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찬주분류두시의 편찬과 주해 방식

        노요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This article explores the compilation and the publication of Classified Collection of Du Fu's Poetry with Annotations (纂註分類杜詩) and its way of annotation. Classified Collection of Du Fu's Poetry with Annotations was edited by the order of King Sejong in 1443 as part of the measures of the promotion of poetics. Six scholars of the Hall of Worthies (集賢殿) including Sin Seokjo took charge of this work under the supervision of prince Anpyeong, and Gang Seokdeok, a royal secretary-transmitter and Yu Hyubok, a commoner were also participants. It was Buddhist monk Manu who played a role of a consultant. As to the rest five scholars of the Hall of Worthies, there is no record that tells their exact names, but it is presumed that Choi Hang, Sin Sukju, Park Paengnyeon, Yi Hyeonro were the participants. Classified Collection of Du Fu's Poetry with Annotations quotes and synthesizes the glosses from Classified Collection of Du Gonbu's Poetry with Copious Annotations (集千家註分類杜工部詩), Classified Collection of Du Gonbu's Poetry with Copious Annotations with points of criticism (集千家註批點分類杜工部詩), Du Gonbu's Caotang Poetry with Annotations (杜工部草堂詩箋) etc. with an appropriate reduction and supplement. Especially, it agreed to the moral interpretation of Cai Mengpi eagerly that it quote almost all glosses of Du Gonbu's Caotang Poetry with Annotations. It also refers to the glosses not only from the collections of Du Fu's poetry, but also from other Chinese classics including Zhzitongjzian with glosses edited in Sajeongjeon hall (資治通鑑思政殿訓義) and Fengyayi Xinashi (風雅翼選詩). 노요한, 2019, 찬주분류두시 의 편찬과 주해 방식, 183 : 359~408 찬주분류두시 는 세종 재위 25년(1443) 4월 시학진흥책의 일환으로 편찬된 것으로, 안평대군이 총괄하고 신석조 등 집현전 학사 6인이 실제 업무를 맡았으며, 그밖에 당시 승정원 우승지 강석덕, 백의 유휴복이 참여하였다. 또한 당시 회암사 주지 만우가 자문으로 참여하였다. 신석조 외 집현전 학사 5인에 대해서는 명확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지만 최항, 신숙주, 박팽년, 이개, 이현로(이선로)가 참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찬주분류두시 는 집천가주분류두공부시 , 집천가주비점분류두공부시 , 두공부초당시전 의 주해를 참고하여 주해를 작성하였다. 이때 집천가주분류두공부시 의 주해를 대부분 옮겨 오되, 지나치게 번잡한 내용은 산삭하고 부족한 부분은 보완하였다. 찬주분류두시 는 특히 채몽필의 주해를 중시하여 적극적으로 수용하였으며, 같은 맥락에서 두공부초당시화 에서 관련 내용을 전재하기도 하였다. 또한 찬주분류두시 는 자치통감사정전훈의 와 같이 逐句註解의 원칙을 지키고 있으며, 두시의 주해서 뿐 아니라 사서오경대전 , 풍아익선시 등의 주해서를 함께 활용하였다.

      • KCI등재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의 전거(典據)와 주해(註解)에 대한 문헌학적(文獻學的) 연구(硏究)

