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어문 규범으로 보는 음운 현상의 표기 반영 양상 ― 「普通學校用 諺文綴字法」과 「한글 마춤법 통일안」을 중심으로 ―
송미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phonological phenomenon and aspect of notation inherent in the Linguistic Norms appearing after the Enlightenment Period(1894~1910).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Linguistic Norms done by scholars such as Korean Language Institute, but there hasn't been unified norm, causing confusion. Later, 「the Korean Spelling System for Primary School」 was announced and revised three times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A Draft for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 was finally established by Korean Language Society in 1933. This Linguistic Norms was prepared to correct confusion, so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phonological phenomenon of those days. While the first and the second 「the Korean Spelling System for Primary School」 were based on phonetic representation notation, the third 「the Korean Spelling System for Primary School」(February, 1930) focused on ideographic notation. In addition, 「A Draft for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October, 1933) by Korean Language Society had ideographic notation more reinforced, and the explanation on phonological phenomenon and its types are specified.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research the fact that the application environment of palatalization and first initial sound law is divided into pure Korean language and Sino-Korean words, and that the phenomenon of Saitsori is explained regarding the notation of Sai ㅅ. 송미영, 2019, 어문 규범으로 보는 음운 현상의 표기 반영 양상, 182 : 47~72 이 연구는 개화기(1894~1910) 이후 등장하는 어문 규범의 변천 가운데 내재된 음운 현상과 그 표기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국문 연구소를 비롯한 많은 학자들에 의해 어문 규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통일된 규정이 없어 많은 혼란이 있었다. 이후, 조선 총독부에 의해 세 차례에 걸쳐 「普通學校用 諺文綴字法」이 공표·개정되었고, 비로소 1933년에 조선어학회 주도의 「한글 마춤법 통일안」이 마련된다. 1·2차의 「諺文綴字法」이 표음적 표기법에 바탕을 두었다면, 3차의 「普通學校用 諺文綴字法」(1930.2)은 표의적 표기법을 중심에 두었다. 또한 조선어학회의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10)은 표의적 표기가 보다 강화되었으며, 음운 현상에 대한 설명과 그 종류가 상세화된다. 이에 구개음화와 두음법칙의 적용 환경을 순수 조선어와 한자어로 나누었다는 점, 사이 ㅅ의 표기와 관련하여 사잇소리 현상을 설명하였다는 점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글학자 珠汕 申明均의 국어 연구에 대한 고찰― 표기와 음운현상을 중심으로 ―
송미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 Vol.51 No.1
Jusan Shin Myeong-gyun, who garnered attention since the conferment as an independence patriot in 2017, was a Hangeul scholar and educator succeeding Ju Si-gyeong. He studied in Hanseung School of Education, was a Korean teacher, and served as the second chief secretary of Korean Language Society. He engaged in the Hangeul movement through various magazines including Hangeul as well as Korean Course. Books such as Nodongdokbon (1930), Joseon History (1931), Joseon Language Grammar (1933), and Joseon Language Spelling (1934) piqued people’s attention about the history of Joseon and the orthography of Hangeul. Shin Myeong-gyun tried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spelling more scientifically with the interest in “doensiot (byeongseo),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and Korean language spelling.”