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강현실 기반 어휘 지도에서 동사 목록에 대한 기초 연구

        황보명(BoMyung Hwang),권순복(SoonBok Kwon),김선종(SeonJong Kim),신범주(BeomJoo Shi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7 재활복지 Vol.21 No.2

        본 연구는 디지털 세계와 물리적 세계가 접목하는 증강현실을 언어치료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특히, 아동들에게 동사를 지도할 때 증강현실로 구현한 동사 목록이 해당 움직임을 정확하게 나타내고 있는지와 같은 동작 타당도, 그리고 해당 동사 목록이 어휘 지도 목표로 적절한 것인지에 대한 어휘 타당도를 살펴본 연구이다. 선행 연구들을 참고하여 45개의 동사를 어휘 지도 목록으로 선정하고 이 동사들에 대하여 1급 언어재활사 자격증을 소지한 언어치료학과 교수 3명으로 하여금 어휘 타당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39개 동사에서 높은 어휘 타당도를 얻었다. 높은 어휘 타당도를 얻은 39개 동사에 대한 동작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언어치료 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들에게 각 동사를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보여주고 생각나는 동사를 기록하게 하였다. 증강현실로 구현된 동작 애니메이션을 보고 난 후 50% 이상의 대학원생이 해당 동사로 기록한 동사는 32개였다. 이차적으로는 이 32개 동사만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87명의 언어치료 전공 대학생들에게 보여주고 Likert 5점 척도로 각 동사와 구현된 동작의 일치도를 평가하게 하였다. 최종적으로 30개 동사가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지도하기에 타당한 동사 목록으로 선정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공인 타당도 및 적용 타당화 연구를 지속하여 증강현실을 활용한 어휘 평가 및 지도가 언어치료 임상 현장에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resent study is a basic study for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AR) to verb teaching for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isorders and is intended to examine validity for the list of verbs at the beginning of development.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verbs list, the appropriateness of the verbs was evaluated by three professors with certification of KSLP (Korean Speech-Language Pathologist) working in the departmen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t the university. The motion validity test was conducted by showing motion implemented as AR to eight master’s students in Speech-Language Pathology major, having them record verbs that came to their mind, and evaluating in the conformity. The second motion validity test was conducted by using 5-point Likert scales to 87 undergraduates in Speech-Language Pathology major and having them see the motions in AR and marked the degrees to which them see the motions conform to the relevant verbs on the scales. Using the SPSS 21.0 program, descriptive statics analyses of the results were conducted. Through this all process, thirty verbs were selected as having content validity. It could be seen that when AR based communication system are applied, things and backgrounds that complement the insufficient movements of motions and help motion recognition should be also provided. In future studies, the 3D images of the AR based communication system will be complemented and the content validity will be verified with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the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isorders.

      • SCOPUS

        음운자각중재가 음운장애아동의 음운자각도 및 음운산출능력에 미치는 효과

        황보명(Bomyung Hwang),강수균(Sookyoon K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어음에 대한 의식적인 자각이라고 할 수 있는 음운자각도를 높여주는 음운자각중재가 음운장애아동들의 음운자각도 및 정확한 음운산출능력을 신장시키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조음기관에 기질적인 이상 없이 음운장애를 보이는 5세 아동 3명이며, 본 연구에서의 음운자각중재는 동일 음절로 끝나는 단어 찾기 빙고게임, 초성에 동일 음소 확인하기, 어말 종성에 동일 음소 확인하기, 초성이 다른 어휘 판별하기, 음소 분절하기, 구어를 글자와 연결하기의 6가지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중재 결과 연구대상 3명 모두 유지 단계에서의 음운자각도 및 음운산출능력이 기초선 단계보다 30 % 가까이 개선되었으며, 그림자음검사 결과 자음정확도의 증가 및 음운변동패턴 출현율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음운장애아동들의 음운자각도를 높여줌으로써 그들의 음운산출능력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intervention on the phonological awareness and the phonological production accuracy. Three of 5- year - ol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tervention was consisted of 6 types of tasks: ending- syllable-matching bingo game, word initial segmentation and matching, word final segmentation and matching , word initial discrimination, phoneme segmentation, and letter matching.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 s was used. T he result s were as follows : fir st , phonological awareness intervention was effective on improving phonological awareness for all subject s. Secondly, phonological awareness intervention was effective on improving the phonological production accuracy for all subjects.

