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명사구 발화에서 영어 능숙도에 따른 관사와 단음절 명사 모음 길이 비교

        박우지(Wooji Park),모란(Ran Mo),이석재(Seok-Chae Rhee) 한국음성학회 2020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12 No.3

        본 연구는 기능어인 관사 및 1음절 내용어 명사로 구성된 명사구 내 두 단어의 모음 길이 비율과 영어 능숙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영어와 한국어 발음에 있어서 대표적 차이 중 하나는 발음상의 리듬이라는 특정적인 요소가 규칙적으로 나타나는지 여부이다. 특히 영어 발화시 내용어는 기능어 대비 상대적으로 더 두드러진(prominent) 소리를 가지게 되는데 이는 영어에서 내용어의 경우 강세를 갖게 되나 기능어의 경우 그 강세가 미비하거나 강세를 갖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어의 내용어 단어 내 모음은 기능어 단어의 모음보다 길게 발음되며, 더 큰 소리로 발화되며, 더 높은 소리를 가지고 리듬을 만들어 내게 된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내용어 내 강세를 갖는 모음과 기능어 내 강세를 갖지 않는 모음의 길이 차이에 초점을 두고 유창성이 평가된 L2 영어 음성 코퍼스(Rated K-SEC) 중 한국인 초등학생이 발화한 879(원어민 발화 20개 포함)개의 문장 내 명사구 음성 파일을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879개의 문장은 영어 유창성 평가에 따라 4개의 등급으로 각각 재분류되었으며 이들 문장안에 들어 있는 명사구 내의 관사의 모음 길이와 명사의 모음 길이를 확인하고 그 비율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관사 모음 대비 명사 모음 길이 비율은 영어 능숙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Advanced(2.453)>Intermediate High(1.26)>Intermediate Low(1.034)>Novice(0.857)]. 또한 각 능숙도 그룹 간 내용어-기능어 간 모음 길이의 차이 및 그 비율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p< .001). 이는 한국인 화자의 경우 영어 유창성이 높아질수록 영어 단어 발화 시 명사구 내의 기능어인 관사 모음보다 내용어인 명사 모음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길게 발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Korean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and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stressed vowel in a monosyllabic noun to that of the unstressed vowel in an article of the noun phrases (e.g., “a cup”, “the bus”, etcs.). Generally, the vowels in monosyllabic content words are phonetically more prominent than the ones in monosyllabic function words as the former have phrasal stress, making the vowels in content words longer in length, higher in pitch, and louder in amplitude. This study, based on the speech samples from Korean-Spoken English Corpus (K-SEC) and Rated Korean-Spoken English Corpus (Rated K-SEC), examined 879 English noun phrases, which are composed of an article and a monosyllabic noun, from sentences which are rated on 4 levels of proficiency. The lengths of the vowels in these 879 target NPs were measured and the ratio of the vowel lengths in nouns to those in articles was calculated. It turned out that the higher the proficiency level, the greater the mean ratio of the vowels in nouns to the vowels in articles, confirming the research’s hypothesis. This research thus concluded that for the Korean English learners, the higher the English proficiency level, the better they could produce the stressed and unstressed vowels with more conspicuous length differences between them.

      • KCI등재후보

        대학부설 5개 과학영재교육원의 중등화학 교재 분석과 영재학생들의 인식 조사

        이상권 ( Sang Kwon Lee ),모란 ( Ran Mo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科學敎育硏究誌 Vol.36 No.1

