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Renal Effects of a Low Protein Diet and Antihypertensive Drugs on the Progression of Early Chronic Renal Failure in 5/6 Nephrectomized Rats

        김교순,김기혁,김상윤,강용주,맹원재,Kim, Kyo-Sun,Kim, Kee-Hyuk,Kim, Sang-Yun,Kang, Yong-Joo,Maeng, Won-Ja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199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2 No.2

        목 적 : 초기만성신부전증에서 저단백식이를 항고혈압제와 병행 투여하였을 때 저단백식이 단독 투여 때보다 만성신부전의 진행속도 및 혈압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기 위하여 저자들은 실험동물 백서를 이용하여 excision remnant kidney model로 만성 신부전을 유발시켰다. 방 법 : 5/6신 절제술로 만성 신부전을 유발시킨 백서를 순술 제 7일부터 무작위로 저단백식이 ($6\%$단백식이) 단독투여군, 저단백식이 enalapril 투여군 (식수 1 L당 50 mg),저단백식이 nicardipine 투여군 (사료 g당 0.2mg)로 나누어 신절제술후 4주, 12주, 16주에 단백뇨의 변화, 신 조직의 mesangial matrix expansion score 및 morphometric analysis로 분석한 사구체용적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1)저단백식이 단독투여군은 신절제술후 계속 혈압이 증가됨을 볼 수 있었으며, 저단백식이 항고혈압제투여군은 신절제술후 8주부터 항고혈압제 투여 7주 후부터 저단백식이 단독투여군에 비해 혈압이 조절되기 시작하였다. 2)신절제술후 16주 째의 24시간 뇨단백은 세군 모두 크게 증가되지 않았으나 저단백식이 enalapril 투여군, 저단백식이 nicardipine투여군은 저단백식이 단독투여군에 비해 24시간 뇨단백의 양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낮았다. 3) 신절제술후 16주째 크레아티닌 청소 율은 저단백식이 단독투여군은 $1.57{\pm}0.11\;mL/min$, 저단백식이 enalapril 투여군 $1.37{\pm}0.14\;mL/min$, 저단백식이 nicardipine 투여군 $1.11{\pm}0.16\;ml/min$ 이었다. 4) 저단백식이 단독투여군의 잔여 신장무게는 신절제술후 4주 $1.33{\pm}0.04g$, 12주 $1.45{\pm}0.05g$, 16주 $1.44{\pm}0.16g$으로 12주 이후 잔여 신장무게의 증가를 관찰할 수 없었다. .신절제술후 16주에 관찰한 저단백식이 단독투여군과 저단백식이 항고혈압제투여군간의 잔여 신장무게는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5) 저단백식이 단독투여군의 mesangial matrix expansion score는 12주째 증가소견을 보였고 저단백식이 항고혈압제투여군은 항고혈압제 투여에도 불구하고 12주 이후 mesangial matrix expansion score의 의미있는 증가소견이 없었고 세군 간의 차이도 없었다. 6) 저단백식이 단독투여군의 사구체용적은 12주째 증가소견을 보였고 저단백식이 항고혈압제 투여군은 항고혈압제 투여에도 불구하고 12주 이후 사구체용적의 의미있는 증가소견이 없었고 세군 간의 차이도 없었다. 결 론 : 초기만성신부전증에서 저단백식이는 혈압을 조절시키지 못하였고 저단백식이 항고혈압제투여군은 저단백식이 단독투여군보다 혈압조절 및 단백뇨의 감소 소견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mesangial matrix expansion score,대상성 사구체비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만성신부전의 진행을 지연시키는데 있어서 저단백식이와 함께 항고혈압제를 추가하였을 때 항고혈압제에 의한 추가적인 지연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Purpose : To study whether a low protein diet increase the efficacy of antihypertensive therapy on the progression of renal failure, we conducted an experimental study using 5/6 nephrectomized rats(n=63). Methods : At 7 days after surger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according to receiving antihypertensive drug: no antihypertensive drug (U), enalapril (E), and nicardipine (N), respectively and fed a low protein diet (6$\%$ protein). Proteinuria, mesangial matrix expansion score and glomerular volume were assessed at 4, 12 and 16 weeks after renal ablation. Results : Group U rats on a low protein diet developed progressive hypertension ($140{\pm}8,\;162{\pm}5,\;171{\pm}5\;and\;184{\pm}11\;mmHg$ at 4, 8, 12 and 16 weeks) which were controlled by E and N. Group U rats on a low protein diet developed proteinuria ($74{\pm}15\;mg/day$ at 16 weeks) which were decreased by E ($42{\pm}12 mg/day$) or N ($48{\pm}8 mg/day$) (p<0.05). Mesangial matrix expansion score and glomerular volume were not different between groups U, E and N on a low protein diet regardless of the antihypertensive drugs administered. Conclusion : A low protein diet did not affect blood pressure. Enalapril and nicardipine-treated rats on a low protein diet did not have different mesangial matrix expansion and glomerular volumes from rats on a low protein diet at 12 weeks and 16 weeks, in spite of the better controlling of systemic hypertension and lessening of proteinuria. Thus, combined treatment with a low protein diet and antihypertensive drugs didn't appear to show any addition,11 effects to attenuate glomerular injury.

