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남 신안군 우이도 풍식력에 대한 연구

        김종연 ( Kim Jong Yeo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6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6 No.4

        전남 신안군 도초면 우이도리에는 약 50m 높이의 등반형 사구가 존재한다. 이 대사구는 하계와 동계에 각각 남-북 방향으로 탁월풍의 풍향이 바뀌는 환경에서 전사구의 모래가 비산되어 형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지역의 주된 기반암은 백악기의 유문암 또는 유문암질 응회암으로 알려져 있다. 자갈 또는 기반암 면이 바람에 따라 운반되는 퇴적물질에 의한 마식으로 형성된 풍식력이 등반 사구가 형성된 곡지의 능선 부분에서 발견되었다. 연구지역의 등반 사구의 경우 풍식력이 곡지를 따라 능선 방향으로 가속되는 계곡을 따라서 발견된다. 능선 부분의 암석 노출부에는 유문암과 유문암질 응회암이 나타난다. 풍식 찰흔과 풍식면은 노출된 유문암의 표면에 나타나며 찰흔의 방향은 풍향과 일치한다. 유문암질 안산암의 경우 피트, 플루트, 그루브가 관찰되는데 비하여 풍식면은 일부 광택면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찾아보기 어려웠다. 한편 풍식릉과 풍식면이 유문암과 응회암에서 기원한 자갈에는 발달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피트, 플루트 그루브가 관찰된다. 풍식릉은 직선이나 톱니형의 형상을 지니고 있으며 이로 미루어 보아 이지역의 풍계가 단순함을 알 수 있다. 이 풍식 지형들은 원인이 아직 명확하지 않은 전사구에서 능선 부분으로의 모래 공급 감소로 인하여 노출된 것으로 보인다. 모래 공급이 안정적인 경우 이 풍식 지형들은 모래에 의하여 하면서 매몰될 것으로 보인다. There is a climbing dune about 50m high at Wooyidori, Docho myun, Shinan gun, Jeollanamdo. This dune is known to be formed by scattering the sand of the transfer zone in an environment where the wind direction of the fine wind changes in the south-north direction in summer and winter. The main bedrock in this area is known as rhyolite or rhyolitic tuff in the Cretaceous. Ventifacts, which is formed by the abrasion of gravel or rock mass by the transporting sand or silt particles, were found in the ridge part of the crust where the climbing dune was formed. In the case of climbing dunes in the study area, ventifacts are found along the valley, which rises along the ridge along the crust. Rhyolite and rhyolitic tuffs appear in the rock exposed part of the ridge. Wind striation and facets appear on the surface of exposed rhyolite, and the direction of the strikes coincides with the wind direction. In the case of rhyolite andesite, pits, flutes and grooves were observed on the exposed surface. Its directions coincides with main wind directions. In the case of rhyolitic tuffs, pit, flute and grooves are found but facets hard to find though weakly polished surface are recognized. Meanwhile keels and facets(polished surfaces) are developed on surface of rhyolite and tuff gravels(zweikante), along with pits, flutes, and grooves. The keels have straight or surrogated forms in planform so, it is supposed that the wind direction of this area is relatively simple. These forms appear to have been exposed due to a decrease in sand supply from beach to ridge where the cause is still unclear. If the sand supply is stable, these ventifacts will be buried under sand.

      • KCI등재후보

        Sn-Ag 범프의 조성과 표면 형상에 영향을 미치는 도금 인자들에 관한 연구

        김종연,유진,배진수,이재호,Kim, Jong-Yeon,Yoo, Jin,Bae, Jin-Soo,Lee, Jae-Ho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03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10 No.4

        Sn-Ag 전해도금시 도금욕의 Ag 이온의 농도, 전류밀도, 펄스 주기, 첨가제등의 인자들이 솔더의 조성과 표면형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Ag 이온의 농도와 시편에 가해지는 전류밀도를 변화시킴으로써 Sn-Ag 솔더내의 Ag 조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였고 또한 전류밀도를 증가시키면 솔더의 미세조직의 크기가 감소되는것을 관찰하였다. 펄스 인가 주기와 첨가제의 양등을 변화시키면 솔더내 Ag의 조성이 달라지고 솔더의 표면 거칠기가 감소하면서 표면 형상이 변화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30 $\mu\textrm{m}$의 미세피치와 15$\mu\textrm{m}$의 범프 높이를 가지는 공정 Sn-Ag 솔더 범프를 형성하였다. 도금된 솔더의 조성은 EDS와 WDS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표면형상은 SEM과 3D surface analyzer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With the variation of Ag concentration in bath, current density, duty cycle, additive and agitation for electroplating of Sn-Ag solder, the compositions and the morphologies of solder were studied. It was possible to controll Ag content in Sn-Ag solder by varying Ag concentration in bath and current density. The microstructure size of Sn-Ag solder decreased with increasing current density. Duty cycle of pulse electroplating and quantity of additive affected on Ag content of deposit and surface roughness. In this work eutectic Sn-Ag solder bumps with fine pitch of 30 $\mu\textrm{m}$ and height of 15 $\mu\textrm{m}$ was formed successfully. The Ag content of electrodeposited solder was confirmed by EDS and WDS analyses and the surface morphologies was analyzed by SEM and 3D surface analyzer.

