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웹기반 온라인 주의 연구 : 온라인 실험은 실험실 실험만큼 효과적일까?

        이선경(Seonkyoung Lee),남예은(Ye-eun Nam),이윤형(Yoonhyoung Lee)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실험 플랫폼을 활용한 실험에서도 오프라인 실험에서와 같이 정보처리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의 편향과 억제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 시행에서 제시된 목표 자극과 방해 자극의 어휘성이 탐사 시행에서 제시된 목표 자극의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기존에 보고된 오프라인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실험에서도 기존의 오프라인 실험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점화 시행에서 제시된 방해 자극이 단어일 때는 정적 점화 효과가 관찰되었고, 점화 시행에서 제시된 목표 자극이 단어이고 방해 자극이 비단어일 때는 부적 점화 효과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방해자극이 현저하고 주의를 자동적으로 사로잡는 경우에는 억제되기 어렵고 오히려 이후에 나타났을 때 처리가 촉진되지만, 목표 자극이 방해 자극보다 훨씬 더 현저할 경우에는 방해 자극이 능동적으로 억제되어 이후에 나타났을 때 처리가 늦어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실험에서도 오프라인 실험에서와 마찬가지로 주의 현상이 관찰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온라인실험이 팬데믹 시대에 인지정보처리 과정을 살펴보는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attention bias and suppression during cognitive processes can be seen in the experiment using the online experiment platform as well. To do so, the effect of the lexicality of the target stimulus and the lexicality of the distracter in the previous trial on the lexical decision of the target trial were examin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reported offline experiment results. The results of the online experiment were similar to the results of Lee, Go, Lee, Choi (2020). The negative priming effect was observed for non-word distracter priming while the facilitative priming effect was shown for word distracter prime. Such results suggest that the relative prominency of the presented stimulus has strong effect of attention. This study shows that delicate attention processes can be detected in online experiments as in offline experiments, and shows that online experiments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o examine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in this pandemic era.

      • KCI등재

        한글 단어 재인 시 음절 빈도가 글자 교환 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선경(Seonkyoung Lee),이윤형(Yoonhyoung Lee),이창환(Chang H. Lee) 한국인지과학회 2021 인지과학 Vol.32 No.3

        본 연구는 로마자 알파벳 언어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글자 교환 효과와 관련된 혼동 현상이 한국어에서는 발견하기 어려운 사실에 근거하여 관련 소재(locus)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한글 글자 교환에 대한 몇몇 연구에서는 음절이나 형태소 교환의 경우 혼동 효과가 유의미하게 있었지만 단순 글자의 교환에서는 혼동 효과가 미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련의 글자 교환 효과에 관한 기존 연구의 분석을 바탕으로 글자의 빈도가 조절변인일 수 있음에 착안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한글 단어(예: 민주화)의 글자들을 교환하여 형성된 비단어에서 고빈도 음절이 포함되게 한 경우(예: 진무화) 유의미한 글자 교환 효과를 발견하였으나 저빈도 음절이 포함되게 한 경우(예: 경쟁력 → 졍갱력)에는 글자 교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음절 빈도라는 어휘 변인이 한글 글자 교환 효과에 간여하는 주요 변인일 수 있음을 시사하며 한글에서도 글자 수준에서의 교환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밝혔다. Unlike most other alphabetic languages, letter transposition effect was not found in Korean except in the syllable level and in the morpheme level.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ssible reason of the absence of letter transposition effect in Korean. Based on previous letter transposition studi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 whether syllable frequency is a moderating variable and is responsible for the absence of the letter transposition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letter transposition effect was found when a transposed non-word has high frequency syllable(e.g., 민주화 → 진무화), while such effect was not seen in a transposed non-word with low frequency syllab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tter transposition effect can found in Korean as well. The results also implicate the possibility that syllable frequency is the main moderating variable regarding the Korean letter transposition effect.

      • KCI등재

        동음이의어 점화자극의 상대적 빈도와 표기음운정보 일치성이 단어의 재인에 미치는 영향

        이상은(Lee, Sangeun),김태훈(Tae Hoon Kim),이윤형(Yoonhyoung Lee) 언어과학회 2016 언어과학연구 Vol.0 No.77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lative word frequency and the spelling-to-sound correspondence of heregoraphic homophone priming on the recognition of semanticallyrelated words. A cross-modal semantic paradigm has been applied, where homophone primes were presented auditorily and targets were presented visually. The difference in lexical decision latencies of the visual targets was calculated between semantically-related prime and semantically-unrelated prime to measure the size of facilitation. A facilitatory effect was shown only when the spelling corresponds to sound, and no such effect was observed for the relative word frequency condition.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an auditorily presented homophone activates all of its corresponding orthographic words and that the spelling-to-sound correspondence is more influential than the relative word frequency for homophone recognition.

