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Georgia Lily의 繁殖에 關한 硏究 : [第2報] 栽植깊이 및 方法이 木子着生에 미치는 影響 Effect of Planting-depths and Planting-methods in Formation Stem-bulblet

        徐榮敎 忠南大學校 1969 論文集 Vol.8 No.-

        The author studied on the effect of planting-depths and planting-methods in formation of stem-bulblet and fleshness of parent-bulb in Georgia Lily, Lilium Longi florum THUNB. "Georgia" to find the best method of bulblet produc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Although there were more bulblets in the horizontal-planting methods covered thrice and quadruple of bulb-height and inverse-planting method covered thrice, the best method of bulblet production was, in view of fleshness of bulblets and parent-bulbs, straight-planting method covered thrice. 2. There were more bulblet in the range of 3cm bellow the soil surface, and formation of bulbet showed the tendency that the closer to the closer to the soil surface the more closely adhered stem-bulblets. 3. In view of fleshness, the best bulblets were found in the range of 3-9cm below the soil surface. 4. In the fleshness of parent-bulb, it was better in straight-planting method than in other methods,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concerning the planting-depths in the straight-planting method.

      • KCI등재

        화분(花盆)의 수분증발(水分蒸發)이 분식화훼류(盆植花卉類)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서영교,Suh, Youn-gkyo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77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4 No.2