      • KCI등재후보

        Effects of Dietary Protein on the Progression of Early Chronic Renal Failure in Subtotally Nephrectomizid Rats

        김교순,김기혁,김상윤,강용주,맹원재,Kim, Kyo-Sun,Kim, Kee-Hyuk,Kim, Sang-Yun,Kang, Yong-Joo,Maeng, Won-Ja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1999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3 No.1

        목 적 : 초기만성신부전증에서 저단백식이의 투여가 만성신부전의 진행속도 및 혈압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기 위함이다. 방 법 : 5/6 신절제술로 만성 신부전을 유발시킨 백서를 수술 제 7일부터 무작위로 enalapril을 투여하지 않은 군과 enalapril 투여군 (식수 1L 당 50 mg)으로 나누고 각군을 정상단백식이군 ($18.5\%$ 단백식이), 저단백식이군($6\%$단백식이)으로 나누어 비교하여 보았다. 신절제술후 4주, 12주, 16주에 단백뇨의 변화, 잔여 신장무게, 신 조직의 mesangial matrix expansion score 및 morphometric analysis로 분석한 사구체용적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 과 : 1) 정상단백식이군 및 저단백식이군은 신절제술후 혈압이 올라가기 시작하여 지속적인 고혈압소견을 보였다 (정상단백식이군; 4주 $147{\pm}6$mmHg, 8주 $175{\pm}11$mmHg, 12주 $180{\pm}6$mmHg, 16주 $200{\pm}6$ mmHg: 저단백식이군; 4주 $140{\pm}8$mmHg, 8주 $162{\pm}5$mmHg, 12주 $171{\pm}6$mmHg, 16주 $184{\pm}11$mmHg). Enalapril 투여군은 식이의 단백량과 관계없이 신절제술후 8주부터 혈압이 조절되기 시작하였다. 2) 16주째 저단백식이군의 24시간 뇨단백은 $74{\pm}15$mg으로 정상단백식이군 ($101{\pm}15$mg)보다 의의있게 적었다. (P<0.05). Enalapril 투여군도 저단백식이의 경우 $42{\pm}12$mg 으로. 정상단백식이($67{\pm}15$mg) 보다 의의있게 적었다. (P<0.05). 3) 신절제술후 16주째 크레아티닌 청소율은 정상단백식이군 $1.40{\pm}0.13$ ml/min, 저단백식이군은 $1.57{\pm}0.11$ml/min, enalapril 정상단백식이군은 $1.10{\pm}0.17$ml/min, enalapril 저단백식이군은 $1.37{\pm}0.14$ml/min 이었다. (P=NS). 4) 저단백식이군의 잔여 신장무게의 증가는 정상단백시이군의 신장 무게의 증가에 비해 의의있게 낮았다. (저단백식이군; 4주 $1.33{\pm}0.04g$, 12주 $1.45{\pm}0.05g$, 16주 $1.44{\pm}0.16g$: 정상단백이군; 4주 $1.58{\pm}0.19g$, 12 주$1.79{\pm}0.15g$, 16주 $1.99{\pm}0.12g$, P<0.05). 16주에 관찰한 enalapril 투여군의 신장무게를 보면 저단백식이, 정상단백식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5) 12주, 16주째 저단백식이군의 mesangial matrix expansion score은 정상단백식이군보다 의의있게 감소되었다. (저단백식이군; 12주 $1.91{\pm}0.02$, 16주 $1.90{\pm}0.02$; 정상단백식이군 ; 12주 $2.29{\pm}0.09$, 16주 $2.55{\pm}0.16$, P<0.05). Enalapril 투여군의 mesangial matrix expansion score는 식이의 단백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6) 16주째 저단백식이군의 사구체용적은 정상단백식이군보다 의의있게 감소되었다 (16주, 저단백식이군; $1.17{\pm}0.19{\times}10^6{\mu}m^3$ ; 정상단백식이군; $1.98{\pm}0.16{\times}10^6{\mu}m^3$, P<0.05). Enalapril 투여군의 사구체용적은 저단백식이의 경우 정상식이 때 보다 의의있는 감소를 보였다 (16주, 저단백식이군; $1.19{\pm}0.17{\times}10^6{\mu}m^3$: 정상단백식이군; $1.81{\pm}0.22{\times}10^6{\mi}m^3$, P<0.05). 