      • KCI등재

        목소리로 연상되는 매력적인 이미지와 음향학적 요소 간의 관계: 환대산업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황보명 ( Hwang Bomyung ),한의진 ( Han Euijin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9 觀光硏究 Vol.34 No.4

        본 연구는 목소리에 대한 음향학적 평가와 목소리를 듣고 연상되는 이미지 간의 상관을 밝힘으로써 매력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목소리 특징을 객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환대산업 전공 대학생 8명(남자 4명, 여자 4명)이 ‘산책’ 문단을 읽는 목소리를 녹음한 후 MDVP를 이용하여 음향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녹음한 목소리를 358명의 대학생들이 듣고, 목소리의 적절성 및 연상되는 이미지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음향학적 변수들 중 평균 기초주파수, 기초주파수 범위, 기초주파수 표준편차, 소음대배음비가 적극적이고 꼼꼼한 이미지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특히 기초주파수 범위 및 표준편차가 큰 목소리를 들었을 때 매력적인 이미지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화 시간, 총 쉼의 수, 총 쉼의 시간은 매력적인 이미지와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목소리에 소음이 적고 억양 변화가 있는 목소리일수록 청자들이 매력적으로 지각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characterize the voices characteristic of attractive images by clar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oustic evaluation of the voice and the images that are heard by the voices. For this purpose, 8 speakers (4 male and 4 female students) read short paragraphs and then we performed acoustic analysis using MDVP. Also, 358 university students listened to the recorded voices and evaluat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voice and the associated image. The results showed that mFo, Fo range, FoSD, and NHR were highly correlated with positive and detailed images. In particular, more Fo range and FoSD were evaluated as more attractive images when they heard a voice. The duration of utterance, the total number of pauses, and the total pause time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ttractive images. In conclusion, we can see that speakers with low noise and intonation changes in their voices are attracted to the audience.

      • KCI등재

        일반 아동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음운변별능력 및 음운작업기억 특성

        백경아(Park Kyunga),황보명(Hwang Bomyung) 한국음성학회 2011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nological discrimination ability and phonological working memory of 1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ged 4, and 10 other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whose language age is similar. In orders to compare their phonological discrimination ability among phonological awareness, discrimination tasks were conducted at the syllable and phoneme levels. Also, in order to compare their phonological working memory, the subjects repeated nonsense syllables. The research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demonstrated a lower performance than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phonological discrimination ability at both syllable and phoneme level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exhibited a lower phonological working memory performance in all syllables compared with normal children.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2 and 3 syllables, a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as the length of the syllables became longer from 4 to 6 syllables. It is deemed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into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ifferences through an formal assessment of the phonological awareness and phonological working memory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 KCI등재

        Effects of Language Interven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for Verbal Expression in Children with Expressive Language Delay

        MyeongJin Lee(이명진),BoMyung Hwang(황보명)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2

        배경 및 목적: 언어발달이 느린 아동들은 어휘 습득 시 행동이나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 학습에 어려움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동사 학습의 용이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표현언어발달지연아동에게 현실 환경에서 동작을 직접 보여주는 증강현실 기반 언어중재를 제공하여 동사 표현 정반응률과 일반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방법: 생활연령에 비하여 표현언어가 지연된 아동 3명(생활연령 평균 3세 6개월)에게 총 84개의 동사를 증강현실로 구현한 증강현실 기반 언어중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이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에서 7개씩의 목표동사를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동사 표현 정반응률을 살펴보았다. 또한 일반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목표동사를 그림카드로 주양육자가 제시하였을 때에도 정반응하는지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대상 모두 기초선 단계에 비하여 중재 단계와 유지 단계에서 정반응률이 증가하였으며 치료실 이외의 장소에서 그림카드로 제시하였을 때에도 일반화하여 목표동사를 발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증강현실 기반 언어중재는 표현언어발달지연 아동의 동사 표현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이며 다양한 장애군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When learning verbs that represent the movement,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language interven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AR) can be more effective than picture cards and examined what effect AR has on the improving verbal expression of children with delayed expressive-language development. The study developed an application using AR that mixed reality with virtual reality in an application for children with expressive language delay. Methods: The subjects were three children (mean chronological age, 3.6 years) whose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were delayed more than 6 months beyond than their chronological age. Eighty-four goal verbs were presented using AR in a multiple baseline design, along with face-to-face training to improve verbal expressions. Results: Children with expessive language delay showed increased accuracy in verb expression through language intervention based on AR. Additionally, the children generalized their improvements by expressing goal verbs even when they were presented as picture cards.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language intervention based on AR i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verbal expression of children with expressive language delay. Utilizing to represent the movement and status of verbs has positive effects on verbal expression.