        분종류(盆種類)에 따른 수분증발량(水分蒸發量), 분내토양온도(盆內土壤溫度) 및 토양공기조성(土壤空氣組成)의 차(差)를 조사(調査)하고, 이들 조건(條件)이 분식물(盆植物)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해 본(本) 실험(實驗)을 수행(遂行)하였다. 분종류(盆種類)는 토분(土盆)(CP), 도자기분(盆)(POP), 프라스틱분(盆)(PLP)을 사용(使用)하였으며, 토분(土盆)을 사용(使用)할 경우 수분증발량(水分蒸發量)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方法)으로서 토분외벽(土盆外壁)에 녹색(綠色)페인트를 칠한 것(CP-P), 투명(透明)니스를 칠한 것(CP-V), 토분내면(土盆內面)에 polyethylene film을 깐 것(CP-PI) 및 토분(土盆)의 분토표면(盆土表面)을 흑색(黑色) polyethylene film으로 피복한 것(CP-PM) 등을 사용(使用)하였다. 공시식물(供試植物)로서는 봉선화, 국화(菊花), 코스모스, 양담장이, 제라늄, 코키아, 만수국(萬壽菊), 엽모단(葉牡丹) 및 샐비어등(等)을 사용(使用)하였다. 1. PLP, POP, CP-P, CP-V 및 CP-PI에서 자란 식물(植物)은 CP에서 자란 식물(植物)보다 건물중(乾物重)이 무거웠다. 2. 모든 공시식물(供試植物)의 초장(草長)은 PLP, POP, CP-P, CP-V 및 CP-PI에서는 CP에서 보다 컸다. 3. Geranium의 엽수(葉數)는 PLP, POP, CP-P 및 CP-V는 CP에 비(比)해 많았다. 4. Balsam의 전생육기간중(全生育期間中)의 개화수(開花數)는 PLP, CP-P, POP, CP-V 및 CP-PI는 CP에 비(比)해 많았다. Marigold는 balsam과 비슷한 경향(傾向)을 나타내었으며, salvia는 화수수(花穗數)는 차(差)가 없으나 화수장(花穗長) 및 소화수(小花數)는 balsam 및 marigold의 개화수(開花數)와 동일(同一)한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5. PLP와 POP의 1일(日) 평균(平均) 증발량(蒸發量)은 CP의 약(約) 43%였으며, CP는 총증발량(總蒸發量)의 2/3가 벽면(壁面)을 통(通)해 증발(蒸發)되었다. 6. 분(盆)으로부터의 수분증발율(水分蒸發率)은 PLP, POP, CP-P, CP-V, CP-PI, CP-PM 및 CP의 순으로 늦었으며, 수분함량(水分含量)은 벽면증발(壁面蒸發)이 억제(抑制)된 분(盆)에서 관수(灌水) 1일후(日后)부터 CP보다 많았다. 7. 분토(盆土)의 온도(溫度)는 증발량(蒸發量)이 많은 분(盆)일수록 낮았으며, 분종류(盆種類)에 따른 온도차(溫度差)는 주간(晝間)에는 컷으나 야간(夜間)에는 적었다. 8. 분토중(盆土中)의 산소농도(酸素濃度)는 무공성분(無孔性盆)이 CP에 비(比)해 약간 낮았고, 그 차이(差異)는 0.40~1.2%였으며, 산소농도(酸素濃度)의 범위는 17.95~19.62%였다. 탄산(炭酸)깨스농도(濃度)는 무공성분(無孔性盆)이 토분(土盆)보다 높았으며, 농도(濃度)범위는 0.59~1.76%였는데 이 범위의 공기조성(空氣組成)은 식물생육(植物生育)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9. 분토(盆土)의 수분함량(水分含量)과 식물생육간(植物生育間)에는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10. CP에 재배(栽培)한 식물(植物)은 PLP에 재배(栽培)한 식물(植物)보다 지상부중(地上部中)의 총질소함량(總窒素含量)이 약간 많았으며 C/N율(率)이 다소 낮은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結果)로 보아 분내토양공기중(盆內土壤空氣中)의 산소(酸素) 및 탄산(炭酸)깨스농도(濃度)는 분식물(盆植物)의 생육(生育)을 조해(阻害)할 정도로 낮아지거나 높아지지 않아서 분식물(盆植物)의 생육(生育)에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으며, 벽면증발량(壁面蒸發量)의 다소(多少)에 따른 분내토양중(盆內土壤中)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의 변화(變化)가 분식물(盆植物)의 생육(生育)에 가장 큰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informations about evaporation from pot, soil temperature and soil atmosphere composition in pot, and the effect on the growth of nine ornamental species using seven different containers. The investigated containers were clay pot(CP), clay pot painted in green(CP-P), varnished clay pot(CP-V), polyethylene film inserting in clay pot(CP-PI), clay pot mulched with black polyethylene film(CP-PM), porcelain pot(POP), and plastic pot(PLP). Nine ornamental species were balsam(Impatiens balsamina), chrysanthemum(Chrysanthemum morifolium), cosmos(Cosmos bipinatus), English ivy(Hedera helix), geranium(Pelargonium zonale), kochia(Kochia scoparia var. trichophila), marigold(Tagetes patula), ornamental kale(Brassica oleraceae var. acephala), and salvia (Salvia splenden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Dry weight of all tested species grown in PLP, POP, CP-P, CP-V and CP-PI was heavier than that of CP. 2. Plant height in nine tested species grown in PLP, POP, CP-P, CP-V, and CP-PI was taller than that of CP. 3. Geranium grown in PLP, POP, CP-P, and CP-V gave more number of leaf than that of CP. 4. The number of flower in balsam grown in PLP, POP, CP-P, CP-V and CP-PI was more than that of CP. The result from marigold was very similar to this tendency. Spike length and floret number in salvia gave the same tendency, but its spike number was not different among containers used. 5. The average diurnal evaporation from PLP and POP was about 43% of that of CP. About two third of total evaporation from CP was through pot wall. 6. The evaporation rate from the slowest to the highest was PLP, POP, CP-P, CP-V, CP-PI, CP-PM and CP. Containers inhibiting evaporation through pot wall hold more soil moisture than CP from one day after water supply. 7. The more evaporative water-loss from containers gave the lower soil temperature. The variation of soil temperature among containers was higher during the day than the night. 8. The $O_2$ concentration of soil atmosphere in CP was higher than that of nonporous container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as 0.40-1.12%. The range of the $O_2$ concentration 17.95~19.62%. The $CO_2$ concentration of soil atmosphere in CP was lower than that of nonporous containers, and its range was 0.59-1.76%. This deviation in soil atmosphere composition did not influenced on the growth of plants. 9. There was a pos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soil water and the plant growth. 10. Plant grown on CP gave more total nitrogen content in top growth than that on PLP. C/N ratio was somewhat low in plant on CP. From the above results, $O_2$ and $CO_2$ concentration in soil atmosphere did not gave enough deviation to the extent which affect the plant growth. The effect of soil moisture on the plant growth using different containers was the far-most significant factor from this investigation. Therefore, it was obious that the utilization of the nonporous container might save the cost for water supply and reduce the production cost of the pot-grown ornamental plant in Korea eventually.

