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related Skills in Poor Comprehenders, Poor Readers and Normal Readers in Hangul

        박현린,Park, Hyun-Rin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2015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3 No.3

        지금까지의 읽기장애 연구에서는 문자언어 음독의 정확성과 속도 즉 해독(음독)능력에 어려움을 가진 난독증(dyslexia)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나 최근의 보고에 따르면 음독능력에는 어려움을 가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특수하게 읽기 이해력만이 저하되는 특정 읽기이해부진아동의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독능력은 저하되지 않으나 읽기 이해력만이 특수하게 저하되는 읽기이해부진 아동과, 음독능력과 읽기 이해력 모두 저하되는 읽기부진 아동의 특징을 비교검토 하였다. 그 결과 읽기부진아동이 음운인식 과제와 음운 작업기억 과제 모두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인 반면 특정 읽기이해부진아동 집단의 경우 음운 작업기억의 유의한 저하만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읽기 이해력 장애아동의 특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We assessed reading-related skills in children with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Poor comprehenders"), word decoding difficulties ("Poor decoders") and normal readers, matched for age and nonverbal IQ. The reading-related skill tests used in our study are phonological processing, visual processing test, and receptive vocabulary test. The authors argue that children who had difficulty in reading comprehension had lower scores only on the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test compared with normal readers, although their performance on receptive vocabulary and visual processing tests are comparable to normal readers. The results of our study revealed that poor decoders had lower scores on the phonological processing, visual processing, and receptive vocabulary tests.

      • KCI등재

        국내 읽기장애에 관한 문헌연구

        박현린,손은남 한국언어치료학회 2015 言語治療硏究 Vol.24 No.1

        Purpose: Recently, basic research and intervention studies about reading disability and reading development have been actively implemented in Korea. However, there is practically no unified criteria on early identification, diagnostic criteria, reading-related variables, and individualized guidance pl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cent study trends regarding reading disability and poor readers in Korea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work by analyzing Korean studies on reading disability. Methods: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53 research papers in academic journals that had been published in Korea from 1997 to 2014. These paper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dependent variables. Results: First, about 49% of the papers included subjects in the upper grades (4th to the 6th) of primary school and about 44% of papers included subjects in the lower grades (1st to the 3rd). Second, about 50% of the papers were intervention studies, while research studies, experimental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represented 30%, 9%, and 5% respectively. Third, the 53 research papers focused on variety of reading-related 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not only phonological processing and reading attitude, but also reading accuracy, fluency, and comprehension.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more focus is needed on studies that include more varied subjects such as preschoolers or middle/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as the writing system of Hangul differs from English, finding intervention programs that are already proven to be effective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and that are appropriate in Korea is import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direction for future work on reading disability in Korea is suggested. 배경 및 목적: 국내에서 최근 읽기장애와 읽기발달에 대한 다양한 기초연구 및 중재 연구의 움직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조기 선별 및 진단 기준, 읽기 관련 변수, 개별화된 지도방안에 대한 통일된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읽기장애 및 읽기부진에 관련된 연구들을 수집·분석하여 국내 읽기장애에 대한 연구동향 파악과 이를 통한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국내에서 학습장애에 대한 개념이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1997년부터 2014년까지 발표된 논문을 수집하여 최종 선정된 56편의 분석논문에 대하여, 연구대상 분석, 연구설계 방법 분석, 연구에 포함된 읽기관련 종속변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대상 분석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4~6)을 포함하는 연구가 32편(49.2%)으로 가장 많았으며, 초등학교 저학년을 포함하는 연구가 29편(44.6%)이었다. 다음으로 연구설계 방법에 관한 분석 결과 국내 읽기장애 관련 연구 중 중재연구가 28편(50.0%)으로 가장 많았으며, 조사연구가 17편(30.4%)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연구에 포함된 읽기관련 종속변인에 대해서는 독해력을 포함하는 논문이 22편(25.4%)으로 가장 많았으며, 읽기 유창성을 포함하는 논문이 16편(17.7%), 단어재인을 포함하는 논문이 13편(14.4%)으로 연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첫 번째, 학령 전기 및 중학생 이후 연령대의 연구대상을 포함한 연구가 미약함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한글의 문자체계가 영어권과는 다른 만큼 국외에서 효과적인 읽기 중재 프로그램 중 어떠한 훈련법이 효과적일 수 있는지에 대하여 더욱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세 번째, 일반적으로 읽기지표로 많이 사용되는 독해력, 읽기 유창성 및 단어재인 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읽기관련 종속변인들을 포함하여 실제 임상 및 학교 현장에서 아동들의 읽기와 관련된 다양한 능력들의 변화를 살피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언어재활사의 신종감염병 인식과 윤리적 고려사항에 대한 탐색

