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체표 온도 변화에 대한 문헌 고찰

        김상록,이창훈,조정훈,장준복,이경섭,Kim, Sang-Rok,Lee, Chang-Hoon,Cho, Jung-Hoon,Jang, Jun-Bock,Lee, Kyung-Sub 대한한방체열의학회 2005 대한한방체열의학회지 Vol.4 No.1

        Object: A study on the changes of superficial temperature as the ambient temperature varies. Method: After performing research on the physiologic mechanism of heat loss from skin, heat transfer to skin and heat productions of body, the conclusions would be drawn from experiments on temperature changes in every parts of the body as ambient temperature varies . Result and conclusion: Superficial temperature is in equilibrium with ambient temperature after a certain period. Part of the body with big change in superficial temperature tends to have slower temperature change and longer time for adaptation than the part with small change in superficial temperatur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left and right side of the body needs no attention. If adequate adaptation time, a short-period living supervision prior to measurements and appropriate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are provided, meaningful conclusion would be attained for infrared thermal diagnosis.

      • KCI등재

        주노 변증법에서 사제 변증법으로(2)

        김상록(Kim, Sang-Ro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7 철학사상 Vol.65 No.-

        『전체와 무한』에서 레비나스는 헤겔의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을 해체하는 동시에, 그것을 대체하고 하위에 포섭하는 〈스승과 제자의 변증법〉을 제시한다. 이는 헤겔 변증법의 단순한 변주가 아니라, 하나의 패러다임 전환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작업이다. 사제 변증법의 존재와 의미를 밝히려는 작업 중 후반부에 해당하는 본 논문은 특히 주인과 노예가 벌이는 사투의 이중적 구조 및 죽음과 고통의 현상학에 천착한다. 이를 통하여 밝혀지는 바, 사제 변증법은 역사 속에 정의를 실현할 근본 동인을 인정 투쟁이 아니라 변론 투쟁에서 보고, 이 관점에서 주노 변증법과는 전혀 다른 실존 운동의 논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새로운 실존 논리에 비추어 보면, 주노 변증법은 사투에서 살아남은 자 - 즉 주인 - 의 관점에서 역사를 사후적으로 정당화하는 이론임이 드러난다. 주노 변증법이 이처럼 주인의 이데올로기가 되는 까닭은 그것이 전체(를 통해 지배하는 주인의 주체성)를 전제하는 논리이기 때문이다. 반면 사제 변증법은 전체를 파열하고 초과하는 실존운동의 논리를 수미일관하게 구사한다. 이에 따라 그것은 사투에서 살해된 자 - 즉 노예 - 의 관점에 선다. 그리고 노예-주체가 제자-주체로 변모하는 과정을 통하여, 전체에 내재적인 부정의를 규탄하고 철폐할 정의의 주체가 탄생하는 장면을 연출한다. 이는 노예의 처지로 전락했던 주체가 주인의 주인이 되는 여정으로서, 그 종착지에서 실존운동의 지평은 주종 관계에서 사제 관계로 전환된다. 이로써 사제 변증법은 역사와 사회를 새롭게 사유할 수 있는 전망을 우리에게 제공한다. In Totality and infinity, Levinas deconstructs Hegel’s dialectic of the master and the slave, and at the same time, constructs his own dialectic that replaces and subsumes it under the master-disciple relationship. Totality and infinity is remarkable work especially in that it is not a simple variation of Hegel’s dialectic but accomplishes a paradigm shift. In the second part of my attempt to elucidate the dialectic of the master and the disciple in its existence and meaning, this paper tries in particular to excavate the dual structure of the death struggle and the phenomenology of the death and the suffering. It reveals that Levinas’ dialectic sees the fundamental motive for realizing the Justice in the history in the struggle not for recognition but for apology and offers an existence-movement logic,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Hegel’s dialectic. Viewed from this new logic, Hegel’s dialectic is discovered to be an ex post facto report conceived for justifying the history from the standpoint of the master. It represents a master ideology because it presupposes (the master-subjectivity consisting in ruling through) the totality. However, Levinas’ dialectic has good command of the existential logic, which consists in rupturing and surpassing the totality. Consequently, Levinas’ dialectic stands in the perspective of the slave. In describing the process by which the slave-subject turns into the disciple-subject, Levinas’ dialectic leads us to the birth of the subject and is called up for the Justice capable of abolishing the alienation inherent to the totality. This is the very process by which the slave becomes master of the master, by the end of which the transformation of the existential movement is achieved from the dominance-subordinance into the master-disciple relationship. Thus, Levinas’ dialectic provides a new perspective for thinking about the history and the social life.