        이 연구에서는 5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중등 화학반 교재를 고안한 분석틀에 의해 비교·분석하였고, N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학생들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올바른 영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고안한분석틀은 교재 내용, 활동의 유형, 활동의 수준, 실험활동의 개방도, 창의적 사고력 유형 등 6가지 범주에 따른 준거로 구성되었다. 교재분석결과 대체로 단원내용이 적절하게 배분되어 이루어졌지만 첨단과학이나 융합과학 등의 내용이 부족했다. 활동의 유형은 대부분이 강의나 실험활동으로 다양한 활동들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적 선행학습이나 과학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학습활동의 비율이 높았다. 활동의 수준 분석 결과 창의적 활동이매우 부족했고 실험활동의 개방도에서는 2수준 이상의 활동 비율이 낮았다. 그리고 창의적 사고력 유형분석에서는 확산적 사고력과 연관적 사고력을 촉진하는활동이 부족함을 보였다. 진정한 영재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 다. 리커트 방식의 설문지와 면담을 통해 분석한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응답은 전반적으로 N대학교 부설영재교육원 프로그램의 내용과 자신의 능력향상, 운영방식 등에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In order to promote national competition on knowledge based-society in 21centuries, it is important for us to train talented people who have much creativity. Comparing curriculums and contents studied in SECG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and other organizations is object of this thesis. Finding implications of proper GATE(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by understanding the present conditions is also a part of this thesis. We select 5 Science Education Centers for the Gifted and devise framework for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chemical textbooks in GATE programs. The framework consists of 6 categories including the contents, the level of activities, the opening extent of experiments, and the ability to think creatively. In our study of textbooks, we have found that the contents of chapters are divided properly but lacked the field of frontier and convergence science. Their activity types will have to develop programs which consist of various activities such as lectures and experiments. Precedent studies and study activities to promote scientific thinking were rated highly in general ratio. The level of studies that we analyzed lacked creative activities very much. In the opening extent of experiments, activities in the level 2 and the level 3 were low-rate. And in our study of thinking creatively, activities of promotion for expanded and relatedability to think seemed to lack. In order to achieve specific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developments of GATE program is required. In the in-depth analysis from the questionnaires of Likert`s method`s descriptions, narrations, and interviews, it is divided into two answers in depth: contents of program, management of program. These also divided into two answers by attitude: positive answer or negative answer. According to the responses of the contents of program,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most respondents have positive reactions to not only contents and the managing method of SECG programs, but also to individual enhancing-abilities overall.

      • KCI등재

        직업상담사가 인식하는 작업동맹에 대한 개념도 연구

        모란(Moran Kim),안윤정(Yoonjung An) 한국진로교육학회 2022 진로교육연구 Vol.3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상담사가 인식하는 작업동맹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파악하고, 요인 간 중요도와 경험일치도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에 비구조화된 개념을 질적으로 접근하여 통합한 뒤 정량적 결과 집합을 생성하는 방법론인 개념도 연구를 사용하였다. 먼저, 선행연구 분석과 전문가 자문을 통해 초점질문을 개발하였으며, 공공 및 민간 소속 직업상담사 27명을 개별 면담하여 기초진술문을 추출하였다. 이후 두 차례의 타당화 작업을 거쳐 48개의 최종진술문을 도출한 후, 연구 참여자 23명의 유사성 분류작업을 활용하여 다차원분석법과 계층적 군집분석(Ward 방법)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직업상담사들이 인식하는 작업동맹의 2개의 차원과 4개의 군집을 확인하여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차원 1은 ‘작업동맹의 소통-성찰 요인’, 차원 2는 ‘작업동맹의 관계-행동 요인’으로 명명하였으며, 4개의 군집은 ‘신뢰와 소통’, ‘라포형성과 자기개방’, ‘자기객관화와 현실직시’, ‘목표설정과 과제이행’으로 명명하였다. 연구를 통해 첫째, 직업상담 현장에서 상담사들이 인식하는 작업동맹의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직업상담의 성과와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동맹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직업상담사가 인식하는 작업동맹에 대한 중요도에 비해 작업동맹의 요인을 자주 경험하지 못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셋째, 심리상담 분야의 선행연구에서 보이는 상담사와 내담자 사이의 관계 형성과 상담 능력의 요인들이 직업상담의 분야에서도 유사하게 발견되었다. 넷째, 직업상담 분야의 고유한 작업동맹 표지들인 직무역량강화, 취업눈높이 조정, 개인 및 직업 특성 탐색, 진로장벽에 대한 도전, 적극적인 입사지원 행동 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단기상담 위주의 직업상담에서 작업동맹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내담자의 반응과 상호작용을 통한 작업동맹 형성의 근거를 제공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ceptual structure of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vocational counselors and to explore the importance and experience agreement between factors. A concept mapping was used, 27 vocational counselors belonging to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After that, 48 final statements were derived through two validations. Through multidimensional analysi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Ward method), a concept map was created. The 2 dimensions were named ‘communication-reflective factors of working alliance’ and ‘relational-behavioral factors of working alliance’, and the 4 clusters were named ‘trust and communication’, ‘rapport-building and ‘self-disclosure’, ‘self-objectification and facing reality’, and ‘goal setting and task execution’.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a working alliance that affects th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vocational counseling. Second, it was found that vocational counselors did not often experience the factors of working alliance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recognized working alliance. Third, the factors of relationship formation and counseling ability between counselors and clients were similarly found in the field of vocational counseling. Fourth, factors such as reinforcement of job competency, adjustment of expectation level for employment, exploration of personal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challenge for career barrier, active job seeking activities, which are signs of unique working alliances in the field of vocational counseling, were identifi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importance of working alliance in short-term counseling-oriented vocational counseling and provided the basis for the formation of working alliance through client reactions and interactions.