        노요한(魯耀翰) ( Noh Jo-han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1

        본고는 『용비어천가』에서 인용된 중국의 사적을 대상으로 그 전거와 주해 방식에 대해 살펴보고, 인용된 주요 서목에 대해서 간략히 고찰한 것이다. 『용비어천가』는 ‘郊廟의 樂歌’인 『시경』 「송」의 체제와 제작동기를 본받아 조선조 왕업의 기틀을 닦은 목조 이하 6조의 德業과 功業을 칭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작되었으며, 『자치통감』과 『자치통감강목』 사정전훈의, 『찬주분류두시』 등 찬주본 편찬 이후 제작된 주해서로서 자국의 문헌에 대해 주해를 단 매우 특별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용비어천가』 주해에는 경서로는 『사서오경대전』, 역사서로는 『자치통감』과 『사기』 및 『한서』, 자서 및 운서로는 『고금운회거요』와 『홍무정운』이 주로 활용되었는데, 이러한 서적 인용은 조선초기 학술문화 및 출판문화와 직접적인 관련을 가지는 것이었다. 곧, 『용비어천가』의 주해 작성은 조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한문고전의 연찬과 찬주본 편찬의 결과로 축적된 지식정보를 활용한 것이었으며, 따라서 이 책의 편찬은 이 책을 성립시킨 당대 학술문화의 총합을 의미하는 것이자 조선왕실 및 집현전 학자가 중심이 된 당시 문인집단의 학술지향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the references and the glosses of Yongbiochŏnga focused on Chinese history included in it, and it at the same time examines the list of books cited in it. Yongbiochŏnga, emulating the literary form and the motivation of Eulogies (頌) of Song of Poetry, was edited to praise the virtuous achievements of six preceding kings who laid the foundations of the new dynasty. It was edited after the publication of several books with glosses by Chosŏn scholars, i.e. Zizhitongjian with glosses edited in Sajôngjon hall (資治通鑑思政殿訓義), Zizhitongjian Gangmu with glosses edited in Sajôngjon hall (資治通鑑綱目思政殿訓義), Classified Collection of Du Fu's Poetry with glosses (纂註分類杜詩), and it was a very unique book in that it added the glosses for the domestic document. Various books are referred to in the glosses of Yongbiochônga including Sishu Wujing Daquan (四書五經大全) among the Confucian Classics, Zizhitongjian (資治通鑑), Shiji (史記) and Hanshu (漢書) among history books, Gujin yunhui juyao (古今韻會擧要) and Hongmu chŏngun (洪武正韻) among rhyme books and dictionaries of Chinese characters, that the tendency of reference has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cultural achievements of scholarship and publication in the early Chosŏn period. We can say that the compilation and the publication of Yongbiochŏnga was what shows the integration of the scholarship as well as the academic orientation of literati in the early Chosŏn period, with the fact that knowledge and information accumulated from the study and the publication of Chinese Classics based on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king and the royal scholars was widely used in its lyrics and glosses.

      • KCI등재

        고려말-조선초 經部 중국서적의 수입과 간행에 대하여

        노요한 한국한문고전학회 2020 漢文古典硏究 Vol.40 No.1

        This article explores the importation and the publication of Chinese Books in the late Koryŏ and early Chosŏn period focusing on the category of Confucian classics. King Sejong endeavored to realize his ideal of establishing a country of Confucian culture by studying Confucian classics renovating the national cultural system based on that. He struggled to adopt the academic and cultural achievement of Ming China through Chinese classics of the four categories of Jingshi ziji (經史子集, jing-classics, shi-histories, zi-masters and ji-collections) to secure the legitimacy and to organize the cultural system, of newly established country. He sought to obtain the fine copies of Chinese books through several routes not only to publish or reprint them, but to compile and print the wholly new editions with annotations based on study with scholars at Chiphyŏnjŏn Hall. Then, what were the books that the king and the scholars scrutinized the principle of Confucianism with in the royal lecture at that time? What were the original texts that were used when they edited wholly new editions based on them. Chosŏn court had to send an official letter (咨文) to the ministry Rites (禮部) of Ming China to obtain books which were granted as imperial gifts. It was the only way to obtain books from Ming China though it was relatively easy to import books from Yuan China under relatively few regulations. Sishu Wujing Daquan (四書五經大全), Daxue Yanyi (大學衍義), Zizhi Tongjian (資治通鑑), Tongjian Gangmu (通鑑綱目) that were imported via that route in the early Chosŏn period are the good examples. Along with this, books passed down from Koryŏ dynasty were also republished in the early Chosŏn period. This article examined the importation and publication of Chinese books in the early Chosŏn period including Sishu Wujing Daquan (四書五經大全), Zhouyi Huitong (周易會通), Yizuanyan (易纂言), Shujizhan Jiluzuanzhu (書集傳輯錄纂註), Yinshi Shujizhuan (音釋書集傳), Yinshi Shijizhuan (音釋詩集傳), Chunqiu Jingzhuan Jijie (春秋經傳集解), Chunqiu Hushizhuan (春秋胡氏傳), Chunqiu Zuoshizhuan Jujie (春秋經左氏傳句解), Chunqiu Zhuzhuan Huitong (春秋諸傳會通). 본고는 經部를 중심으로 고려말-조선초에 수입된 중국본과 조선에서의 覆刻ㆍ活印의 사실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세종은 한문고전의 硏鑽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자국문물제도의 정비를 통해 문화국가 건설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세종은 經史子集의 학문 모든 방면에 걸친 고전의 硏鑽을 통해 그 학술문화의 성과를 섭취하였으며, 그 연찬의 성과를 바탕으로 유교국가로서 신왕조의 정통성을 확립하고 국가의 문물제도를 정비해 나갔다. 곧, 세종은 즉위 후 여러 루트로 고전주해서의 善本을 구하여 이를 활자로 간행하거나 복각하였으며, 서적을 단순히 摹印하거나 복각하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집현전 학자들과의 공동연찬을 바탕으로 조선독자의 纂註本들을 새로 편찬ㆍ인쇄하였다. 그렇다면 조선 초 유학의 연찬에 사용된 한문고전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또 조선에서 다시 편찬ㆍ간행된 고전 주해서의 저본을 이루는 것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고려 때는 서적의 수입이 비교적 자유로웠지만, 조선전기에는 명나라 禮部에 咨文을 보내어 欽賜받는 방식을 취하였다. 조선초 『사서오경대전』, 『대학연의』, 『자치통감』, 『통감강목』 등은 이러한 과정을 거쳐 수입된 서적들이었다. 그와 함께 조선 초에는 고려조에 전래하여 있던 주요 서적의 覆刻도 함께 이루어졌다. 본고에서는 『四書五經大全』, (元)董眞卿 編 『周易會通』, (元)吳澄 撰 『易纂言』, (元)董鼎 撰 『書集傳輯錄纂註』, 鄒季友 音釋 『書集傳』과 『詩集傳』, 集賢殿 受命編 『春秋經傳集解』, 胡安國 傳 『春秋胡氏傳』, (宋)林堯叟 註 『春秋經左氏傳句解』, 李廉 輯 『春秋諸傳會通』 등을 대상으로 이들 서적의 수입 및 간행 사실에 대해 개괄하였다.

