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문성식,박미영 영남대학교 기초/임상의학연구소 2001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Vol.18 No.1
Background: Meralgia paresthetica(MP) which is characterized by paresthesias and sensory impairment without motor weakness in the anterolateral aspects of the thigh is produced by compression of the lateral femoral cutaneous nerve(LFCN). Even though the diagnosis of MP is mostly based on the clinical symptoms, electrophysiologic study is mandatory to confirm the disease objectively. It has been known that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SEP) study of LFCN is a simple and very useful method to evaluate MP, so we studied SSEP of LFCN in normal adults and offer normal value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six normal adults(23 males and 13 females) ages from 21 to 73 years old(mean±SD:42.06±15.74) were studied SSEP of LFCN bilaterally. The stimulation site was anterolateral aspect of thighs and the recording site was Cz'. Results : The mean values(msec±SD) of LP0, SP0, LN1 and SN1 of all subjects were 35.10(±2.42), 33.80(±2.4), 43.68(±1.88) and 42.16(±2.12) and the mean values(msec±SD) of DP0, DN1 and DA(μV±SD) were 1.30(±1.14),1.52(±1.38) and 0.32(±0.33). Conclusion: For the diagnosis of MP, comparison of latency difference between both sides is more reliable than simple value of latency itself because of individual differences of body types. According to our results, the latency difference should be less than 2 msec and the amplitude difference was less than 1.6 times in normal adults.
프로 골퍼와 아마추어 골퍼의 골프 퍼팅 시 시선변화의 연구
문성식,홍준희 한국골프학회 2019 골프연구 Vol.13 No.4
[목적] 본 연구는 프로골퍼와 아마추어 골퍼의 퍼팅 시 시선변화의 차이를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여 밝힘으로써 아마 추어 골퍼의 퍼팅 시 시선 동작을 연습하는 데 도움을 주고, 아마추어의 퍼팅 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 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아마추어 골퍼 7명과 KPGA 프로 이상의 자격을 가진 7명의 프로 골퍼 등 총 14명이 실내 퍼팅그린에서 실험에 참여하였다. 시선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아이트래킹 장비는 Tobii pro사의 Tobii Pro Glasses 2를 이용하여서 하였고, 퍼팅 결과는 QEP의 유무에 따라 Clevett의 퍼팅 검사를 응용하여 점수화하였다. 실험을 통해 도출된 자료는 SPSS 18.0을 통해 독립 t-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도출된 결과를 살펴보면 QEP가 있는 집단에서 퍼팅 점수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그중에서 QEP가 있는 프로 골퍼 집단에서 퍼팅 점수가 가장 높게 나왔다. [결론] 아마추어 골퍼는 시선변화에서 프로골퍼와 다르게 대부분 QEP가 없다는 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아마 추어 골퍼는 퍼팅 시 QEP를 응시하는 자신만의 루틴을 연습하여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helps to practice the gaze of putting an amateur golfer by checking the difference of Eye movement when putting a professional golfers and an amateur golfers,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amateur putting skills. [Method] To do so, a total of 14 participants, including 7 amateur golfers and 7 professional golfers with qualifications above KPGA Pr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on the indoor putting green of the golf practice range. Eye tracking equipment was measured by using a Tobii Pro Glasses Tobii Pro Glasses 2, Putting results were scored by applying Clevett’s putting test. Based on the experiment, an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hrough SPSS 18.0. [Result] As a result showed that the putting score was relatively high in the group with QEP, Among the pro golfer groups with QEP, the putting score was the highest. [Conclusion] As Amateur golfers have no QEP in most eyes, unlike professional golfers. Therefore, amateur golfers will have to practice their routines to stare at QEP when putting.
문성식 (사)한국조리학회 2024 한국조리학회지 Vol.30 No.11
This study use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to examine whether the negative emotion perceived by consumers in fine dining Korean restaurants have a negative effect on word-of-mouth through customer satisfaction,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mediating effect of customer commitment in this relationshi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employing various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s to test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stomer satisfaction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in fine-dining Korean restaurants. Second, customer satisfaction moderated by customer commit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Third, customerr commitment did not direct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customer commitment differs depending on the direct and indirect paths through which negative emotion influence word-of-mouth intention, suggesting that the mechanism by which customer commitment affects consumer behavior is complex and multilayered. While many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customer satisfaction plays a crucial role in preventing negative word-of-mouth,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and on this meaning by revealing that customer commitment plays a significant moderating role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negative word-of-mouth intention. This suggests that companies should strive to increase not only customer satisfaction but also Customer commitment.