      • KCI등재

        서비스 실패요인이 보복행위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품질의 조절효과

        모란,안광호,Kim, Mo Ran,Ahn, Kwang Ho 한국마케팅학회 2012 ASIA MARKETING JOURNAL Vol.14 No.1

        과거 기업은 고객만족을 통해 고객의 충성도를 구축해 지속적인 이윤을 창출하는데 주로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고객들은 기업에게 긍정적 영향만을 주지 않으며 때로는 기업을 위험에 빠뜨리기도 하고 곤란에 처하게 하기도 한다. 서비스 실패를 경험한 고객에게 기업이 적절한 서비스 회복조치를 취하지 못했을 때 그들은 배신감과 분노 같은 강한 부정적 정서를 느끼며 이러한 부정적 정서는 기업의 성과에 상당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격적 행동이나 보복행동을 유발 할 수 있다. 고객이 느끼는 이러한 부정적 정서는 기업과 오랜 거래관계를 유지하고 그 기업에 대해 애착을 가진 충성고객에게 더 강하게 발생될 수 있다. 강한 배신감을 느낀 충성고객은 단순히 경쟁기업으로 브랜드 전환을 하는데 머무는 것이 아니라 온라인 부정적 구전, 불매운동, 언론매체를 통한 호소 등의 강력한 보복행동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서비스 실패요인으로 발생되는 배신감이라는 감정이 보복욕구를 통해 보복행위까지 가는 인과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기업 간의 충성도가 각기 다른 고객들을 분류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각각의 공정성 훼손은 모두 지각된 배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객들은 분배 공정성 훼손으로 인한 서비스 실패를 경험하였을 경우 가장 높게 배신감을 지각했으며 절차공정성 훼손으로 인한 서비스 실패를 경험하였을 경우 배신감을 가장 낮게 느끼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배신감은 보복욕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후 부정구전과 보복적인 불평행동, 제3단체를 통한 불만 홍보와 같은 보복행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정성 훼손은 지각된 배신감과 보복욕구와 같은 매개변수를 통하여 보복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공정성 훼손과 지각된 배신감과의 관계에서 과거 해당기업과 고객 간의 관계의 친밀도를 나타내는 관계품질의 조절변수 역할을 검증한 결과 관계품질은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비스 실패 요인이 보복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단순 인과관계로 보지 않고 기업과 고객 간의 관계품질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연구를 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Service failure and a poor service recovery may lead loyal customers to try to aggressively punish the service firm. We use perceived betrayal and desire for vengeance as the key constructs to understand customer retaliation. Perceived betrayal is defined as a customer's belief that a firm has intentionally violated what is normative in the context of their relationship. And the desire for vengeance is defined as the retaliatory feelings that consumers feel toward a firm, such as the desire to exert harm on the firm. The perceived betrayal and the desire for vengeance are key antecedents of retaliatory behaviors such as vindictive complaining, negative WOM and third-party complaining for publicity.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betrayal is a key motivational factor that lead customers to restore fairness by making use of all means, including retaliation. We also find that relationship quality has effect on a customer's response to a failure in service recovery. As the levels of relationship increases, a violation of the proper fairness has a stronger effect on the sense of betrayal experienced by customers. Considerable research has investigated consumer responses to dissatisfaction. But our study examine the response of outraged and highly frustrated consumers. We focus on emotional and behavioral processes that have not been covered by previous dissatisfaction researches and which are unique to outraged consumers caused by extremely dissatisfied purchase experience. It has recently been pointed out by various mass media that the customers not onl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company performance but also put the company in crisis. It has often been reported that one customer's dissatisfaction, for example, never ends as it is, and it tends to grow for retaliating upon the company, depending on the level of seriousness of the dissatisfaction. This sometimes leads to a lawsuit against the company. Our study focuses on the customers'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s induced by their extreme dissatisfactions. We divided the customer groups into the customers with high relationship quality and the customers with low relationship qual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s