      • KCI등재

        고구려의 最後와 彗星

        서영교 진단학회 2022 진단학보 Vol.- No.138

        고구려 최후의 전쟁이 막바지에 이른 668년 4월에 혜성이 五車座에 출현했다. 해와 달 그리고 수많은 별자리가 주기적으로 움직이는 우주 공간에서 갑자기 출현한 불청객 혜성은 무엇보다 불길한 계시였다. 唐高宗은 하늘이 자신을 책망하는 징조로 확신하고 근신에 들어갔다. 혜성의 꼬리가 皇帝座인 五車를 칼처럼 겨누고 있지 않은가. 황제는 正殿을 피하고 東廊에 머물렀고, 음식을 줄이고 樂을 정지시켰다. 당시 고구려와 최후의 결전을 앞둔 상태였고, 어떠한 액운이 닥칠지 알 수가 없었다. 唐高宗에게 對고구려 전쟁의 트라우마가 있었다. 아버지 唐太宗에게 물려받은 645년 패전의 유산도 있었지만, 662년 2월 자신이 파견한 군대가 평양에서 엄청난 전사자를 내고 철수 한 적이 있다. 그를 두렵게 만든 다른 현실도 있었다. 666년 唐이 고구려 전쟁에 다시 개입하자 667년 2월에 吐蕃이 唐에 복속되어 있던 生羌 12州를 차지했고, 668년에 靑海 지역으로 쳐들어왔다. 또한 같은 해 吐蕃이 타림분지의 동남쪽 且末에 요새를 건설하여 唐이 경영하고 있던 실크로드(天山南路)에 대한 침공을 예고했다. 그 와중에 許敬宗이 唐高宗을 찾았다. “하늘 별자리(上玄星象)의 모습이 고구려에 찾아든 재앙의 징조로 보입니다(見彼咎徵).” 『삼국사기』를 보면 혜성이 五車座에서 天船座로 이동했던 것이 확인된다. 그래도 唐高宗은 긴장을 늦추지 못했다. 고구려인들에게도 그 천체는 종말의 징조로 보였다. 665년 연개소문이 죽은 직후 그 아들들 사이에 내전이 터지자 만주에 산재하는 고구려 城들 가운데 많은 수가 누구에게 복종하고 세금을 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어려웠다. 누구의 편에 속하지도 않으면서, 사태를 관망하는 城들이 생겨나면서, 광대한 회색지대가 형성되었다. 666년 내전의 상황에서 唐이 개입하자 상황은 더욱 복잡해졌다. 불확실한 현실에서 城들은 살아남아 자신들의 터전을 보전하는 것이 목적이 되었고, 색깔은 중요하지 않았다. 그러한 가운데 668년 2월 薛賀水에서 唐軍이 男建의 고구려 주력군 5만을 궤멸시켰고, 두 달 후인 4월에 혜성이 출현했다. 저항 의지에 큰 타격을 줄 그 천체가 만인들에게 목격되었다는 것 자체가 고구려에 액운이 끼였다는 것을 의미했다. 李他仁의 墓誌銘과 高質의 墓誌銘에 그 별(星)은 亡國의 징조로 기록되어 있다. 李他仁은 梁水之一星을 보고, 高質은 저녁에 떨어질 듯이 보이고 새벽에 가스(毒霧)를 내뿜는 혜성을 보고 唐에 투항했다고 한다. 高子, 高足酉, 高玄 등도 唐에 붙었고, 투항의 물결이 이어졌다. 兩唐書 契苾何力傳을 보면 668년 최후의 평양성 전투에 그가 50만의 蕃漢兵을 이끌었다고 한다. 여기에 대규모 고구려인 降兵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 없다. 고구려 종말의 默示를 받은 그들은 조국을 몰락시키기 위해 휘하의 병력을 데리고 唐軍과 함께 진군했다. 668년 9월 평양성이 함락되고 고구려가 멸망했다.