      • 존재 향유와 존재 기능 -레비나스의 하이데거 비판에 관한 소고-

        김상록 ( Kim Sang-rok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1 존재론 연구 Vol.26 No.-

        자신의 철학적 과제를 하이데거를 넘어서는 것으로 설정할 만큼 레비나스가 자기 철학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하이데거와의 대결이 갖는 의미는 결정적이다. 이 대결은 흔히 존재론과 윤리학의 대립으로 이해된다. 그런데 이것은 단순히 학문 분과적 구별의 문제가 아니라 서로 다른 두 종교적 실존방식 사이의 대립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달리 말하면, 레비나스에서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을 대립시키는 경계선은 철학과 종교 사이를 지난다기 보다는 그 이전에 자연 종교와 계시 종교 사이를 지나는 것이다. 하이데거에까지 이르는 그리스 존재론을 각인하고 있는 자연 종교적 체험의 핵심을 레비나스는 존재 향유의 운동으로 파악하고 거기에 잠재된 폭력성을 비판한다. 이 글의 전반부는 어떻게 하이데거의 존재론이 존재의 향유를 지평으로 해서 움직이고 있는지를 레비나스와 더불어 밝히는 데 주력할 것이다. 자연 종교성은 익명적 존재를 절대화시키고 그것의 향유를 위해 개별자들을 총동원하는 전체주의적 성격을 갖는다. 주체성을 존재의 함수로 환원하는 하이데거의 절차를 레비나스는 자연 종교의 전체주의에 고유한 메커니즘으로 비판한다. 이 글의 후반부는 이 점을 보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e polemics that Levinas makes against Heidegger is so decisive in the formation of his philosophy that he sets himself the philosophical task to overcome Heidegger. This polemics is often presented as one that resides between ontology and ethics. But this opposi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one concerning the division of philosophical disciplines, but as one between two different modes of religious existence. In other words, the frontier which Levinas traces between Hellenism and Hebraism doesn’t pass so much between philosophy and religon, than between (metaphysics based on the) nature-religion and (metapysics based on the) revelation-religion. The kernel of the nature-religious experience that marks the tradition of the greek ontology leading up to Heidegger is considered by Levinas as the enjoyment of the being. The first part of this work intends to show with Levinas that the heideggerian ontology moves on the horizon of the enjoyment of the being. The nature-religion makes absolute the anonymous being and is totalitarian in mobilizing all the individuals in order that the enjoyment of the being may be achieved. According to Levinas, the heideggerian process which consists in reducing the subjectivity to a fonction of the being amounts to the mechanism characteristic of this totalitarianism. The latter part of this paper aims to show this aspect of heideggerian thought.

      • KCI등재

        레비나스와 실존 운동의 동성(動性)

        김상록(Sang-Rok Kim) 한국철학회 2011 철학 Vol.0 No.107

        레비나스의 사상은 자신의 보편화 과정을 극단적 파국으로 완성한 유럽 문명의 근본적인 자기 성찰로 이해될 수 있다. 그것은 유럽이 자기 정신의 심연적 토대인 헤브라이즘을 망각하고 그 대신 헬레니즘을 원리적 위치로 끌어올린 만용에 대한 자기 반성이며, 이 두 가지 정신적 흐름 사이의 정초관계를 회복함으로써 참된 보편성에 이르려는 자기 극복의 시도이다. 레비나스에게서 유럽의 극기는 따라서 헬레니즘적 독단으로부터 헤브라이즘의 발본적 추체험을 통해 회심과 전향을 이루어야 할 운동으로 파악한다. 이 글에서 우리는 우선 전향 이전과 전향 이후의 실존 운동을, 그 동성의 차이에 주목하여, 대별해 볼 것이다. 그런데 전향의 핵심은 바로 유한자가 무한자와 참되게 소통하는데 있다. 우리는 레비나스와 더불어, 그러나 또한 그에 맞서, 이 소통방식을 규정하고자 시도할 것이다. 이는 레비나스가 우리가 제시하는 실존 운동의 동성을 긍정하는 동시에 부정하는 면모를 모두 보이고 있음을 뜻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점을 보이는 것이 이 글의 또다른 목표다. The thought of Levinas can be considered as a fundamental self-questioning of the Europe which has achieved its process of universalization with catastrophic issues : self-criticism of the Europe which accuse itself of having forgotten its most profound inspiration, that is the hebraism, and of having let the hellenism claim absolute principle ; attempt of the Europe to overcome itself by restoring the original relationship between its two streams of spirit and by attaining through this renewed relationship the true universality. This european self-overcoming is regarded by Levinas as a movement which consists in converting the Europe to the openness to the other in its full infinity by means of a re-experience of the hebraic fundamental experience. This paper aims first to establish an clear contrast between the before-conversion movement and the after-conversion movement, and, in this purpose, to give attention to the difference of mobility in these movements. The core of this conversion is for the finite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good infinite. I will try to characterize, with Levinas and against Levinas, the way in which this communication is made possible. This means that Levinas affirm and deny at the same time this way of relating oneself to the good infinite. To prove this point is an another aim of this paper.