examin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feeling of betrayal caused by the service failure and the retaliatory behavior triggered by the desire of revenge. Our study is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nfairness and the perceived betrayal and desire for revenge. Second, the effect of the perceived betrayal and desire for revenge on the retaliatory behavior is investigated. Finally, the moderating role of relationship quality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unfairness in service recovery and the perceived betrayal is analyzed. This study finds the following empirical results. The distributive unfairness, procedural unfairness and interactional unfairn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ceived betrayal. Especially, the perceived distributive unfairness results in the highest perceived betrayal. When the service company does not provide customers proper and sufficient compensation for the failure, they feel the strong sense of betrayal. And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betrayal, desire for revenge and retaliatory behavior, the perceived betrayal has significant effects on e desire for revenge. In addition desire for revenge has significant effects on negative word of mouth, retaliatory complaining behavior and publicity of complaints through third group. Therefore the perceived unfairness has effects on retaliatory behavior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perceived betrayal and desire for revenge. Finally the moderating role of relationship quality was examin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fairness and perceived betrayal. If the customers experienced the perceived unfairness in the process of service recovery, the customers with hig

      • KCI등재

        미술치료사의 비대면 미술치료 진행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모란,변혜진,김서현 한국예술치료학회 2021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 속에서 이루어진 비대면 미술치료 진행 경험을 통해 미술치료사들의 역동 적 상호작용과 비대면 미술치료의 적응 과정을 심도 있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다루기 위한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사의 비대면 미술치료 진행 경험 과정과 변화에 따른 상황적 연쇄 구조를 살펴보는 것이다. 자료 수집은 비대면 미술치료 진행 경험이 있는 20명의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1:1 심층 면접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것을 바탕으로 227개의 개념, 41개의 하위범주, 14개의 범주를 도출하였 다. 근거이론을 통해 분석한 자료에서 ‘불확실함 속에서의 출발’, ‘낯선 공간에서 초심자의 마음으로 동행’, ‘비대면 미술치료의 가치 재발견’, ‘새로운 발걸음’의 4단계 과정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 참여자 들은 비대면 미술치료를 통해 미술치료사로서의 정체성을 재정립하고, 역량을 확장하는 기회로 삼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비대면 미술치료의 중요한 기초자료로써 한계점 및 가능성, 문제 해결 방안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adaptability of workplace counselors to non-face-to-face art therapy sessions and their dynamic interactivity under the Covid-19 pandemic by scrutinizing the real-life experiences of the counselors in the new setu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situational chain structures corresponding to the counselors’ experiences of non-face-to-face art therapies and their procedural changes. For the data collection, both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workplace counselors with experiences of non-face-to-face sessions, and a total of 227 concepts, 41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Data analyzed through grounded theory derived four stages: ‘departure in uncertainty,’ ‘exploring an unfamiliar terrain with a beginner‘s mind,‘ ’rediscovery of the value of contact-free art therapy,‘ and ’taking a new step.‘ This research discovered that participants used the opportunity of the new non-face-to-face setups to re-establish their identities as art therapists and to expand their competencies. The research provides both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as rudimentary data for non-face-to-face art therapy and suggests directions that future research should take to address possible problems concerning non-face-to-face art therapy.