      • KCI등재

        퇴적물속도측정기를 이용한 대한해협 사질퇴적물의 음향특성

        서영교,김대철 한국음향학회 2000 韓國音響學會誌 Vol.19 No.3

        사질퇴적물의 함량이 높은 대한해협 퇴적물에 대해 새로운 음파전달속도 측정 장비(sediment sound velocimeter)를 이용 음파전달속도와 물리적 성질을 측정하여, 연구지역의 지음향 및 물리적 특성을 제시하였다. 연구지역 퇴적물의 물성 및 음파전달속도 변화는 조직의 변화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음향 및 물성 값을 바탕으로 연구지역을 3개 지역(provinces; mid-shelf, shelf margin and trough)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탄성파 단면 분석을 통해 시스템 트랙과 퇴적계로 지역구분한 기존의 결과[14]와 잘 일치한다. 연구를 통해 새롭게 제시된 3개 지역의 지음향모델은 Briggs and Fischer[5]가 제시한 기존의 대한해협 지 음향모델의 수정모델로 제시한다. Laboratory determinations of acoustic and physical properties in Korea Strait sediment were carried out. Sediment sound velocimeter(SSV) was employed to measure the sound velocity of sandy sediment.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acoustic and physical properties are controlled by sediment texture. The study area is divided into three provinces(mid-shelf, shelf margin and enough) based on the acoustic and physical properties. This classification matches well with the previous result[14] based on the systems tracks and depositional systems. We suggest a geoacoustic model of the Korea Strait that replacing the old model of Briggs and Fisher[5].

      • KCI등재

        고구려 기병과 등자 -고구려 고분벽화를 중심으로-

        서영교 역사학회 2004 역사학보 Vol.0 No.181

        On May 436, Koguryô(高句麗) troop stood face to face with Northern Wei`s(北魏) for occupying Hwa-ryong(北燕 和龍城-the Capital of Northern Yan). Koguryô entered the city and seized control of the place first. Koguryô plundered the town and armory. Without delaying, they withdrew toward east and captured the Emperor and people of Northern Yan. At that time, the two armies were in very imminent situations, there were no direct battle. After all Northern Wei gave up chasing and turned back. As a result of the situation, the high-ranking officials, generals and people were brought in Korean society. It seemed that stirrup might flew in the time too. Inflow of Northern Yans army in 436, improved Korean military power. Northern Yans cavalry incorporation was the decisive factor. Northern Yan was the country that succeeded to Later Yan(後燕), established by Xianbei(鮮卑). There were many horseman groups who were good at riding horse. After 436, the tensions between Koguryô and Northern Wei has continued, there were some possibility of surprising attack by large-scale Northern Wei`s cavalry. To Goguryeo, the large-scale cavalry has became the core subject to survive in that times. Reflecting these atmosphere, it is no surprise that having a stirrup(鐙子) could made people ride horse easily in Koguryô. It was unavoidable due to the condition, being threatened by Northern Wei and inflow of soldiers and weapons of Northern Yan.

