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기영 ( Kim Giyoung ) 공군사관학교 2019 공사논문집 Vol.70 N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data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volution which is represent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oT, Cloud Computing, and Big Data. It should be noted that all of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based on the data. In order to prevail on the data related wars, potential enemies should be prevented from infiltrating into our digital networks. And even if the enemies succeed, we must have the ability to minimize the damage. These can be possible with the Blockchain technology. The Blockchain technology can be designed to ensure that decision makers and military personnel are well informed of operational situations through secure and reliable access and the use of the data which are generated from sensors of various weapon systems under enemies' relentless data attack scenarios. To this end, I propose the ‘Korea Military Blockchain Technology Roadmap(KMBTR).’ We should establish a solid rapport for the importance of the Blockchain technology through educations and external consultations by 2020. And then, bench marking on the Blockchain technology applications of other field's by 2025. We also need to develop small scale Blockchain technology applied systems and conduct concept verifications by 2030. In 2035, these systems will be applied to the real world situations. Finally, we should reach the stage that we can fully integrate Blockchain with other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IoT, Cloud, and Big Data by 2040.
김기영 ( Giyoung Kim ),김밝금 ( Balgeum Kim ),이아영 ( Ahyeong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연구의 목적 정부는 높아지는 식품안전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빈발하는 식중독 오염과 같은 식품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제도를 강화하고 있다. 식품안전 향상을 위한 해썹(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은 적용 품목과 대상이 확대되어, 소규모 영세 업체도 의무적으로 해썹 인증을 받아야만 한다. 한과류 가공업체는 대부분 영세하여, 복잡한 준비 과정과 사후 관리로 노력이 많이 소요되는 해썹 인증 및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소규모 한과류 가공업체의 해썹 관리 노력을 줄여줄 수 있는 디지털 해썹 관리시스템의 플랫폼을 설계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한과류 디지털 해썹 관리시스템은 관리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며, JAVA 언어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관리시스템의 주요 기능은 해썹 인증 신청을 위한 구비서류 입력 자동화와 중요관리점 모니터링 및 각종 일지 작성 같은 인증 후 디지털 관리로 이루어진다. 구비 서류 입력 자동화는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에서 발행한 소규모 사업체의 과자류(한과 포함) 해썹 표준기준서를 템플릿으로 사용하여 해당 업체의 특성에 맞게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금속검출기나 열탕기 온도 같은 중요관리점 모니터링은 계측값을 수동으로 측정하거나 센서로부터 자동 측정된 값을 동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결과 구현된 한과류 디지털 해썹 관리시스템은 업체 특성에 따라 냉장고 온도, 열탕기 온도, 금속검출기 검출 결과 등을 중요관리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열탕기 온도나 금속검출기 등 중요관리점의 센서 측정값과 점검 사항 입력 데이터는 휴대용 기기에 설치된 관리시스템의 메인 화면에 표시되며, 한계 기준 이탈 시 이에 대한 조치 사항도 작성할 수 있다. 이들 결과는 휴대용 기기에서 열람할 수 있고, 해썹팀에서는 이들 기기를 이용하여 일지 작성, 열람, 상신하면 검토자가 검토 및 결재를 통해 최종 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김기영(Giyoung Kim),박종률(Jong Ryul Park),서영욱(Youngwook Se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0
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의무 인증 대상인 소규모 떡류 가공업체는 대부분 영세하여, HACCP 인증 준비 및 인증 후 운영에 필요한 시간 및 전담 인력 부족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소규모 떡류 가공업체의 HACCP 운영에 필요한 관리 노력을 줄여줄 수 있는 디지털 HACCP 관리시스템의 플랫폼을 설계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떡류 디지털 HACCP 관리시스템의 주요 기능은 HACCP 인증 신청을 위한 구비서류 입력 간편화, 중요관리점 (CCP: Critical Control Point, 이하 CCP) 모니터링, 각종 점검표 및 일지 작성, 일정 알람, 결재 관리 및 보고서 출력 등이다. 구비서류 입력 간편화는 소규모 사업체의 떡류 HACCP 표준기준서를 템플릿으로 사용하여 해당업체의 특성에 맞게 수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CCP 모니터링은 계측값을 수동으로 측정하거나 센서로부터 자동 측정된 값을 동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디지털 HACCP 관리시스템은 관리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안드로이드용으로 제작되며, JAVA 언어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구현된 떡류 디지털 HACCP 관리시스템은 냉장고 온도, 찜기 온도, 금속검출기 검출 결과 등 CCP 계측값을 휴대용 기기에 설치된 관리시스템의 메인 화면에 성공적으로 표시하였으며, 관련 자료의 결재 및 보고서를 원활하게 생성할 수 있었다. Small-sized Tteok factories are required to mandatorily implement the HACCP program. However, the implementation of the HACCP program in these small-sized Tteok factories is slow because of a lack of resourc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ign a platform for the digital HACCP management system to lessen the burden on the small Tteok factories. Some of the key features of this digital HACCP system are template-based HACCP application document preparation, CCP monitoring, automatic checklists completing and record-keeping, schedule notification, and digital signature and reports generation. For the template to automatically prepare the HACCP application form, the HACCP guideline for small Tteok factories published by KCDC was used. Digitally or manually measured CCP data from the application were monitored by utilizing a dynamic database. The digital HACCP management system was designed for android portable devices and developed in JAVA language for convenience in use. It also successfully demonstrated CCP measurements on a tablet PC and generated electronically signed reports.