        박현린,손은남,권미지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A Study of Awareness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ndEthical Consideration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Hyunrin Park, Eunnam Sohn, & Miji Kwon Abstract: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of the language rehabilitation by identifying awareness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nd the level of ethical consideration related 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for the SLPs of the field experienced corona 19. This study was distributed to the SLPs of the field and 167 copies were recovered. The survey was 32 ques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level of awareness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was 3.82±.55 or more. Second, the average of ethical recognition was 3.87±.54, or more. It was the highest in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ethical guidelines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s between therapists and the right to guarantee the right to receive information. Thir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ethical perceptions of new infectious diseas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 in the types of work institutions, working areas, and education. Fourth,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the higher the ethical awar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status of the awareness and ethical considerations of SLPs’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Through these results, we considered the instructions for SLPs related to infectious diseases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development for them. Key Word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Coronavirus, Awareness of Emerging Infecious Diseases, Ethical Consideration, Ethical Awareness 언어재활사의 신종감염병 인식과 윤리적 고려사항에 대한 탐색박 현 린**ㆍ손 은 남***ㆍ권 미 지****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코로나19를 경험한 현장의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신종감염병에 대한 인식과 신종감염병과 관련된 윤리적 고려사항에 대한 인식 수준을 파악하여 언어재활사의 신종감염병 대응 지침 매뉴얼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32문항 설문을 배부하여 회수된 167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신종감염병에 대한 인식 수준은 평균 3.82±.55로 중간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윤리 인식에 대한 평균은 3.87±.54로 중간 이상으로 나타났다. ‘치료사들 간의 감염병 예방을 위한 윤리적 지침 개발의 필요성’과 ‘정보를 제공받을 권리 보장’문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종감염병에 대한 인식의 차이 및 윤리인식의 차이가 근무 기관 유형, 근무 지역, 학력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신종감염병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윤리인식이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현재 언어재활사들의 신종감염병에 대한 인식 실태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추후 언어재활사를 위한 감염병 관련 지침과 교육 개발에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핵심어: 언어재활사, 코로나바이러스, 신종감염병 인식, 윤리적 고려사항, 윤리적 인식 □ 접수일: 2022년 7월 7일, 수정일: 2022년 7월 26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본 연구는 2022년 광주대학교 대학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 주저자, 광주대학교 언어치료학과 부교수(First Author, Professor, Gwangju Univ., Email: hyunrin@gwangju.ac.kr)*** 공동저자, 광주대학교 언어치료학과 부교수(Co-auhor, Professor, Gwangju Univ., Email: sen1397@gwangju.ac.kr)**** 교신저자, 광주대학교 언어치료학과 조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Gwangju Univ., Email: mjkwon@gwangju.ac.kr)

