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Quick Incidental Learning of Words by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 Eye-tracking Study

        정하은(Haeun Chung),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선추적기를 활용해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정상 발달 아동이 새로운 어휘 학습 시에 보이는 실시간 처리 어려움을 살펴보고, 빠른 우연 학습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만 4-6세의 단순언어장애 아동 10명과 일반아동 20명이 참여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빠른우연학습 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 정상 발달 아동이 단순언어장애 아동에 비해 빠른우연학습 과제의 어휘학습 평가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두 집단 간에 시선 고정 횟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 고정 시간은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여러 번의 노출에 따른 평균 고정 시간을 살펴본 결과, 정상 발달 아동의 고정 시간은 첫 번째 노출에서 마지막 노출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한 반면,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고정 시간이 감소하는 패턴이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빠른 우연 학습 과제에서 단순 언어 장애 아동은 어휘와 해당 어휘가 지칭하는 물체를 성공적으로 연결 시키는 데 어려움을 보였으며, 또한 과제 후반부까지 지속적으로 주의 집중을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빠른 우연 학습 과제에서 보이는 저조한 수행은 새로운 어휘를 탐지하여 처리하는 데에 관여하는 주의 기능의 결함에 기인한 것으로 추측된다. Objectives: This study’s goal is to use eye-tracking technology to learn more about children’s online novel word-learning processing abilities in a quick incidental learning (QUIL) task to examine how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exhibit different patterns when learning new words and how these differences in looking behaviors lead to different learning results. Methods: Twenty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age: M=5.15 years) and 10 children with SLI (age: M=5.11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Children completed a QUIL task while their eye movements were recorded using an eye-tracking device. The fixation count number and the average fixation time on target word AOIs (Areas of Interest) were analyzed and heat map analysis was also conducted. Results: The analysis of eye-tracking measures revealed different patterns between groups. The TD group’s fixation duration on AOIs gradually increased from first to last exposure, whereas the SLI group showed decreased fixation duration over time. Heat map analysis showed that the SLI group fixated less on target AOIs and their gazes were widely scattered compared to the gazes of the TD group.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fixation time and learning. Conclusion: For TD, words and their referents were correctly inferred and the association between words and referents was strengthened over time. Children with SLI had difficulty associating novel labels with novel objects, as indexed by less time spent looking at AOIs.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QUIL of words by children with and without SLI in a natural context.

      • KCI등재

        청소년 자살예방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전혜숙(Jeon, HyeSook),전종설(Chun, JongSerl),정하은(Chung, HaEu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7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5 No.3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청소년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선행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청소년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적 기준과 방향성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00년부터 2016년까지의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논문 총 29편이 메타분석에 활용되었고 자료분석은 Comprehensive Meta Analysis(CMA) 3.0을 사용하였다. 랜덤효과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전체 프로그램의 평균효과크기 값이 0.810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구성요소별 하위집단분석 및 조절효과분석 결과로 프로그램의 운영시간 및 운영회기가 길수록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더불어 프로그램 유형은 현실요법, 마음챙김 프로그램, 분노조절 프로그램, 생명존중 프로그램, 통합적 프로그램의 효과크기가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방안 제시를 통해 청소년 자살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and to provide clinical implications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m. A total of 29 dissertations and journals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16 were analyzed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 3.0 software. The results based on the random effect model showed that the mean effect size value of the total programs was high with 0.810. The analysis of effect sizes of subgroups by program components and moderating effects revealed that longer operating hours and the larger number of sessions resulted in larger effect sizes.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effect sizes were significantly larger in the reality therapy, the mindfulness program, the anger control program, the life respect program, and the integrated program. Based on the findings, clin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for futur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 KCI등재
      • SCOPUS

        의사소통장애 상담 교육의 실태 및 필요성 : 교육기관과 임상현장을 중심으로

        백경랑(Kyungrang Baik),임성희(Sunghee Lim),정하은(Haeun Chung),전지혜(JiHye Cheon),모경옥(Kyengok Mo),이은주(Eunju Lee),김영태(Young Tae Kim),임동선(Dongsun Yim),성지은(Jee Eun Sung),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4