김기영 ( Giyoung Kim ),박종률 ( Jong-ryul Park ),서영욱 ( Youngwook Se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
연구의 목적 정부는 높아지는 식품안전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빈발하는 식중독 오염과 같은 식품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제도를 강화하고 있다. 식품안전 향상을 위한 해썹(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은 적용 품목과 대상이 확대되며, 2021년 말까지 종업원 5인 이하인 업체도 의무적으로 해썹 인증을 받아야만 한다. 떡류 가공업체는 대부분 영세하여, 복잡한 준비 과정과 사후 관리로 노력이 많이 소요되는 해썹 인증 및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소규모 떡류 가공업체의 해썹 관리 노력을 줄여줄 수 있는 디지털 해썹 관리시스템의 플랫폼을 설계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떡류 디지털 해썹 관리시스템은 관리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안드로이드용으로 제작되며, JAVA 언어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관리시스템의 주요 기능은 해썹 인증 신청을 위한 구비서류 입력 자동화와 중요관리점 모니터링 및 각종 일지 작성 같은 인증 후 디지털 관리로 이루어진다. 구비서류 입력 자동화는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에서 발행한 소규모 사업체의 떡류 해썹 표준기준서를 템플릿으로 사용하여 해당 업체의 특성에 맞게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냉장고나 찜기 온도 같은 중요관리점 모니터링은 계측값을 수동으로 측정하거나 센서로부터 자동 측정된 값을 동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결과 구현된 떡류 디지털 해썹 관리시스템은 업체 특성에 따라 냉장고 온도, 찜기 온도, 금속검출기 검출 결과 등을 중요관리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찜기 온도나 금속탐지기 등 중요관리점의 센서 측정값과 점검 사항 입력 데이터는 휴대용 기기에 설치된 관리시스템의 메인 화면에 표시되며, 한계 기준 이탈 시 이에 대한 조치 사항도 작성할 수 있다. 이들 결과는 휴대용 기기에서 열람할 수 있고, 해썹팀에서는 이들 기기를 이용하여 일지 작성, 열람, 상신하면 검토자가 검토 및 결재를 통해 최종 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해안지형 모니터링을 위한 해상모바일라이다 지형 측정 시스템 구축
김창환,김현욱,강길모,김기영,김원혁,박찬홍,도종대,이명훈,최순영,박현영,Kim, ChangHwan,Kim, HyunWook,Kang, GilMo,Kim, GiYoung,Kim, WonHyuck,Park, ChanHong,Do, JongDae,Lee, MyoungHoon,Choi, SoonYoung,Park, HyeonYeo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6 자원환경지질 Vol.49 No.4
Coastal areas, used as human utilization areas like leisure space, medical care, ports and power plants, etc., are regions that are continuously changing and interconnected with oceans and land. Regular monitoring of coastal changes is essential at key locations with such volatility. But the survey method of terrestial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system has much time consuming and many restrictions. For effective monitoring coastal changes, KIOST(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has constructed a shipborne mobile LiDAR system. The shipborne mobile LiDAR system, installed in a research vessel, comprised a land based LiDAR(RIEGL LMS-420i), an IMU(MAGUS Inertial+), a RTKGNSS(LEICA GS15 GS25), and a fixed platform. The shipborne mobile LiDAR system is much more effective than a land based LiDAR system in the measuring of fore shore areas without shadow zone. Because the vessel with the shipborne mobile LiDAR system is continuously moved along the shorelin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urvey a large area in a relatively short time. We conducted test measurements in the Anmok-Songjung beach around the Gangneung port. Effective monitoring of the changes using the constructed shipborne mobile LiDAR system for seriously eroded coastal areas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coastal erosion management and response.
