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男性毁節敍事 다시 읽기: 諧謔과 諷刺에 가려진 女性嫌惡

        송소라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3

        Narratives about Breaking the Will of a Man is a story in which people around him conspire to destroy a man who claims to be chaste man(貞男). This story has existed in many forms, from tales to classical novels. Until now, narratives about breaking the will of a man have been discussed in the of social novels, satirical novels, and humor novels, and the hypocrisy of men and criticism of the unjust bureaucratic socie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have been dealt with as the main theme of the work. This paper was intended to reveal the aspect of misogyny inherent in this work,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intrigue was led by “men” and “gisaen(技生)” was summoned in as a woman to actually implement the breakdown of chaste man, and the ending of the deceiving story was forgiveness and re- conciliation. Through the concept of Homo Social, which was told by Yves Sezwick, and Ueno Jizuko’s “misogyny,” which embraces it, the paper discussed the process of Homo Social and the “gisaen” described as a double standard for women’s sex as a tool for Homo Social. First of all, this structure suggests the aspect of Homo Social among men, noting that it is “male” who feels a sense of problem with men who claim to be chaste men, and that it is also “male” who plans to test or destroy them. Ueno Chizuko cites the opinion of Eve Seswick, who created the concept of “Homo Social,” describing “Homo Social” as a bond between men without being sexual. These ties refer to the bonds of men who have approved each other as sexual subjects, and the devices that men use to identify their sexual identity are “sexually objecting” women. Next, the paper discussed the “double standards of sex” and “female tooling” inherent in the work, noting that all female figures involved in conspiring to break up men were “gisaen.” The double standard for women’s sex is the division of women into two types of groups: so-called a woman saint and whore, wives and mothers and prostitutes, marriage partners and playmates, amateurs and pros. This dichotomous thinking of women has existed in the male community for a long time. During the Joseon Dynasty, male dominance over women was achieved through the division of ‘a virtuous woman’ and ‘gisaeng’. The reason why a gisaeng is summoned as a tool for male disruption is that it contains images of playfulness, one-off love, and professional women. Finally, the paper noted that the humor of the Narratives about Breaking the Will of a Man was a fairly male-centered laugh. The humorous scenes presented through conspiracy and revelations are pleasant because they were eventually created by men in the process of strengthening their male solidarity. I also think that for that reason the story could be consumed lightly. If you look at the woman’s features in the story, she is portrayed only as a tool to destroy men by using her sexuality. A chaste man may fall for her seriously, but women never do. They only act to break the will of men. The irony is that for that reason, women are expressed as dangerous and also something to be wary of. 송소라, 2020, 남성훼절서사 다시 읽기: 해학과 풍자에 가려진 여성혐오, 어문연구, 187 : 115~147 본고는 남성훼절서사에 내포되어 있는 ‘여성혐오’의 면모를 드러냄으로써 오랜 시간 동안 우리의 문화와 문학의 영역에 잠재되어 있던 ‘여성’에 대한 남성 중심적 사고에 대해 고찰하고 문학을 바라보는 다층적 관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남성훼절서사는 여색에 초연하다고 자처했던 남성이 다른 남성의 모의로 사주받은 기녀에게 유혹되어 훼절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일군의 이야기로, 그간 세태소설, 풍자소설, 해학소설 등의 자장 안에서 논의되어 왔다. 본고는 우에노 지즈코의 ‘여성혐오’의 개념을 통해 남성훼절서사 속에 담긴 호모소셜의 과정과 남성적 시각 안에서 묘사되는 훼절 실행자인 기녀의 형상화에 대해 논하며, 작품에 내재되어 있는 여성혐오의 면모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나아가 남성훼절서사가 여성혐오를 내면화하고 있음에도 풍자와 해학이 전제하는 '웃음'으로 여성을 도구화하는 폭력적 시선을 가렸다는 점, 그간의 연구 또한 남성 중심적인 시각 속에서 이와 같은 부분을 적극적으로 드러내지 못하였다는 점을 언급하며 젠더비평의 방법론으로 해당 서사를 다각적으로 읽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21세기 영상 미디어에 구현된 전통음악 프로그램의 특징과 의미—풍류대장(JTBC, 2021), 조선판스타(MBN, 2021)를 중심으로—

