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알부민 코팅된 ZAIS 형광 나노입자의 수용액 상 거동 및 코팅 매커니즘 연구

        최예린,김병수,정종진 한국고분자학회 2021 한국고분자학회 학술대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46 No.2

        ZAIS[(ZnxAgyInz)S₂]는 높은 형광 효율과 안정성이 높아 생체 적용에 유리하고 합성된 ZAIS 는 표면이 리간드로 둘러싸여 있으며 소수성을 띠고 있다. Mercaptopropionic Acid(MPA)코팅을 진행하여 표면의 리간드 치환을 통해 소수성 표면을 친수성으로 바꾸어 주어 생체 친화성을 위해 혈장 내 다량 함유된 단백질인 Bovine Serum Albumin(BSA)코팅을 행하였다. ZAIS-BSA 코팅은 나노입자 간의 응집을 막고 생체 내 물질과의 비특이적 결합을 낮춰주어 생체 안정성을 높여준다. 이는 결합된 BSA 의 수에 따라 결합의 형태와 입자의 크기가 다르다. 이때,BSA 의 수가 증가할수록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고수용액상에서 느리게 이동하게 되며 안정성을 띠게 된다.FFF 을 이용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작은 입자에서 큰 입자 순으로 분리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DLS 를 사용하여 입자크기를 확인할 것이다.FFF 는 결합된 BSA 의 수에 따라 입자의 크기를 확인할 것이고,적합한 농도를 찾아 DLS는 정확한 입자의 크기를 확인할 것이다.SAXS 를 사용하여 용액 내에 분산된 입자의 크기의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이 연구는 ZAIS-BSA-antibody 에 대한 연구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아동도서 서평 분석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추천도서를 중심으로

        최예린,김금희,홍옥영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9 No.1

        The Korean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KSCL&E) is the only one who provides an online book review section on the homepage among the many research associations related to children's literatu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284 book reviews on the homepage of the KSCL&E from 2002 to 2016. The categories to analyze the online children's book reviews include general bibliographic information, descriptive reviews, and critical reviews. A total of 27 items for the children's book reviews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Not all of the names of the reviewers as well as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reviewers, names of the authors and illustrators, publishing companies, publishing dates, and title page images were provided. The review statements of the literary elements were provided in order of summaries of the texts, characters, themes, settings, plots, and genres. The review statements of the art elements were provided in order of colors, art mediums, shapes, lines, and textures. The frequency of artistic elements in the online reviews was quite low compared to the literary comments of the online reviews. In critical reviews, the personal comments of reviewers and the strength of the books were identified as the major statements; followed by the compatibility of the text and illustrations, comparisons between books by the same authors as well as illustrators, comparisons between books with similar themes, and the weaknesses of the books. Providing thorough and accurate information, professionality to critical reviews, cultivation of arts expertise, and consistent management following the review standards of KSCL&E are needed for quality online reviews of children's books. 뉴미디어 시대에 우리나라 아동문학 관련 학회 중 회원 여부에 상관없이 누구나 검색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정기적으로 서평을 올리고 있는 단체는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가 유일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홈페이지에 탑재된 추천도서 서평 284편을 분석하였다. 분석 영역은 서지정보, 기술적 서평, 비평적 서평이며, 각 영역을 세분화하여 총 27개 항목에 따라 서평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서평자 및 서지에서는 도서명, 글작가, 그림작가, 출판사, 표지 이미지, 서평자 이름, 서평자 직업, 번역자 순으로 정보의 제공 여부가 다루어졌다. 문학적 서평 항목에서는 책 내용 개요, 인물, 주제, 배경, 사건, 장르 순으로 서평이 주로 이루어졌다. 예술적 서평 항목에서는 색, 매체, 모양, 선, 질감 순으로 서평이 이루어졌으나 문학적 서평에 비해 그 빈도는 낮다. 비평적 서평에서는 서평자 견해, 도서의 우수성을 중심으로 서평이 기술되었고, 글/그림의 적합성, 같은 글/그림 작가 비교, 같은 주제 간 비교, 도서의 단점 순으로 서평 내용이 제공되었다. 앞으로 양질의 서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서평자의 충실한 정보 제공에 대한 의지, 비평적 서평 쓰기에 대한 전문성 증진, 문학뿐 아니라 그림에 대한 전문지식 함양, 그리고 학회 차원의 그림 전문 서평자 확보, 학회 서평 기준에 따른 일관성 있는 관리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