      • KCI등재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그릿과 행복추구경향이 대학생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박현린,표정민,김누리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grit and orientation to happiness on the happiness of undergraduate students according to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The data of 308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nalyzed. In accord with academic achievements,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a high academic achievement (HA) group (n=212) and low academic achievement (LA) group (n=96) using cluster analysis; the effect of grit (consistency of interest, perseverance of effort) on orientation to happiness (pursuit of engagement, pursuit of meaning, pursuit of pleasure) and the effect of grit and orientation to happiness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f undergraduate students were then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sistency of interest in grit in the HA group ha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the pursuit of pleasure and negative emotions, but the consistency of interest in the LA group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orientation to happiness and sense of happiness. Perseverance of effort in grit had a positive effect on pursuit of engagement, pursuit of meaning, and positive emotions on both the HA and LA groups, but the influence of perseverance of effort on pursuit of pleasure was significant only for the HA group. In addition, pursuit of engagement in orientation to happine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ositive emotions only in the HA group. Using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two groups are discuss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study are presented. 본 연구는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그릿과 행복추구경향이 대학생의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광주·전남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08명의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군집분석을 통해 성적 상위집단(212명)과 하위집단(96명)으로 구분한 뒤 집단별로 그릿(흥미유지, 노력지속)이 행복추구경향(몰입추구경향, 의미추구경향, 즐거움추구경향)에 미치는 영향력과 그릿 및 행복추구경향이 대학생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성적 상위집단에서 그릿의 흥미유지는 즐거움추구경향과 부정정서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력이 있었으나, 성적 하위집단에서 흥미유지는 행복추구경향과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력도 없었다. 그릿의 노력지속은 성적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에서 몰입추구경향, 의미추구경향, 긍정정서에 정적 영향력을 주었으나, 노력지속의 즐거움추구경향에 대한 영향력은 성적 상위집단에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성적 상위집단에서는 행복추구경향성 중 몰입추구경향과 의미추구경향이 긍정정서에 정적 영향력이 있었으나, 하위집단에서는 이와 달리 의미추구경향만이 긍정정서에 정적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가 다른 두 집단의 특성을 논의하고,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읽기장애의 문해 기술과 시각적 처리 과정의 관련성에 대한 양적 연구 분석: 연구 방법, 결과를 중심으로

        박현린,이혜승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3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7 No.4

        Although not only phonological processing but also visual processing are necessary in the cognition processing of literacy skills, most of the studies to identify the cause of dyslexia and learning disorders are focusing on phonological factors.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angul reading and spelling and literacy-related visual processing process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analysis. A total of 20 articles collected according to the paper selection criteria of this study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nd the research method and results were analyzed. In the case of the visual processing processes, it was divided into visual perception, orthographic awareness, and visuomotor skill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rocessing elements and reading, in the case of visual perception, slightly different results were obtained for each study, but a relatively recently reported paper report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 the case of orthographic awareness, it was repor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except for one study. In the case of spelling, the proportion of studies reporting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visual perception was quite high, but in the case of orthographic awareness, the results were somewhat inconsisten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visual perception is more closely related to Hangul spelling than reading. In the future,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need to include visual processing tasks in the evaluation of the poor reading groups including developmental dyslexia and learning disabilities.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의 읽기 관련 변인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읽기 이해 성취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 검토

        박현린 ( Hyunrin Park ),이혜승 ( Hyeseung Le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읽기 관련 변인 및 읽기 과제의 성취도가 고학년의 읽기이해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79명의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2학년 시기와 고학년이 된 4학년 시기에 걸쳐 총 2번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4학년 시기의 읽기 이해 성취를 종속변인으로 하고 초등학교 2학년 시기의 읽기이해, 단어재인, 어휘, 음운인식(음절 및 음소인식), 시각처리과제, 철자인식 과제, 명명속도 과제를 예측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2학년 시기의 읽기 이해 과제, 음소인식과제, 시각처리 과제의 점수가 초등학교 4학년 시기의 읽기 이해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이후 읽기 이해에 어려움을 가질 위험이 있는 아동들을 조기 선별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effects of reading related variables in second grade on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in fourth grade. For this study, 79 children were surveyed twice during the second grade and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each factors would predict reading comprehension of fourth grade’s time. The score of reading comprehension in the fourth grade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score of reading comprehension, word recognition, vocabulary, phonological awareness, visual processing task and orthographic awareness task was used as predictor variabl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reading comprehension task, phoneme awareness task, and visual processing task scores in the second grade significantly predict reading comprehension in the fourth grad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early stage of reading in Korean children at risk of difficulty in reading comprehension.