        송소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4 民族文化硏究 Vol.102 No.-

        본고는 21세기 영상 미디어를 통해 표현되는 전통음악의 특징과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통음악은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동시대의 문화로 대중과 호흡하기 위해 본래 그것이 가지고 있었던 형식과 내용의 변화를 꾀할 수밖에 없었다. 특히 영상 미디어가 대중문화의 전반을 차지하는 시대에서 그 변화의 내용은 다양할 수밖에 없다. 본고는 2021년 종합편성채널인 MBN과 JTBC에서 방영된 <조선판스타>와 <풍류대장>을 통해 그 세부 면모를 살펴보고, 전통음악이 영상 미디어를 통해 대중에게 전달됨으로써 갖게 된 의미를 고찰하였다. 먼저, 연구자는 두 프로그램에서 전통음악을 다룬 방식을 다음의 세 가지 특징, 즉 ① 전통음악을 대중음악의 다양한 장르와 결합하여 보여줬다는 점, ② 듣는 음악에서 보는 음악 혹은 음악극의 면모를 강조했다는 점, ③ 시청각 미디어의 환경을 활용하여 전통음악의 기초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했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나아가 이와 같은 특징을 바탕으로 한 두 프로그램은 ① 전통음악인들의 예술가적 기량은 물론 ② 전통음악의 미학과 독자적 특징을 대중에게 전달했다는 점, ③ 전통음악이 대중과 유리된 현주소와 향후의 발전 방향을 공론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였다. 향후 방송 이외에도 전통음악을 다루는 미디어 플랫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전통음악을 동시대의 문화 환경 속에서 대중에게 친숙하게 전달하고, 향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결국 ‘전통’을 오늘날에도 유의미한 것으로 다루는 것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그 일환으로 현장예술인들의 노력과 이를 표현하는 플랫폼으로서 방송을 검토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raditional music expressed through video media in the 21st century. Traditional music was forced to change its original form and content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the changing digital environment and in order to breathe with the public with a contemporary culture. In particular, in the era when video media occupies the whole of popular culture, the content of the change is bound to vary. This paper examines its detailed aspects through “Joseon Panstar(Joseon Artist)” and “Pungryu Daejang(the master of the arts)” aired on MBN and JTBC in 2021, and examines the meaning of traditional music being delivered to the public through video media. First, this paper explained the methods of dealing with traditional music in the two programs in the following three ways. First, it revealed traditional music in the form of combining it with various genres of popular music. Second, in ‘listening music’, the aspect of ‘viewing music or music play’ was emphasized. Third, it effectively conveyed the basic knowledge of traditional music by using the environment of audiovisual media. This paper further stated that the above program with such characteristics has the following three meanings. First, it spread the artistic skills of traditional musicians. Second, it easily conveyed the aesthetics and independent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usic to the public, and third, the current status of traditional music being alienated from the public and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were publicized. In addition to broadcasting, research on media platforms that deal with traditional music is needed in the future. The reason why traditional music is found to be familiar to contemporary people in the contemporary cultural environment is because it is eventually connected to treating ‘tradition’ as something meaningful today. This paper is meaningful as a study that attempted to discuss the efforts of field artists and broadcasting as a platform to express them as part of that.

