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어의 정서가와 각성가가 우연학습 이후 기억에 미치는 영향

        남예은,이윤형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word on recognition memory. To do so, the effects of valence level and arousal level of words on recognition after incidental learning were investigated.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performed a lexical decision task with negative and neutral words. Later,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cognize whether each test word was shown when they performed the lexical decision task. After completing the recognition task, participants also judged what color the words were(associative memory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words with negative valence were recognized better than those with neutral valence. Also, regardless of the memory tasks, words with higher arousal level were recognized worse than those with lower arousal level. In Experiment 2, participants performed a same task with positive and neutral words. The results show that positive words were recognized better than neutral word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ased on the dimensions of emotion in the performance of the associative memory task. The results of the two experiments showed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he valence and arousal on cognitive process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ason that emotion helps memory is the effect of valence of two dimensions of emotio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for negative information, the memory processing is interrupted when the arousal level is too high. Arousal level of the positive information is irrelevant to the memory. The results further suggest that the inconsistent findings across previous studies might be due to not dissociating the valence and arousal level of the affective stimulus. 본 연구의 목적은 단어의 정서적 특성이 어휘판단 이후 그 단어의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단어의 정서적 특성을 정서의 두 차원인 정서가와 각성가로 구분하고 이러한 특성이 재인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 1에서는 참가자들에게 부정단어와 중립단어에 대한 어휘판단을 실시하도록 요구하였고 이후에 재인과제를 실시하여 제시되는 단어들이 어휘판단 시 나타났었는지와 단어의 색상이 무엇이었는지를 판단하도록 요구하였다. 실험 2는 동일한 실험을 긍정단어와 중립단어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두 실험 모두에서 재인과제를 실시한다는 것은 참가자들에게 사전에 알려주지 않았다. 실험 1의 결과 정서가가 부정적일 경우 중립에 비해 우연학습 이후 재인이 잘 되었고, 각성가가 낮은 경우에 높은 경우보다 재인의 정확률이 높았다. 실험 2에서도 정서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관찰되었으나 부정정서와는 다르게 긍정정서 내에서는 각성가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가 기억에 도움이 된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맥락을 같이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히 정서의 두 차원 중 정서가는 기억에 도움을 주지만 높은 각성가는 기억 수행을 방해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서가 단일한 차원의 개념이 아니라 정서가와 각성가로 구분되는 개념이라는 제안을 뒷받침하며, 향후 정서단어를 이용한 연구나 그 밖의 정서관련 연구를 진행할 때 이러한 두 차원을 독립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우연학습 이후 재인에 미치는 단어의 정서가와 각성가의 효과

        남예은,이윤형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valence and arousal on the incidental learning tasks. Participants performed either one of the perceptual identification task and lexical decision task which are different in the level of processing. Later, a series of words were displayed and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cognize whether or not each test word was shown when they performed a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regardless of the tasks performed, words with negative valence were recognized better than those with neutral valence. Also, words with higher arousal level were recognized worse than those with lower arousal level. The results indicat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he valence and arousal on cognitive processes. The results further suggests that the inconsistent findings across previous studies might be due to the failure of dissociating the influence of stimulus’ emotional valence and arousal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가와 각성가가 우연학습 후 기억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연학습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지각탐지와 어휘판단의 두 가지 처리수준에서의 과제 수행 이후 자극에 대한 재인에 정서가와 각성가가 각기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과제의 처리수준에 관계없이 정서가가 부정적인 자극은 이후에 더 잘 재인되었으나 각성가가 높은 자극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재인의 정확도가 낮았다. 이것은 정서의 두 차원인 정서가와 각성가가 서로 다른 양상으로 재인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하며,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부정적인 정서가 기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상반된 결과들이 보고되는 이유가 인지수행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영향을 주는 정서가와 각성가를 동시에 고려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피드백과 메타인지가 논리적 추론 시 신념 편향에 미치는 영향

        남예은 ( Ye-eun Nam ),이명진 ( Myoungjin Lee ),이윤형 ( Yoonhyoung Lee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人文論叢 Vol.53 No.-

