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학교 2학년 청소년의 뉴미디어활용이 인지, 정서, 사회발달에 미치는 영향

        성은모,황경아,이재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Over the past few decades, computers, smartphones, and internet technology have changed the way of work, learn, play, communicate, and lifestyle etc. Especially adolescents are positively using those medium for communicating with friends, searching information, and learning with e-Learning. However, those new medium are a negative influence in adolescents’ lives by using playing games, chatting, watching adult movies. Using the medium have both a positive effect and a negative effect that are associated how much use the one (e.g. time and frequency) and how to use the one (e.g. goal and quality). Accordingly, we ne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using the medium of adolescents to provide the guideline using the medium and to propose the policy issues. The goal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using the medium of adolescents an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using the medium (quantity and quality) of adolescents and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factors. To accomplish this goal, there was analyzed a data of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that surveyed adolescents at the level of national in Korea 2011 and conducted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Participants are 2351 middle school students (aged 15~18) and mean age was 15.89 years (SD=.34). There are male 1153(50.5%) and female 1128(49.5%). As results, male was more using computer and female had more cell-phone(p<.01). Using goal of new medium such as computer and cell-phone as a related with learning, searching information, text with family and friends were associated with female, higher academic level of parents, higher economy status level of parents, and supervision, love/concern, rational explaining as a way of parenting of parents. Adolescent who has more using computer for playing game, chatting, and get higher addiction of cell-phone for playing game, watching movie has lower learning and reading time, lower academic achievement, getting mental instability, lower peer attachment, and maladaptation of school life. In short, using the new medium has influenced negatively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development of adolescent when they use the medium for goal of enjoying entertainment. However, the new mediums are positively influenced when they use the medium for goal of related with learning, or maintaining friendships. Based on those results, there were suggested 6 policies for building environment of using new medium on adolescents as well as for providing opportunity to be learned educational program of right way using new medium for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 KCI등재

        에듀테크 기반 학생 정서지원 모델 개발 연구

        성은모,이성혜,김명섭,길혜지,강수미,박정현 한국교육공학회 2023 교육공학연구 Vol.39 No.2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dutech-based emotional support model for students. In the context of education, it promotes the educational use of edutech to support students’ healthy emotional development by overcoming their emotional problems in educational situations, starting with an awareness of thei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issues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e use of edutech for student emotional support has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providing timely feedback by collecting, analyzing, and monitoring information on students’ emotions. In this study, the student emotional support model was first developed and validated by collecting insights from a literature review, field experts, psychological counseling experts, and educational technology experts. Based on this model, a strategy to utilize edutech was developed and validat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basic process of the edutech-based student emotional support model consisted of emotion awareness–emotion recognition–emotion regulation and expression based on the appraisal theory of emotion. This study also devised general principles and emotional support activities for each emotional support stage and developed a method of using edutech. Emotion awareness included skills to diagnose and understand emotions. Emotion recognition included recording techniques to identify the cause of emotions. Emotion regulation and expression included emotion recognition, introspection, and requests for help. Also, the model involved the use of technologies such as monitoring, feedback, and compensation for emotional support. Through these findings, this study presented its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and provided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대학에서 학습자의 학습민첩성, 자기주도학습, 그리고 스마트미디어활용 역량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분석

        성은모,이성혜 한국교육공학회 2019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9 No.1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핵심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적 노력이 국가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인재의 핵심역량함양을 위해 대학교육차원에서도 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특성이 속도와 불확실성이라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미래인재가 변화하는 지식과 정보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학습하는 학습민첩성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미디어를 활용한 자기주도학습역량은 핵심역량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실제 대학교육의 성과지표 중의 하나인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는지 그 관계 속에서의 속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습민첩성. 자기주도학습역량, 그리고 스마트미디어활용역량이 학업성취도와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연구자료 중 4년제 대학생 623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 검증을 통해 변인들의 상호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의 학습민첩성, 자기주도학습역량, 그리고 스마트미디어 활용역량은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습민첩성은 자기주도학습역량과 스마트미디어활용, 그리고 학업성취도와 정적(+)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학습민첩성은 학업성취도와 직접관계에 있어 부적(-)관계에 있었으며, 자기주도학습역량은 스마트미디어활용역량과도 부적(-)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구조적 관계 변인의 특성에 대해서 보다 심층적인 해석과 논의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교육에서 산업형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모형 탐구