      • KCI등재

        세시민요에 나타나는 세시풍속의 성격과 기능

        송소라 한국민속학회 2018 韓國民俗學 Vol.68 No.-

        As folk songs related to Sesipungsok (歲時風俗, Seasonal Customs) are treated as subcategories of Seasonal Songs(歲時歌謠), their character and function in singing have not been considered in detail. Therefore, this paper divides Seasonal Songs (歲時歌謠) into the categories of folk songs based on Seasonal Customs and folk song performed as Seasonal Customs, and attempts clarify the form of Seasonal Customs and their meaning in each case. The purpose is not simply to combine Seasonal Customs with Seasonal Songs, but rather to interpret in better detail the meaning of Seasonal Customs in folk songs. This paper begins by examining Seasonal Songs, focusing on two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Seasonal Customs. It is determined that periodicity and agriculture characterize Seasonal Customs, and religiosity and sociality are the functions of Seasonal Customs. Among these, the characteristic of Seasonal Customs was applied to interpret folk songs based on Seasonal Customs, and the function of Seasonal Customs was applied to the interpretation of folk song performed during Seasonal Customs. The periodicity of Seasonal Customs is examined through “Moon Puli” and “Chung Sang Yu” (靑孀謠, Young Widow Song), while the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of Seasonal Customs were investigated through “Pungnyunga”(豊年歌, Bumper Year Song) and “Tteok Ta Lyeong” (Rice Cake Song), as folk songs based on Seasonal Customs. It is revealed that the characteristic of Seasonal Customs is embodied in each song, clarifying the theme. Next, the religious function of Seasonal Customs is examined through “Jisinbapkisori” (Stepping on the Floor Song) and “Aegmag-i soli” (Preventing Misfortune Song), while the social function of Seasonal Customs is analyzed through the folk songs “Andong nosdali balbgi” and “Ganggangsullae.” 본고는 세시관련 민요가 세시가요의 하위 범주로 다뤄지면서 노래 속에서 담긴 세시풍속의 성격과 기능이 구체적으로 고찰되지 못한 기존의 연구에 대한 반성으로, 세시 관련 민요의 범주를 재설정하고, 이에 담긴 세시풍속의 의미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시민요를 ‘세시행사에 연행되는 노래’라고 정의하면, 세시를 소재로 하지만 세시풍속에 연행되지 않는 노래를 지칭할 개념이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노래들은 ‘민요계 세시가요’로 범주화되기는 하지만 민요계 세시가요는 세시행사에서 연행되는 세시민요 또한 포괄하고 있다. 즉, 사전적 정의를 바탕으로 한 ‘세시민요’가 아우르지 못하는 소재적 측면의 민요계 세시가요에 다시 세시민요가 포함되는 중복의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또한 민요계 세시가요가 포괄하는 세시를 소재로 한 민요, 세시에 연행되는 민요는 세시풍속을 중심에 두고 생각할 때, 세시성을 발현하는 것에서 차이를 가질 수밖에 없는 바, 양자를 구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세시를 소재로 한 세시민요와 세시에 연행되는 세시민요 모두를 ‘세시민요’, 혹은 ‘세시 관련 민요’라 칭하고, 이들을 다시 ‘세시 소재 민요’와 ‘세시 연행 민요’로 구분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들에서 세시풍속이 어떤 형태로 구현되며 의미를 창출하는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는 단순히 세시 소재 민요에서 볼 수 있는 세시풍속의 양상을 나열하고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민요 속 세시풍속의 의미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석하고자 함이다. 먼저 본고는 세시풍속의 다양한 성격과 기능 가운데 네 가지를 핵심으로 세시민요를 고찰하였다. 즉, 세시풍속의 성격으로 ‘주기성’과 ‘농업성’, 세시풍속의 기능으로 ‘종교성’과 ‘사회성’이 그것이다. 세시풍속의 성격과 기능은 다양하지만 본고에서는 세시성의 핵심으로서 ‘주기성’, ‘농업성’, ‘종교성’, ‘사회성’을 거론하여 세시 소재 민요와 세시 연행 민요를 고찰하였다. 이 가운데 세시 소재 민요는 주기성과 농업성을, 세시 연행 민요는 종교성과 사회성을 주된 표지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세시 소재 민요는 세시의 현장에서 불리지 않기 때문에 세시풍속의 기능적인 면보다는 성격적인 면을 파악하기가 용이하다. 반면 세시 연행 민요는 세시풍속의 성격을 반영하기도 하지만 기능이 노래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발현된다고 할 수 있다. 세시 연행 민요는 세시풍속의 현장과 유리되지 않은 채 밀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세시 소재 민요 가운데 <달풀이>와 <청상요>를 통해 세시풍속의 주기성을, <풍년가>와 <떡타령>을 농해 세시풍속의 농업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세시성이 노래에 구현됨으로써 노래의 주제의식이 보다 명확하게 형상됨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세시 연행 민요 가운데 <지신밟기 소리>, <액막이 노래>를 통해 세시풍속의 종교성을, <안동 놋다리밟기 노래>, <강강술래>의 연행상황을 통해 세시풍속의 사회성을 고찰하였다. 그간 세시 연행 민요는 주로 세시의례요와 세시유희요로 구분되어 설명되어 왔는데, 본고는 세시풍속의 기능에 착안하여 의례성 보다 종교성을, 유희성보다 사회성을 세시 연행 민요에서 보고자 하였다. 본고는 그간 세시민요를 다룰 때 ‘세시’보다는 ‘민요’에 방점이 찍혔던 것에 대한 반성으로, 세 ...