「외식경영연구」에서 조절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1998년 창간호부터 2021년까지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
문성식 한국외식경영학회 2022 외식경영연구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조절효과의 개념과 종류 그리고 검증방법에 대하여 선행연구와 문헌들을 고찰하였고,「외식경영연구」창간호부터 2021년 12월까지 게재된 조절효과를 검증한 논문들을 대상으로 조절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 동향의 추세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조절효과를 검증한 전체 논문 중 약 54%가 최근 5년 동안 게재됨으로써 외식경영 연구자들의 조절효과에 대한 관심이 최근 들어 더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둘째,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통계방법으로는 주로 회귀분석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구조방정식을 사용한 비중이 소폭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주로 사용하는 조절변수의 형태는 연속형자료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조절효과 검증 연구를 진행하려는 외식경영 연구자들에게 기초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외식경영 연구에서 조절효과 검증을 위한 가설설정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type and verification method of the moderating effect were considered in the previous researches and literatures, And among the papers published from the first issue of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to December 2021, analysis research trend of the papers that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bout 54% of all papers that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were published in the last 5 years, indicating that researchers studying foodservice management have recently been increasingly interested in the moderating effect. Second, regression analysis was mainly used as a statistical metho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but it can be seen that the ratio of using structural equations is slightly increasing recently. Third, the form of the mainly used moderating variable was found to be continuous data.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hypothesis setting for the verification of moderating effect in foodservice management research.
코로나19 발병 이후「외식경영연구」의 지식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키워드 네트워크분석을 중심으로 -
문성식 한국외식경영학회 2024 외식경영연구 Vol.27 No.5
연구목적:코로나19 발병 이후 외식경영학 지식 구조의 변화 방향을 명확히 하고, 향후 외식경영학 연구의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이를 위하여「외식경영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발병 이전(2016년-2019년)과 발병 이후(2020년-2023년)로 구분하여 개별 논문의 주제어를 수집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첫째, 발병 전후 출현빈도가 높은 대부분의 주제어는 외식 마케팅 분야의 주요 개념들이다. 둘째, 발병 이후 외식경영학의 연구 방향은 언택트 연구 주제, 빅데이터 분석 방법, 그리고 연구 대상이 변화되었다. 셋째, 출현빈도가 높은 대부분 주제어는 네트워크 내 영향력도 높다. 넷째, 발병 이후 주제어의 연결패턴은 발병 이전과 동일하지 않다. 시사점:코로나19가 외식경영학 연구자들의 영감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거시적이고 계량적인 분석을 통해 외식경영학 지식구조를 규명하였다.
부정적감정이 고객만족을 경유하여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고객몰입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 - 파인다이닝 한식당 고객을 대상으로 -
문성식 한국외식경영학회 2025 외식경영연구 Vol.28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파인다이닝 한식 레스토랑에서 고객의 부정적 감정이 부정적 구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고객만족의 매개역할과 고객몰입의 조절된 매개효과에 주목하였다. 연구방법: 총 802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매개효과분석, 조절효과분석, 조절된 매개효과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고객몰입은 부정적 감정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고객만족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조절효과는 간접 경로를 통해 작용하였다. 시사점: 본 연구에서 고객몰입이 단순한 긍정적 영향만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기여도가 있다. Objective:This study explored how negative emotions influence negative word-of-mouth in Korean fine dining restaura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moderated mediation by customer commitment. Methods: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n a total of 802 subjects. Then, this study conducted analyses, including frequency, reliability, fact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mediation,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Results:Customer commitment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s and customer satisfaction, as well as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The customer commitment showed moderating effect indirectly. Implications:These findings highlight that customer commitment functions variab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contributing nuanced insights beyond its typical positive influ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