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민간 정원의 공간구성과 지리환경간의 상관관계 분석

        민아람,이지현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19 한국디자인리서치 Vol.4 No.2

        전통정원의 디자인은 당대의 사상과 철학을 나타낸다. 한국의 전통정원의 경우 정원 조성 시 주변 자연환경과 지형을 인위적으로 조작하지 않아 ‘자연주의’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국의 정원은 도교 정신을 바탕으로 자연과 함께 더불어 사는 철학적, 종교적 사상을 가지고 있는 조선시대 관료층이 민간 정원을 조성하면서 한국 전통정원만의 자연적 디자인 특징이 확립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전통 민간정원의 공간구성을 정량화하고 지리환경과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한국 전통정원의 특징으로서 ‘자연적’ 요소를 어떻게 설계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공간구성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공간구성은 민족지학 분야에서 수시로 증명되었듯 한 민족성을 나타내는 요소 중 하나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공간구성만을 살펴본다. 이 연구는 한국 전통정원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나는 조선시대의 민간 정원을 대상으로 하며, 그중 공간구성 분석을 위해서 공통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구성요소인 안채, 사랑채, 안마당이 모두 포함된 22곳의 한국 전통정원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로 연구 대상 정원을 선정하고 각 정원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두 번째로 해석에 사용할 지리환경 요소를 선정하고 각 정원에 대한 지리환경 자료를 수집하였다. 세 번째로 정원 공간구성을 포스히스토그램(Histogram of Forces, HoF)을 활용하여 마당과 건물 간의 관계를 정량화하였으며, 네 번째로 정량화된 공간구성과 지리환경요소에 대해 정원 간의 유사매트릭스(similarity matrix)를 각각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산출된 공간구성 유사매트릭스와 지리환경요소 유사매트릭스 간의 상관관계를 Mantel Test 알고리즘을 통해 도출하였다. 그 결과, 안채-안마당 공간 관계에 대한 유사매트릭스와 경사와 향에 대한 유사매트릭스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한국 전통정원에서는 입지의 경사와 향이 안채와 안마당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좌우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한국 전통정원을 새로이 디자인할 때에도 안채와 안마당의 배치에 있어 정원이 위치할 장소의 경사와 향이 중요한 고려 요소인 것을 수치적으로 증명한다. Garden designs reflect society’s philosophy and the mind of the time. For instance, traditional Korean private gardens of Joseon period are described to be ‘naturalistic’ by the landscape scholars and historians in which the garden designs took the nature as it is adapting to the surrounding without much of human intervention including the topography. The reason for such naturalistic design was because of th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background of the time which heavily depended on ideas like yin and yang, feng shui, and Taoism. In this research, we statistically and quantitatively identify what it means to be naturalistic concerning the spatial layouts of the gardens. For the study, 22 cases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that include the main building, reception building, and inner yard altogether were selected. First, Histogram of Forces (HoF) was used to quantify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garden components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each of the gardens were collected. Second, the similarity matrices of the gardens were calculated for the spatial layout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Third, we used a Mantel test to discover any correlation between the similarity matrices derived using the spatial layout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When the Mantel tests were performed, we found out that there were tw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main building-inner yard spatial relationship and slope distance matrices and the main building-inner yard and aspect distance matrices. Additionally, the geographical distances of the gardens were the least significantly correlated indicating that the geographical proximity amongst gardens does not influence the spatial layout of the gardens. Our research shows that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buildings and the inner yards of 22 traditional Korean gardens are correlated with the slope and the aspect factors of the environment. The result emphasizes that the relative positioning of the inner yard and the main building are dependent on the natural factors (slope and the aspect) which allows a possible interpretation to say that traditional Korean gardens are naturalistic or climatic responsive regarding the positioning of the inner yards and facing of the main building for better sunlight.

