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담양지역 영산강 지류 하천 퇴적층의 특성에 대한 연구

        김종연 ( Jong Yeon Kim ),홍세선 ( Se Sun Hong ) 한국지형학회 2013 한국지형학회지 Vol.20 No.4

        전남 담양군 서부 지역에 있는 병풍산, 삼인산과 같은 산지를 개석하는 영산강 지류인 대전천과 수북천이 형성한 퇴적층의 성격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퇴적 환경을 분석하기 위하여 현장 조사와 최근에이뤄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시추 조사 결과를 이용하였다. 영산강 주변의 지류 유입 부분과 상류 부분의 퇴적층의 심도는 지금까지 추정되던 것보다 얇은 4~7m내외인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층의 기저는 기반암의 풍화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반적인 기복 경사는 현재의 지표면과 상당히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산강의 유로가 퇴적물로 피복되기 이전에 비하여 급격히 변화하지는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지류 주변의 퇴적물은 각력으로 입자의 크기가 크고 점토 등이 포함되어 분급이 불량한 산지 홍수성 퇴적층이다. 산록면이나배후 산지의 전면부에 단구 퇴적물 또는 사면 퇴적물의 형태로 존재하는 사면 물질이 주된 퇴적물의 공급원이었다. 일부에서는 다각형 구조가 나타나 퇴적물의 생산과 공급과정에 다양한 지형 형성이 과정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퇴적층으로 구성된 평야에 산재하는 구릉들은 주로 기반암의 풍화 산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릉의 말단부에서 퇴적층이 나타나는 경우 층후가 매우 얇았다. 따라서 현재 수북천과 대전천 유역 가운데 퇴적이 우세한 구역은 기복면이 얇게 피복한 지형으로 부분적으로 기반암 풍화대의 기복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characteristics of deposits formed by the Daejon-cheon and Soobuk-cheon, dissecting the mountains such as Byungpung Mt. and Samin Mt. in western part of Damyang county, Jeonmam province. Results from field survey and bore hole logging by KIGAM are used in interpreting depositional environment, in this study. By the result of deposits near of the channels Daejon-cheon and Soobukcheon, and main channel of Youngsan River, the depth of sediment layers in this area is 4~7m, far thinner than formerly estimated. Weathered material of local rocks forms the base of the sedimentary layers. It can be assumed that the location channel of the Youngsan river has been stable ever since the start of the sedimentary events. Sediment particles of tributaries are angular than those of Youngsan River. Particles are larger and sorting is poor. It is interpreted as mount flash flood deposits. Main sources of sediments at the valley bottom or deposition dominated area are the terrace deposits or slope deposits over the gentle foot-slope or front of surrounding mountains. Some particles show polygonal cracking on the surface originated from the strong chemical weathering, while most of these has high angularity. It means various geomorphic processes operate to produce and transport the particles in this area.Isolated hills within the sedimentary plains are made with weathered materials of local bedrock. In the case of foot-slope of the hills, thin sedimentary layers are found. So it can be concluded that surface features of deposition zone of the Daejon-cheon and Soobuk-cheon is formed by the filling of lower part of the valley and its feature partly controlled by the relief of the weathering front.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포천지역의 쥬라기 화강암에 발달된 결의 특성

        박덕원(Deok Won Park),김형찬(Hyoung chan Kim),이창범(Chang Bum Lee),홍세선(Sei Sun Hong),장세원(Se Won Chang),이철우(Cheol Woo Lee) 한국암석학회 2004 암석학회지 Vol.13 No.3

        포천지역의 쥬라기 화강암내 결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3가지 미세균열의 분포상은 박편의 확대사진 (x6.7)에서 잘 나타난다. 우세균열 면은 l번 결의 면에 평행하며, 준 우세균열 면은 2번 결의 면에 평행하다. 이러한 l번 결 및 2번 결을 형성하는 미세균열은 3번 결의 면상에서 상호 거의 수직을 이룬다. 따라서, 연구지역의 화강암질암의 결은 미세균열의 선택적 배향성에 지배된다고 할 수가 있다. 결은 리프트, 그레인, 하드웨이 면의 순으로 발생빈도, 길이 및 밀도가 발달하고 있다. We hav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rock cleavage for the Pocheon granite with Jurassic emplacement age. Photomicrographs were used to observe and analyze microcracks from the granite. Three sets of microcrack planes are recognized; (l) the rift plane developed parallel to the principal sets of microcracks, (2) the grain plane parallel to the secondary sets of microcracks, (3) the hardway plane perpendicular to both rift and grain planes. The microcracks developed in the granite shows higher polution, mean length and density in the order of rift plane, grain plane and hard way plane. The fracturing characteristics of the granite are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se three planes.

      • KCI등재

        금강 중류 구석기 유적의 제4기 지질 환경과 층서 고찰

        김주용(Kim, Ju-Yong),양동윤(Yang, Dong-Yoon),이융조(Lee, Yung-jo),우종윤(Woo, Jong-yoon),홍세선(Hong, Se-Sun),이상헌(Yi, Sangheon),남욱현(Nahm, Wook-Hyun),이진영(Lee, Jin-Young),봉필윤(Bong, Phil-Yoon ),오근창(Oh, Keun-Chang),이승원( 한국구석기학회 2015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2