      • 遣高句麗使 阿倍狛比等古臣-『續日本紀』에 보이는 阿倍狛秋麻呂의 請本姓과 관련하여-

        서영교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2 한국고대사탐구 Vol.12 No.-

        Koguryeo(高句麗) in 570’s four years three times dispatched envoys to Japan(倭國), but ended without results. Suddenly in 595, Koguryeo monk, Heja(慧子) arrived in Japan, and became a teacher of holiness fetuses Prince(聖德太子). Koguryo civilization rapidly came to Japan, Koguryeo’s political influence has increased in Japan. There are spaces for 20 years between the two periods. On the record of the posterity, Around 587 years the Japanese envoys were dispatched to Koguryeo. The two countries are not suddenly closer. Precedence of diplomatic negotiations would exist. 711 December AhbaeKoma(阿倍狛) Aki-Maro(秋麻呂) petition to the Emperor of Japan(天皇) to find their original Family name Ahbae(阿倍). Because his Grandfather(阿倍比等古臣) envoy to Koguryo, their Family name caught Koma(狛), an ancient Japanese-style notation which means Koguryeo. It is revealed that Japan’s envoy dispatched Goguryeo in 587. In 580 late Koguryo and Japan’s negotiation records reflect that had been missing. 570-4년 고구려는 왜에 3회에 걸쳐 사신을 파견했지만 무위로 끝났다. 그런데 595년 고구려 승려 혜자가 왜국에 와서 성덕태자의 스승이 되었다. 이후 왜국에 대한 고구려의 영향력이 갑자기 증대되었을 뿐만 아니라 고구려의 문물도 급격히 들어왔다. 그 중간에 20년 동안 교섭에 관한 기록 공백이 존재한다. 그러나 『續日本紀』를 보면 용명천황(585-7)대 遣高句麗使 기록이 보인다. 711년 12월 阿倍狛秋麻呂가 元明天皇에게 자신의 本姓 阿倍를 찾고자 청원하면서 그 기록이 드러났다. 曾祖父인 比等古臣이 고구려에 사신을 다녀오면서 그 姓이 阿倍狛이 되었다고 했다. 그 시기 왜와 고구려의 교섭기록들이 『日本書紀』에서 누락되었던 것을 반영한다. 691년 8월 일본 조정에 들어간 18개 귀족의 家傳 기록 가운데 阿倍氏의 그것도 있었다. 당시 阿倍氏를 대표하는 正宗은 阿倍御主人(635年 - 703年)이었다. 阿倍狛은 阿倍氏 本家에서 6세기 말에 분지되었을 것이며, 阿倍狛秋麻呂의 증조부인 比等古臣의 고구려 使行에 대한 기록은 阿倍臣御主人이 조정에 올린 阿倍氏의 家傳에서 빠져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用明天皇(585-7)대 遣高句麗使는 왜의 교섭 필요성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생각된다. 587년 4월 전염병에 감염된 용명천황이 불교에 귀의할 것을 원했고, 불교수용문제를 공론화했다. 그러자 物部守屋이 홀로 적극 반대했고, 그는 조정에서 고립되었다. 불교의 수용으로 전염병이 진화되기를 바라던 조정의 사람들 대부분이 찬성을 한 셈이다. 이전부터 物部氏와 蘇我氏는 불교 문제로 대립했다. 이제 그 대립이 유혈 충돌로 비화되려하고 있었다. 587년 6월 物部守屋은 자신의 근거지로 물러나 蘇我氏를 중심으로 한 귀족연합세력의 공격에 대비하고 있는 와중이었다. 蘇我氏가 주도권을 잡기 시작한 이후 눌려있었던 불교문화에 대한 사람들의 수요가 고개를 들었다. 6월 8일 백제사신이 왜국에 오자 善信阿尼 등은 蘇我馬子에게 백제로의 유학을 청했다. 그러자 蘇我馬子는 직접 백제사신에게 그것을 부탁했다. 그는 불교를 수입하려는 사람들을 적극후원했다. 이는 용명천황대 阿倍狛比等古臣의 고구려 使行 시기·목적과 관련하여 중요한 암시를 주고 있다. 物部氏와 대결 중인 그는 불교 수용기치 아래 조정의 사람들을 결집시키기 위해 한반도로부터 金銅 佛像과 佛具, 經典 등 불교문화자원의 수입이 필요했다. 보다 다양하고 양적으로 풍부한 불교문물 수입하게 위해 지금까지 접촉이 많지 않았던 과거의 적국 고구려와도 접촉을 시도했을 것이다. 587년 7월 무력대결이 벌어졌고 大臣인 蘇我氏가 大連인 物部氏를 제거했다. 蘇我氏의 독단적인 체제가 만들어졌고, 불교 수입은 급물살을 탔을 것이다. 고구려 평원왕대 수의 중국대륙 통일이 눈앞에 있었다. 신라를 견제해줄 수 있는 왜국, 그 사신의 고구려 도착은 평양 조정에 호재가 되었을 것이다. 불교수입을 원하는 蘇我氏와 평원왕의 이해가 맞아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589년 수의 중국 통일은 양국의 교섭을 더욱 증폭시켰을 것이다. 활발한 교습의 흔적은 阿倍狛·大半狛 등 왜국의 고구려외교 전담 성씨에서도 나타난다.

