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교육의 배움력 발현(發顯)

        김성길(Seonggil Kim) 한국배움학회 2009 배움학 연구 Vol.1 No.1

        사교육은 단순히 입시 과외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포괄적인 개념이다. 사교육은 자기 계발을 위한 투자이며 배우는 이들 모두의 선택권이기도 하다. 사교육은 나름대로의 독자적인 자생력을 지니고 있다. 사교육과 공교육은 서로 반(反)하는 대체적 개념이 아니다. 사교육과 공교육은 서로 각자의 목표를 가지고 각자의 전략을 추진하며 온전한 교육을 완성해 나가는 보완적 개념인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사교육은 공교육뿐만 아니라 다른 사교육과도 각자적으로 뿐만 아니라 상호 협력적으로 연계하고 조직화 할 필요가 있다. 그 가운데서 전방위적인 소통직업이 요구된다. 이른 위해서는 사교육에 대한 국민적인 정서가 보다 긍정적이고 현실적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으며, 동시에 사교육을 교육문제의 주요 원인으로 바라보며 통제하려는 관점 또한 전환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사교육에 잠재된 배움력을 발견(發見)하고 발굴(發掘)하고 발현(發顯)시키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ivate education has its own generating power. That is the power of erudition. The private education is the investment for self developing and the rights for all people who want to learn everything. That is to say, the private education is not the substitutional goods compatible with the public education, but the complementary goods to the public education. The private education is not the shadow. It is the other important feature in Korean education. Both of them, the private and the public education, need to set their own goals, take their own strategies, and do their best to accomplish the whole education. At this juncture, it is necessary for the private education to collaborate and inter-experience with not only eachness but also the public education. For this, instead of focusing on the short-term countermeasures to mitigate the demand for the privat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et up the comprehensive and long-term perspective for the whole education. That is the primary way of exploring, excavating and revealing the power of erudition in the private education.

      • KCI등재

        UNESCO와 OECD의 평생교육전략 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평생여가교육의 가능성

        김성길(Seonggil Kim)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4 미래교육학연구 Vol.17 No.1

        평생교육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이렇게 평생교육이 필수요소가 되는 데는 UNESCO와 OECD의 역할이 컸다. UNESCO는 ‘모든 이를 위한 교육’을 주장하면서, 개인의 자아실현을 평생교육의 기본으로 삼고, 이를 위해 기존 교육제도의 통합과 지역사회의 학습도시로의 전환을 실천하였다. 이에 비해, OECD는 개인의 발달과 사회적 결속, 그리고 경제적 성장을 위한 학습지역 형성을 주장하면서, 인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 강화와 전 생애에 걸친 직업능력의 개발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는 평생교육 이론수립과 실천의 양대 산맥인 UNESCO와 OECD의 평생교육전략 비교를 통해 우리 평생교육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의 평생교육 현실을 짚어보았고, 그 다음으로 UNESCO와 OECD의 평생교육이론을 비교하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평생교육 증진을 위한 평생교육전략, 특히 평생여가교육 전략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some applications to lifelong leisure education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is paper, first of all, reviewed the lifelong education situation of Korea in terms of philosophical, administrative, and legitimative aspects. Secondly, this study used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lifelong education strategies of UNESCO and OECD, who are the two mainstreams of the theory-building on and practicing for international lifelong education. And finally, this paper showed the strategies for lifelong leisure education in Korea under the conclusion of the exploring the UNESCO and OECD lifelong education strategies.

      • 죽음의 배움학 序說

        김성길(Seonggil Kim) 한국배움학회 2012 배움학 연구 Vol.4 No.1

        인간은 숨이 멈추는 그 순간까지 배운다. 태어나면서부터 배움의 본성을 타고났기에, 그 본성을 죽음의 순간까지 지속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삶이나 살아감에 대해서는 고민하면서도 실제로 죽음이나 죽어감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게 현실이다. 죽음을 거부할 수 없는 인간 존재의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죽음에 대해 언급하기를 거부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죽음에서 배울 수 있는가? 죽음이 가리키는 것은 무엇인가? 죽음은 선택 가능한가? 죽음의 배움학적 의미는 무엇인가? 등의 의문들에 대한 해답을 찾아보는 시도다. 이를 통해 죽음을 접하는 바람직한 태도를 갖추는 동시에, 죽음뿐만 아니라 삶 자체를 보다 정직하게 살아나가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ll human beings are the animals that have the instinct of erudition. So they are reformatting their lives for living days endlessly. As a part of life, death is an inevitable event that can not be denied. But frankly speaking, people avoid talking about the death. We all just live a life, instead of 'living a death'. This study aims to answer to some questions, that is, can we learn from death? what is death directing to? can we choose the death? and what is the meaning of death in the perspective of the science of erudition? By doing so, we all wish to have new perspectives and attitudes on the death, and take a chance to live a good life as well as 'live the best death'.