      • KCI등재

        1980-2010년대 판소리 세계화의 전개 과정과 향후 과제 고찰

        송소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of pansori globalization in the 1980s and 2010s, and to examine the tasks of pansori globalization in the future based on this. To this end, this paper examined the major events and practical activities that led to the globalization of pansori based on newspaper articles of the time, and based on this, pointed out the necessary tasks in the future. First, this paper believes that the ‘88 Seoul Olympics’ in the 1980s triggered national interest in the global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explained that Pansori was also given the need for globalization under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culture. In addition, the main activities of the time were ① to hold the Chosun Ilbo’s Gugak Performance, ② to plan traditional cultural programs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ssociation, and ③ to attempt the Sinchangak Movement and to globalize Changgeuk. Next, in the 1990s, the movement of globalization was actively promoted in all areas of society under the governmen’s ‘globalization’ stance, and traditional music also showed corresponding movements. Regarding pansori during this period, there were activities such as ① the start of pansori’s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② the popularization of pansori through the declaration of “the Year of Gugak” in 1994, and ③ the active exchange of pansori with Western and popular music. This study saw that these movements became the cornerstone of pansori globalization in earnest in the 21st century. As is well known, the 21st century was a time when the movement toward globalization of Pansori itself became visible as Pansori was registered as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n 2003. In this study, the main activities and achievements of this period were ① Jeonju World Sound Festival, which began in 2001, ② Pansori and Changgeukization work of overseas masterpieces, and ③ various overseas activities of pansori singers. Finally, this paper suggested three points in the various aspects of modern pansori that should be considered as pansori globalization in the future through a series of developments in which pansori went on the path of globalization. The first is the expansion of pansori performance opportunities through the media and the pursuit of diversification of pansori contents. And nex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Pansori singers are viewed as “artists” rather than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Furthermore, a system for pansori singers to actively engage in creative artistic activities should be supported.

      • KCI등재후보

        북한의 <심청전> 수용 양상과 의미

        송소라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5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0 No.-