      • KCI등재

        연개소문의 對설연타 공작과당태종의 안시성 撤軍 - 『資治通鑑』 권198, 貞觀 19년 8·12월조 『考異』의 「實錄」 자료와 관련하여 -

        서영교 동북아역사재단 2014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4

        In 645 war broke out between Koguryo and Tang China. That year, Tang annihilated the Koguryo army of 150,000 at Mt. Jupil. Then the Koguryo ruler Yeon Gaesomun sent an envoy to Mongolia, where Xue Yantuo was experiencing financial difficulties. The Koguryo envoy promised the Khan great profits. The Khan’s state of health worsened. However, his son had a military force. Koguryo must bribe his son. In the seventh month of 645, the Khan’s army invaded Tang China. However, due to the death of the Khan, the army withdrew from Ordos China. In the Koguryo-Tang war there was a lull from late in the sixth month to early in the eighth month in 645. During this period, Koguryo had time to reorganize its military. 1n the eighth month China attacked the Koguryo army but Ansi Castle (安市城) did not fall. At the funeral, a coup occurred, with the winner taking charge of seizing Xue Yantuo. In the ninth month Taizhong heard the information regarding Koguryo. He withdrew from Koguryo because the new ruler of Mongolia would invade China again. Yeon Gaesomun led diplomacy that succeeded in Mongolia and the Chinese army withdrew from Koguryo. 645년 고구려와 당나라와 전쟁이 벌어졌다. 그해 6월 당태종이 고구려 중앙군 15만을 대파했다. 그러자 연개소문은 설연타의 진주가한을 매수하기 위해 사신을 몽골리아에 보냈다. 당시 설연타는 당태종의 딸과 혼인 파기로 막대한 경제적 손해를 보았고, 부하들의 이탈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고구려의 사신이 설연타 진주가한의 牙帳에 도착해 厚利를 제안했다. 가한은 臥病으로 누워있었다. 군사력은 그의 두 아들이 가지고 있었다. 결과는 고구려가 원하는 방향으로 돌아갔다. 645년 7월에 설연타가 당의 수도권과 인접한 오르도스를 침공했고, 夏州까지 남하여 전투가 벌어졌다. 직후 진주가한이 사망하자 설연타군은 철수했다. 6월 23일에서 8월 10일 사이에 당군은 안시성을 공격하지 않았다. 고구려는 전열을 재정비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을 가졌다. 8월 당태종은 안시성에 대한 공격을 본격화 했지만 안시성은 함락되지 않았고, 신성과 건안성의 고구려 병력이 10만에 달했다. 한편 설연타 진주가한의 장례식에서 정변이 일어났고, 승리자인 적자 발작이 설연타의 全部衆을 장악하고 가한으로 바로 즉위했다. 설연타의 왕위계승이 장기적 내전으로 가리라 여겼던 당태종의 예상이 빗나갔다. 9월 7일 그는 진주가한의 죽음에 애도를 표한 후 18일 고구려에서 철수하여 내몽골로 향했다. 설연타가 당을 재침하려 하고 있었다. 연개소문의 공작 성공으로 전선은 고구려의 안시성에서 몽골리아로 옮겨갔다.