        성은모,오헌석,김윤영 한국교육방법학회 2013 교육방법연구 Vol.25 No.3

        창조경제는 융합을 통한 새로운 부가가치의 창출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산업형 융합인재의 육성을 요청하고 있다. 정부는 새로운 산업 패러다임에 대응하기 위해 2013년부터 ‘산업융합 특성화 인재 양성’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각 대학은 융합학과를 신설하거나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다. 때문에 학문간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융합교육이 대학교육의 핵심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융합관련 학과를 신설하고, 다양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의 개발과 적용이 핵심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형 융합인재육성을 위한 교수학습모형으로-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모형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교수학습모형은 국내에서 2004년부터 고등교육수준에서 최초로 융합학과를 신설하여 10년여 동안 융합교육을 실시하여 온 A대학교의 교수학습방법 사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모형은 사전 협력적 교수설계 및 개발과 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활동으로 크게 구분되며, 사전 협력적 교수설계 및 개발의 과정은 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활동을 하기 위한 준비 단계로써 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을 위한 학습자, 학습내용, 학습환경 등을 분석하고 교수학습전략을 설계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융합프로젝트 교수학습활동의 과정은 기업의 비즈니스 문제를 대학의 다양한 전공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융합하여 해결함으로써 학습자의 협력적 융합문제해결 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한 단계별 교수학습활동의 내용 및 전략을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이러한 교수학습모형을 바탕으로 보다 교육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고려사항 몇 가지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s an instructional model of teaching company scheme based convergence project for cultivating industrial convergence talent. To address this goal,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suggest apractical instructional model by analyzing the real case of convergence education that was linked with industrial business needs and engineering department of A university in Korea, which has been conducting convergenc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since 2004. As a result, there was developed an instructional model of teaching company scheme based convergence project that is constructed two part. Oner part is advance collaborative instructional design that is make up teaching staff, invite company, and collaborative instructional design with professors and business staff, which process includ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o analyze and design refers for convergence project teaching and learning and also it is to analyze learner analysis, learning content, learning environment. The other part i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convergence project that is explain of instructional model of convergence project, teaching professor and business staff, organize team and team building, select topic of convergence project, plan and present of convergence project, role sharing of team task, perform individual task, perform collaborative task, interim presentation, redo individual and collaborative task, final presentation and evaluation, which process present step by step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strategies to improve learners' collaborative convergence problem-solving skills. Based on this instructional model, there were suggested some considerations in orderto increasing applicability in higher education context.

      • 고등학교 공통과학중 화학실험능력 평가도구 개발

        성은모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0 과학교육연구논총 Vol.16 No.1

        The tool for evaluating experimental performance skills of integrated science was developed and was applied to the students of high school. The tool evaluated basic skills in the laboratory such as measuring volume of liquid with mass cylinder, reading the temperature of solution and weighing the weight of chemical reagent with balance. The results of evaluation show a reasonable distribution of grade over the class of about 45 students and it gives good possibility of evaluating performance skills during the lab work.

      • KCI등재

        한국의 아동․청소년 놀이정책 수립을 위한방향과 과제 탐색

        성은모,강경균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8 청소년복지연구 Vol.20 No.1