        기업 내 리더의 외로움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최예린,주재홍,송지훈 사회혁신기업연구원 2024 혁신기업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기업에 종사하는 리더를 대상으로 이들의 외로움에 대한 문헌을 검토하여 그간의 논의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외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 본 논의를 학술적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업 내 리더의 외로움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을 실시하였으며, 총 18편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의 외로움에 대한 인식과 관점은 학자마다 상이하였으나 조직 내에서 권한과 업무에 대한 책임감 인식으로 인해 업무적 및 사회적 고립을 인식함으로써 정서적 및 사회적 욕구의 불충분으로 발현되는 불안한 정서를 뜻한다. 둘째, 리더의 외로움에 대한 영향 요인으로 사회적 지원 부족, 업무 부담감, 그리고 구성원의 외로움 발현 등과의 관계를 가지며, 특히, 리더의 외로움은 리더 개인의 문제를 넘어 팀 풍토 및 조직 문화에도 영향을 미칠 여지가 있기에 선제적 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리더의 외로움에 대한 측정은 직장 내 외로움 측정도구를 활용하나 리더의 외로움을 자체를 측정하는 도구는 개발되지 않아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리더의 외로움을 설명하는 이론 및 모형으로 사회적 자본 이론, 역할 일치 이론, 정서적 사회 교환 이론, 그리고 규제 루프 및 진화론적 모형 등 학자들마다의 다양한 이론적 접근이 존재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리더의 외로움 현상에 대한 이해와 리더 개인이 짊어졌던 외로움을 개인 및 조직 차원에서 해소하기 위한 학문적 및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intervention to alleviate leader loneliness and to offer further direction for research on leader loneliness, thereby expanding the academic discussion through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literature.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alyzing 18 papers to examine research trends concerning leader lonelines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approaches and conceptualizations of previous scholars vary, leader loneliness is characterized as an emotional experience felt by leaders endowed with power and responsibilities, arising from social anxiety related to guiding the direction of work. Second, leader loneliness is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a lack of social support, job-related stress, and the manifestation of loneliness in team members. Therefore, proactive management is necessary, as these issues are not merely individual leaders’ problems but can impact the team climate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ird, leader loneliness was measured using the measurements of workplace loneliness, with no specific measurement developed exclusively for leader loneliness. Finally, substantial theoretical approaches were employed to conceptualize and explain the phenomena of leader loneliness, including social capital theory, role congruity theory, affective social exchange theory, regulatory loop model, and the evolutionary loop model of lonelines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erive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leader loneliness and addressing it at both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 KCI등재SCOPUS

        콘포머 기반 FastSpeech2를 이용한 한국어 음식 주문 문장 음성합성기

        최예린,장재후,구명완,Choi, Yerin,Jang, JaeHoo,Koo, Myoung-Wan 한국음향학회 2022 한국음향학회지 Vol.41 No.3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Korean menu-ordering Sentence Text-to-Speech (TTS) system using conformer-based FastSpeech2. Conformer is the convolution-augmented transformer, which was originally proposed in Speech Recognition. Combining two different structures, the Conformer extracts better local and global features. It comprises two half Feed Forward module at the front and the end, sandwiching the Multi-Head Self-Attention module and Convolution module. We introduce the Conformer in Korean TTS, as we know it works well in Korean Speech Recognition. For comparison between transformer-based TTS model and Conformer-based one, we train FastSpeech2 and Conformer-based FastSpeech2. We collected a phoneme-balanced data set and used this for training our models. This corpus comprises not only general conversation, but also menu-ordering conversation consisting mainly of loanwords. This data set is the solution to the current Korean TTS model's degradation in loanwords. As a result of generating a synthesized sound using ParallelWave Gan, the Conformer-based FastSpeech2 achieved superior performance of MOS 4.04. We confirm that the model performance improved when the same structure was changed from transformer to Conformer in the Korean TTS.