결 론 : 항고현압제를 쓰지 않은 군에서의 저단백식이의 효과는 매우 현저하였고 항고혈압제를 쓴 군에서는 저단백식이와 정상단백식이의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저단백식이와 항고혈압제는 각각 신조직 손상의 진행을 확실히 지연시키나 두가지를 같이 병용하면 각각 지연시키는 것에 비하여는 additional effect가 미미하 Purpose : The protective effects of dietary protein on the progression of renal failure were studied in subtotally nephrectomized rats. Methods : Treatment groups were as follows; 5/6 nephrectomy and a normal protein ($18.5\%$) diet (NP); 5/6 nephrectomy and a low protein ($6\%$) diet (LP): 5/6 nephrectomy, a normal protein diet and converting enzyme inhibitor, enalapril (NPE): 5/6 nephrectomy, a low protein diet and enalapril (LPE). Both diets were isocaloric and had the same phosphorus content. Proteinuria, remnant kidney weight, mesangial matrix expansion score and glomerular volume were assessed at 4, 12 and 16 weeks after renal ablation. Results : LP and NP developed progressive hypertension. Eight weeks after surgery, LPE and NPE controlled hypertension. LP, LPE, and NPE had significantly less proteinuria than NP at 16 weeks (P<0.05). Kidney weight in LP were markedly less enlarged than NP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kidney weight between LPE and NPE. At 12 and 16 weeks the mesangial matrix expansion score was significantly less in LP, LPE, and NPE compared to NP (P<0.05). At 12 and 16 weeks mean glomerular volume was significantly less in LP compared to NP (P<0.05). At 12 and 16 weeks mean glomerular volume in LPE was significantly less compared to NPE. Conclusion : Dietary protein restriction afforded considerable protection from renal injury in the rat remnant kidney model. During the enalapril treatment, there was no additional protective effect of dietary protein restriction against the development of renal lesions.

      • KCI등재후보

        Predicting the Progression of Chronic Renal Failure using Serum Creatinine factored for Height

        김교순,Kim, Kyo-Sun,We, Harmon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2000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4 No.2