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iew the orthography and phonological phenomena of his Korean language research by investigating orthography such as byeongseo, final consonant, area-a and spacing, and phonological phenomena such as palatalization, beginning of words of ㄴ, ㄹ(first initial sound law), semi-vocalization, ㅏ/ㅓ, ㅡ & ㄹ elision.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Shin Myeong-gyun’s Hangeul Movement and meaning of Korean language research through theses. 송미영, 2023, 한글학자 주산 신명균의 국어 연구에 대한 고찰 –표기와 음운현상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197: 41~79 2017년 독립유공자 敍勳 이후 재조명되기 시작한 珠汕 申明均은 주시경 선생의 뜻을 본받아 활동했던 한글 운동가이자 교육자였다. 한성사범학교 출신의 조선어 교사로 조선어학회 2대 幹事長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신명균은 조선어 강습회뿐만 아니라 <한글>을 비롯한 각종 잡지를 통해 한글 운동을 전개하였다. 노동독본 둘재권(1930), 朝鮮歷史 (1931), 朝鮮語文法 (1933), 朝鮮語綴字法 (1934) 등은 조선의 역사와 한글 맞춤법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킬 만했다. 신명균은 ‘된시옷(병서), 한자음, 국어 철자법’에 관심을 가지고 철자법의 원리를 보다 과학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신명균의 국어 연구에서 나타나는 표기와 음운현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병서, 받침, 아래아, 띄어쓰기 등의 표기와 구개음화, 어두 ㄴ, ㄹ(두음법칙), 반모음화와 ㅏ/ㅓ, ㅡ 및 ㄹ탈락 등의 음운현상에 대해 다루었다. 이를 통해 신명균의 한글 운동과 국어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아창조와 공적연대를 지향하는 폐기학습 모델에 관한 연구
송미영,유영만 한국성인교육학회 2008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1 No.3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how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continue to learn, unlearn and relearn knowledge in the corporate environment. In order to identify the key factors impacting learning, unlearning and relearning at the both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this paper proposes the model of unlearning towards self-creation and public-solidarity in the light of Richard Rorty(1979, 1989)'s neo-pragmatism. Rorty provides a powerful critique of the foundationalism of modern philosophy, namely 'anti-foundationalism,' and also suggests useful implications such as contingency, redescription and a literary culture in relation to developing the model of unlearning. As a result of literature reviews related to unlearning and Rorty's philosophy, this paper posits that the model of unlearning consists of six steps according to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areas: [in the private area] the perception of contingency on knowledge, the creation of new metaphors, self-creation as an ironist; [in the public area] the perception of abnormal discourses, the creation of consensus through conversations and public-solidarity for liberality. 불연속적인 환경 변화에 대응하면서 기업의 생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습관이나 관행, 관례에 따른 폐쇄성의 고리를 끊고, 새로운 지식체계와 관점, 사고방식 등을 창조하는‘폐기학습(learning)'이 필요하다. 최근 폐기학습과 관련된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지만, 대개 경영학 분야에서 조직학습의 한 측면으로서 폐기학습의 기본 방향 및 개괄적인 전략 수준으로 다루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교육 차원에서 요구되는 폐기학습의 보다 구체적인 이론적 논의와 실천적 전략을 제시하기 위하여, Rorty(1979, 1989)의 네오프래그머티즘의 핵심 사상을 차용한 폐기학습 모델을 규명하였다. 표상주의의 전통철학을 해체하고 우연성, 재서술, 문학적 문화 등 반정초주의에 입각하여 새로운 지식관과 변화상을 주장한 Rorty(1979)의 철학은, HRD 측면의 폐기학습 연구에 새로운 주제와 아이디어, 해석틀을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폐기학습에 관한 선행연구와 Rorty의 주요 철학서를 문헌 고찰한 결과, 학습-폐기학습-재학습의 선순환적인 사이클 안에서 개인 영역의‘ 자아창조를 지향하는 이론 탐구의 폐기학습(지식의 우연성 인식, 참신한 메타포 창출, 아이러니스트로서 자아창조)'과 조직 영역 내 ‘공적연대를 추구하는 사회적 실천 기반의 폐기학습(비정상 담론 포착, 대화를 통한 합의 창출, 자유주의 기반의 공적연대)' 단계가 도출되었다.