      • KCI등재
      • KCI등재

        Zn - 22wt%Al 합금의 진동감쇠특성에 미치는 냉간가공과 온도의 영향

        김종연(Jong Yeon Kim),박희석(Hee Seok Park),나형용(Hyun Yong Ra) 대한금속재료학회(구 대한금속학회) 1996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34 No.9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specific damping capacity(SDC) of rolled Zn-22Al alloy(Superplastic Zinc, SPZ). SDC is foun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reduction ratio, because of the microstructure change from network to particle type. SDC is very sensitive to the change of frequency, so that the variation of frequency with reduction ratio was investigated. Frequency is almost constant with reduction ratio. But the frequency is decreased when the specimen is heat treated. SDC of both as-rolled and heat treated sheets are increased largely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at is, SDC is about 11~14% at room temperature, but 50% at 130℃. This reason is considered as follows. Relaxation time τ subjects to thermal activation process and SDC becomes a maximum(has a peak) when ωτ is equals to 1 in SDC =△0ωτ/ (l +ω2τ2).

      • SCOPUSKCI등재
      • 서해연안 조간대에 서식하는 점망둑(Chasmichthys dolichognathus)의 식성

        김종연(Jong-Yeon KIM)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2004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 Vol.4 No.-

        To know the food chain of an intertidal community, feeding habits of Chasmichthys dolichognathus were studied by analyzing stomach contents. C dolichognatluIs were monthly collected and the feeding habits were investigated in the intertidal zone of Dodun-ri, Sochon from May 1997 to April 1998. Fullness of stomach was increased twice a day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except winter. C dolichognathus(1.0-6.0cm TL) was a carnivore which consumed mainly gammarid amphipods, polychaetes, copepods and crabs. Its diets included minor quantities of gastropods, shrimps, bivalves, cirriped larvae and stomatopods. C dolichognatluIs showed ontogenetic changes in feeding habits. Small individuals fed mainly on gammarid amphipods, polychaetes and copepods. While the portion of the stomach contents attributable to polychaetes and crabs increased steadily with increasing fish size, consumption of copepods decreased progressivly. Although gammarid amphipods, polychaetes, copepods and crabs were major prey organisms for all seasons, the relative proportion of these food items changed with seasons. Consumption of copepods was relatively high in spring and fall and consumption of gammarid amphipods, polvchaetes and crabs was relatively high in summer.

      • KCI등재
      • KCI등재

        기반암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산지 풍화 지형 발달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1) -강원도 삼척시 쉰움산을 사례로-

        김종연 ( Kim Jong Yeo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7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7 No.2