      • 배움학論

        김성길(Seonggil Kim) 한국배움학회 2011 배움학 연구 Vol.3 No.3

        함석헌의 씨알교육사상은 단순한 지적 즐거움의 대상을 넘어서 인간 존재가 당면한 문제를 확인하고 해결할 수 있는 동기를 제시한다. 생각과 실천이 서로 각각 유리된 것이 아니라 인간 스스로가 생각하고 동시에 실천함으로써 삶의 깨달음을 경험할 것을 지향하는 것이다. 이는 인간의 앎과 행함이 곧 삶임을 직시하고 있는 것이다. 함석헌의 씨알교육사상은 지금껏 강조되어 왔던 학교 중심의 교ㆍ육ㆍ학ㆍ습(敎ㆍ育ㆍ學ㆍ習)을 넘어선 구ㆍ제ㆍ신ㆍ애(救ㆍ濟ㆍ信ㆍ愛)의 배움을 강조한다. 함석헌이 주창하는 배움은 생(生)과 명(命)을 위한 '맞춤의 배움, 대듦의 배움, 그리고 창조의 배움'을 말하며, 구제신애의 배움은 바로 '삶의 태어남, 삶의 피어남, 삶의 이루어짐'을 위한 인간의 본능인 것이다. 정보 중심의 학교 교육을 넘어선 사람 중심의 평생 배움이 중요함을 강조하는 구제신애의 배움은 묻기의 배움, 더불어 배움, 각자의 배움, 화이부동의 배움을 통해서 실천될 수 있다. Nowadays we are living in the regime of School-Fascism. It is real that schooling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something on educations. That is to say, we are all polluted by the power of schooling. Students follow the numbers of testing scores, parents stress the ranking of universities, and teachers lost their own way of education. This is the age of educational chaos. At this juncture, it is meaningful to recognize the Ssial thought proposed by Ham Seok-heon. His thought stirs on the human being itself. In his viewpoint, the core concern of the erudition is in the Gu-Je-Sin-Ae(救ㆍ濟ㆍ信ㆍ愛), not in Kyo-Yuk-Hak-Sup(敎ㆍ育ㆍ學ㆍ習). And he suggests that it is the center of Ssial thought and can proceed beyond the limitation of school education. Finally, it can be practiced by the asking, the living together, the eachness-eruditing, and the harmonizing of erudition.

      • KCI등재

        초음파 처리와 분말 크기가 재생 폴리프로필렌/폐타이어 분말 복합체의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동학,김성길,이민지,박종문,오명훈,김봉석,김진국,방대석,Kim, Donghak,Kim, Seonggil,Lee, Minji,Park, Jong-Moon,Oh, Myung-Hoon,Kim, Bong-Suk,Kim, Jinkuk,Bang, Daesuk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5 資源 리싸이클링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처리기가 die에 장착된 일축 스크류식 압출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폐타이어 분말을 탈황시켰고, 치합형 이축 스크류식 압출기를 이용하여 재생 폴리프로필렌/탈황된 폐타이어 분말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40, 80, 140 mesh 크기의 탈황되지 않은 폐타이어 분말과 탈황된 폐타이어 분말의 가교밀도와 탈황도를 계산하였고 각각의 기계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재생 폴리프로필렌과 탈황 전과 탈황 후의 폐타이어 분말 복합체에 대한 상용화제 SEBS-g-MA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가교밀도는 폐타이어 분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감소하였다. 반면에 탈황도는 작은 크기의 폐타이어 분말이 첨가될수록 증가하였다. 탈황된 폐타이어 분말이 첨가된 복합체의 인장강도, 충격강도, 신장률은 탈황되지 않은 폐타이어 분말이 첨가된 복합체보다 크게 증가했으며 첨가된 폐타이어 분말의 크기가 작을수록 복합체의 기계적 특성이 더욱 향상되었다. 재생 폴리프로필렌과 탈황 전과 탈황 후의 폐타이어 분말 복합체에 SEBS-g-MA를 첨가하였을 때 충격강도와 신장률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In this study, various sizes of waste ground rubber tire (WGRT) were devulcanized by a single screw extruder equipped with a sonicator in front of the die, and waste PP and devulcanized waste ground rubber tire (DWGRT) composites were prepared by an intermeshing co-rotating twin screw extruder. The crosslink density and percent devulcanization of WGRT and DWGRT for 40, 80 and 140 meshes were calculate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effect of SEBS-g-MA as a compatibilizer was investigated on mechanical properties of both waste PP/WGRT and waste PP/DWGRT composites. The crosslink density was decreased with decreasing the WGRT size. On the other hand, the percent devulcanization was increased by adding the smaller size of WGRT. Also, tensile strength, impact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of the composite with DWGRT were higher than those with WGRT. Especially,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adding the smaller size of WGRT and DWGRT. Addition of SEBS-g-MA into both waste PP/(D)WGRT composites exhibited better impact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than the composites themselves.

