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 직후(1945~1948) 황의돈의 국사교육 재건 활동

        민성희 한국역사교육학회 2015 역사교육연구 Vol.- No.21

        This study researched Eui-Don Hwang’s activities for reconstructing Korean history education. Eui-Don Hwang was a history inspecting officer of ministry of education in U.S Military Government, so he had much effects on school history education at those day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wang taught korean history at several schools, published some history textbooks and presented many essays concerning to korean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se experiences had the impact on Hwang’s activities for reconstructing Korean history education and his historical education viewpoint after 815 liberation. Second, Hwang, as a history inspecting officer in U.S. Military Government, had efforts to reconstruct school history education, authoring history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taking a part in developing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preparing teacher education. Also he endeavored to spread history education to people, for example, giving lectures to adults and adolescents. The purpose of Hwang’s activities was to raise the nationalistic spirit of people in independent Korea. Third, both Elementary National History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Middle National Histo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ich were used as history textbooks during U.S Military Government, were written to put emphases on the systematization of Korean history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unique culture. Those history textbooks were aimed for students to recognize the subjectivity in Korean history and pride it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from Dangun times through Goguryeo-Balhae-Goryeo. Hwang wrote cultural history specifically in Elementary National History, while giving a great importance to the political history in Middle National History. Such difference between two textbooks were aimed for students to easily understand their contents. Through thes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books, we can figure out Hwang’s educational consideration. That means he has studied how the contents would be differed from each level in history education. This study researched the change of history education focused on an individual, called Eui-Don Hwang, right after 815 Liberation, so that could describe more specifically the state of history education of those times as compared with existing studies. I expected to further followup studies for concretely scrutinizing the history of history education by the method such as this article. 본 연구는 미군정 초기 문교부 역사편수관이었던 황의돈의 국사교육 재건 활동을 밝힌 것이다. 먼저 해방 이전 황의돈의 한국사 연구와 교육활동을 살펴보았다. 일제시기 황의돈은 여러 학교에서 역사를 가르치며 민족교육에 앞장섰다. 황의돈은 민족적 관점에 입각하여 한국사 연구에 몰두하며 많은 글을 발표하였다. 또한 1920년대 이후 생겨난 문화사학은 황의돈의 역사연구 방향을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활동은 해방 이후 황의돈이 미군정청의 편수관으로서 학교 국사교육을 재건하고 대중에게 한국사 지식을 보급하는 노력으로 이어졌다. 해방이 되자 황의돈은 곧 바로 중등용 국사교재인 『중등국사』를 펴냈으며, 미군정이 펴낸 초등용 임시교재인 『초등국사』를 집필했다. 『중등국사』는 일제시기 많은 학교에서 교재로 사용되었던 『중등조선역사』를 일부 수정하여 간행한 책이다. 『중등국사』는 해방 이후 처음 나온 교재였고, 당시 문교부가 중등용 국사 교재로 출판한 『국사교본』이 1946년 6월에야 정식 배부되었으며, 교과서 발행제도도 정비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중등국사』는 상당히 널리 사용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초등국사』 역시 1947년 3월 미군정이 사회생활과 국사교재인 『우리나라의 발달』(6학년용)을 발간하기 전까지 많은 학교에서 교재로 사용되었다. 황의돈은 국사 교재를 펴내는 일 외에도 국사교육 재건에 필요한 교원 교육에 힘을 기울였고, 청년교육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부 우익청년단 활동에 참여했지만, 이들 단체가 이승만을 지원하는 정치단체가 됨에 따라 거리를 두었다. 한국전쟁 이후에는 여러 대학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역사연구와 교육활동에 전념하였다. 황의돈은 민족적 관점에서 국사교육을 재건하고자 했다. 정인보나 안재홍과 같은 국학자들과 손을 잡고 활동을 했으며, 민족정신의 보급을 위해 노력하였다. 교원교육과 대중강연회에서도 민족정신을 고취하여 새로운 국가의 국민을 양성하고자 했다. 황의돈이 미군정청의 관리이면서도 사회과(social studies)의 도입과 그 속에서 국사를 가르치는 것에 반대한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었다. 결국 황의돈은 교수요목 제정에만 참여하였고, 이에 근거한 국사교과서 집필은 하지 않았다. 해방 직후 황의돈이 펴낸 초·중등 국사교재인 『초등국사』와 『중등국사』는 그의 역사교육관을 잘 보여준다. 이 책들에서 황의돈은 민족적 자긍심과 민족의 주체성을 강조하였다. 고조선부터 이어지는 민족문화의 발달에 중점을 두고 역사를 서술하여, 한국사를 통해 민족정신을 기르고자 했다. 황의돈은 단군시대부터 고구려-발해-고려로 이어지는 한국사의 체계 속에서, 학생들이 민족의 주체성을 확보해 나가도록 했다. 이것은 일본 제국주의가 종결되고, 미국의 정치적 영향력 하에 있었던 시대적 상황 안에서 여전히 유효한 교육목표였다. 그러나 『초등국사』와 『중등국사』의 내용구성에서는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인다. 같은 주제를 다루면서도 초점을 달리하여 두 책을 서술하였다. 초등용 교재에 문화사 단원을 집중적으로 배치하면서 역사를 처음 접하는 학생들이 민족문화의 발달을 쉽게 이해하도록 했다. 사회적인 변화나 정치적 변화는 거의 제외시켰다. 이에 반해 『중등국사』는 정치사의 비중이 높고 정치적 사건을 훨씬 자세히 서술했다. 여기서 황의돈 ...