      • KCI등재

        외상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의 다차원적 경험회피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

        모란,유성은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4 인지행동치료 Vol.14 No.3

        경험회피는 다차원적인 심리적 개념으로 외상 경험자들의 심리적 기능과 역기능 모두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하위요인들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가장 고통스러운 외상경험 후 경과시간을 통제한 후에도 외상 후 성장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웹 기반 설문조사를 통해 평생 한 번 이상의 외상 사건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보고한 만 18세에서 30세 이하의 대학생 619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경험회피 척도(MEAQ), 외상 후 성장 척도(PTGI), 외상 후 스트레스 진단 척도(PD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에 앞서 본 연구를 위해 번안한 다차원적 경험회피 척도의 요인구조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회피행동, 고통혐오, 지연행동, 주의분산/억제, 억압, 부인, 고통감내의 7요인이 추출되었고 요인별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하위요인 중 고통혐오와 고통감내만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경과시간을 통제한 후에도 외상 후 성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경험회피 하위요인 중 회피행동, 지연행동, 주의분산/억제, 억압, 부인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경과시간을 통제한 후에는 외상 후 성장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상 경험 후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경험하더라도 고통을 회피하지 않고 다루는 능력이 외상 후 성장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Experiential avoidance i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associated with either dysfunctional or functional adaptations following traumatic experience. The aims of the study were twofold.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experiential avoidance in Posttraumatic Growth (PTG) in college students with lifetime history of traumatic event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whether experiential avoidance would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PTG even after controlling for PTSD symptoms and time elapsed since the most distressing traumatic event. Secondly, the study aimed to validate the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Questionnaire (MEAQ) in trauma-exposed college students in Korea. A total of 619 undergraduates who have exposed to at least one traumatic event in their lifetime included in the study. All participants completed a web-based survey assessing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Questionnaire (MEAQ),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PTGI), and the Posttraumatic Stress Diagnosis Scale, Korean version (PDS-K). Factor analysis resulted in seven factors of the MEAQ including behavior avoidance, distress aversion, procrastination, distraction/suppression, repression, denial, and distress enduranc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only the distress aversion and distress endurance factor of the MEAQ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TG after controlling for PTSD symptoms and elapsed time since the trauma. Other factors such as behavior avoidance, procrastination, distraction/suppression, repression, and denial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TG after adjustment. Findings indicated that people who reported psychological growth following traumatic experience were less likely to engage in distress aversion and more likely to have ability to tolerate distress.

      • KCI등재

        <무의도기행>의 상호텍스트성 재고 - <어선천우환>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모란 한국극예술학회 2018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61