        본 연구의 목적은 피드백의 유형과 메타인지 능력이 삼단논법추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삼단논법추론 과제의 수행 시 신념 편향(belief bias)이 나타나는 정도가 보상 피드백과 처벌 피드백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받는지, 또한 이러한 영향이 개개인의 메타인지 능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과제 수행의 정답률에 따라 금전적인 보상 혹은 처벌을 받을 것이라는 지시를 들은 후, 세 개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삼단논법추론 과제를 수행하였다. 또한 참가자들은 각 문항의 정답 여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받기 전, 자신의 응답에 대한 확신도를 평정하였다. 그 결과, 피드백 유형에 따른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피드백 유형의 효과가 메타인지 능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메타인지 능력이 높은 집단은 보상 조건과 처벌 조건에서 모두 낮은 신념 편향을 보인 반면, 메타인지 능력이 중간인 집단은 보상 조건이 주어졌을 때 처벌 조건보다 더 큰 신념 편향에 빠졌다. 낮은 메타인지 집단은 처벌 조건에서 메타인지 능력이 높은 집단과 중간 집단에 비해 더 큰 신념 편향에 빠졌다. ability on syllogistic reasoning task. To do so, we examined whether the inference accuracy and the amount of the belief-bias were differently affected by positive and negative feedbacks. We also examined whether meta-cognitive ability mediates the effect of feedback types on reasoning. The participants were informed that they would receive incentives or penalties based on the accuracy of the syllogistic reasoning performances. As results, high meta-cognition group showed better inference accuracy and low belief-bias in both of positive and negative feedback conditions. Mid meta-cognition group showed increased belief-bias when they received positive feedbacks while low meta-cognition group showed increased belief-bias in negative feedback condit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meta-cognitive ability mediates the effect of the feedback types.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가구형태와 경제활동에 따른 범불안장애: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예은,황주영,진영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2024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9 No.1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household type and economic status affect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during COVID-19 (Coronavirus disease 2019). Methods: This study included 5,615 participan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21).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household type, economic status and generalized anxiety dis- order. Additionally by combining the two variables of interest, we examined the combined effect of sex on household type and economic status. Results: The unemployed in single person-households had 3.4 times more likely to become a high-risk group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than the employed in multiple person-households (odds ratio, OR = 3.42, 95% confidence interval, CI: 1.99-5.85). In male, the unemployed in single person-households was 7.1 times more likely to be a high-risk group than the employed in multiple person-households (OR = 7.11, 95% CI: 2.49-20.31) and was 2.8 times more likely to be a high-risk group than the reference group in female (OR = 2.82, 95% CI: 1.46-5.44).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during COVID-19 pandemic, the unemployed and single person-households tended to be a high-risk group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differed by sex and age. Therefore,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policies for single person-households and the unemployed and customized welfare by sex are needed.

      • KCI등재

        성경험 청소년의 성교육 여부가 피임에 미치는 영향

        예은,진영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23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40 No.3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sex education in sexually experienced teens affects contraception. Methods: The 14th and 17th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was analyzed using original data on 6,042 teens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third year of high school who had sexual experience. Chi-square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 use of contraception and non-use of contraception,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x education variable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contracep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Results: Teens without sex education used contraception 0.8 times than those with sex education, and particularly teens without sex education at 2nd year of middle school used contraception 0.5 times and those at high school used contraception 0.6 times. Also, teens without sex education used contraception 0.6 times when having sex after drinking alcohol.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eens without sex education are less likely to use contraception, and in particular, we confirmed that sex education and contraceptive results differed by grad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sex education that can induce appropriate contraception for the reproductive health of teens.

