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형 농업용저수지의 녹조 관리를 위한 무인자율이동 조류제거장치의 적용 및 효과 분석

        남귀숙,이장희,김남두,이규상 한국수생태학회 2024 생태와 환경 Vol.57 No.4

        This study developed an unmanned autonomous moving algae collection device (HAMA-bot) to remove high-density algae concentrated in the waterfront of urban agricultural reservoirs, and analyzed the effect of algae removal after field application to medium-sized urban reservoir. The algae reduction effect (Chl-a) of the study site in the reservoir by the HAMA-bot operation showed an average 18.5% higher in the treatment area compared to the control area before operation, while the average reduction of 24% in the treatment area after operation. In addition, the Chl-a removal rate, which directly analyzed the influent and effluent of HAMA-bot, showed a very high level with an average of 96.9% (94.7~99.2%). Currently, it is optimized for urban reservoirs and manufactured on a small scale, but it is a useful tool that can be applied on a large scale to large dams and rivers,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field applicability would be improved with the optimized scale.

      • KCI등재

        침지식 및 가압식 관형막을 이용한 고밀도 조류 포집 기술 적용 및 효과 분석

        남귀숙,김남두,김가영,이규상 한국수생태학회 2024 생태와 환경 Vol.57 No.4

        In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 an eco-friendly filtration method that considers the health and safety of the aquatic ecosystem by differentiating it from chemical methods (coagulants, oxidants, etc.), which are mainly used as methods for managing the removal of algae in the algal bloom stage, an effective separation membrane for algae removal was reviewed, an appropriate technology was proposed through field application, and the effect of algae removal was evaluated. The membrane used was applied in the field by constructing an optimal technology through auxiliary facilities with an immersion tubular membrane and a pressurized tubular membrane resistant to adhesive pollutants and algae. As a result, the strong characteristics of Fouling (blocking) by adhesive algae were confirmed, and the effect of removing algae and particulate matter in the immersion type tubular membrane was 99% chlorophyll-a (Chl-a), 99.2% suspended solid (SS), and 96.7% of pressurized tubular membranes, showing excellent effects in removing algae and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addition, as a result of field application to eutrophic reservoirs where high-density algae are distributed, it was confirmed that stable operation of algae was possible during the process of filtering, separation, and concentration.

      • 부산근해 유류분해세균의 생태학적 특성

        남귀숙,이건,이상준 부산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1995 분자생물학 연구보 Vol.11 No.-

        만성적인 유류 오염지역으로 간주되는 부산근해 10곳의 해수를 채취, 이화학적 특성과 이곳 해양 생태계내에 존재하는 종속영양세균수 및 유류분해 세균수, 그리고 그 분포비를 조사하였다. 해수내 유분의 농도와 일반 종속영양세균수에 대한 유류분해세균수의 생태계 내 분포비가 수영만 일대와 부산항 일대에서 높은 수치로 나타나 부산항 일대와 수영만 일대의 유류오염 정도가 타지역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오염된 유류가 해양생태계내에서 stress 인자로 작용, 유류분해 미생물의 군집내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 수차례의 농화배양을 거쳐 얻은 유류분해 세균 227개 균주중 분해능이 비교적 우수한 112개 균주만을 선정 동정한 결과, 환경정화자로서 주로 알려져 있는 종속영양세균인 Gram음성 간균의 Pseudomonas속, Enterobactericeae 관련속, Acinetobacter속 등의 11개 속과 Gram 양성 구균인 Micrococcus속 들로 나타났으며, 장내세균의 출현은 해양내 오수 유입을 반영하고 있었다. 배양적 특성, 생화확적 특성 및 생리적 특성 등 54개의 인자들을 이용하여 60% 유사도 수준으로 수리분류를 실시한 수 유류분해에 관련되는 미생물속 간의 유연관계를 조사한 결과 Pseudomonas속인 38개 세균들로 구성되어진 cluster 5 등 3개의 sp. 및 Pseudomonas sp.들로 구성된 cluster 2 그리고 Moraxella sp.로 구성된 cluster 5 등 3개의 Major cluster와 12개의 Minor cluster로 분석되었다. 종다양성 분석 결과, 정상적인 해양생태계 보다 부산항 일대 해양생태계에서의 종다양성 수치가 낮게 나타남으로써 유류유입이 생태계 안정성을 파괴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산근해 해양생태계내의 유류분해에 작용하는 세균중 Pseudomonas속이 우세한 생태학적 지위를 나타내었다. The bacteria capable of degrading and utilizing petroleum compounds as sole carbon and energy source were isolated from the seawater at 10 sites in pusan costal area as regarded the petroleum pollution zone, tes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enumerated active heterotrophes and petroleum degraders. The results, examined for the distribution ratio of heterotrophes and petroleum degraders and the concentrations of petroleum in sea water, were high in Suyoung bay and Pusan harbor, do we could conclude that the area of there might be more polluted than others, and the petroleum polluted in marine ecosystem should act as stress factor which affected population. Taxonomical positions of 112 isolate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identification were showed 11 genera of Gram nagative bacillus or cocobacillus which were Pseudomonas spp., Enterobacteriaceae, and Acinetobacter spp., etc., and 1 genus, Micrococcus spp., were Gram positive coccus. Apparence of Enterobacteriaceae indicated that the sea water was polluted with waste water. As a results of numerical taxonomy based on Jacchard coefficient, three major clusters and twelve minor clusters had been showed at the level of 60% similarity. Species diverisity analysis about petroleum degraders in the researched Pusan marine ecosystem had lower value than that in healthy one. Also genus of Pseudomonas had predominant ecological niche in petroleum degrading bacteria on Pusan costal area.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와의 관계: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남귀숙,이수진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functional and dysfunctional expressions of ang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The study also investigated gender differences with regard to covert narcissism, dating violence, and functional and dysfunctional expressions of anger. To this end, 339 college students (133 males, 206 females) with heterosexual dating experiences in the Busan Metropolitan area were recruited. They responded to the Covert Narcissism Scale, 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 2, and the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m, dating violence, and functional and dysfunctional expressions of anger differed significantly by gender.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overt narcissism, dating violence, and functional and dysfunctional expressions of anger.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ysfunctional expressions of anger for mal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ating violence while functional expressions of anger were negatively correlated. For females, dysfunctional expressions of ange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dating violence while functional expressions of anger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Fourth, dysfunctional expressions of anger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ating violence for both males and females, but functional expressions of anger had no mediating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control program should be developed for students which may help those with covert narcissistic tendencies to functionally express their anger. Future research should analyze dating violence prevention and counseling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데이트 폭력 가해와의 관계에서 역기능 및 기능적 분노표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때 남녀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성교제 경험이 있는 부산지역의 대학생 399(남 133명, 여 206명)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내현적 자기애 척도(Covert Narcissism Scale: CNS), 갈등책략척도(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 2: CTS-2),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The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K)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 역기능 및 기능적 분노표현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 역기능 및 기능적 분노표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역기능 및 기능적 분노표현의 매개효과를 성별로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역기능적 분노표현은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적 분노표현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여학생의 역기능적 분노표현도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적 분노표현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데이트 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완전매개함을 확인함으로써,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높아지고,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높을수록 데이트 폭력 가해를 행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내현적 자기애 성향자들의 분노를 기능적으로 적절히 다룰 수 있는 분노조절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데이트 폭력의 예방 및 상담에 적용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농업용 호소의 조류 발생 진단을 위한 간편 도구의 개발