        North Korea accepts classical novels through aggressive adaptation or embellishment to accord with the party's policy and intent. This paper examined the novelistic change of the classical novel, <Simcheongjeon>, which differs from South Korea's, and considered the meaning in the direction of classical novels that North Korea aims at. This study targeted the classical opera script, <Simcheongjeon> in 『Joseon Changgeukjip(A Collection of classical operas in Joseon)』(1955) and the classical novel, <Simcheongjeon>, embellished by Lim, Ho-gwon. First, the classical opera script, <Simcheongjeon>, adapted by Kim, Ah-boo gives shape to the themes, 'the noble, moral spirit of the people' and 'the victory of beautiful heart' by reorganizing the story to be focused on Simcheong. Also, this reveals its criticism on the religion and capital in North Korea by describing Hwajooseung(Budhist monk, who asks village people for offerings for the temple) of Mongwoon Temple and seamen of Namgyeongjangsa in a negative way. Lastly, this describes the image of the people, pursued by North Korea through the Dohwa-dong people, who criticize the irrationalities of the society and resist them. Nex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cal novel, <Simcheongjeon>, embellished by Lim, Ho-gwon were analyzed. Lim, Ho-gwon was active in reflecting the limitations of classical literature, which North Korea had pointed out, that is to say, unscientific elements including the problems of China-centered personal names and place names in his embellishment. As a result, the unscientific elements in <Simcheongjeon> were deleted and the China-centered place names were changed into Korean names. The Chinese classical story in the passage of Sosanggpalgyeong was also deleted. North Korea has applied the party's policy to the description of the literature history and based on this, changed individual literary works narratively. It is anticipated that this paper would make a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classical novel, <Simcheongjeon> and North Korea's acceptance of <Simcheongjeon>. 북한은 당의 정책과 의도에 부합하도록 적극적인 각색 혹은 윤색의 과정을 거쳐 고전소설을 수용한다. 본고는 고전소설 <심청전>을 대상으로 남한과는 다른 북한 <심청전>의 서사적 특징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북한이 지향하는 고전소설의 방향 속에서 고찰해 보았다. 본고가 대상으로 한 작품은 『조선창극집』(1955)소재의 창극 대본 <심청전>과 림호권이 윤색한 고전소설 <심청전>이다. 이 두 작품은 하나는 공연 대본이고, 다른 하나는 원문을 바탕으로 한 윤색 소설이라는 점에서 수용의 방향을 달리한다. 무대 대본은 정해진 시간 안에 압축적으로 내용을 전달해야 한다는 점에서 고전소설을 대상으로 할 경우, 소설이 가진 다채로운 서사를 전부 수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소설 안에서도 각색자가 중점적으로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서사가 재편될 수밖에 없다. 본고는 2장에서 김아부가 각색한 창극 대본 <심청전>을 통해 <심청전>의 각색 방향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먼저 북한 창극 <심청전>은 심청을 중심으로 서사를 구성한다. <심청전>은 심청의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심학규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러나 북한 창극은 남한의 창극과 달리 심학규가 중심이 되는 모든 이야기를 걷어내고 아버지를 위해 자신을 희생한 심청의 정신을 부각시킨다. 이로써 ‘인민의 숭고한 도덕정신’, ‘아름다운 마음의 승리’라는 주제의식을 끌어낸다. 다음으로 이 작품은 중과 남경장사 선인들을 부정적으로 묘사한다. 몽운사 화주승은 심청과 심봉사가 공양미 삼백석을 바치지 않을 수 없도록 온갖 수를 부리는 교활한 사람으로 묘사가 되고, 남경장사 선인들은 장사를 위해서라면 무슨 짓이든 할 수 있는 이기적인 장사꾼의 전형으로 그려진다. 북한은 <심청전>을 당대의 부패한 사회를 드러내는 작품으로 평가하는데, 그 부패함을 보여주는 근거가 바로 중과 남경장사 선인들이다. 그리고 여기에는 종교와 자본에 대해 비판적인 북한의 사상과 정책이 내재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북한 창극 <심청전>은 인정 많은 도화동 사람들의 연대감을 부각시킴으로써 적극적, 능동적 이웃으로 이들을 재해석한다. 심청을 임당수의 제수로 데려가는 남경장사 선인들에게 도화동 사람들은 거세게 저항한다. 이들의 몸짓은 격렬하고 심청을 구하고자 하는 의지는 강하게 표출된다. 북한은 사회의 부조리함을 비판하고 이에 저항하는 인민을 통해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인민상을 지향한다. 3장에서는 림호권이 각색한 고전소설 <심청전>을 대상으로 이본선택의 과정과 윤색의 방향을 살펴보았다. 현재 북한에서 수용되는 고전소설 <심청전> 가운데 가장 일반적인 것이 바로 림호권이 윤색한 <심청전>이다. 림호권은 윤색된 소설 <심청전> 안에 원문 역시 함께 수록해 두는데, 이 때 원문은 바로 1957년 윤세평이 주해한 고전소설 <심청전>이다. 윤세평은 다양한 <심청전>의 이본 가운데 <회동서관본>을 중심으로 <박문서관본> 및 기타 본을 참조하여 윤색을 하였다. 그리고 그가 이들 이본을 선택한 이유는 바로 중에 대한 편집자적 논평이 담겨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윤세평은 작품에 기록된 논평을 예시하며 <심청전>이 불교적 영험담과는 거리가 먼, 오히려 불교의 타락함을 비판하는 작품이라고 평가한다. 활자본 이외의 이본에서는 그가 지적한 바와 같은 논평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의 이본 선택 근거를 짐작...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