      • KCI등재

        단어와 비단어 읽기 유창성 예측요인에 관한 횡단연구

        박현린(Hyun Rin Park),우노 아키라(Akira Uno) 한국언어치료학회 2012 言語治療硏究 Vol.21 No.3

        This paper presents a cross-sectional study from grade one to four of 424 normal children and aim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abilities as predictors of word and non-word fluent reading development. Phonological process tasks, visual cognitive ability tasks, receptive vocabulary, and naming speed were administered to 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of naming speed, syllable awareness, and vocabulary contributed uniquely to word reading fluency in Grade 1, while the factors of naming speed, and syllable awareness contributed uniquely to word reading fluency in Grade 2. In addition, the factor of naming speed and vocabulary contributed uniquely to word fluency in Grades 3 and 4. With regard to non-word reading fluency, the factors of naming speed, syllable awareness, and receptive vocabulary were unique predictors in Grade 1. The factors of naming speed, syllable awareness, and phoneme awareness contributed uniquely to non-word reading fluency in Grade 2. And, the factor of naming speed was only a unique predictor in Grade 3, while the factors of naming speed and vocabulary contributed uniquely to non-word reading fluency in Grade 4. For Hangul, little is know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predictors of fluency reading in development. Nevertheless, our findings suggest that relative importance of underlying skills as predictors of word and non-word reading fluency may change during the course of development.

      • KCI등재

        예비언어재활사의 성인언어재활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통한 교과과정 개발 방향 탐색

        박현린 ( Hyunrin Park ),권미지 ( Miji Kwon ),손은남 ( Eunnam Soh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성인 대상의 의사소통 평가 및 중재에 대한 예비언어재활사들의 인식과 경험을 살펴 현장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국내 4년제 대학 네 곳의 언어재활관련 학과에 재학중인 131명의 예비언어재활사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연구대상자 정보 5문항, 인식에 대한 문항 4문항, 교육 요구도에 대한 문항 5문항, 평가 및 중재 경험에 대한 문항 2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성인언어재활에 대해 중요하다(매우 그렇다, 그렇다)고 응답한 학생이 약 90%이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평가 및 중재에 자신있다(매우 그렇다, 그렇다)고 응답한 학생이 약 26%에 불과하였다. 또한, 실습을 한 학생들 중 성인언어재활과 관련한 중재 경험이 있는 학생은 20%를 웃도는 수준이었으며, 이와 관련된 추가 교과목 개설에 대해 65% 이상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예비언어재활사들이 성인언어재활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함에도 임상실습 수업 내에서의 경험 부족으로 인해 자신감이 결여되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학 교육에서 성인언어재활과 관련된 실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추후 이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질적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erception, experience, and educational needs of pre-service SLPs for language evaluation and intervention for adults. We analyzed questionnaires from 131 pre-service SLPs enrolled in language rehabilitation-related departments at four universiti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5 questions about subject information, 4 questions about perception, 5 questions about educational needs, and 2 questions about evaluation and intervention experience for ad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although more than 90% (strongly agree, agree) of the students who answered that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for adults is important, only about 26% of the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were confident in evaluation and intervention for adults. Also, only about 20% of the students who did the practice had experience with adult intervention. In addition, more than 65% of students answered that they needed additional educational program related to language rehabilitation for adults. Based o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although pre-service SLP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anguage rehabilitation for adults, they lack confidence due to lack of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e subject. In university education, adult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program should be effectively learned through practical subjects. In addition, we suggest that qualitative research in expert groups will be required later.