      • KCI등재

        부산시립무용단의 사(史)적 흐름 고찰

        민성희,허태성 영남춤학회 2023 영남춤학회誌 Vol.11 No.1

        The report wraps off a foundational investigation into how the Busan Municipal Dance Company portrays the city's unique local identity. The Busan Municipal Dance Company's fifty years of performance activities were historically analysed, and the role the work activities played in the development of Busan's dance culture was looked at. The first choreographer was Hwang Mu-bong, followed by Kim Hyeon-ja, Choi Eun-hee, Lee No-yeon, Hong Min-ae, Kim Jin-hong, Hong Ki-tae, Hong Kyung-hee, Kim Yong-Chul, and Lee Jung-Yoon, who served as the 11th chief choreographer. The analysis of each choreographer's prior performance activities revealed that, in the past, the themes of the dance were sympathetic to the people of Busan. It focuses on the struggles and tragedies that people who are subjected to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go through. To emphasise locality, the Dongnae Crane Dance, Dongrae Yaryu, and Mask Dance, among other Busan folk dances, were performed or recreated. Thirdly, it made an effort to modernise tradition in order to reveal the region's character. Fourth, public talks and travelling performances have aided in growing the dance's audience. As a result, through exploring the history of the Busan Municipal Dance Company, we can anticipate the growth and next big step of dance culture in the Busan area while also bringing the region's identity to life.

      • KCI등재

        코로나19 감염병 상황의 학교급식 대응 메뉴 개발

        민성희,이민준,채선희,백선영,김태은,함선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22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8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field applicability of school food services emergency meal menus during COVID-19 pandemic, intending to offer nutritious meals to students. Methods: Field visits were made to schools to investigate food servi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August 2020. The homepages of various schools and the New Enterprise Incentive Scheme (NEIS) program were searched for the appropriate menus for the pandemic situation from May 27th to July 31st, 2020. Menus were developed for different grade schools, considering cooking convenience, nutrition, and menu preferences. The menus were nutritionally evaluated using the NEIS program and the field applicability was review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Results: The field visits revealed that quick decision-making reflecting the pandemic situation and suitable guidance by the school were the most essential requirements. Simple menu plans, precise guidelines, and diverse menus were also needed for nutritional satisfaction and minimization of the cooking/serving time. Thus, we established a new term, ‘emergency meal’, which substituted ‘convenience meal’. Providing the emergency meal menus could lower the infection risk through minimized mask-off time, dispersed serving time, and ensuring time for disinfection with minimized cooking/serving time. The menus categorized separately by school grades included rice balls, fried rice, bibimbap, rice with topping, and noodles. A two-week emergency meal plan was devised based on the school grade. Total calories, nutrient content, and food allergy information for the menus were provided. The feasibility of the suggested menus for the school food service was positively confirmed by the focus group interviews. Conclusion: The emergency meal developed in this study contributed to student mealtime minimization, effective school food production, and ensured time for disinfection under the circumstances imposed by the COVID-19 pandemic while simultaneously meeting the nutritional requirements and preferences of growing children and adolescents.

      • KCI등재

        급식소 조리종사자들의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인식 조사

        민성희,김지연 한국관광연구학회 2019 관광연구저널 Vol.33 No.7

        최근 식품알레르기 질환의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학생들은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보다 학교에서의 활동시간이 길어지고 있기에 식품알레르기 유병 학생의 건강증진과 식품안전성을 위하여 국내에서는 2012년부터 급식의 식품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제를 시행하고 있다. 식품알레르기는 관리만 잘하면 증상의 예방이 가능하므로 개인적인 관리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차원에서도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하다. 영⋅유아와 초⋅중고생은 보육시설과학교에서 급식을 이용하게 되므로 단체급식 종사자가 식품알레르기에 대해 바르게 인식하고 있다면 대상자가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식품알레르기 내용의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조사대상자들이 전체의 56.8%, 교육경험이 없는 경우가 43.2%로 이러한 분석결과 우리는 아직까지 급식소 현장에서 조리원에 대한 알레르기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는 결과를 보여준다. 그러나 조사한 문항들에 대하여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그룹의 지식점수와 인식점수가 대부분 높았고, 식품표시제를 확인하는 정도도 높았기에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위해서도 앞으로 지속적인 대상자 교육이 필요하며 올바른 정보 전달로 식품알레르기로 인한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