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리나라의 최근 급성 B형 간염의 발생양상의 변화

        장윤정 ( Yun Jung Chang ),백수정 ( Soo Jung Baek ),오성남 ( Sung Nam Oh ),안수현 ( Soo Hyun Ahn ),김윤홍 ( Yoon Hong Kim ),정길만 ( Gil Man Gung ),연종은 ( Jong Eun Yeon ),변관수 ( Kwan Soo Byun ),이창홍 ( Chang Hong Lee ) 대한소화기학회 2002 대한소화기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02 No.-

        <목적> 우리나라 청소년충의 B형간염바이러스(HBV) 보유율은 과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는데 (20세 이하 1.6%, 중고생 1.9%) 이는 B형간염예방백신 도입과 전신생아 예방접종 시행의 결과이며 우리나라 5-6세 아동의 백신접종율이 98.5% 이상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근래 급성B형간염의 발생빈도가 청소년층에서는 급격히 감소되었을 것과 백신접종 전세대인 30대 전후에서 주로 발생될 것이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HBV 보유자들은

      • 통계청 근무자를 위한 한국판 직무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윤현주(Hyun Ju Yun),윤보현(Bo-Hyun Yoon),정유란(Yu Ran Jeong),임형문(Hyung-Moon Lim),백수정(Soo Jung Baek),오수정(Soo Jung Oh),조성덕(Sung-Duk Jo),최고은(Ko-Eun Choi),정숙인(Suk-In Jung),강다영(Da Yung Kang),시영화(Yung-Hwa Sea),송제헌(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6 사회정신의학 Vol.21 No.2

        목 적 : 본 연구는 통계청 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통계청의 직무에 특이적인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고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방 법 : 호남 지역 통계청에 근무하는 남·여 4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기본으로 하고, 예비연구를 통해 문항이 새롭게 보강된 ‘통계청 근무자를 위한 한국판 직무스트레스 척도’(이하 통계청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단축형 일반건강척도(GHQ-12),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 삶의 만족도 척도(SWLS)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통계청 직무스트레스 척도 문항에 대한 내적 일치도, 탐색적 요인분석 및 정신건강관련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모든 분석은 SPSS 21.0을이용하였다. 결 과 : 개발된 척도의 문항 내적 일치도는 우수한 편이었다(Cronbach’s alpha=0.56-0.79). 통계청 직무스트레스 척도의 요인분석 결과 직무특성 및 감정노동, 직무적성 및 만족, 조직문화, 상사리더십, 조직 내 관계, 업무부담, 공정한 대우, 급여 및 복지 등 8개의 요인이 선택되었다. 최종적으로 구성된 통계청 직무스트레스 척도와 정신건강관련 척도와의 상관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5). 결 론 : 본 연구에서 개발된 통계청 직무스트레스 척도는 통계청 업무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어 통계청 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 평가 및정신건강 증진에 유용할 것이다.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the National Statistics Office Workers (KOSS-NSOW) an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job-specific stress scale. Methods : A total of 480 subjects who were working at the Honam National Statistics Office were included. They completed the preliminary KOSS-NSOW, the 12-item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GHQ-12), Symptom checklist-90-Revision (SCL-90-R), Satisfaction with the life scale (SWLS). The Data were analyzed for internal consistency, factor structure and correlations using SPSS 21.0 (p<0.05). Results : KOSS-NSOW’s internal consistency using Cronbach’s alpha was superior (Cronbach’s alpha=0.56-0.79). The factor analysis revealed eight-factor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labor, Occupational aptitude and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ulture, Leadership of superior, Relationship in organization, Workload, Fair treatment, Salary and welfare were. A good validity was clearly shown b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KOSS-NSOW and GHQ-12, SCL-90-R, SWLS (p<0.05). Conclusion : This newly developed KOSS-NSOW might be useful instrument for the evaluation of occupational stress in the statistics workers and for improving mental health.