      • 미래 대학 수업과 배움학의 접점

        천지영(Jeeyoung Chun),김성길(Seonggil Kim) 한국배움학회 2011 배움학 연구 Vol.3 No.1

        이 연구는 대학 수업의 주체인 성인들의 사회적응력을 높이기 위하여 사회 변화에 맞는 수업형태가 구현될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대학 수업형태를 시나리오 플래닝에 기반하여 예측해보는 동시에, 이렇게 예측된 수업형태에 함축되어 있는 가치를 배움학의 관점에서 고찰해 봄으로써 미래 대학 수업에서 배움학의 의미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시나리오 플래닝에 따라 미래 수업형태를 구분하면, 시나리오1은 전통적 수업형태, 시나리오2는 크로마키 수업형태, 시나리오3은 코스모폴리탄 수업형태, 시나리오4는 개방형 모둠 수업형태로 나눌 수 있다. 이들 시나리오들을 배움학의 관점에서 해석하면, 전통적 수업형태는 공동학습의 의미를 지니고, 크로마키 수업형태는 쓰임새학습 중심 수업형태라 할 수 있다. 코스코폴리탄 수업형태는 공동학습을 통한 쓰임새학습을, 개방형 모둠 수업형태는 자기주도학습을 기반으로 한 공동학습의 성격을 갖는다. This study explores possible forms of university classes in the future based on scenario planning. Also,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of a cla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cience of erudition. First of all, four different scenarios have been identified. Scenario 1 is the traditional form of class. Scenario 2 is a chromakey style form of class. Scenario 3 is a cosmopolitan style form of class. Scenario 4 is conducted as a small group meeting in a virtual space through an open network. Next, the meaning of a class i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cience of erudition. The Scenario 1 class has meaning as a collaborative learning forum. The class from Scenario 2 is a practical learning forum. In Scenario 3, the class is a co-learning practical learning forum. Scenario 4 class is a collaborative learning forum based on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this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This study proves that the science of erudition can be applied to a practical alternative through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cience of erudition.

      • KCI등재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의 모성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최수미(Sumi Choi),김성길(Seonggil Kim) 한국성인교육학회 2021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4 No.4

        이 연구는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모성 이데올로기 규범 안에서 발달장애자녀를 양육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어머니의 개별적 모성 경험에 대하여 성찰해 나가는 과정을 담아냈다. 연구결과는 첫째, 발달장애어머니로서 나는 자녀의 질병과 장애를 자신의 탓으로 돌리며 죄책감을 느낀다. 어머니는 자녀의 질병으로 인하여 원인 제공의 비난을 받기도 하고 이상적인 좋은 어머니 역할 사이에서 갈등한다. 둘째, 개선되기 어려운 자녀의 장애로 인하여 어머니 역할을 잘 해내지 못한다 는 비난은 더욱 강화된다. 장애극복 신화는 어머니 역할을 잘 해내지 못한다는 죄책감을 가중시키며, 끝없는 돌봄과 함께 비난은 지속된다. 셋째, 이상적인 어머니 역할을 내려놓고 완벽할 수 없는 자신을 성찰한다. 자녀와 심리적 분리를 통해 어머니 자신의 자아를 실현하고 자녀와 함께 행복해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달장애어머니의 독특한 모성 경험에 대한 인식 재고(再考)와 실질적인 양육지원 대책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tried to contain the process of reflecting on the individual maternal experiences going through while rai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in the norms of maternal ideology using the self-cultural descriptive research method.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a mother of a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eels guilty for her child s illness and disability while blaming herself. A mother is often criticized for giving the cause to her child s illness, and struggles with the idealized role of a good mother. Second, the accusation of the lack of mother s roles is further strengthened due to the child s disability tha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myth of overcoming disability aggravates the guilt of the lack of mother s roles, and the criticism continues along with endless care. Lastly, a mother reflects on herself, who cannot be perfect, letting go of the role of the ideal mother. The mother seeks ways to realize the self and become happy with their children through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her children. It is supposed to be possibl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unique maternal experience of moth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emphasize the need to provide practical childcare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