      • KCI등재

        패턴랭귀지를 적용한 콜라텍 공간의 특성 분석

        장순각,유준아,민아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22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visualize thespatial characteristics of Collatechs, social leisure space for the elderly. For this, the network of pattern language was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eries of literature reviews, interviews, and network analysis using Ghepi. First, the Collatech cases were decomposed and reconstructed into small units called patterns. Patterns selected from the 253 original patterns suggested by Alexander were used or transformed, and new patterns were added. Next, a pattern language network diagram was constructed. Finall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Collatechs were analyzed by a thorough examination of the networks. The results of the network analysi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 of 47 patterns (13 original patterns, 14 transformed patterns, and 20 added patterns), ‘Stage(255)’, ‘Paths And Goals(120)’, ‘Sequence Of Sitting Spaces(142)’, ‘Space Arrangement Considering Privacy(127)’ showed high betweenness centrality values meaning the main patterns within the network of pattern languag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etwork analysis, we are able to describe the spati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Collatechs from four perspectives: stage, the discuss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atech space is as follows. The stage of Collatech (i) is not only a “dance space”, but also serves as a space for rest by seats arranged along the wall of the stage (ii) serves as intermediary space by being connected to the waiting room or store directly. (iii) makes the elderly on the stage feel like they are in a short corridor through such furniture and space arrangement.

      • KCI등재

        Exploring the Key Design Attributes of Cafés from User-Generated Contents

        Alvarez, Gabriela,민아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22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31 No.6

        In the last couple of decades, the use of social media has consistently increased. Different social media platforms allow users to interact and create diverse types of content, making them able to share their opinions. With brands getting involved in these platforms, it is important to know how their image is portrayed by their customers on social media. This includes the café industry.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wofold. One is to understand which design attributes make a café appealing to social media users, and another is to examine whether the Google Cloud Vision API is able to differentiate the key design attributes using user-generated content, which are Instagram posts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achieve these aims, we conducted a comparative case study using two cafés of unique interior designs located in Yeonnam-dong in Seoul, South Korea. Specifically, Greem Cafe and Perception Coffee were used. Using these cases as hashtags, we scraped the posts using a Python web scraper and screened out the posts irrelevant to the cafés. After, we ran them through the Google Cloud Vision API to obtain the labels and screened out the labels irrelevant to the interior designs, such as people and amenities. Finally, we were able to categorize the label to different design attributes and compare and contrast the labels from two cafés. The main differences shown in the results from the labels are that Greem Café had Color and Cartoon attribute labels like “Black-and-White” and “Drawing” that clearly represent the cartoonish interior design style. On the other hand, Perception Coffee’s most frequent label, “Wood” along with other labels like “Aeolian Landform” identify their wooden ceiling design. With these results, it is shown that the Google Cloud Vision API is able to distinguish the main design elements from both cafés. This research utilizes a new tool that can be useful for future researchers and designers that deal with big data, also this research brings insight for designers at the time of creating new places by

      • KCI등재

        2007년 이후 국내 논문 결과에 근거한 수학적 모델링 탐색

        황혜정 ( Hwang Hye Jeang ),민아람 ( Min Aram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8 수학교육논문집 Vol.32 No.2

        2007년에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주제로 국내 학회지에 실린 총 11편의 선행 연구 및 22편의 석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이해를 탐색하였는데(황혜정, 2007), 이와 동일한 취지와 목적으로 2007년 이후 수학적 모델링에 관하여 전반적인 사항을 검토해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2007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국내에서 수학적 모델링을 주제를 다루는 논문은 총 24편으로, 여기에는 한국수학교육학회의 ‘수학교육’과 ‘수학교육 논문집’, 대한수학교육학외의 ‘수학교육학연구’와 ‘학교수학’, 그리고 한국학교수학회의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논문이 해당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총 24편의 논문을 중심으로, 수학적 모델링의 의미, 수학적 모델링의 문제의 특징과 유형, 수학적 모델링에서의 모델의 의미 등에 대하여 분석하여 재정리해 보고자 한다. 다만, 2007년 연구에서는 22편의 석사학위논문을 부가적으로 참조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학회지의 것과 상이하게 다른 점을 비교하였는데, 금 번에는 학회지 논문만도 총 24편에 달하므로 이에 초점을 두어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선행 연구자들간의 다소 다른 견해나 강조점들에 관한 의견을 종합하여 정리하는 과정에서 수학적 모델링과 관련된 몇몇 국외 문헌들을 참조하고자 한다. Problem solving and its mathematical applications have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in school mathematics over the past years. Recently it is recommended that mathematical applications and modelling situations be incorporated into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Many researchers on the approach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This study is planning to investigate and establish the meaning of mathematical modelling and model, mathematical modelling process. And also it does the properties of problem situations introduced and dealt with in mathematical modelling activity. To accomplish this,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ose 24 articles. They are ones which have been published from 2007 to 2017 and are included in the five types of publication. Prior to this study, the previous study was conduct in 2007 with the same purpose. Namely, by the subject of 11 articles and 22 master dissertations published domestically from 1991 to 2005, the analytic and explorative study on the mathematical modelling and its understanding had been conducted.