        목 적 : 만성신부전 완자에서 1/scr, log Scr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신부전의 진행을 예측하고 있으나 연령에 따라 creatinine 생성율의 차이가 있는 소아에서는 정확한 진행예측에 어려움이 있다. 신장(height, Ht) 은 creatinine 생성율에 관여하는 중요한 인자이므로 따라서 저자들은 1/scr에 신장 (height, ht)을 도입한 Ht/Scr과 1/scr, log Scr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만성 신부전의 진행 예측도의 정확성을 비교하고저 하였다. 방 법 : 말기신부전으로 진행된 환아 63 명을 대상으로 혈청 크레아티닌 (Scr) 이 2 mg/dl에서 5 mg/dl 될 때까지 매 환자에서 1/Scr, log Scr, Ht/Scr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이들로부터 회기방정식을 구하여 Scr 이 10 mg/dl 이상인 시기를 예견하였다. 예측오차는 Scr 이 10 mg/dl 이상인 예측시기에서 실제시기를 뺀 것으로 하고 세군 간의 예측오차를 비교함으로써 만성신부전증 진행 예측의 정확도를 관찰하였다. 결 과 : 1) Ht/Scr 의 예측오차는 0.01 개월로 1/Scr, log Scr 의 예측오차인 2 개월, 10.6 개월보다 적었다(P<0.0001). 2) 선천성 신질환 환아의 Ht/Scr의 예측오차는 1.2 개월로 1/Scr, log Scr 의 예측오차인 3.2 개월, 8.2 개월보다 적었다 (p<0.000l). 사구체신염 환아의 경우 Ht/Scr, l/Scr, Ht/Scr의 예측오차는 각각 0.9 개월, 0.5 개월, 9.9 개월이었고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3) 13 세이전의 경우는 Ht/Scr 의 예측오차가 가장 적었고 그 이후 연령의 경우는 1/Scr의 예측오차가 적었으나 Ht/Scr과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4) Log Scr의 예측시기는 실재시기보다 늦었다. 결 론 : 소아 만성신부전 환아에서 시간에 따른 혈청 크레아티닌의 역수와 신장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관찰함으로서 신부전의 진행 및 투석시기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었다. Purpose : Effects to predict tile progression of chronic renal failure (CRF) in children, using mathematical models based on transformations of serum creatinine (Scr) concentration, have failed. Error may be introduced by age-related variations in creatinine production rate. Height (Ht) is a reliable reference for creatinine production in children. Thus, Scr, factored for Ht, could provide a more accurate predictive model. We examined this hypothesis. Methods : The progression of of was detected in 63 children who proceeded to end-stage renal disease. Derivatives of Scr, including 1/Scr, log Scr & Ht/Scr, were defined fir the period Scr was between 2 and 5 mg/dl. Regression equation were used to predict the time, in months, to Scr > 10 mg/dl. The prediction error (PE) was defined as the predicted time minus actual time for each Scr transformation. Result : The PE for Ht/Scr was lower than the PE for either 1/Scr or log Scr (median: -0.01, -2.0 & +10.6 mos respectively; P<0.0001). For children with congenital renal diseases, the PE for Ht/Scr was also lower than for the other two transformations (median: -1.2, -3.2 & +8.2 mos respectively; P<0.0001). However, the PEs for children with glomerular diseases was not as clearly different (median: +0.9, +0.5 & +9.9 respectively). In children < 13 yrs, PE for Ht/Scr was tile lowest, while in older children, 1/Scr provided the lowest PE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for Ht/Scr. The logarithmic transformation tended to predict a slower progression of CRF than actually occurred. Conclusion : Scr, floored for Ht, appears to be a useful model to predict the rate of progression of CRF, particularly in the prepubertal child with congenital renal disease.

      • SCOPUSKCI등재

        한국인 영아에서의 Acid Steatocrit 표준치에 관한 연구

        김교순,박지혜,심재건,Kim, Kyo-Sun,Park, Ji-He,Sim, Jae-Geo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1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4 No.1