      • 초등학교 리듬체조 지도실태

        노요한,김정자 한국교원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04 학교체육연구소지 Vol.11 No.1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researching the actual condition of managing the education of rhythmic sports gymnastics in the individual schools and analyzing it in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the re

      • KCI등재

        비지배 정렬 유전 알고리즘-II를 이용한 145 kV급 축소형 경사기능성 적용 스페이서의 유전율 분포 최적화 방법론

        노요한,김승현,정종훈,조한구,Noh, Yo-Han,Kim, Seung-Hyun,Cheong, Jong-Hun,Cho, Han-Goo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20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3 No.3

        Recently, with the miniaturization of GIS, there is a need for the miniaturization of spacers as accessories. Miniaturized spacers make it difficult to secure adequate insulation distances, resulting in a more concentrated electric field at the triple junction of high-voltage (HV) conductor-insulator (spacer)-insulation gas (SF<sub>6</sub>), which is a weakness in GIS. Therefore, by introducing a new concept design technology, functionally graded material (FGM), which is recently applied to various materials and parts industries, three-dimensional control of the dielectric constant distribution in a spacer can be expected to alleviate triple-junction electric field occupancy and improve insulation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propose an optimized model using NSGA-II to optimize the permittivity distribution of FGM applied spacer.

      • 高麗大 晩松文庫 所藏 庚子字本 西山先生眞文忠公文章正宗 書入 評點과 評語에 대하여

        노요한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부설 한자한문연구소 2024 동아한학연구 Vol.- No.18

        만송문고 소장 경자자본 문장정종 에는 본문에 評點이 朱墨과 藍墨으로 표시되어 있고 天頭에도 마찬가지로 주묵과 남묵의 評語가 書入되어 있다. 조선 문인의 손으로 서입된 만송문고 소장 문장정종 의 평점과 평어는 어떠한 원칙을 바탕으로 표시되고 작성되었으며, 이때 참조 준거가 된 서적이 있을까. 성종연간에 甲辰字로 인출한 韓文正宗 에는 평점과 함께 批註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것은 만송문고 소장 문장정종 의 평점 및 평어와는 어떤 관계를 지니고 있을까. 본고는 이러한 문제를 염두에 두면서 고려대 만송문고 소장 경자자본 문장정종 에 서입된 평점과 평어에 대해 논해보았다. The Mansong collection at Korea University Library has a rare book of Munjang chŏngjong printed with Kŏngja type, which includes commentary points (評點) dotted with red and blue brushes on the text, and marginal commentaries (評語) written also with red and blue brush on the upper part of the text, tiantou (天頭), by a Chosŏn scholar. What were the principles and rules of the commentary points added by a Chosŏn scholar and what contents do the marginal commentaries have? Were they added and written based on his own criteria for criticism, or did he consult any books for reference? Is there any connection between Munjang chŏngjong in the Mansong collection and Hanmun chŏngjong(韓文正宗) published with Kapchin type (甲辰字) during the reign of King Sŏngjong, which included commentary points and comemntaries (批註)? This paper examines the commentary points and marginal commentaries added to Munjang chŏngjong in the Mansong collection, focusing on the above questions.