        강원도 삼척시에 위치하는 쉰움산의 정상부에는 250여개의 와지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전의 연구들은 그 형상적인 측면과 형성 과정에 따라 그 와지들을 구분하였다. 본연구에서는 와지가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정상 부분과 그렇지 않은 사면의 중간 부분을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와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암석의 강도, 화학 조성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형을 조사하고 암석의 반발강도 측정과 XRF 분석을 이용한 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장 조사 결과 사면의 중간 부분에서도 풍화 기원으로 보이는 선형 와지(그루브)와 원형의 와지(나마)가 발견되었다. 규모와 발달 정도는 산지 정상부의 것들에 비하여 작은 편이었다. 또한 원형의 와지들은 포트홀과 유사하게 퇴적물이 와지의 내부를 마식하여 발달하는 양상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와지의 발달이 상대적으로 약한 사면 중간 부분과 와지의 발달이 두드러진 정상 부분 사이의 반발강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다만 각 지점 내에서도 반발 강도의 차이는 존재하며 이는 각 지점에 발달한 수평적 수직적 균열의 특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근거로 볼 때 반발강도와 와지 발달 간에 직접적인 연관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화학 조성 역시 정상부(SU07∼SU13)와 사면 중간 지점(SU02∼SU06) 사이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화학적 풍화 지표상 전반적으로 풍화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화학 조성 역시 각 지점 내에서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암석의 반발강도와 화학 조성 간의 상관을 검토하였다. 두 변수 사이에는 직접적인 강한 상관은 발견하기 어려웠으나, Si의 함량이 반발강도와 약한 양의 통계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Al의 함량과는 음의 통계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널리 쓰이는 화학적 풍화 관련 지수인 CIA등은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해당 지표들의 타당성등과 함께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re are more than 250 weathering pits at the top of the Suinumsan (mountain), located in Samcheok, Gangwon province. Previous researches have distinguished the pits according to their geometrical aspects and formation process. In this study, the landscape of the top (SU07∼SU13) and mid-slope of mountain (Su02∼06) are investigated. In order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rock strength and chemical composition affecting pit formation, XRF analysis and Schmidt hammer rebound test were adapted. In the field survey, linear depressions (groove) and circular depressions (gnamma) were found in the middle of the slope. The scale were smaller and development level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mountain top. Also, forming process of the circular pits were similar to the porthol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bound strength between two sites.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rebound strength within each site, which seems to be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horizontal and vertical cracks developed at each site. Based on this, it seems that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rebound strength and pit development. The chemical composition also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top and the midpoint of the slope and the chemical weathering index was not affected by weathering as a whole. The chemical composition also showed a difference in each point. The correlation between rock strength and chemical composition was investigated. There wa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bu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ntent of Si and the content of A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IA. These results should be reviewed together with the validity of the relevant indicators through further studies in the future.

      • KCI등재

        담양지역 영산강 지류 하천 퇴적층의 특성에 대한 연구

        김종연 ( Jong Yeon Kim ),홍세선 ( Se Sun Hong ) 한국지형학회 2013 한국지형학회지 Vol.20 No.4

        전남 담양군 서부 지역에 있는 병풍산, 삼인산과 같은 산지를 개석하는 영산강 지류인 대전천과 수북천이 형성한 퇴적층의 성격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퇴적 환경을 분석하기 위하여 현장 조사와 최근에이뤄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시추 조사 결과를 이용하였다. 영산강 주변의 지류 유입 부분과 상류 부분의 퇴적층의 심도는 지금까지 추정되던 것보다 얇은 4~7m내외인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층의 기저는 기반암의 풍화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반적인 기복 경사는 현재의 지표면과 상당히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산강의 유로가 퇴적물로 피복되기 이전에 비하여 급격히 변화하지는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지류 주변의 퇴적물은 각력으로 입자의 크기가 크고 점토 등이 포함되어 분급이 불량한 산지 홍수성 퇴적층이다. 산록면이나배후 산지의 전면부에 단구 퇴적물 또는 사면 퇴적물의 형태로 존재하는 사면 물질이 주된 퇴적물의 공급원이었다. 일부에서는 다각형 구조가 나타나 퇴적물의 생산과 공급과정에 다양한 지형 형성이 과정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퇴적층으로 구성된 평야에 산재하는 구릉들은 주로 기반암의 풍화 산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릉의 말단부에서 퇴적층이 나타나는 경우 층후가 매우 얇았다. 따라서 현재 수북천과 대전천 유역 가운데 퇴적이 우세한 구역은 기복면이 얇게 피복한 지형으로 부분적으로 기반암 풍화대의 기복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characteristics of deposits formed by the Daejon-cheon and Soobuk-cheon, dissecting the mountains such as Byungpung Mt. and Samin Mt. in western part of Damyang county, Jeonmam province. Results from field survey and bore hole logging by KIGAM are used in interpreting depositional environment, in this study. By the result of deposits near of the channels Daejon-cheon and Soobukcheon, and main channel of Youngsan River, the depth of sediment layers in this area is 4~7m, far thinner than formerly estimated. Weathered material of local rocks forms the base of the sedimentary layers. It can be assumed that the location channel of the Youngsan river has been stable ever since the start of the sedimentary events. Sediment particles of tributaries are angular than those of Youngsan River. Particles are larger and sorting is poor. It is interpreted as mount flash flood deposits. Main sources of sediments at the valley bottom or deposition dominated area are the terrace deposits or slope deposits over the gentle foot-slope or front of surrounding mountains. Some particles show polygonal cracking on the surface originated from the strong chemical weathering, while most of these has high angularity. It means various geomorphic processes operate to produce and transport the particles in this area.Isolated hills within the sedimentary plains are made with weathered materials of local bedrock. In the case of foot-slope of the hills, thin sedimentary layers are found. So it can be concluded that surface features of deposition zone of the Daejon-cheon and Soobuk-cheon is formed by the filling of lower part of the valley and its feature partly controlled by the relief of the weathering fro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