        목 적: 지방흡수장애를 진단하는 데 있어서 가장 간편하고 손쉬운 검사로 최근 알려지기 시작한 acid steatocrit법을 국내에 도입하고 또한 특히 지방 흡수장애가 중요한 임상 문제의 하나인 3개월 이내의 영아에서 우리 나라 정상치를 확립하고자 한다. 방 법: 1998년 5월부터 2000년 4월까지 건국대학교 의료원 민중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한 소화기질환이 없는 만삭아 79명 미숙아 21명, 모유영양아 27명, 인공영양아 73명을 대상으로 acid steatocrit치를 측정하였고 출생 후 1~7일(31명), 8~14일(21명), 15~21일(16명), 22~28일(11명), 1~2개월(12명), 생후 2~3개월(3명)에 acid steatocrit치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1) 신생아의 평균 acid steatocrit치는 $94.41{\pm}1.35%$이었고 생후 1~7일은 $94.63{\pm}1.41%$, 8~14일은 $94.88{\pm}0.96%$, 15~21일은 $93.79{\pm}1.47%$, 22~28일은 $93.82{\pm}1.24%$이었다. 생후 1개월에서 2개월의 평균 acid steatocrit치는 $92.29{\pm}3.31%$, 생후2개월에서 3개월은 $89.29{\pm}6.56%$로 생후 1개월 이후 acid steatocrit치가 서서히 떨어짐을 알 수 있었으나(p=0.0248) 생후 3개월까지도 대변내의 지방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2) 만삭아의 평균 acid steatocrit치는 $94.41{\pm}1.35%$로 미숙아의 평균 acid steatocrit치 $94.92{\pm}1.57%$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605). 3) 인공수유아의 평균 acid steatocrit치는 $94.78{\pm}1.28%$로 모유수유아의 평균 acid steatocrit치 $93.82{\pm}1.46%$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8). 결 론: 만삭아와 미숙아의 acid steatocrit 측정치, 연령에 따른 acid steatocrit 측정치와 수유방법에 따른 acid steatocrit 측정치를 근거로 우리 나라 정상 신생아의 acid steatocrit 정상치를 확립하였고 향후 담즙정체성 간질환 환자, 만성설사 환자 등 영양장애를 가지는 환자에서 지방흡수장애 평가의 표준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fecal acid steatocrit is an improved steatocrit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fecal fat. The present study was set up in order to define the normal range of acid steatocrit values during the first 3 months of life. Methods: Fecal acid steatocrit values were determined in 78 healthy full term and in 21 healthy prematurely born infants between May 1998 and April 2000. The acid steatocrit method was performed in these babies during the first 3 months of life. Results: Steatorrhea occurs during the first month and then decreases, as shown by the fall in the acid steatocrit curve from 1st to 3rd month in our subject. Very high acid steatocrit results (above 90%) were found in all full term and premature infants during the first month of age. Acid steatocrit results of human milk-fed infan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formula-fed infants (p=0.0018). Conclusion: We conclude that high acid steatocrit results during the first 1 month of age can be due to physiologic steatorrhea. The acid steatocrit micromethod can be used for the evaluation of milk fat absorption in infants and monitoring steatorrhea instead of other more cumbersome methods.

      • KCI등재후보

        만성신부전 백서에서 항고혈압제의 종류에 따른 신부전의 진행과 사구체의 형태학적 변화

        홍성진,김교순,김병길,박경화,김기혁,Hong Sung-Jin,Kim Kyo-Sun,Kim Pyung-Kil,Park Kyung-Hwa,Kim Kee-Hyuck 대한소아신장학회 2002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6 No.2