      • SCOPUSKCI등재

        만성 B형 간염에서 라미부딘 치료중 발생한 Viral Breakthrough 예의 임상 결과

        안수현,장윤정,오성남,최도원,백수정,정원석,최창원,김경오,임형준,조남영,박종재,김재선,박영태,이명석,연종은,변관수,이창홍 대한간학회 2002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8 No.4

        목적: 만성 B형 간염의 치료 중 발생하는 약제 내성 변이종은 임상적으로는 치료 중 음전되었던 혈청 HBV DNA가 다시 양전되는 viral breakthrough 로 진단할 수 있다. 현재 약제 내성 변이종이 발생했을 경우라도 라미부딘 치료를 계속 유지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으나, viral breakthrough 발생 예들의 장기적 임상경과가 아직도 불명확하여 이것을 일반화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라미부딘 사용 중 viral breakthrough 가 발생한 예들을 대상으로 그 임상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9개월 이상 라미부딘을 투약한 만성 B형 간염 환자로 viral breakthrough가 발생한 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남/여 54/20, 평균연령 42세). Viral breakthrough 후 혈청 ALT치, 총 빌리루빈치, HBV DNA 역가, HBeAg, anti-HBe를 정기적으로 검사하면서 임상경과를 관찰하였다. Viral breakthrough 후 라미부딘의 투약기간은 평균 13개 월(1-41개월)이었다. 결과: Viral breakthrough 발생후 혈청 ALT치가 정상으로 유지되었던 환자는 8예(11%)에 불과했고 나머지 66예(89%)에서는 ALT치가 증가하였으며, 이중 30예(41%)에서 급성 악화(ALT 정상 상한치의 5배 이상 상승)를 보였다. 급성악화는 viral breakthrough 후 3개월 내에 19예 (63%)에서 발생하여 3개월 내에 발생한 예가 많았으나 12개월 이상 지나서 나타나는 예도 약 20%에서 있었다. 비대상성 악화는 6예에서 관찰되었다. Viral breakthrough 후 급성악화가 일어난 예와 없었던 예의 비교에서 급성악화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는 발견할 수 없었다. Viral breakthrough 후 발견할 수 없었다. Viral breakthrough 후 HBeAg이 음전된 예는 8예(11%)였으나 그 임상경과는 양호하지 않았다. 결론: 만성 B형 간염 환자 에서 라미부딘 투여 중 발생한 viral breakthrough 예 중 상당수에서 급성악화가 발생하였으며, HBeAg 이 소실되더라도 그 임상경과는 양호하지만은 않았다. Viral breakthrough 발생 후 주의 깊은 임상경과 의 관찰이 요구되며, 앞으로 viral breakthrough 후 급성악화 예에 대한 대규모 연구와 적절한 치료방향의 제시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Long-term lamivudine therapy can induce the emergence of lamivudine resistant hepatitis B virus (HBV) mutants. Clinically emergence of the mutant is expressed by the reappearance of disappeared HBV DNA in serum. Continued lamivudine treatment has been usually recommended in cases of viral breakthrough. However, the clinical outcome in patients with viral breakthrough is not clea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ourse of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after viral breakthrough during lamivudine therapy. Methods: A total of 74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who showed viral breakthrough after at least 6 months of lamivudine treatment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y had positive HBeAg and HBV DNA before treatment.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after breakthrough was 13 months. Results: After viral breakthrough, only 8 patients (11%) maintained normal ALT levels and 66 patients (89%) showed elevation of ALT. 30 patients (41%) showed acute exacerbation of hepatitis (ALT increase over five-times upper normal limit). These acute exacerbations occurred within three months after breakthrough in 19 patients (63%). In the cases of acute exacerbation, 6 patients showed decompensated progression such as elevation of serum total bilirubin. One of them died of hepatic failure. A predictive factor for acute exacerbation was not found. HBeAg seroconversion occurred in 8 patients after viral breakthrough but their clinical course was highly variable. Conclusions: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who had viral breakthrough during lamivudine therapy should be followed carefully and regularly in mind of potential clinical deterioration. New strategies are needed to manage the cases of acute exacerbation after viral breakthrough.(Korean J Hepatol 2002;8:389-396)