이미지 분석을 이용한 살모넬라 신속 진단키트의 측정감도 향상
이상대,김기영,박샛별,문지혜,Lee, Sangdae,Kim, Giyoung,Park, Saet-Byeol,Moon, Ji-Hea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2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39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detection limit of rapid detection kit for Salmonella Typhimurium by image analysis system. The rapid detection kit was comprised of four elements: sample pad, conjugate pad, nitrocellulose pad and absorbent pad. Gold nanoparticle and Salmonella antibody were used as a tag and a receptor. Salmonella antibody and goat rabbit IgG antibody were used as test and control lines on nitrocellulose membrane. The color intensity of test line began to increase from $10^5CFU/mL$ of Salmonella sample.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dicted and measured number of Salmonella cells. The developed model could successfully predict the cell number of Salmonella with validation against extra-experimental result.
뉴트라비딘 검출용 간이 진단키트의 성능향상을 위한 기본 플랫폼 선정
최선미,김기영,엄애선,문지혜,박샛별,이상대,김혁주,Choi, Sunmi,Kim, Giyoung,Om, Aeson,Moon, Jihea,Park, Saetbyeol,Lee, Sangdae,Kim, Hyuk Joo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2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39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ptimize the basic platform of a lateral flow immunoassay. Improvement of the limit of detection (LOD)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width of a nitrocellulose membrane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analyte. The analyte, neutravidin was detected based on the avidin-biotin interaction. The antibody-Au nanoparticle conjugation was mostly stabled in a PBS buffer of pH 7.3. The optimal widths of a nitrocellulose membrane were 4 and 6 mm considering the sample flow rate and signal strength of the test line on the membrane. The LOD of neutravidin was 0.001 mg/ml in the optimum conditions.
김건섭 ( Geonseob Kim ),모창연 ( Changyeon Mo ),김기영 ( Giyoung Kim ),임종국 ( Jongguk Lim ),강정숙 ( Jungsook Kang ),유현채 ( Hyeonchae Yoo ),오경민 ( Gyoungminn Oh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
딸기는 매력적인 색상과 향을 가지고 있으며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하여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과일 중하나이다. 최근 국산 딸기의 수출량은 동남아를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17년 기준으로 4천 4백만불 이상을 수출하였다. 딸기는 껍질이 얇고 과육이 연하여 수확 후 품질 저하가 빠르게 진행된다. 주요 수출지역인 동남아의 더운 현지 날씨와 수출에 따른 유통기간 또한 품질에 더욱 악영향을 미친다. 이를 고려하여 수출시 유통기간을 고려하여 수확시기를 결정해야 한다. 현재 수출용 딸기를 재배하는 농가에선 내수용 성숙과에 비해 대략 70-80% 정도 성숙했을 때 수확하고 있다. 소비자가 요구하는 균일한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색상선별을 표준화할 필요가 있다. 색상 판별을 위한 기존의 연구에선 딸기의 RGB영상의 색상정보를 활용하여 착색률을 계산하고 이를 숙도 판별에 적용하였다. 하지만 이는 불량과 기준의 하나인 생리장해 부분도 RGB색상정보로만 인식하여 생리장해를 불량과로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영상처리과정에서의 영상정보의 손실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영상처리 알고 리즘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머신러닝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머신러닝을 활용한 숙도 판별을 위하여 생리장해가 있는 딸기 영상을 사용하였으며, CCD (Charge coupled Device)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은 생리장해 그룹, 과육에서의 착색 및 미착색 그룹, 꽃받침 그룹, 배경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 해당하는 부분을 각각 다른 색상으로 이미지 처리하였다. RGB데이터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색상으로 이미지 처리한 부분의 RGB데이터들을 3x3행렬을 적용하여 LDA (Linear Discriminant Analysis)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룹 간 색상정보 분류를 최대화하기 위해 활용한 LDA분석은 파이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3차원으로 분석한 결과 96.1%의 정확도로 분류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분류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각 그룹들을 학습시켜 머신 러닝에 적용한다면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딸기의 숙도를 판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