      • KCI등재

        언어재활전공 교과과정의 국내 현황 조사

        박현린(Hyun Rin Park),황보명(BoMyung Hwang),김향희(HyangHee Kim),장선아(Son A Chang),최성희(Seong Hee Choi),김재옥(Jaeock Kim),김효정(Hyo Jung Kim),박희준(HeeJune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3

        배경 및 목적: 국내 대학에 언어재활전공이 처음 개설된 1988년을 기점으로 2018년 현재 총 50개의 대학(대학교, 전문대학, 대학원)에서 총 87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양적 팽창이 이루어진 현 시점에서 각 프로그램들의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미래를 준비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언어재활전공 교과과정 현황을 분석하여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우수한 언어재활사 양성을 위한 미래의 방향 모색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법: 대학교, 전문대학, 대학원에 언어재활전공이 개설된 학교에 대학의 기본정보, 2015년에서 2017년 사이의 전공 교과목 개설 현황, 교과과정에 대한 수요 등의 내용이 포함된 설문지를 2차에 걸쳐 배포하였다. 설문에 응하지 않은 학교들을 제외한 후, 1차 설문지 내용은 총 43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2차 설문지 내용은 총 33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세 가지 학제별 교과과정을 살펴본 결과, 대학교와 전문대학 중 언어재활사 자격 이외의 자격증 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대학의 경우 개설 교과목 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상황에 따라 분반 운영 및 전공선택과 전공필수 구분 등에 있어서 편차가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교와 대학원 과정의 교과 과정 수요 분석에서는 학령기, 노인(노화), 보완대체의사소통, IT 등의 키워드가 공통적으로 포함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자료는 국내 언어재활전공의 교과과정 현황을 살펴봄과 동시에 추후 질 높은 언어재활사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을 제시함에 있어 기초 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Objectives: Since 1988, when the Departmen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was first established at a university, a large number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have been trained. As of March 2018, there are 87 programs in 50 schools offering associate’s degree, bachelor’s degree, and/or master’s/doctoral degree. In order to support the continued growth of the SLP programs, we believe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present operation status of all SLP programs. In this study, therefore, we surveyed the current curriculum of each program, and tried to lay out future direction that the SLP programs need to pursue. Methods: We sent out the questionnaires twice to all the programs. The questionnaires included the following: information about the program (e.g., number of faculty members), the status of the existing curriculum during the period of 2015-2017 academic years, and the curriculum improvement proposals from the program faculty members. After excluding the schools that did not respond or filled the questionnaire incorrectly, the contents of the first and secon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on 43 programs and 33 programs, respectively. Results: The questionnaire responses revealed that there were relatively larger number of curriculum subjects in associate’s degree programs than bachelor’s degree programs because the associate’s degree programs tended offer other certification courses in conjunction with the SLP program. It was also found that some SLP programs limited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to offer better student support and offered different sets of electives and mandatory courses. In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improvement proposals, it was found that the most common keywords included ‘school age’, ‘elderly/ag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nd ‘IT (information technology)’. Conclusion: In this study, we provide the picture of the current SLP program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SLP programs’ continued improve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Job Searching and Postings for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in Korea

        Son A Chang(장선아),Hyo Jung Kim(김효정),HyangHee Kim(김향희),Seong Hee Choi(최성희),BoMyung Hwang(황보명),Hee-June Park(박희준),Hyun Rin Park(박현린),Jaeock Kim(김재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2