      • KCI등재

        고령화 사회 그림책에 재현된 노인 정체성

        최예린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9 No.2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elderly identity in picture books because Korea faces a rapidly aging society. This study examined what is the changed identity of elderly people in picture books, what exists in the social relations surrounding the elderly and what is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identity of the elderl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0 picture books and analyzed according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are presented below. First, the elderly’s identities of change were as follows. The changed old identity in a picture book is to dream of a new life (1) being student at elementary school (2) challenger for dream and wisher of new life. Also, it turned out to be a working worker. Second, the elderly’s identities through the social support were as follows: The elderly people have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as well as their families. At this time, they acted as volunteers and counselors and as people who play with children. In the case of the family relationship, it was found that they experienced support and recognition from the family, but they also they alienation from the family. Based on these results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picture books need to present diverse aspects of the elderly in an aging society. 한국 사회는 빠르게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으며 이에 본 연구는 그림책에서 재현된 노인들의 정체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림책에 등장하는 노인들의 변화된 정체성은 무엇이며, 노인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에서 그들은 어떠한 존재이고, 사회적 관계는 정체성 형성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에 진학, 직업, 봉사활동 등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고 있는 노인이 등장한 그림책 10권을 선정하여 질적 내용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림책에 나타난 변화된 노인 정체성은 새로운 삶을 꿈꾸는 존재(나는 1학년 학생, 꿈꾸는 도전자, 새로운 삶에 대한 희망자), 일하는 노동자(가게 운영하는 노인, 일하는 직장인)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에서 노인들은 사회적 관계를 맺으며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은 가족 외 다른 사람들과 관계 맺기를 하는데 이때 봉사자와 상담자 역할을 하였고, 주변 아이들과 놀아주며 관계를 맺었다. 가족과 관계 맺기의 경우 가족으로부터 인정과 지지, 가족으로부터 소외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령화된 사회에서 그림책은 노인에 대한 다각적인 모습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돌봄 참여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최예린,최운선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3 한국가족복지학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variables influencing fathers' involvement in infant care. The subjects were 203 fathers with infants aged 0-36 months who were attending day care centers in the Chungnam area in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a statistical program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ssess the hypothes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using a Bootstrap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emotional motivation has no direct effect on infant care. However, role-confidence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motional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in infant care. Second, spousal support directly affected the level of involvement in infant care, and role-co+G4nfid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ousal support and participation in infant ca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need for follow-up studie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과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예린,이은형,이하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effect on children’s musical creativity and musical attitude through making music using wordless picture books. The participant were 40 children (M=22; F=18) aged 5 years old from two kindergarten classes in ChungNam. One class constituted the control group (n=20) and the other the experimental group (n=20).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ed creativity music making and the control group experienced general music class including singing songs, instrumental music, and listening to music. The programs were performed 24 times for 8 weeks, the creativity test and attitude test were administered at the beginning and end of instructi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research were analyzed by ANCOV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making music using wordless picture books had positive effects on musical creativity and music attitude. Therefore making music activities through wordless picture book improved children’s creativity and attitude. 본 연구의 목적은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하여 창의적 음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과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에 소재한 A유치원 만5세 40명이며, 실험집단 20명과 비교집단 20명이다. 실험집단은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음악 만들기 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 집단은 일반적인 새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신체표현하기, 음악 감상하기 중심의 전형적인 음악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주 2회 총 16회의 실험 처치를 하였으며, 음악적 창의성 검사와 음악적 태도 검사를 사전ㆍ사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 활동은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과 음악적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이에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 활동은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과 음악적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사립유치원 원장의 교사 중도 이직 경험과 의미