      • KCI등재

        터널 조명배열 유형과 운전자 주행행동 및 인식 간의 관계 분석

        신소현(Shin, So Hyeon),민아람(Min, Aram)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3

        최근 터널의 증가와 터널의 장대화로 터널 내 사고율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다. 터널의 폐쇄적이고 협소한 공간은 운전자들의 심리를 자극한다. 이에 따라 국내외 각종 터널 관련 문헌 조사 및 분석, 국내외 터널 조명 관련 분석 등을 바탕으로 1km 이상 터널을 외‧내부 디자인 요소별로 정량화하며 사고데이터와 관계를 분석한다. 데이터 기반 사전연구를 통해 터널의 어떤 디자인 요소가 사고량과 가장 연관성이 있는지 규명하고 이후 관련 요인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위해 운전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2차 실험을 진행하여 정확하게 어떤 관계가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다중회귀분석으로 이행된 데이터 기반 사전연구에 의하면 터널의 넓이, 차선 수, 터널 곡선의 유무, 그리고 출구부 조명의 여부가 사고량과 유의미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 외 조명 색의 다양성과 조명의 개수 및 위치가 미미한 관계를 보였는데, 이에 대한 심층적 요인 파악을 위해 시뮬레이션 실험을 총 18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몰입감 있는 운전 주행 시뮬레이션을 위해 게임 엔진인 Unity를 활용하여 실제 터널 모양과 유사하게 모델링 하였으며 현실감을 위해 Racing Wheel을 활용하였다. 각 참여자는 총 6가지의 터널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를 배정받아 주행하였으며 각 시나리오는 3개의 터널에 3개의 충돌지점이 포함되어 설계되었다. 터널 주행 후에는 인터뷰를 진행하여 운전자들의 실제 도로 또는 터널 운전 경험에서 나오는 감정 요인을 파악하였다. 이 결과 터널 내에서의 조명개수 및 위치는 운전자 주행 행동 및 심리‧인지적 측면과 다소 복잡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조명배치가 1배열일 때 집중도가 높아졌다는 인터뷰 결과와 상반되는 2배열일때 충돌률이 줄어드는 수치적 결과는 오히려 조명 디자인이 너무 한곳에 집중되어 있으면 시각적 장애물 역할을 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으며, 조명이 전체적으로 너무 과할 경우, 눈에 피로도 또한 운전 주행에 방해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조명 디자인의 다양한 유형(색상, 배치 간격, 형태 등)에 관한 심층적 연구의 확장이 필요함을 강조할 수 있었다. Recently,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unnels and their elongation have raised the risk of accident rates in tunnels. The closed and narrow characteristics of the tunnels inevitably affect the psychology and the cognition of the drivers. In this research, we quantify tunnels over 1km by design elements, and the relationship with real-world accident data is analyzed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s a result, we found out that the tunnel’s width, number of lanes, presence of a curve, and presence of lighting in the tunnel’s end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 accident data. Meanwhile, the number of lighting colors and lighting array types had a minimal relationship. To investigate the regression results more in-depth, we conducted experiments that simulate the driving situations with diverse lighting array counts and sides at curved parts of the tunnels. For the experiment, we designed six different scenarios, each with three different tunnels with three different crash points. There were 18 participants, and each was given one scenario to drive using a racing wheel for the sense of reality. After the simulation experiment, we interviewed the subjects to identify the drivers attitudes toward the actual road and tunnel driving experiences. From the interviews, we were able to identify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unnel lighting designs and driving behaviors and cognition of the drivers is, in fact, complex. For instance, while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y felt more focused when there was a single array of lighting, the actual crash rate was substantially lower when there was a double line of lighting.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needs further research with various lighting designs such as the color, spacing, and sha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