        Objectives: In order to provide a fundamental understanding and prospective suggestions for the profession of speech-language pathology (SLP), job searching prospects were investigated via a review in the field, and job postings were analyzed based on advertisements posted on the Korean Association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KSLP) website. Methods: A total of 14 studies were review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job hunters and 1,326 job postings were analyzed. Results: The main focus of job searching literature had been on ‘job status’, ‘job description’, and ‘job satisfaction’. More specifically, ‘job location’, ‘employment facility’, and ‘salary/wage’ were the most frequently surveyed aspects.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SLPs working in private practice or for service providers. Their ‘job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wage satisfaction’. The job postings on the KASLP website contained information about ‘job location’, ‘employment facility’, ‘type of employment, working, and wage’ and ‘benefits’. Most of them were posted by private practice organizations or service providers located in big cities, and were primarily seeking temporary, part-time based, and/or revenue-sharing fee-based employees. Conclusion: Job searching and posting occurs primarily in the private practice or service provider context in cities. Currently 80% of the SLPs in Korea are in their 20’s and 30’s; the profession has flexible positions for those with professional expertise and provides a wide range of choices for employment in terms of types of facilities and work. There should be a constant effort to improve working condition as well as therapy quality in the SLP profession.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언어재활사 교육과정 졸업생들의 구직 및 언어재활현장의 구인 현황을 파악하여 교육기관인 학교와 사회의 직업을 잇는 정책적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법: 구직정보 파악을 위해 총 50여 편의 관련 논문들 중 분석에 적합한 14편을 분석하였으며, 구인정보 파악을 위해 2013년부터 5년간 한국언어재활사협회에 게시된 구인공고 2,853건 중 1,326건을 분석하였다. 결과: 구직연구에서는 ‘언어재활사 근무 실태’와 ‘언어재활 관련 요인들’, ‘직업 및 급여 만족도’ 정보를 주요하게 다루고 있었다. 특히 근무 지역, 근무기관 형태, 급여 관련 조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업무 만족도가 급여 만족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구인영역에서는 2013년 이후 매년 600여 건의 구인공고가 게시되어 왔으며 주로 겨울에 가장 많이 공고되었다. 지역으로는 서울/경기 지역에서, 근무기관 형태로는 사설 언어재활센터의 공고가 가장 많았다. 고용형태는 정규직보다 비정규직이 약간 많았으며, 근무형태는 전일제보다 시간제가 많았고, 급여형태는 연봉제보다 비율제가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구직과 구인 모두 대도시의 사설 언어재활센터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일관된 맥락을 보였다. 현재 주로 20-30대로 구성되어 있는 언어재활사 직종은, 근무형태의 자율성과 업무의 전문성을 가지고 다양한 근무기관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젊은 언어재활사들의 경력이 증가함에 따라 2012년 국가자격 법제화로 발전의 기틀을 다진 언어재활사의 직업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언어치료전공 임상교과 및 임상실습의 국내 현황 조사

        김재옥(Jaeock Kim),최성희(Seong Hee Choi),김향희(HyangHee Kim),장선아(Son A Chang),김효정(Hyo Jung Kim),황보명(BoMyung Hwang),박현린(Hyun Rin Park),박희준(Hee-June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3

        배경 및 목적: 현재까지 국내 언어치료학과를 개설하고 있는 대학수는 총 50개교이고, 교육과정 프로그램은 총 87개까지 양적으로 증가하고 성장하였으나, 국내 전반에 걸친 임상교육, 훈련 및 환경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아직 제공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적인 임상의 질적 기준을 마련하고자 국내 언어재활전공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전문대학, 4년제 대학교 및 대학원을 대상으로 임상 교과와 임상실습 운영에 관한 현황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임상교과과정, 임상실습, 임상교육환경으로 설문을 구성하였으며, 국내 언어치료교육과정 프로그램 87개 중 설문에 회신한 57개(10개 전문대학, 19개 4년제 대학교, 28개 대학원) 과정들의 자료룰 분석 하였다. 결과: 비록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국가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핵심 임상 교과과정은 운영하고 있으나, 임상교과 학점, 시수, 훈련 내용과 실습 영역 및 임상환경은 다르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대학원 프로그램들은 언어치료전공자나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임상수업활동이나 임상실습을 면제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가장 많이 실습하는 주된 영역은 학령전기/학령기 언어발달장애 영역이었다. 모든 실습과목 담당 교수진이나 임상감독자들은 언어치료를 전공한 교원으로 언어재활사자격증을 가진 전문가였으나, 세 개의 학제 간에 다양한 자격증 유형과 교수진의 형태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언어치료학과 프로그램들 간의 일관된 질적 임상 훈련이나 교육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임상교육 훈련 내용이나 임상 환경에 관한 좀 더 구체화된 최소 표준 임상규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언어재활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우리의 미래 의사소통장애 분야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임상교육과 훈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number of educational programs in speech-language pathology/therapy in Korea continues to increase, and has reached a total of 87 programs in 50 universities. However, no nationwide survey on the clinical curricula and practica of the educational programs has been carried out. Methods: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items on clinicbased courseworks, clinical practicum, and clinical educational setting was distributed, and a total of 57 (10 community college, 19 undergraduate, 28 graduate) programs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ults: Although most of programs ran core clinical courses required for obtaining the national license, various credits of clinical courses, clinical hours, and practical area, and clinical environments were documented. Most graduate school programs permitted students with speech-language pathology backgrounds or speech-language pathologist (SLP) licenses to be exempt from clinical coursework and practicums. Language development in preschool or school-age children was the most predominant practice area in most of the programs. Supervision of clinical activities in all three types of educational settings was provided by licensed faculty or supervisors. Conclusion: In order to ensure the consistency of qualified clinical training or education across the speech-language pathology programs, standard clinical guidelines regarding education training contents or environment should be established. Moreover, diverse clinical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enhance the SLP profession and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of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in the upcoming ye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