        Play is a nature of human being and plays a role in provid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experiences.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play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t has been emphasized because it helps not only children’s and youth’s balanced growth and development but also functions as a core activity to offer pleasure and happines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fundamental direction of the perspective on the national policy plan for children’s and youth’s play in order to systematically support at the national level. Also, it is to provide political implications as for what tasks are necessary so as to implement policies for children’s and youth’s play. To address goals, qualitative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 of 10 experts on play from academia, public institutions, and research institutions, were employed. As a result, 7 policy domains in terms of the children’s and youth’s policy, and 24 detailed tasks were drawn. 7 policy domains in terms of the children’s and youth’s policy are as follows: 1) strengthening the promotion system of play policy for children and youth, 2) improving children’s and youth’s right to play and their awareness of play culture, 3) securing time and opportunities to play for children and youth, 4) providing space to play, and improving facilities and environment for children and youth, 5) developing the method and contents on play for children and youth, 6) nurturing and utilizing professional play instructors for children and youth, and 7) strengthening and promoting the play competency of children and youth. Based on these results, some considerations to make the children’s and youth’s play policy effective were suggested. 놀이(play)는 인간의 본성으로써 인간에게 심리적, 정서적 경험을 제공하는 역할과 기능을 하며, 특히 아동․청소년기의 놀이는 균형적인 성장과 발달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즐거움과 행복을 주는 핵심 활동으로 그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아동․청소년 놀이정책을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국가차원에서 아동․청소년의 놀이정책을 어떠한 관점에서 바라봐야 하는지에 대한 기본방향과 아동․청소년의 놀이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어떠한 과제들을 발굴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의 일환으로 놀이정책 관련 선행문헌분석과 학계, 공공기관, 연구소 등의 다양한 관점을 견지한 놀이관련 전문가 10명의 인터뷰를 통해 아동․청소년 놀이정책의 장기비전 및 기본 방향을 추출하여 주요 추진 과제 및 세부과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아동․청소년 놀이 정책은 7개 정책영역과 24개 세부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한 아동․청소년 놀이정책 7개 영역은 ‘1. 아동․청소년 놀이정책 활성화 추진체계 강화’. ‘2. 아동․청소년의 놀 권리 및 놀이 문화 인식 개선’, ‘3. 아동․청소년의 놀이 시간 확보 및 기회 보장’, ‘4. 아동․청소년의 놀이 공간 제공 및 시설․환경 개선’, ‘5. 아동․청소년 놀이 방법 및 콘텐츠 개발’, ‘6. 아동․청소년 놀이 지도사 전문인력 양성 및 활용’, ‘7. 아동․청소년 놀이 역량 증진 및 강화’ 등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청소년 놀이정책이 실효성을 갖기 위한 몇 가지 고려사항을 제언하였다.

      • 학생들의 화학평형 개념에 대한 연구

        성은모,박미애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6 과학교육연구논총 Vol.12 No.1

        대학교 학생들의 수업전과 후의 화학평형개념을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선행개념에 큰 변함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스마트미디어 활용 능력과 학습민첩성이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성은모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4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y education is regarded as a national competitiveness. Recently, the university has emphasiz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as core competencies to be provided by 21st century learners and those who will lea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refore, educational use of smart media based on learning agility in university education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provide a new learning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mart media usage and learning agilit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he gender differences in higher education. To address this goal, the data, the questionnaires of smart media usage, learning agility,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were collected from ‘A Study on 2016 Korean Youth Competency Measurement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III’. The study analyzed data from 680 university students with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mulitipl-regression. As a result, learning agility,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genders except smart media usage that male students were mo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Also, using learning materials of smart media usage was strongly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All sub-variables of learning agility was strongly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in university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 terms of learning strategy in the context of higher education, some suggestions for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have been made for university students. 대학교육의 경쟁력이 곧 국가의 경쟁력으로 간주되고 있다. 최근 대학교육에서 21세기 학습자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과 문제해결력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대학교육에서 학습민첩성을 기반으로 스마트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이 새로운 학습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에서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과 더불어 학습민첩성 요인의 특성을 성별에 따라 분석해 봄으로써 대학생의 학습역량을 보다 맞춤형으로 증진시키기 위한 교수학습방법의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전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 비교 연구 Ⅲ’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4년제 대학생 680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t-검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습민첩성,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력에 있어 남학생들이 여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에 있어 학습자료 활용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여학생에만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습민첩성은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자기주도학습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에 있어 학습자료 활용과 앱 활동이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라 미치는 영향요인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아울러 학습민첩성은 문제해결력에 있어 남학생과 여학생에게 모두 가장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육에서 대학생들의 학습역량 증진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