PISA 성취수준 향상에 미치는 교육맥락변인의 차별적 효과 분석
송미영,임현정,김성숙 한국교육개발원 2015 한국교육 Vol.42 No.1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educational contextual variables have differential effects on achievement levels in mathematics, reading, and science.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PISA 2012 data for Korea was analyzed using a 2-level HGLM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enhancement of achievement levels and produced a comparison of how the main factors differ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Findings/Results: The effects of educational contextual variables differ depending on the subjects and the achievement levels of Korean students. For students below level 2, a number of factors are associated with the improvement of achievement levels including: the student’s attitude towards learning; the student’s openness to problem solving; parental perceptions of school quality, absences, and outcomes; and involvement in creative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these factors, only the student’s attitude towards school and the student’s openness to problem solving significantly affect on level 4 students to be top performers. Value: Based this analysis of PISA 2012 data, this study suggests alternative education policies which consider learner diversity across achievement levels and policies that can balance evaluative elements and level-differentiated educational supports. 본 연구는 PISA 2012 한국자료를 활용하여 성취수준에 따라 교육맥락변인이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게 작용하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각 영역(수학, 읽기, 과학)의 한 단계 높은 성취수준으로 향상하는 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주요 요인들이 성취수준별로 상이한가를 비교하고자 2수준의 일반화위계선형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맥락변인의 영향은 영역과 학생의 성취수준에 따라 차별적임을 확인하였다. 2수준 미만의 학생들에게는 모든 영역의 성취수준 향상에 학교 학습에 대한 태도, 문제해결에 대한 개방성, 부모의 교육기대수준, 결석 또는 결과, 교과 외 창의적 활동 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중에서 학교 학습에 대한 태도와 문제해결에 대한 개방성은 5수준 이상의 학생의 성취수준 향상에 영향을 주지만, 부모의 교육기대 수준, 결석 또는 결과, 교과 외 창의적 활동 등은 상위수준 학생에게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하위수준 학생을 위한 학습 지원에 있어서 상위수준과 다른 차별적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가토안의 Acid Phosphatase의 정제, 특성 및 아미노산 조성
송미영,석귀덕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응용과학연구소 1994 응용과학연구논문집 Vol.3 No.-
가토의 눈에서 분리한 망막과 맥락막으로부터 ACPase를 정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urfactant extraction,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pH4.0 acid extraction, DEAE-cellulose chromatography를 시행하여 ACPase를 정제하였다. Fraction Ⅲ의 비활성은 377.4로 정제율은 14.06배, 수득율은 5.7%이었다. 2. 정제한 효소액을 SDS-PAGE를 시행하여 분자량 48,000을 확인하였다. 3. SDS-PAGE의 band를 추출하여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4. 정제된 효소액을 이용하여 p-nitrophenylphosphate hexahydrate에 대한 km은 12.19mM, Vmax는 4.62×10^-2mM의 값을 얻었다. optimum pH는 4.7이었다. Acid Phosphatase(Orthophosphoric monoester Phosphohydrolase acid optimum, EC. 3.1.3.2, ACPase) was purified from Rentinal Pigment Epithelium of Rabbit eyes. The purification procedure includes surfactant extraction,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acid treatment, and ionexchange-chromatography on DEAE-cellulose. The purified enzyme migrates as a single band electrophoresis on SDS-Polyacrylamide gel. Acid phosphatase has been characterized with respect to its molecular weight, kinetic properties(Km Value determined with p-nitrophenylphophate were 1.2×10^-2nM.) Optimum pH were 4.7. The molecular weight of ACPase were 48,000 by SDS-PAGE. Amino acid composition of ACPase revealed a high content of Glumate
송미영,김대한,김경환,김대희 한국패류학회 2022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38 No.1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melania snail in Hantan River watershed, from May to October 2012, 20 points from the upper stream to the lower stream of the Hantan River watershed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5 species of melania snail appeared, and in Sagok Stream, which is the primary stream in the Hantan River, Semisulcospira libertina, S. gottschei, S. coreana appeared, and S. coreana was dominant. In the secondary stream, Namdae Stream , S. gottschei and S. coreana appeared, and the dominant species was S. gottschei. In the main stream of the Hantan River, S. libertina and Koreanomelania nodifira appeared, and S. libertina were dominant. The differences in the species appearing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vers were found in the S. libertina, and the flow velocity was less than 20 cm/sec, and S. gottscheri, the bed of sand and pearl. The flow velocity is less than 10 cm/sec, S. coreana has a flow velocity of 10 cm/sec-40 cm/sec with the river bed of pebble, and K. nodifira has a flow velocity of 40 cm/sec or more with the bottom of the boulder, K. globus ovalis appeared at high frequency in boulder riverbeds and in river environments of 50 cm/sec or more, respectively, 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in the difference in water depth.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river environment preferred by each species, mainly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river bed and flow velo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