        배경 및 목적: 임상현장에서 언어재활사들은 효과적인 언어재활을 위하여 상담을 진행하고 있으나, 상담 교육의 부재로 상담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학교에서의 상담 교과목 개설·운영 및 임상현장에서의 상담 교과목 이수 실태를 알아보고, 교수진과 언어재활사들의 상담 교과목의 필요성 인식을 알아보았다. 방법: 언어재활 관련 학과 교수 66명(대학교 37명, 대학원 29명)과 언어재활사 121명이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함께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상담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비율은 대학교 66.7%, 대학원 26.9%로 교과목은 대부분 선택 교과목으로 개설되며, 필수 교과목으로 지정한 경우는 대학교 9.5%, 대학원10.0%로 나타났다. 언어재활사의 29.8%는 재학 중 상담 교과목을 수강한 적이 있으며, 학교 외 기관에서 상담 교과목을 수강한 언어재활사는 18.8%로 나타났다. 상담 교과목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한 대학교수는 66.7%, 대학원교수 55.6%로 나타났다. 질적분석을 통해 살펴봐도 상담과 관련된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언어재활사의 경우 3-5년차 1급 언어재활사들이 ‘재학 중 상담 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영역별로 필요성을 느끼는 영역은 언어발달장애 25.4%로 많았으며, 신경언어장애와 유창성장애는 언어재활 영역에서 차지하는 비율보다 높게 상담 교과목의 개설의 필요성을 평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교수와 언어재활사들 모두 임상현장에서 상담 교과목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의사소통장애 분야의 체계적이고 적절한 상담교과목의 시행을 제안한다. Objectives: Counseling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treatment of communication dis-orders. Clinicians and students in the field have reported a necessity for the incorporation of counseling courses into speech-language pathology practic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 counseling curriculum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and to present the professors’ and speech-language patho-logists’(SLP) perceptions of the counseling curriculum. Methods: A web-based question-naire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and need for the counseling curriculum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professors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and to SLPs in clin-ical settings. Responses from a total of 66 professors and 121 SLPs were collected and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Overall, 66.7% of undergraduate programs and 26.9% of graduate programs offer a counseling course within the department. Also, 100% and 85.1% of professors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reported the need for counseling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disorders respectively. A strong ma-jority of SLPs (95.7%) also felt counseling courses are needed. By clinical areas, SLPs work-ing in language development disorders reported the highest need (25.4%) for counseling courses, followed by neurological disorders and fluency disorders.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need for counseling programs was high among professors and clinicians. Thus, the implementation of a systematic and adequate counseling curriculum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disorders is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Diagnostic Accuracy of Working Memory Tasks Depending on Scoring Unit and Condition in Preschool Children

        임동선(Dongsun Yim),김신영(Shinyoung Kim),유지원(Jeewon Yoo),이윤정(Yunjung Lee),이상언(Sangeon Lee),정하은(Haeun Ch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3

        배경 및 목적: 비단어따라말하기, 문장따라말하기, 매트릭스는 언어능력의 기저요인으로 주목 받아온 작업기억의 각 하위체계를 평가하기 위한 과제로, 많은 선행연구들과 임상에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각 과제의 채점단위 또는 수행조건이 일치되지 않아왔던 바, 본 연구에서는 각 과제별로 언어장애를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방식을 재검토하고 정확한 시행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5-6세의 어휘발달지체 아동(N=40)과 일반 아동(N=40)을 대상으로 비단어따라말하기 및 문장따라말하기의 채점단위 및 매트릭스 과제의 수행조건에 따른 진단정확도를 민감도, 특이도, 양성우도비 및 음성우도비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판별분석 결과, 비단어따라말하기 과제는 음절 단위 채점방식에 비해 낱말 단위 채점방식이, 문장따라말하기 과제는 어절 단위 채점방식에 비해 문장 단위 채점방식의 진단정확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트릭스 과제는 집단 간 수행력 차이와 판별분석 결과가 순행 및 역행 조건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비단어따라말하기 과제 및 문장따라말하기 과제는 시간적 효율성이 높은 채점 방식이 진단정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그 임상적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diagnostic accuracy of working memory (WM) tasks, including nonword repetition (NWR), sentence repetition (SR), and matrix tasks, as clinically efficient diagnostic tools depending on the scoring systems and task condition. Methods: Forty children with vocabulary delay (VD group) and 4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group) were administered a series of WM tasks (NWR, SR, and matrix tasks). Different scoring units were applied to each task (syllable vs. word for NWR task and word vs. sentence for SR task) while different conditions (forward matrix vs. backward matrix) were used for the matrix task. Separat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the scores calculated by the different scoring units or the different condition of the tasks as predictors. Results: Multipl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es for the NWR task yielded word units with higher overall classification values than syllable units, whereas for the SR task sentence units had a higher overall classification value than word units. For the matrix task, none of the conditions reached the level of significance in th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es. Conclusion: The results in this study support the diagnostic accuracy of the NWR task with word units and the SR task with sentence units in discriminating among the VD group and the TD group. However, caution should be used when regarding these matrix tasks as an accurate diagnostic tool, especially in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