      • KCI등재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서 <욥 인트리그>로

        김상록(Sang-Rok Kim) 한국철학회 2013 철학 Vol.0 No.114

        레비나스와 정신분석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서로 상충하는 경향들로 갈라지면서 난맥상을 보여 왔다. 이 혼란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 통찰은 정신분석과 레비나스 모두가 가족 관계를 타자와의 관계의 원형으로 간주한다는점, 그런데 이 관계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점을 간파하는 데 있다. 이 관점에서 보면 레비나스가 정신분석과 벌이는 대결의 요체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해체하여 유대교적으로 포섭하는데 있음이 드러난다. 본 논문은 이 해체적 재전유의 과정이 <욥 인트리그>라 부를 만한 것이 성립되는 과정과 일치함을 보이고자 한다. 인류 역사의 플롯으로 이해되는 가족 드라마의 주인공을 오이디푸스에서 욥으로 바꾸어나가는 과정을 통해 레비나스는 새로운 무의식론을 전개할 수 있게 된다. 오이디푸스에서 욥으로의 이행은, 무의식 차원에서 들리는 타자의 부름에 의해, 한 주체가 그리스 전통의 영웅적 남성성에 입각한 지배의지를 버리고 유대적 전통의 모성과 부성을 회복하여 형제애를 실천하는 자로 변모함을 뜻한다. 그런데 이 유대적 변모에는 불교에 고유한 통찰과 영감이 숨은 역할을 하고 있다. 이를 보이는 것이 본 논문의 또 다른 목표이다. The preexisting studies on the relation between Levinas and Psychoanalysis are so divergent that on becomes bewildered at this disorder. The basic intuition necessary for overcoming this difficulty consists in realizing that Levinas and Psychoanalysis understand differently the familial relation which serves for both of them as prototype of relation to the other. From this perspective, it becomes clear that Levinas’ confrontation with the Psychoanalysis resides in deconstructing Oedipus Complex in order to subsume it under the judaism.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this deconstructive appropriation coincides with the formation of what I call “Job Intrigue”. By replacing Oedipus with Job as protagonist of family-drama understood as plot of the universal history, Levinas is in position to develop a new theory of the unconscious. This passage from Oedipus to Job means that, guided by an unconscious call of the Other, a subject gives up his will to matery based on virility illustrated by greek tragedy heros and recovers judaic maternity and paternity in order to practice brotherhood. However, in this judaic transformation, intutions and inspirations proper to the buddhism play a hidden role. To reveal this is an another objective of this paper.

      • KCI등재
      • KCI등재

        예술의 윤회, 철학의 해탈

        김상록(Sang-Rok Kim)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8 철학사상 Vol.69 No.-