      • KCI등재

        얼굴 표정 정서가 전환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동서양 문화차

        태진이,남예은,이윤형,손명호,김태훈 한국인지과학회 2023 인지과학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전환 과제 수행 시 정서 정보의 영향을 비교 문화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를 표현하고 있는 사진을 사용하여 전환 과제 수행 시 정소 정보의 영향이 한국인들과 미국인들에게서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 대학생들과 미국 대학생들에게 긍정 혹은 부정 얼굴을 제시하고 제시된 사진의 테두리 색깔에 맞춰 정서 판단 과제 혹은 성별 판단 과제를 수행하도록 요구하였다. 실험 결과, 한국인과 미국인 모두 성별 과제에서 정서 과제로의 전환 비용이 성별 과제에서 정서 과제로의 전환 비용에 비해 유의미하게 크게 나타났고, 사진에서 표현하는 정서가 반복되는 조건이 정서가 전환되는 조건에 비해 더 큰 전환 비용을 보였다. 또한, 참가자의 문화적 배경과 무관하게 과제와 정서가 직접적으로 관련된 정서 과제가 성별 과제에 비해 정서 전환 여부에 따른 전환 비용이 더 크게 나타났다. 하지만, 정서 전환이 전환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개인이 속한 문화에 따라 달랐는데, 한국인이 미국인에 비해 사진에서 표현되는 정서의 전환 여부에 덜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 정보가 인지과제 수행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며 정서의 영향이 개인이 속하고 자라온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formation on task switching performance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Specifically we investigated whether the impact of affective information differs between Koreans and Caucasian when they perform a switching task using pictures that expres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In this study, Korean and Caucasian college students were presented with either positive or negative faces and asked to perform either an emotion or a gender judgment task based on the color of the picture fram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witching cost from the gender judgment task to the emotion task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switching cost from the gender task to the emotion task for both Koreans and Caucasians. This asymmetric switching cost was maintained when the previous and current pictures showed the same emotion but disappeared when two images presented different emotions. Regardless of the participant's cultural background, switching costs were greater for emotional tasks where the emotion was directly related to the task than for gender tasks. However, the effect of emotional switching on switching costs varied by the individual's background. Koreans were less sensitive to whether poser's emotion was changed than America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emotional information affects cognitive task performance and suggest that the effects of emotion may differ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cultural background.

      • KCI등재

        지체장애 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적 지원 체크리스트 내용 타당도 분석

        해인,김가비,예은,유인영,보람,박은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2 No.4

        국가 수준 유아교육과정 개정으로 인해 장애 유아 지원을 위한 통합학급 운영에도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에서 유아교사와 특수교사가협력하여 지체장애 유아 지원을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함께 점검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개발하고 내용 타당도를 점검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를 분석, 종합하여 항목을 구성하고, 8인의 전문가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4점 Likert 척도를 활용한 내용 타당도인덱스는 .88 ~ 1.0 으로 모든 문항에서 대체로 타당함 이상이었다. 전문가의 의견 수렴후 수정․보완하여 협력적 지원을 위한 사전 계획, 놀이․일과 참여 지원, 또래 간 상호작용 지원의 3개 주요 영역, 6개의 하위 영역, 총 17문항으로 구성된 최종 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지체장애 유아 통합을 위한 교육과정 기반 체크리스트 개발에 의의를두며, 향후 구체적인 지원, 실제적인 사용을 위한 검증 관련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웹기반 온라인 주의 연구 : 온라인 실험은 실험실 실험만큼 효과적일까?

        이선경(Seonkyoung Lee),남예은(Ye-eun Nam),이윤형(Yoonhyoung Lee)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실험 플랫폼을 활용한 실험에서도 오프라인 실험에서와 같이 정보처리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의 편향과 억제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 시행에서 제시된 목표 자극과 방해 자극의 어휘성이 탐사 시행에서 제시된 목표 자극의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기존에 보고된 오프라인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실험에서도 기존의 오프라인 실험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점화 시행에서 제시된 방해 자극이 단어일 때는 정적 점화 효과가 관찰되었고, 점화 시행에서 제시된 목표 자극이 단어이고 방해 자극이 비단어일 때는 부적 점화 효과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방해자극이 현저하고 주의를 자동적으로 사로잡는 경우에는 억제되기 어렵고 오히려 이후에 나타났을 때 처리가 촉진되지만, 목표 자극이 방해 자극보다 훨씬 더 현저할 경우에는 방해 자극이 능동적으로 억제되어 이후에 나타났을 때 처리가 늦어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실험에서도 오프라인 실험에서와 마찬가지로 주의 현상이 관찰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온라인실험이 팬데믹 시대에 인지정보처리 과정을 살펴보는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attention bias and suppression during cognitive processes can be seen in the experiment using the online experiment platform as well. To do so, the effect of the lexicality of the target stimulus and the lexicality of the distracter in the previous trial on the lexical decision of the target trial were examin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reported offline experiment results. The results of the online experiment were similar to the results of Lee, Go, Lee, Choi (2020). The negative priming effect was observed for non-word distracter priming while the facilitative priming effect was shown for word distracter prime. Such results suggest that the relative prominency of the presented stimulus has strong effect of attention. This study shows that delicate attention processes can be detected in online experiments as in offline experiments, and shows that online experiments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o examine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in this pandemic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