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1980년대 사교육 금지의 장기적 효과

        최정원 ( Jeongwon Choi ),김진영 ( Jinyoung Kim ) 한국노동경제학회 2022 勞動經濟論集 Vol.45 No.4

        1980년대의 사교육 전면금지는 대상 세대의 인적자본 축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광범위한 정책이었다. 본 연구는 이 정책이 금지 대상 세대의 장기적 노동시장 성과에 미친 효과를 분석한다. 사교육 전면금지 조치 전후 시기에 고등학교를 다닌 출생 코호트를 비교 분석한 결과, 사교육이 금지되었던 코호트의 근로소득과 임금이 사교육이 가능했던 코호트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금지 대상 세대 여성의 경우 경제활동참가율과 근로시간도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미관측 설명변수에 의한 추정 편의를 고려한 Oster(2019)의 방법론을 적용하거나 졸업정원제의 효과를 고려하여도 금지 세대의 노동시장 성과에 대한 부정적 효과는 사라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 같은 단기적 금지정책이 장기효과를 가질 수 있는 몇 가지 메커니즘에 대해서 논의한다. This paper analyzes long-term effects of the private tutoring prohibition policy in the 1980's on labor market performances. Comparing two cohorts who attended a high school before and after the complete ban on private tutoring, we find that the monthly income and wage of the latter cohort were permanently lower than those of the former cohort, and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work hours were adversely affected among the women in the latter cohort. Our findings are robust even when we apply the Oster’s correction method for unobserved compounders or consider an independent effect from the expansion policy on the college freshman size which was implemented concurrently with the private tutoring ban. We provide several possible mechanisms through which a temporary policy on private tutoring can have long term effects on labor market outcomes.

      • 중학교 인공지능 교육 콘텐츠 개발

        최정원(Jeongwon Choi),김정남(Jeongnam Kim),김형기(Hyeongi Kim),박광현(Kwanghyun Park),서성원(Seongwon Seo)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5 No.1(A)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이 사회의 전반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 기대되면서 학교교육에서의 인공지능 소양 교육 또한 강조되고 있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교육에서 또한 제 역할을 할 때 미래 사회를 이끌어 가기 위한 인재 양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수준에서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콘텐츠를 개발함에 있어 그 방향과 내용,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중학교 인공지능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고려해야 하고, 중학교 수준에서 사용 가능한 도구가 갖는 기능에 의존적일 수밖에 없는 점을 감안하여 개발하였다. 또한 앞으로 보다 건설적이고 효과적인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방안으로 도구가 갖는 기능의 확대, 국가 교육과정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 2022 개정 교육과정을 고려한 중학교 교수학습 방향

        최정원(Jeongwon Choi)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2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6 No.1

        2022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교과의 내용을 모두 가르쳐야 한다는 것에서 벗어나 학생이 자신이 학습해야 하는 것들에 대해 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줄 것을 강조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역량은 교과의 지식, 기능, 가치·태도가 통합된 것으로 교과 맥락 뿐 아니라 실생활의 다양한 맥락에서도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역량을 기르는 교육을 지향하기 위해서는 2015 정보 교육과정을 토대로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학습 주도성을 강화하기 위한 문제해결 경험 확대, 초중고 위계를 갖춘 체계적인 정보 교육 지향, 보편적인 정보 교육, 최신 핵심 기술 반영, 학습 선택권 보장을 꼽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교수학습에서 학습자가 쉽고 재미있게 시작할 수 있어야 하고, 왜 배워야 하는지 필요성을 통해 동기를 유발한 후 학습 욕구가 지속되도록 해야 하며, 배워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깨닫고 경험이 경험으로 끝날 게 아니라 학습으로 전이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게다가 자신감, 인내력, 저항력, 의사소통능력 등과 같은 컴퓨팅 사고력에 필수적인 성향과 태도를 기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학생 활동 중심의 기반이 되는 개념 및 원리 학습을 탄탄하게 다지는 방법 마련도 준비되어야 하다.