      • HbeAg 음성인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라미부딘 투여중 Viral Breakthrough의 발생 빈도

        장윤정,임정윤,조남영,최창원,백수정,안수현,최도원,권용대,김선숙,권오상,김주현,연종은,송진원,변관수,이창홍 대한간학회 2002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8 No.4

        목적: 라미부딘 치료는 HBeAg 양성 만성 B형 간 염환자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 장기간의 치료효과와 BT의 발생률은 아직 확실치 않다. 이에 HBeAg 존재유무에 따른 BT의 발생률을 비교하고 BT의 발생과 YMDD 변이종의 출현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최소한 9개월이상 라미부딘을 투여받은 만성 B형 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HBeAg 양성군은 205명, HBeAg 음성군은 49명이었다. 라미부딘 치료기간은 HBeAg 양성군 176개월, HBeAg 음성군은 155개월으로 양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YMDD 변이종은 RFLP 분석과 직접 염기서열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결과: 대상 군의 임상적 특성은 HBeAg 음성군이 양성군에 비해 나이는 더 많았고(43±9세 vs. 39±10세; p<0.05) 치료전 HBV DNA 역가가 낮았다(670±1499 vs. 1877±5168 pg/ mL; p<0.01). 치료 12개월, 24개월 의 누적 BT 발생률은 HBeAg 양성군에서는 12%, 39%였으며 음성군에서는 0%, 7%로서 음성군에서의 발생율이 양성군에 비하여 낮았다(p<0.01). 다변량 분석으로 확인한 BT와 관계있는 유일한 인자는 HBeAg의 존재 유무였다(p<0.05). YMDD 변이종은 HBeAg 유무에 관계없이 BT가 발생한 모든 예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나 BT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서 YMDD 변이종의 발생률은 HBeAg 양성군보다 HBeAg 음성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14.3% vs. 50.0%; p<0.01). 결론: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염 환자에서의 라미부딘 치료는 YMDD 변이종이 발생 하여도 BT 발생 빈도가 낮아서 라미부딘의 지속적인 치료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Aims: Long-term efficacy and the rate of viral breakthrough in patients with HBeAg- negative chronic hepatitis B receiving lamivudine therapy is uncertai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ate of viral breakthrough according to the HBeAg status and the relation of viral breakthrough with YMDD mutants. Methods: Two hundred and five patients with HBeAg-positive and 49 patients with HBeAg-negative chronic hepatitis B, who had received lamivudine for at least 9 months, were included. The mean durations of the lamivudine treatment were 176 months and 155 months in HBeAg-positive and negative patients, respectively. Analysis of HBV genome for YMDD mutations was performed by restriction-fragment-length polymorphism assay and direct sequencing. Results: While the cumulative rates of viral breakthrough at 12th and 24th months of the lamivudine therapy were 0% and 7% in the HBeAg-negative group, they were 12% and 39% in the HBeAg-positive group. The cumulative rate of viral breakthrough in the HBeAg-negativ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HBeAg-positive group (p<0.01). In multivariate analysi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related to viral breakthrough was the HBeAg status (p<0.05). The YMDD mutants were detected in all patients with viral breakthrough irrespective of HBeAg status. However, in patients without viral breakthrough, the rate of YMDD mutan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BeAg-negative group than in the HBeAg-positive group (13.3% vs 5.1%; p<0.01). Conclusions: Lamivudine is expected to be more persistently effective in HBeAg-negative chronic hepatitis B because of a lower viral breakthrough rate than in HBeAg-positive chronic hepatitis B in spite of the emergence of YMDD mutants.(Korean J Hepatol 2002;8:397-40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