        최예린,임원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사립유치원 원장이 학기 중 교사 중도이직 과정에서 경험한 내용과 그들이 본 중도이직 유형을 살펴보고, 사립유치원 원장이 경험한 교사 중도이직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C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 원장 4명(1명이 주 제보자, 3명이 보조 제보자로서 참여)을 선정하였고 이들에 대해 개인면담, E-mail, 전화면담 등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trauss와 Corbin(1990)이 제시한 개방코딩에 의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교사의 중도 이직에 따라 원장들은 심리적 고충과 염려, 교사 급구하기, 부모 달래기, 자신이 수업에 들어가기를 경험을 하였다. 원장의 관점에서 본 중도 이직 원인은 여성으로 살아가기와 이해하기 어려운 개인적 상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원장들이 경험한 교사의 중도 이직의 의미는 유치원 교육현실의 모순점 발견과 공동체 안에서 교사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로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experiences by the teachers' leaving their kindergarten during the semester.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 of four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of the private kindergartens who reside in C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e-mails, and telephone interviews. This research explores the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experience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of all, the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have experienced emotional distress and concern, urgent replacement, comforting parents and teaching in class replace teacher's turnovers during semester. Secondly, according to director's point of view, it turns out the reasons for the turnover are the ways to survive as a women in personal situations. Lastly, in this study,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could have time for reflecting themselves, being aware of importance of next teacher, and feeling sorry to pregnancy teacher. Also these experience affected to teacher recruitment.

      • KCI등재

        또래와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영아-어머니 책 읽기 변화 탐색

        최예린,김태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3

        본 연구는 또래-또래 어머니와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나타난 영아-어머니의 그림책 읽기 변화를 탐색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참여자들은 18개월 된 남아와 그의 어머니이며, 비슷한 월령의 남자 영아와 그의 어머니를 집단으로 묶어 그림책 읽기를 하였다. 본 연구는 5개월간 주 1회 참여관찰, 면접 등을 통해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 결과, 또래-또래 어머니와 책 읽기 과정에서 나타난 영아의 4가지 변화는 ‘마음대로 그림책 다룸’, ‘그림책 보는 친구 모방’, ‘좋아하는 그림책 생김’, ‘그림책 놀이’ 등이다. 어머니의 3가지 변화는 ‘아기 마음 몰라주는 엄마’, ‘그림책 읽기 제안’, ‘활발한 책읽기 상호작용 촉진’ 등이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또래와 함께 책 읽기의 교육적 가치를 인식하고 적절한 지원방향을 제시하는데 시사점을 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s and the changing process of picture book reading through one year old infants and his mother with peers. For this purpose, we had a qualitative cas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an 18 month old infant and his mother. The data were collected via observations of participants,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s, journals, and pictures. Addictionally, the same age peer and his moth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fant-mother experienced the change for picture book reading form peer-peer' mother.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4 major changes of the infant from reading process with his mother or peer which are ‘do anything with books such as rip, throw, or crush them,’ ‘imitating his peer who is reading a picture book,’ ‘having his own favorite books, and ‘playing with books.’ In addition, his mother showed 3 steps of change which that are ‘not understanding what the infant wants,’ ‘suggesting the infant read picture books,’ and ‘expediting a brisk interaction of rea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provide the appropriate direction to realize the true educational value of picture book reading with his mother and peer.

      • KCI등재

        말레이시아 난민학교 유아반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교육 사례연구

        최예린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4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eacher education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t refugee school and to reveal its meaning. To this end, I explored through case study and visited a refugee school in Malaysia and collected data through the participant observations, interviews, and photographs from thre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one chairperson. The dat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by case study of Creswell(2007). In this research,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the refugee school were unable to receive the benefits of education, making them helpless. In the social structure, refugees suffered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from their countries of residence, and became kindergarten teachers without receiving higher education. However, they showed a passion for learning after teacher education. Second, teacher education has brought about changes in children's understanding, interaction, trying various teaching methods, composing the curriculum together, and restructuring the classroom environment. This study was the first to start teacher education who refugee school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ovides the following implication. First, it was a significant that the professionalism of refugee school early childhood teachers has increased through teacher education. Second,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it suggests the necessity for social interest and humanitarian support about the refugee problems. From a macro perspective, I suggest that the need for refugee empathy education for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