        남귀숙,이승헌,조현정,박주현,조영철 한국환경생물학회 2019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7 No.3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simple tools to easily and efficiently predict the occurrence of algal bloom in agricultural lakes.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parameters were examined to reflect the phytoplankton productivity in 182 samples collected from 15 agricultural lakes from April to October 2018. Total phytoplankton abundan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hlorophyll-a (Chl-a) (r=0.666) and Secchi depth (SD) (r= -0.351). The abundances of cyanobacteria and harmful cyanobacteria were also correlated with Chl-a (r=0.664, r=0.353) and SD (r= -0.340, r= -0.338), respectively, but not with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The Chl-a concentration was correlated with SD (r= -0.434), showing a higher similarity than phytoplankton abundance. Therefore, Chl-a and SD were selected as diagnostic factors for algal bloom prediction, instead of analyzing the standing crop of harmful cyanobacteria used in algae alarm systems. Specifically, accurate diagnoses were made using realtime SD measurements. The algal bloom diagnostic tool is an inverse cone-shaped container with an algal bloom diagnosis chart that modified SD and turbidity measurement methods. Lake water was collected to observe the number of rings visible in the container or the number indicated in each ring, depending on the degree of algal bloom, and to determine the final stage of algal blooming by comparison to the colorimetric level on the diagnosis chart. For an accurate diagnosis, we presented 4-step diagnostic criteria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Chl-a and the number of rings and a fan-shaped algal bloom diagnosis chart with Hexa code names. This tool eliminated the variables and errors of previous methods and the results were easily interpreted. This study is expected to facilitate the diagnosis of algal bloom in agricultural lake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algal bloom management plan. 본 연구는 농업용 호소의 녹조발생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2018년 4월~10월 동안 15개 농업용 호소에서 채취된 182개의 시료를 이용하여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반영할 수 있는 수질 이화학적 항목을 살펴보고자 식물플랑크톤과 TN, TP, Chl-a, SD 등의 상관계수 (r)를 분석한 결과, 총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Chl-a (r=0.666), SD (r= -0.351)와 높은 상관관계, 남조류와 유해 남조류 현존량 역시 Chl-a과 각각 r=0.664, r=0.353, SD와 각각 r= - 0.340, r= -0.338로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나 TN, TP의 항목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Chl-a 농도는 SD와 r= -0.434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어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보다 높은 유사성을 나타냈으므로, 조류경보제에서 사용하는 유해 남조류 현존량 분석을 대신하여 녹조예찰을 위한 진단 요소항목으로 Chl-a와 SD를 선정하고 실시간 SD 실측 값을 이용하여 진단을 할 경우 그 결과에 대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녹조진단 도구는 SD와 탁도 측정방법을 변형한 역원뿔 모양의 용기와 녹조판단조견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장수를 채취하여 녹조발생 정도에 따라 용기 내에 보이는 원형환의 개수 또는 각 원형환에 표시된 숫자를 관찰하고, 조류의 색도를 녹조판단조견표와 비교하여 최종 녹조단계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정확한 진단을 위해 Chl-a 농도와 원형환의 수에 근거한 4단계 진단 기준과 Hexa 코드명이 표기된 부채모양의 조견표를 제시하여 한가지 방법에 따른 변수와 오차를 보완하고 판단의 편리성을 함께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농업용 호소의 녹조진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녹조관리방안 수립을 효율화하여 녹조로부터 안전하고 건강한 농업용수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