      • KCI등재

        이토 세이 문학과 문화전이로서의 번역

        최정원 ( Choi Jeongwon ) 한국비교문학회 2017 比較文學 Vol.0 No.73

        본 연구는 일찍이 일본에 서구 모더니즘을 소개하고 신심리주의(新心理主義)를 제창한 문학평론가이자 소설가, 번역가, 또한 시인인 이토 세이(伊藤整 1905~1969)의 다방면에 걸친 문학 활동 중 번역활동에 주목하였다. 이토 세이라는 번역자가 원전(Ulysses,1922)의 번역에 의해 경험하게 되는 문화번역 과정은 소설가 이토 세이의 신심리주의 실험작이라는 재창조의 결과물(문화전이)로 완성된다. 이토 세이는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즈』 번역을 통해 자신의 문학적 영토(홋카이도)를 새로운 시각으로 마주하게 되었으며, 『율리시즈』에 나타난 식민지 문화를 이토 세이 자신도 그의 소설 창작에서 발현시킨다. 원전을 번역하는 과정은 번역자의 세계관과 사회, 문화적 배경이 무의식적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번역자의 문화이해능력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이토 세이의 번역행위가 언어적 의미만을 전달하는 단순번역이 아니라 문화전이의 과정임을 증명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번역자 이토 세이의 언어능력과 원전(율리시즈)의 문화에 대한 탁월한 이해능력에 중점을 두면서 최근의 탈식민지연구에서 주목하는 호미바바의 문화번역이론을 대입하여, 『율리시즈』 번역과정에서 촉발되어 창작된 이토 세이 소설이 성공적인 문화전이의 사례임을 논하였다. 또한 다른 문화와의 충돌은 파괴가 아닌 융화와 재창조(re-creation)라는 번역의 본질적 의미를 실천한 이토 세이의 문학적 위상을 재정립하려하였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ranslation activity of Sei Ito (1905~1969), who translated and introduced European modernism theory to Japan in the early stage, among various literary activities, as a literary critic who insisted on neo-psychologism(新心理主義) as well as a novelist, translator, and poet. Cultural clash that went through Sei Ito's translation process of the original (Ulysses, 1922) was completed with the output of Sei Ito's neo-psychologism experimental novels. Sei Ito faced Hokkaido, his own literary realm, with a new viewpoint through translation of James Joyce's Ulysses, expressing colonial culture in Ulysses in his own novel creatio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original text is unconsciously reflected with the translator's Weltanschauung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accordingly, cultural competence of translator is significant. This verifies that Sei Ito's translation is not a mere translation that delivers verbal significance but a process of cultural trans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ei Ito's novel, created based on inspiration by the translation process of Ulysses, was a successful case of cultural translation by paying attention to his excellent intercultural intelligence of the original. Also, intended to reestablish literary ideology of Sei Ito, which practiced the essential significance of translation, i.e. cultural clash is not destruction but harmony and re-creation.

      • 융합인재교육 교사 연수 개선 방안

        최정원(Choi, Jeongwon),이영준(Lee, YoungJun)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16 융합교육연구 Vol.2 No.1

        STEAM education has begun to improve the problem from teaching segmented subject knowledge at schools, while the problems faced in real life or discipline appear in a fusion of knowledge of various fields. A variety of training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and operated to train teachers capable of doing this for successful STEAM education. However, the effect on teacher knowledge and practical expertise needed to foster the realization of fusion talent training are often ending with a one-time via the Survey of teacher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se training effects are not sufficiently fed back to improve teacher training.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raining for teacher training of convergent talent education is analyzed comprehensively and suggested improvement plan of teacher training based on this analysis. 융합인재교육은 실생활 혹은 학문 분야에서 직면하게 되는 문제가 여러 분야의 지식이 융합된 형태로 나타나는 반면, 학교 교육 현장은 분절된 교과별 지식을 가르치는 데에서 오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시작되었다. 성공적인 융합인재 교육을 위하여 이를 실천할 수 있는 교사들을 양성하는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들이 개발 및 운영되었다. 그러나 융합인재교육을 실현하는데에 필요한 실천적 지식과 교사 전문성 함양에 대한 효과는 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일회성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이러한 연수 효과 분석 결과가 교사 연수를 개선하는 데에 충분히 피드백 되지도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융합인재교육 교사 양성을 위한 연수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 연수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