      • KCI등재

        新羅 次妃의 실체와 파국의 庶子王

        서영교 진단학회 2023 진단학보 Vol.- No.140

        The three second queens shown in the “Three Kingdoms Sagi" were the basis for the Silla Queen's Vengeance. However, in Silla, only the children of one queen's son succeeded to the throne, and the offspring of the second queen were not heirs. According to “Samguk Yosa”, Chabi(the second queen) had no existence. she was a concubine. Heredity was a companion to monogamy. In 847, King Munseong adopted a son born by his wife as his prince. However, the prince died in 852. In 857, King Munseong passed over the throne to his uncle. In 861, King Heonan (857-861) inherited the throne his cousin, King Gyeongmun (son-in-law). In 872, King Gyeongmun took his wife's Sister. According to Stone Lanterns in Damyang Province recorded by Queen Jinseong in October 891, his father was King Gyeongmun, his mother was Empress Moon, and his aunt, who lived as his father's concubine, was called Daerangju(大娘主). Compared to the empress, the title is too inferior. According to “Samguk Yosa”, three brothers (King Heongang, King Jeonggang, and Queen Jinseong) born by Empress MunUi , the wife of King Gyeongmun, succeeded to the throne one after another. Only one wife's son succeeded to the throne. This was because Silla's Golpum(骨品制) was built on the basis of monogamy. However, in 897, Queen Jinseong handed over the throne to King Hyogong, the illegitimate son of her brother King Heongang. What does the appearance of a Concubine-born king mean in Silla history? In 889, a nationwide peasant revolt broke out. There was a universal struggle against all. The years of death came, the economic foundations of kings and nobles collapsed, and everyone who survived became poor. It didn't matter who the king was in the ruined country. His succession to the throne meant the collapse of the Silla kingdom. 『삼국사기』에 보이는 3명의 次妃는 신라 왕비 복수제를 상정하기 충분한 근거였다. 하지만 신라는 진성여왕 대까지 1인 正妃 소생의 자식들만이 왕위계승을 했으며, 次妃의 소생이 왕위를 상속받은 기록이 보이지 않는다. 여러 자료를 종합해 볼 때 次妃는 고위 후궁(妾)이었다. 842년 3월 문성왕은 청해진을 무력화시킨 金陽의 공을 인정하여 그의 딸을 次妃로 맞이했다. 앞서 왕은 唐 황제로부터 책봉을 받은 正妃 박씨를 두고 있었다. 847년 문성왕은 正妃 소생의 아들을 太子에 책봉하여 후계 구도를 분명히 했다. 하지만 852년에 태자가 사망했다. 이때 次妃 소생의 아들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는 상속의 대상이 아니었다. 857년 문성왕은 고령의 숙부(憲安王)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861년 아들이 없던 헌안왕(857-861)은 6촌 동생이자 사위인 膺廉에게 왕위를 상속해 주었다. 방계상속은 一夫一妻制의 동반자였다. 즉위 3년(872)에 경문왕은 正妃인 영화부인의 동생을 次妃로 삼았다. 891년 10월에 새겨진 開仙寺石燈記 작성 주체인 진성여왕(즉위 5년)이 죽은 아버지를 景文大王, 正妃인 어머니를 文懿皇后(영화부인), 그리고 (이모인) 次妃를 ‘大娘’이라고 지칭했다. 皇后에 비해 大娘의 칭호는 너무 격이 떨어지며, 이것이 次妃의 실체이다. 『삼국유사』왕력 진성여왕 조를 보면 경문왕의 正妃 文懿皇后의 소생 3남매(憲康王-定康王-眞聖女王)가 연이어 왕위를 계승한 것을 알 수 있다. 正妃 1인 소생 자식들만이 왕위를 계승했던 것은 骨品制가 一夫一妻制의 바탕 위에 세워져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변화가 찾아왔다. 897년 진성여왕은 오빠 헌강왕의 사생아인 孝恭王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신라사에서 非眞骨 庶子王의 등장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앞서 진성여왕 3년(889) 전국적인 농민반란이 일어났다. 신라 땅에서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이 벌어졌다. 죽음의 세월이 도래하였고, 신라의 왕과 진골들의 사회적 권위는 물론이고 경제기반이 무너졌다. 최상층의 존재 의미가 감퇴 된 상황에서 그들이 골품제를 고수할 수도 없었고, 사람들이 골품제를 따를 이유가 없어졌다. 실질적으로 망한 나라에 어떤 자가 왕이 되던 상관이 없었다. 미증유의 파국으로 골품제가 붕괴한 이후에 庶子가 왕위를 계승했다.