        40여 년간 지속적으로 전개되었던 레비나스 예술론의 기본 골격이 형성된 모태와 같은 논문인 「현실과 그 그림자」는 레비나스의 예술론 이해에 핵심적인 중요성을 가지면서도, 높은 난해성과 밀도로 인해 안이한 독해를 거부한다. 이 글은 레비나스의 논문에 암묵적으로 전제되어 있는 배후의 존재론적 구도를 온전히 식별해내는 것이 그의 예술론을 이해하기 위한 열쇠라는 작업가설에 입각하여 레비나스 예술론의 독창성을 드러내려는 시도로서, 특히 플라톤과의 미묘한 차이를 부각시키는 길을 취한다. 이를 통하여 우선적으로 밝혀지는 바, 인식론적-존재자적 관점에 따라 예술을 보는 플라톤과는 달리, 레비나스는 현상학적-존재논리적 관점에서 예술에 접근하고, 인식 범주로 환원되지 않는 자신만의 미학 범주들을 고안함으로써, 예술이 독자적인 존재론적 함의를 지닌 사건 - 존재의 무명화 사건 - 임을 드러낸다. 다음으로, 본 논문은 이 예술 사건의 공간과 시간을 드러내는 범주들인 ‘닮음’과 ‘시간 틈새’가 각각 뜻하는 바를 규명하여, 레비나스가 본 예술이란 문명(文明)의 찬란한 현실이 드리우는 무명(無明)의 그림자 - 업보(業報)에 의한 중생(衆生)의 윤회전생(輪廻轉生)이라는 그늘 - 을 연출하는 것임을 밝힌다. 끝으로, 레비나스가 생각하는 대로의 예술과 철학의 대결 구도는 결국 〈윤회 대 해탈〉의 구도로 귀착되는 것임을 영화 『복수는 나의 것』의 예시를 통하여 보인다. "Reality and its shadow" - matrix article forming the basis for Levinas`s reflection on art which was developed over about 40 years - is capital for understanding his art theory, but remains inaccessible to any facile reading because of its great opacity and density. Based on a working hypothesis that it is the key to understanding the article in question to understand the entire ontological perspective implicitly presupposed by it, this essay tries to show what the originality of Levinas’s thinking on art consists of, especially by making an nuanced contrast to Plato. It reveals first that while Plato sees art from an epistemological-ontical perspective, Levinas approaches it from a phenomenological-ontological perspective and invents his own esthetical categories, irreducible to those for cognition, so as to make the art appear as an event with its own ontological implication: an event of a being’s obscuration. Second, this paper clarifies that meaning of ‘resemblance’ and ‘meanwhile’ as respective categories of space and of time in this art-event, in order to reveal that Levinas sees a work of art as a mise - en - scène of the obscuration-shadow cast by a splendid accomplishment of civilization: samsara of sentient beings through karma. Finally, it shows by way of illustration from Sympathy for Mr. Vengeance that the confrontation between philosophy and art, such as Levinas conceives it, comes down to ‘nirvana vs samsara’.

      • KCI등재

        존재론적 차이와 존재론적 분리

        김상록(Sang-rok Kim) 한국현상학회 2017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73 No.-

        본 논문은 초기 레비나스가 하이데거와 벌인 존재론적 논쟁의 쟁점과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이 논쟁은, 무엇보다 인간의 근원적인 존재론적 정황성에 대한 두 가지 이해 사이의 대립으로서, <존재론적 차이(하이데거) 대 존재론적 분리(레비나스)의 대립>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 점에 주목한 기존의 연구성과들이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대체로 어떤 공통된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이는 <문제의 존재론적 정황성이 연출되는 구체적인 장면을 그들이 추체험하지 못하고 있다>는 데서 기인한다. 그런 한계를 극복하게 해 줄 단초를 우리는 정신분석에서 발견한다. 왜냐하면 존재론적 정황성의 문제를 두고 정신분석은 하이데거에 맞서 레비나스와 공동 전선을 형성하고 있음이 밝혀지기 때문이다. 이 공동 전선의 지형도를 그려보면, 하이데거에 대한 레비나스 사유의 향배(向背)를 결정지은 문제의 구체적 장면을 목도하는 추체험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드러나는 바, 존재론적 차이는 <아이의 심정을 망각한 어른의 철학>이자 <노예의 처지에 무심한 주인의 철학>이다. 하이데거의 이러한 이중적 무경험(無經驗)을 반영하는 한에서, 존재론적 차이는 <힘의 철학>이다. 이에 상응하여 존재론적 차이는 철학적 차원에서 이중적 한계를 가진다. 그것은 존재 <일반>에 대한 기초 접근로가 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존재 일반을 배경으로 도래하는 <존재자의 성립>을 해명할 수 없다. 반면 레비나스의 존재론적 분리는 이 이중적 한계를 극복하는 존재론적 성찰을 제시한다. 이로부터 존재론적 차이는 존재론적 분리를 전제한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This article tries to reveal the issue and the signification of Levinas’ ontological dispute with Heidegger. This can be resumed as the confrontation between ontological difference (Heidegger) and ontological separation (Levinas), understood above all as that between two comprehensions on human primordial ontological situation. There are many studies on this theme, but most of theses nevertheless expose an common limit: that of having not reenacted the concrete mise en scene of the ontological situation in question. It is in the psychoanalysis that I find the clue for this mise en scene. Because, regarding the problem of the ontological situation, the psychoanalysis is revealed to form a common frontline with Levinas against Heidegger. To map this frontline enables us to witness the concrete scene which defines Levinas’ attitude toward Heidegger. Thus the ontological difference turns out to be the philosophy of an adult having forgotten his own infancy, as well as the philosophy of the master indifferent to his slaves. It is the philosophy of the power in so far as it reflects this double non-experience of Heidegger’s. In accordance to this, it has a double limit in its philosophical level: it cannot not only offer a fundamental approach to the being in general, but also take account for the position of a being emerging from the being in general. Whereas Levinas with his ontological separation proposes a different ontology permitting to overcome Heidegger’s flaws. It results from this that the ontological difference presupposes the ontological sepa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