cognitive ability and other language tasks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KOPLAC, especially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 scor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every five sub-mains. Preschool children is under development in pragmatic language, and there are factors which has related with pragmatic language. One of the factors strongly related to pragmatic language impairment is SCQ in this study.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의 의사소통 촉진을 위한 부모주도 중재 앱 개발 및 사용성 평가

        송승하(Seung-Ha Song),김붕년(Boong-Nyun Kim),이수은(Soo-Eu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3

        본 연구는 자폐스렉트럼장애 영유아의 의사소통 촉진을 위하여 부모 및 양육자가 가정에서 아동을 지원할 수 있는 부모주도 중재 프로그램을 앱으로 개발하여, 앱의 사용성을 용의성과 교육적 가치(적합성), 흥미성, 그리고 상호작용성의 측면에서 확인하였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의 의사소통 촉진을 위하여, 언어발달 특성과 촉진 방법에 대한 정보 제공, 그리고 아동의 의사소통을 기록하는 형식으로 앱 콘텐츠를 구성하였다. 개발된 콘텐츠는 5인의 전문가에게 타당도를 검증 받았으며, 타당도 내용을 반영하여 수정한 뒤 앱으로 개발하였다. 앱의 사용성 평가를 위해 언어치료사 10명과 자폐 영유아의 보호자 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5점 척도의 평가 설문지를 통해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사용성 평가 결과, 전반적으로 그렇다(평균 4.2점)라고 평가하였고, 사용의 용이성에서 상대적으로 높이 평가 받았으며(언어치료사 평균 4.44±0.63 ; 보호자 평균 4.5±0.67), 흥미성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 받았다(언어치료사 평균 3.74±0.68 ; 보호자 평균 3.78±0.69).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앱의 개선점과 시사점, 그리고 앱을 활용하여 진행할 후속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 parent implemented intervention program application for communication facilitation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application. The application is consisted of two subcategories: one is for the information on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development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ASD children and of facilitation methods for communication development. The other category is for recordings of children’s communication in real life in the form of a daily-note. The developed content was tested for validity by 5 experts, and the content was modified to reflect the results and then developed as an app.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app, 10 speech-language therapists and 8 parents of young autistic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usability was evaluated the usability on a five-point scale. As a result of the usability testing, it was rated as generally yes (mean 4.2), relatively high in terms of ease of use (4.44±0.63 for speech language therapists; 4.5±0.67 for caregivers), and relatively low in interest. (3.74±0.68 for speech-language therapists; 3.78±0.697 for caregivers). Finally,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s of the app,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Pragmatic Language Development and Correlation with Vocabulary Ability of 4- to 10-Year-Old Typically Developing Korean Children using Audio-Visual Discourse Tasks

        송승하(Seung ha Song),김영태(Young Tae Kim),이수정(Soo jung Lee),김정아(Jung A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2

        배경 및 목적 : 아동은 사회적인 상호작용속에서 언어를 사용하는 화용능력을 기르게 된다. 이러한 화용능력은 의미론적 발달이나 전반적인 언어습득과도 상관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평가도구의 제한으로 인해 화용능력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화나 이야기 화면을 보면서 화용적인 적절성을 판단하고 수정하는 시청각적 담화 과제를 통해 4-10세 일반아동의 화용언어 발달 및 어휘능력과의 상관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학령전기, 저학년, 중학년 41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아동화용언어검사(KOPLAC)를 통해 의사소통 조율 과제, 이야기 규칙 및 정보추론 과제, 상위언어인식 과제를 실시하였다. 화용언어 하위과제에 따라 세 연령집단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어휘력과 화용언어능력의 상관도도 분석하였다. 결과: 화용언어능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높아졌다. 모든 연령 집단 간, 그리고 하위 영역에 따른 연령 집단 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의사소통 조율 및 간접표현에서 연령 집단 간 성취도 차이가 컸다. 또한, 화용능력은 하위 영역 간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연령뿐 아니라 수용 및 표현어휘력과도 유의한 상관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화용언어능력은 향상되지만 하위 영역간에는 발달적 차이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Objectives : The field of pragmatics studies language use, which is parallel to structural language such as phonology and grammar. Pragmatic language is considered difficult to assess in a standardized way, because of its variability depending on context. Likewise, the number of studies on pragmatic language development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other areas, and Korean researchers are often dependent on the results of foreign studies. Methods: Forty-one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divided into three age groups: preschool (4-6 years), elementary school (7-8 years), and middle school (9-10 years). The Korean Pragmatic Language Assessment for Children (KOPLAC) was used for pragmatic language assessment. It consists of three sub-domains: communication regulation, story rules & inference information, and metalanguage awareness. Results: As expected,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improve with age. Every matching of age groups and every sub-domain compared by age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ticular, communication regulation and indirect expressions were domains that showed greater score gaps between age groups. In general, the correlations between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and vocabulary abilities were significant.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children show developmental growth in pragmatic language. In further studies, a greater selection of the population should be involved, and other assessment tools could be used to get more information about pragmatic language development.

      • KCI등재

        상황이야기 중재가 ASD 아동 및 청소년의 의사소통 의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연구

        한아영,송승하,최예린 한국특수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학연구 Vol.56 No.1

        Using the meta-analysis, the effect that Social Story intervention has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both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SD will be investigated. A total of 11 single-subject studies, which were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from 2010 to September 2020, were researched by using both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In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of ASD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effect size was examined using the Tau-U value. First, the total effect size of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was found to be an intermediate effect. Second, the following factors appeared to be associated with a higher effectiveness of Social Story interventions: a) involving elementary-aged participants; b) being in more than 20 intervention sessions; c) using mix(high-tech+low-tech) tools; and d) the implementation in both special education classes and special schools. Among the subcategories of communication ability, the effect size was the highest in the order of social intervention, joint attention, and behavior regulation. Intervention that used Social Story showed an effect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ASD children and adolescents. It was suggested that this effect size may differ, depending on several variable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ory intervention were discusse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both develop and apply a Social Story intervention program for effective inter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levant variable. 본 연구는 ASD아동 및 청소년의 의사소통 의도 증진을 위해 실시된 상황이야기 단일대상 중재 연구를 메타분석하여 그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동향, 의사소통 의도의 효과크기, 분석 변인 별 효과크기를 도출하기 위하여 Tau-U를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20년 9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11편의 단일대상연구를 선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의사소통 의도에 대한 상황이야기 중재의 효과크기는 중간 정도의 효과(Tau-U = 0.8641)로 나타났다. 둘째, 상황이야기의 의사소통 의도에 미치는 중재요인은 학령기 시기에, 20회 이상의 중재에서, 전자적 도구와 비전자적 도구를 혼합으로 사용한 경우에,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서 시행된 중재환경에서 중재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의도의 하위범주 중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 공동주의, 행동통제 순으로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결과를 통해 상황이야기 중재의 변인에 따라 중재효과의 차이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