      • 한국어 추상어 이해 검사의 문항개발에 관한 예비 연구

        박현린(Hyun Rin Park),이미경(Mi Kyoung Lee),황보명(Bo Myung Hwang),손은남(Eun Nam Sohn)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한국언어치료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12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 Korean-Comprehension test of Abstract Words(K-CTAW) that can be applied to a wide range of learners ranging from school age children to adults. Methods: After selecting 31 abstract words (target words) included in the Korean-Comprehension test of Abstract Words, preliminary tests for selection of phonological similar words(PSW) and semantic similar words(SSW) were conducted for judgment of the types of errors of word-meaning comprehension problems. Questionnaire surveys for 248 word pairs-124 (31 x 4) words pairs with PSW and 124 (31 x 4) words pairs with SSW-were conducted with 110 university students from 1st to 4th grades. The students were requested to judge whether individual word pairs were similar in phonology/meaning and give scores through 5-point Likert scales.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tests, PSW and SSW for judgment of error types of 31 abstract words could be selected. One set was comprised of six words-two words that received the highest score as PSW, two words that received the highest score as SSW, one meaningless word, and an one target word-. Conclusions: Since the present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ment of questions, to develop test tool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ests should be estimated and additional procedures for the estimation should be necessary. Through the present development of tests, if it is judged whether the problems in understanding abstract words is due to similarity in phonology or due to similarity in semantic not only tasks to judge whether the comprehension of abstract words is correct or not but also in tasks to hear words and fi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words, objective evaluation methods can be presented for problems experienced by speech therapists at clinics.

      • KCI등재

        언어재활전공 교과과정의 국내 현황 조사

        박현린(Hyun Rin Park),황보명(BoMyung Hwang),김향희(HyangHee Kim),장선아(Son A Chang),최성희(Seong Hee Choi),김재옥(Jaeock Kim),김효정(Hyo Jung Kim),박희준(HeeJune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3

        배경 및 목적: 국내 대학에 언어재활전공이 처음 개설된 1988년을 기점으로 2018년 현재 총 50개의 대학(대학교, 전문대학, 대학원)에서 총 87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양적 팽창이 이루어진 현 시점에서 각 프로그램들의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미래를 준비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언어재활전공 교과과정 현황을 분석하여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우수한 언어재활사 양성을 위한 미래의 방향 모색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법: 대학교, 전문대학, 대학원에 언어재활전공이 개설된 학교에 대학의 기본정보, 2015년에서 2017년 사이의 전공 교과목 개설 현황, 교과과정에 대한 수요 등의 내용이 포함된 설문지를 2차에 걸쳐 배포하였다. 설문에 응하지 않은 학교들을 제외한 후, 1차 설문지 내용은 총 43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2차 설문지 내용은 총 33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세 가지 학제별 교과과정을 살펴본 결과, 대학교와 전문대학 중 언어재활사 자격 이외의 자격증 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대학의 경우 개설 교과목 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상황에 따라 분반 운영 및 전공선택과 전공필수 구분 등에 있어서 편차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교와 대학원 과정의 교과 과정 수요 분석에서는 학령기, 노인(노화), 보완대체의사소통, IT 등의 키워드가 공통적으로 포함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자료는 국내 언어재활전공의 교과과정 현황을 살펴봄과 동시에 추후 질 높은 언어재활사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을 제시함에 있어 기초 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Objectives: Since 1988, when the Departmen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was first established at a university, a large number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have been trained. As of March 2018, there are 87 programs in 50 schools offering associate’s degree, bachelor’s degree, and/or master’s/doctoral degree. In order to support the continued growth of the SLP programs, we believe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present operation status of all SLP programs. In this study, therefore, we surveyed the current curriculum of each program, and tried to lay out future direction that the SLP programs need to pursue. Methods: We sent out the questionnaires twice to all the programs. The questionnaires included the following: information about the program (e.g., number of faculty members), the status of the existing curriculum during the period of 2015-2017 academic years, and the curriculum improvement proposals from the program faculty members. After excluding the schools that did not respond or filled the questionnaire incorrectly, the contents of the first and secon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on 43 programs and 33 programs, respectively. Results: The questionnaire responses revealed that there were relatively larger number of curriculum subjects in associate’s degree programs than bachelor’s degree programs because the associate’s degree programs tended offer other certification courses in conjunction with the SLP program. It was also found that some SLP programs limited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to offer better student support and offered different sets of electives and mandatory courses. In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improvement proposals, it was found that the most common keywords included ‘school age’, ‘elderly/ag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nd ‘IT (information technology)’. Conclusion: In this study, we provide the picture of the current SLP program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SLP programs’ continued improvement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