      • KCI등재

        李勣의 騎兵과 ‘長槍兵’ -주필산 전투를 중심으로-

        徐榮敎 동아시아고대학회 2015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9

        주필산 전투에서 당군의 병종 구성에 대하여 舊唐書는‘李勣率 步騎 1만 5천, 長孫無忌 精兵 1만 1천, 太宗 步騎 4천’으로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같은 기록을 전하는 冊府元龜는‘李勣은 勖騎 1만 5천, 長孫無忌는 精兵으로 奇兵을 삼은 1만 1천, 太宗의 會騎 4천’으로 기록하고 있다. 장손무기의 그것은 모두 공통점이 있지만 이적과 태종의 병종에는 각각 步騎와 騎兵으로 확연한 차이가 보인다. 舊唐書는 한결 같이 이적의 병력이 步騎 1만 5천이라 하고 있다. 그렇다면 주필산 전투에 동원된 당군 대부분이 기병이며, 이적의 병력이 勖騎 1만 5천이라고 전하는 冊府元龜의 기록이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을까. 641년 12월 이적 휘하 돌궐 기병이 설연타에 대한 선제공격을 시작했다. 하지만 패퇴했다. 이적이 설연타 기병을 막아서자, 화살이 쏟아졌고, 이적 기병은 말을 상실했다. 이적이 기병들에게 말에서 내려 보병의 진을 치게 했다. 수백 명이 대오를 지어 장창을 적을 향해 세웠다. 설연타의 기병들이 다가 오는 와중에 이루어진 신속한 騎步 전환이었다. 설연타 기병이 장창에 부딪치어 潰散했다. 장창의 벽에 부딪친 설연타의 기병이 기동력을 상실하자 당군의 역습이 시작되었다. 설만철이 수천의 기병들을 이끌고 설연타의 집마자들을 급습해 그 말들을 거두었다. 설연타군이 말을 잃고 흩어졌다. 당군과 설연타가 모두 말에 내려서 전투를 하는 하마보투가 일반화된 시대였다. 당태종 당시 기병 전술의 발달은 극한에 가 있었다. 전장에서 기병은 말 위에만 있지 않았고 시시각각 변화하는 상황에 대응하여 말에서 내리기도 하고 기승하는 훈련이 되어 있었다. 舊唐書와 冊府元龜는 서로 충돌하는 기록이 아니다. 주필산 전투에 참전한 이적의 기병 1만 5천 가운데 1만은 상황에 따라서 보병으로 전환할 수 있는 훈련이 되어 있었다. 이적은 지극히 보병적인 장창의 전술을 기병에 접목시켰다. 보병의 단점인 기동성 결여를 극복하면서도 중요한 순간에 보병의 강점인 정적인 위력을 발휘할 수 있게 했던 것이다. 太宗의 會騎 4천도 보전 훈련을 받은 기병이며, 長孫無忌 奇兵 1만 1천도 그러한 기병으로 여겨진다. 급격하게 고구려를 3면에서 포위공격해야 하는 당의 입장에서 기병이 아니면 작전 자체가 어렵다. During the time of Tang Tai-tsung, cavalry tactics were highly developed. In the battlefield, cavalry troops were not only on horses. The training included dismounting in response to the conditions. Thus, the battlefield cavalry was on horseback to respond to ever-changing situations and even dismounted frequently. In 645, General Lijik’s cavalry fought in the Battle of Goguryeo. The cavalry had been trained to operate as an infantry division,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cavalry was trained to switch to a spear infantry operation.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