        금강 중류 유역의 하안단구 상면에서 사면프로세스와 연동된 여러 매의 사니질 고토양층은 구석기 인류의 삶의 증거가 포함되어 있다. 특히 청주 관내 오송 만수리, 옥산 소로리, 현도 노산리-하석리 일대 하안단구는 저위 I면(제2단구) 위에 하성퇴적층이 널리 발달하여 있다. 금강 중류 하안단구는 해발고도 약 30m 아래에 분포하는 하성 사력층은 전반적으로 최종빙기 초(약 60ka) 이후에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3개 구석기 유적 지점에 나타나는 고토양층 형성은 만수리에서 약 45ka 이후(1지점 Q 28), 소로리에서 약 43ka 이후 (H-15 시추코아), 그리고 노산리에서 약 37ka(3지점 F5)~43ka(2지점 B-1)로 각각 나타나, 전반적으로 고토 양층의 형성은 플라이스토세 말 중에서도 주로 최종빙기 중기와 후기(MIS 3~2) 걸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소로리에서 신기 하성퇴적층이 최종빙기최성기(MIS 2) 이후 뵐링-알러뢰드 간빙기에 걸쳐 형성되었다. 금강 중류의 3개 구석기 유적발굴 지점 토층단면의 고토양층에서 환경변화와 주기성에 대한 예비 결과, 대자율은 농갈 색이나 적갈색 고토양층 구간에서 증가하며, 갈색~암갈색 고토양층 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아 지는 경향을 보이며, 대자율 상승 구간에서는 일반적으로 실트 함량이 증가(40~50 % 이상)함과 동시에 사질 함량은 감소 (20~30 이하)하는 경향을 강하게 지시하고 있다. 오송 만수리 1지점 대표단면(Q28칸)의 대자율 분포를 보면, 약 65,000년전 이후 약 만년주기의 하인리히 이벤트(H5~H3) 주기가 나타나는 것으로 간주되며, 금강 유역의 다른 구석기 유적에서도 나타나는지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 A number of Paleosols, which contain relicts of the paleolithic peoples, are associated with slope-processed deposits on the fluvial terrace along the middle part of Keum River Basin, where Low Terrace-I(or 2nd Terrace) is prevailed with sand and gravel deposits, particularly at Mansuri(Osong-myeon), Sorori(Ogsan-myeon), and NosanriHaseogri(Hyeondo-myeon) in Cheongju City. Fluvial terrace deposits in middle part of Keum River are distributed below ca 30 m(asl) and interpreted to be formed after 60ka. Formation ages of paleosols of three paleolithic sites in this research are converged into the range between the MIS 2~MIS3 during the Last Glacial(Upper Pleistocene); Paleosols of Mansuri initially formed in the range of 45ka(Q28 pit in Loc. 1), Paleosols of Sorori formed after 43.6ka(H-15 core), and Paleosols of Nosanri after 37ka(F5 in Loc. 3). In Sorori site Young Fluvial Sequence(YFS) formed during the BøllingAllerød Interstadial after the Last Glacial Maximum(LGM). It can be manifested from the preliminary results of the soil-sedimentary profiles of three paleolithic sites that MS increases in reddish brown and dense brown Paleosols, while it decrease relatively in brown or dark brown Paleosols; MS increase is associated with both increasing silt fraction(> 40~50 wt %) and decreasing sand fraction(>20~30 wt %) in general. Lastly although it regards that the cyclicity of low MS peaks in the representative vertical profile(Q28) of Mansuri Loc. I site may be associated with the worldwide Heinrich events(H4~H6), it may be further examined from the other Paleosol profiles among the Paleolithic sites in the Keum River Basin.

      • KCI등재후보

        의림지 형성과정과 제방축조 연구

        김주용(Kim, Ju-yong),양동윤(Yang, Dong-yoon),강상준(Kang, Sang-joon),이상헌(Yi, Sang-heon),남욱현(Nam, Wook-hyun),임재수(Lin, Jae-su),황세호(Hwang, Se-ho),윤현수(Yun, Hyun-su),김진관(Kim, Jin-kwan),홍세선(Hong, Sei-sun),이진영(Lee, J 忠北大學校 中原文化硏究所 2010 중원문화연구 Vol.14 No.-

        Eurimji as an ancient water management facility has been known to be built in Iron Age(Sam-Han Age) according to historical document. Eurimji Bank materials are filled on the granitic gneiss and valley fill boulders and rounded water-laid gravels below 307m (asl). Artificial earth materials are gradually dominant at the altitude between 311.2m (asl) and 313.6m (asl). The constructed materials are chracterized by angular to subangular gravels and graded sands in lower part, but gray organic muds with sands are increased upwards. The organic muds up to 314m(asl) are dated ca2,000ysBP, while wood fragments are as old as 1,200yrBP in trhe same interval. This paper deals with the origin of the gray organic muds of Eurimji bank, particularly comparing it with Eurmji lake sediment records, dated as ca 1,900~2,000ysBP, in the interval of 307.5~311.7m(asl) of the borehole ER3-1. As result both Eurimji bank and lake sedimentary materials are the same in mineralogy and chemical composition. This implies that the ancient people excavated gray organic muds from Eurimji lake bottom and use them to construct embankment, made from earths and woods, on the natural lavee or elevated valley mouth due to alluviation. The Eurimji bottom sediments are traced as old as 1920yrBP from borehole ER-3-1, and records are continuous up to 1420ysBP. The lowermost bottom sediments are different in sedimentary matrix from the embankment materials at the same altitudinal level. The latter is typified by the gravel-supported bank materials at the level of 307.5~310.6m in altitude. This implies that a possible construction of Eurimji bank was as old as 1920 years, and bottom sedimentation in the Eurimji had been recorded continuously and stably up to 1200yrBP. However it is supposed that Eurimji bank was mainly constructed at 1200yrBP, when the unified Silla dynasty expanded water reservoirs in the whole country s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