      • KCI등재후보

        조선전기 관찬 역사서의 주해방식에 대하여(2): 『자치통감강목사정전훈의』를 중심으로

        노요한 진단학회 2017 진단학보 Vol.- No.129

        This article explores the glosses in historical books edited and pu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especially focused on Zizhi Tongjian Gangmu Sizhengdian Xunyi (資治通鑑綱目思政殿訓義, Zizhi Tongjian with glosses edited in Sajeongjeon hall). By examining its organization, its making process and its relationship with reference books including Zizhi Tongjian Yinzhu (資治通鑑音註, Zizhi Tongjian with glosses) by Hu Sanxing (胡三省) and Zizhi Tongjian Gangmu Jilan (資治通鑑綱目集覽) by Wang Youxue (王幼學),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organization of historical books with glosses and its several principles edited in early Joseon period. From the early period of his reign King Sejong endeavored to establish new historical study for newly founded country by studying Zizhi Tongjian and Zizhi Tongjian Gangmu. Continuous research on Zizhi Tongjian comes to fruition with the publication of Zizhi Tongjian with glosses edited in Sajeongjeon hall and Zizhi Tongjian Gangmu with glosses edited in Sajeongjeon hall. Both of Xunyi are largely influenced by Yinzhu and Jilan in many respects. However, as Xunyi aims to suggest detailed glosses for full understanding of Tongjian books by integrating and summarizing various glosses, it in most cases modifies the glosses of Yinzhu and Jilan, and also inserts supplements where the glosses of Yinzhu and Jilan are judged to bo incomplete.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King and the officials of Joseon government did not content with mere import and reprint of Chinese books that they edited entirely new books with glosses by integrating and summarizing various glosses suggested by various books concerned. The examples are as follows: Zizhi Tongjian with glosses edited in Sajeongjeon hall and Zizhi Tongjian Gangmu with glosses edited in Sajeongjeon hall edited under the order of King Sejong, Zhuwengongjiao Changlixiansheng ji (朱文公校昌黎先生集, the collection of works of master Changryo editd by master Zhu) edited mainly by prince Anpyeong (安平大君), Zuanzhu Fenlei Dushi (纂註分類杜詩, the classified collection of works of Dufu with glosses). They endeavored to suggest the detailed glosses for full understanding by integrating and summarizing various glosses by editing them. 본고는 세종조 편찬의 관찬 역사서 『資治通鑑綱目思政殿訓義』를 중심으로 그 주해 방식과 특징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국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資治通鑑』과 『通鑑綱目』에 대한 주해는, 기존 주해서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존의 여러 주해에서 정수만을 가려내고 수정을 가하여 文義를 온전히 이해하고 열람에 편하게 하려는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다만 사정전훈의에는 劉友益의 『通鑑綱目書法』이나 尹起莘의 『通鑑綱目發明』에서와 같은 역사서술 방식에 대한 분석이나 역사서술에 대한 의미론적 해석, 역사서술에서의 개념어 등에 대한 주해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조선전기에는 주해본을 수입하여 복각하는 것으로 만족하지 않고 여러 주해본을 새로 편찬하였다. 그 대표적인 것이 세종이 주도한 『자치통감』과 『통감강목』에 대한 ‘思政殿訓義’, 세종의 명령으로 집현전 학사들이 엮은 『朱文公校昌黎先生集』, 역시 세종의 명령으로 안평대군이 주도한 『纂註分類杜詩』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세종대에 간행된 주해본의 특징은 해당 저술에 대한 여러 주해서의 종합 및 요약과 그를 통한 정설의 제시에 있다고 할 수 있을 듯하다. 곧 세종은 주해본 간행을 통해 각 저술의 본문 해석에 대한 정설을 확정․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소재 노수신 유배 초기의 한시