        This paper attempts to give a significance to a newly found fact concerning Ham Sedeok (咸世德)’s Muidogihaeng (舞衣島紀行, 1941), his representative work that had, hitherto, been 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Irish dramatist J. M. Synge. What this paper shows as a new finding is that in all likelihood Muidogihaeng was an appropriated, or plagiarized, the work of a Dutch dramatist Herman Heijermans’s drama, Op Hoop Van Zegen (The Good Hope, 1900). In fact, it can be safely said that The Good Hope is the original text of Muidogihaeng because they share the main storyline and some other minor points, which totally updates the nature of the intertextuality seen in Muidogihaeng. The Good Hope, often positively valued as a legacy of the literary movement in naturalistic realism, was translated into Japanese by a leading light in the theater at the time, Kubo Sakaez(久保栄), in 1928 (under the title of Tenyumaru) and in 1930’s it was picked up often as an important play by many modern Japanese theatrical companies. After revealing the nature of The Good Hope as the original text of Muidogihaeng, the paper locates The Good Hope in the Shingeki movement. Then, it focuses on the two pieces of work derived from the Good hope: one is Gyomin (漁民, 1931), which is a drama concerning Japanese fishermen written by Kubo, and the other is Muidogihaeng, which is a drama concerning Korean fishermen written by Ham. Detailed comparison of these Japanese and Korean descendants of The Good Hope will illuminate the characteristics of Muidogihaeng which cannot be found in the original text (The Good Hope) or its Japanese counterpart (Gyomin). Former studies have argued that Muidogihaeng is original and creative because, different from the works of J. M. Synge that seeks the Irishness in the ahistorical spaces, it takes up not only nature but also the social and industrial structure as causes of fishermen’s predicament. To this very point this paper will make objection. Seen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Good Hope, Muidogihaeng, as a whole, less emphasizes the opposition to fishery capital; rather, it is a drama reorganized to highlight the tragedy of a mother who lost her loving son. 본론은 이제까지 주로 아일랜드의 극작가 싱(J. M. Synge)과의 관련에서 논의되어 온 함세덕의 대표작 <무의도기행>(1941)에 대하여,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사실을 새롭게 제시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려는 시도이다. 그 사실이란 바로, <무의도기행>이 네덜란드의 극작가 하이에르만스(Herman Heijermans)의 <어선천우환(Op Hoop Van Zegen)>(1900)을 차용하여 쓰여졌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본론은 <어선천우환>과 <무의도기행>의 기본적인 중심 플롯의 유사성 및 여타 묘사에서 확인되는 지엽적인 유사성들을 제시하며, <어선천우환>이 <무의도기행>의 가장 중심적인 원텍스트임을 논증하고, 이를 통해 <무의도기행>에 발현된 상호텍스트성의 내용을 근본적으로 갱신하고자 한다. 자연주의 리얼리즘의 뛰어난 유산 중 하나로 평가되는 <어선천우환>은 1928년에 일본의 연극인 구보 사카에(久保栄)에 의해 일본어로 번역된 이래, 1930년대 중반 일본 신극계의 중요한 레퍼토리 중 하나였다. 그러므로 본론에서는 우선, <무의도기행>의 원텍스트로서 <어선천우환>의 존재를 밝힌 후에, <어선천우환>이 당시의 일본 신극계에서 어떠한 위치를 점하는 작품이었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어선천우환>으로부터 파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두 개의 텍스트, 즉 구보에 의해 다시 쓰여진 일본의 어민극 <어민(漁民)>(1931)과 함세덕에 의해 다시 쓰여진 조선의 어민극 <무의도기행>을 구체적으로 비교 검토하며, 여타와 구별되는 <무의도기행>의 특징을 분석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론은, 탈역사적인 시공간에서의 아일랜드성을 탐구하는 싱의 작품과는 달리, <무의도기행>이 어민들의 고난의 원인으로서 자연뿐 아니라 식민지하 어촌의 모순된 사회구조, 산업구조를 강조했다는 점을 들어, 싱의 작품과 구별되는 <무의도기행>만의 독창성을 강조해 온 기존의 연구에 이의를 제기한다. 본론에서 검토하듯이, <어선천우환>과의 관련에서 보자면, <무의도기행>은 전체적인 구성 상 오히려 <어선천우환>의 주축 중 하나인 어업자본과의 대립을 약화시키며, 그를 통해 결과적으로 아들을 잃은 어머니의 비극으로 수렴하도록 재구성된 극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