      • KCI등재

        The exploration of the effects of word frequency and word length on Korean word recognition

        Changhwan Lee(이창환),Yoonhyoung Lee(이윤형),Tae Hoon Kim(김태훈)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

        단어는 언어의 기초적인 의미 단위이기 때문에 단어재인에 대한 연구는 언어 연구에서 중요하며 단어처리에 기여하 는 변인이 무엇인지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단어재인 과정의 주요 변인 중 단어 빈도와 단어 길이의 영향을 탐색하였다. 먼저 단어 빈도와 관련하여, 한국어의 특징 중 하나인 한자어로 이루어진 단어에서도 기존의 연구 와 동일한 양상의 빈도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순 한글 단어와 한자어로 이루어진 단어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한자어로 이루어진 단어에서는 빈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단어 길이 효과의 경우, 단음절로 구성된 단어의 양상을 확인해 보고자, 음절의 개수를 변화시켜 단어 길이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단음절 단어는 이음절 단어에 비해 느리게 처리되었다. 특정 유형의 단어에 대한 빈도 효과의 부재 및 단음절 단어의 느린 처리는 한국어의 특징을 반영한 결과 라 할 수 있으며 추후 연구를 통해 이에 대한 좀더 자세한 탐색이 필요할 것이다. Because a word is the basic unit of language processing, studies of the word recognition processing and the variables that contribute to word recognition processing are very important. Word frequency and word length are recognized as important factors on word recogn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ose two variables on the Korean word recognition processing. In Experiment 1, two types of Hangul words, pure Hangul words and Hangul words with Hanja counterparts, were used to explore the frequency effects. A frequency effect was not observed for Hangul words with Hanja counterparts. In Experiment 2, the word length was manipulated to determine if the word length effect appears in Hangul words. Contrary to the expectation, one syllable words were processed more slowly than two syllable words. The possible explanations for these resul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음운규칙 적용도와 단어빈도에 따른 단어 규칙성 효과의 차이

        이선경(Lee, Seonkyoung),권유안(Youan Kwon),이윤형(Yoonhyoung Lee) 언어과학회 2018 언어과학연구 Vol.0 No.8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ord regularity in Korean visual word recognition.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word regularity effect is affected by how consistently a certain word is pronounced based on the proper phonological rules. By using lexical decision tasks, we examined the interaction between word frequency and regularity for words with different degrees of the proper phonological rule application. The results showed clear effects of word regularity only in words with a lower degree of the proper phonological rule application.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word regularity effect was influenced by the degree of the proper phonological rule application.

      • KCI등재

        사전 정보의 기억이 전환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명진(Myoungjin Lee),태진이(Jini Tae),이윤형(Yoonhyoung Lee)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6

        과제와 관련된 사전 정보 제시는 과제 전환 준비를 돕지만 이러한 정보를 작업 기억에 유지하는 것은 작업 기억 부하를 일으키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전 정보의 개수를 조절했을 때 사전 정보를 작업 기억에 유지하는 것이 과제 전환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연구 1과 2에서는 기억할 사전 정보의 개수를 2개로, 연구 3에서는 4개로 조작하였으며, 사전 정보가 제시되지 않는 조건, 수행 시 정보가 제시되어 사전 정보를 선택적으로 기억할 수 있는 조건, 그리고 사전 정보를 기억해야 하는 조건을 비교하였다. 2개의 사전 정보를 제시한 연구 1과 연구 2 모두 전환 여부와 관계없이 사전 정보를 기억하는 것이 과제 전환 수행에 도움을 주었다. 연구 1에서는 사전 정보를 제시할 때 조건을 구분할 수 없어 조건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구 2에서 이를 보완하여 사전 정보를 선택적으로 기억할 수 있는 조건과 사전 정보를 반드시 기억해야 하는 조건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4개의 사전 정보를 제시한 연구 3 역시 사전 정보를 기억하는 것이 과제 전환 수행에 도움을 주었으나, 동일한 설계 방식에 사전 정보의 개수만 다르게 제시한 연구 2와 연구 3을 비교했을 때, 2개의 사전 정보를 기억할 때에 비해 4개의 사전 정보를 제시한 경우의 반응시간이 느려졌다. 특히 동일한 사전 정보를 제시하더라도 정보를 반드시 기억해야 하는 조건에서만 개수에 따른 반응시간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단순히 정보를 많이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기억하게 하는 것이 부하를 일으킴을 의미한다. Prior information about the task helps prepare the task. However, maintaining such information potentially increases the working memory load, an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grade the task performa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maintaining task information on working memory on task switching performance. In Experiment 1 and Experiment 2, information types (no prior information before task, prior information before task+task cue during task, prior information before task but no task cue during task) and task transition (repetition, switching) were manipulated. Experiment 1 and Experiment 2 show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conditions with prior information, regardless of task transition, were better than the condition without prior information. In Experiment 3, the amount of the prior information was increased to 4 items. As a result, conditions with prior information still had faster reaction times than the condition without prior information. Interestingly, when comparing two studies(Experiment 2 and Experiment 3) that used the same block design method but only had different numbers of prior information, the reaction time was slower when presenting 4 items than when presenting 2 items. In particular, since the effect of the number of prior information only appeared in memory conditions, it shows that remembering it rather than presenting a lot of prior information hinders the performance of the task swit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