        노요한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2 儒學硏究 Vol.59 No.-

        Sojae 穌齋No Su-shin 盧守愼was a politician, scholar, and poet, who is said to have had play active roles during the reign of King Myŏngjong and King Sŏnjo. He passed first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1543, serving as Government Official in Confucian Academy 典籍and Sixth Counsellor in the Office of Special Advisers 修撰and then became a librarian at Crown Prince Tutorial Office in the following year. After King Myŏngjong ascended to the throne, he was dismissed for his involvement in Literati Purge of 1545 乙巳士禍caused by Yun Hyŏngwŏn and Yi Ki, which made him exiled to Sunch'ŏn in 1547. To make matters works, he was transferred to Chindo Island in September of the same year since his offence was aggravated by the case of Writing on the Wall at Yanghae Post-station 良才驛壁書事件, and lived in exile for 19 years there.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No Su-shin’s poems written during his early exile. How did he embody the unstable feelings and changes in emotions? What characters or objects and poetic styles did he often employ when writing his literary works? Who did he exchanged poems with and what are these series of poems in regards to? What emotions are expressed and substantiated in his well-known Self-Elegy 自挽詩? mentioned above, this paper elucidates his poems written during his early exile with careful attention to these issues. 소재(穌齋) 노수신(盧守愼)은 명종-선조 연간에 활약한 정치가이자 학자ㆍ시인이다. 잘 알려져 있듯이 노수신은 중종 38년(1543)의 문과에서 장원급제한 이후 성균관 전적(典籍)ㆍ수찬(修撰)을 거쳐, 이듬해 시강원사서가 되고, 같은 해 사가독서하는 등 승승장구하다가 명종 즉위 후 윤원형과 이기가 일으킨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이듬해 명종 2년(1547) 순천으로 유배되고 같은 해 9월 양재역벽서사건으로 죄가 가중되어 진도로 이배되었다. 이 진도에서 노수신은 19년간 유배 생활을 하였다. 노수신 유배 초기의 한시는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유배 초기의 불안한 심리와 복잡한 심리변화를 한시는 어떻게 담아내고 있을까. 유배 초기의 한시에 소재로 자주 등장하는 인물이나 사물이 있을까. 자주 사용된 시체는 무엇일까. 어떤 사람들과 어떤 시 수창을 하였으며 그 시들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까. 잘 알려진 「자만시」는 어떠한 마음으로 써내려 간 것이며 그 시는 어떠한 내면의 울림을 담고 있을까. 이하 본고는 이러한 점들을 염두에 두면서 노수신 유배 초기의 한시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조선전기 관찬 역사서의 주해 방식에 대하여 - 『자치통감사정전훈의』를 중심으로-

        노요한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7 규장각 Vol.50 No.-

        본고는 세종조에 편찬․간행된 관찬 역사서 중 『자치통감사정전훈의』를 대상으로 그 주해 방식 및 특징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고는 사정전훈의의 편찬 과정, 호삼성 『음주』와의 관계, 사정전훈의의 주해 원칙, 『사기』 및 『한서』 등 기타 역사서의 활용 양상 등을 중심으로 사정전훈의의 주해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정전훈의는 많은 곳의 주해에서 호삼성 『음주』를 많이 참조하고 있다. 하지만 사정전훈의는 호삼성 『음주』를 주 참고서로 하면서도 해당 본문의 온전한 이해에 주안점을 두어, 『음주』의 주해를 산삭․윤색하여 활용하였으며, 『음주』가 미진한 곳은 다른 서적들을 참조하여 이를 보완하였다. 사정전훈의는 漢代까지의 기사에 대해서는 『사기』와 『한서』를 근거로 교감기를 남겼을 뿐만 아니라 주해의 작성에 있어서도 『사기』와 『한서』의 주석을 적극적으로 채용하였다. 『사기』 주해의 인용에 있어서 삼가주 중 특히 『사기색은』을 많이 인용한 것은 특기할 만한 사실이다. 이는 삼가주 중에서도 『색은』을 특히 중시하던 당시의 인식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고려대 화산문고 소장 을해자본『書傳大文』의 구결에 대하여

        노요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4 No.-

        In the Hwasan collection at the Korea University Library, a rare book named Sŏjon Taemun(書傳大文) is preserved. It is easy to think of this book that it was printed during King Chongjo's reign as its title includes the term ‘Taemun’(大文) which means the original text of the Classics, but this book was edited and printed in the early Chosŏn period with kugyŏl for its original text of the Shujing. Furthermore, how does the oral formulas of the book relate to the oral formulas and translations of Sŏjon onhae, and what position does it occupy in the flow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s in the early Chosŏn period? With these points in mind, this paper discusses Sŏjon Taemun. 고려대학교 도서관 화산문고에는 을해자로 찍은『書傳大文』영본 1책이 전한다(화산 貴 132 2). 이 책은 서명이 ‘大文’으로 되어 있어 정조대에 경서의 본문만을 찍어낸 책을 연상하기 쉽지만, 이 책은 명종 연간에 『서경』의 대문, 곧 경문과 경문에 대한 구결을 소자로 함께 박아 낸 책이다. 그렇다면 이 책의 편찬에 간여한 사람은 누구이며 이 책이 간행된 목적은 무엇일까. 경문의 구결은 누구에 의한 것이며, 그 구결은 세종조와 세조조에 이루어진 경서구결과 어떤 관련을 가지고 있을까. 나아가 이 책의 구결은 선조대에 편찬되는 『서전언해』의 구결 및 언해와 어떤 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조선전기 경서해석의 흐름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고 있는 것일까. 본고는 이러한 점들을 염두에 두면서 『서전대문』에 대해 간단히 논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