        목적 : 만성신부전은 신장에 병적 손상이 있어 지속적으로 신기능이 저하되어 말기신부전에 이르게 된다. 만성신부전의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는 인자 중 혈압조절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부분 신절제를 이용하여 만성신부전을 유발시킨 후 항고혈압제로 enalapril과 nicardipine을 투여하여 만성신부전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백서에서 5/6 신절제술로 만성신부전을 유발시킨 후 무작위로 대조군, enalapril 투여군(E군), nicardipine 투여군(N군)으로 나누어 4주 간격으로 꼬리 동맥압을 측정하고 12주째 24시간 소변 단백량과 creatinine배설량, 혈청 creatinine을 측정한 후 희생시켜 신조직을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사구체의 형태학적 소견을 조사하였다. 결과 : 1. 신절제 후 대조군은 지속적으로 혈압이 증가하였으나 E군과 N군에서는 정상 혈압이 유지되었다. 2. 12주째 E군에서 요단백량은 대조군과 N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었다. 3. 12주째 조사한 신장의 형태계측학적 검사에서 E군과 N군 모두에서 mesangium의 증식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었으나 사구체 용적은 E군에서만 대조군에 비하여 적었다. 4. 대조군, E군, N군간의 상피세표 족돌기의 형태학적 변화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부분 신절제로 유발한 만성신부전 백서에서 enalapril, nicardipine 모두 고혈압을 예방하였으나 enalpril 투여군에서 단백뇨의 감소와 신병변 발생 예방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상피세포 족돌기의 변화에는 차이가 없었다. Purpose: Hypertension accelerates the progression of chronic renal disease, whether it results from, or causes, the renal disease. Therefore, the control of hypertension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retard the rate of renal deterioration. We compared the effects of different antihypertensive agents on renal function and glomerular morphology In subtotal nephrectomized rats. Materials and methods: After induction of chronic renal failure with 5/6 nephrectomy, the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group (Group C), enalapril group (Group E), and nicardipine group (Group N). Systolic blood pressure was measured by tail cuff method every 4 weeks until 12 weeks after nephrectomy. At 12 weeks after nephrectomy, all rats were placed in metabolic cages for 24 hour urine collections to measure urinary protein and creatinine excretion. After urine collection and blood sampling for serum creatinine, all rats were sacrificed. The renal tissue was processed for morphometric study with light microscope and electron microscope. Results: 1. The blood pressure of Group C increased progressively, but both enalapril and nicardipine prevented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and the two drugs were equally effective in maintaining normal blood pressure throughout the study. 2. Twenty-four hour urinary protein excretion was lower in Group E compared to Group C and Group N 3. Mesangial expansion score in both trea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Mean glomerular volume in Group E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Group C and Group 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glomerular volume between Group C and Group N.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docyte structural changes, estimated by filtration slit length density, among control, enalapril and nicardipine treated groups. Conclusion: Control of hypertension with enalapril or nicardipine afforded considerable protection from mesangial expansion in the rat remnant kidney model. But protein excretion and glomerular growth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Group E compared to Group 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docyte structural changes among the 3 groups.

      • KCI등재

        로타바이러스 장염 환아의 대변 내 지방량에 관한 연구

        송준섭,정소정,김교순,Song, Joon Sup,Chung, So Chung,Kim, Kyo Su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2

        목 적 : 로타바이러스 장염은 소아 위장관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수양성변을 특징으로 한다. 대변은 수양성일뿐 아니라 지방이 포함될 것으로 짐작되고 있으나 정량적 방법을 사용하여 대변 내 지방의 양을 측정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로타바이러스 장염 환아의 대변에서 지방량을 알아보고자 acid steatocrit 법을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방 법 : 2001년 6월부터 2002년 5월까지 건국대학교병원에 입원하였던 1개월에서 5세까지의 로타바이러스 장염 환아 72명 및 위장관 증상이 없는 대조군 환아 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로타바이러스 장염 환아의 평균 연령은 $17{\pm}11$개월이었고 대조군 환아의 평균 연령은 $14{\pm}15$개월이었다(P>0.05). Acid steatocrit 법을 사용하여 대변 내 지방량을 측정하였다. 결 과 : 로타바이러스 장염 환아 및 대조군 환아의 acid steatocrit 치는 각각 $84.9{\pm}5.8%$와 $72.6{\pm}13.1%$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연령별로 구분하여 보면, 1-6개월의 로타바이러스 장염 환아의 acid steatocrit 치는 $83.9{\pm}4.8%$로 대조군 환아의 $82.7{\pm}9.2%$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7-12개월의 로타바이러스 장염 환아의 acid steatocrit 치는 $85.9{\pm}5.9%$로 대조군 환아의 $70.0{\pm}11.6%$와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13-18개월 및 19개월-5세의 로타바이러스 장염 환아의 acid steatocrit 치는 각각 $83.4{\pm}7.2%$와 $86.1{\pm}3.9%$로 대조군 환아의 acid steatocrit 치 $65.0{\pm}12.8%$, $65.3{\pm}9.3%$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P<0.05). 로타바이러스 장염 환아에서 연령 군별 acid steatocrit 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로타바이러스 장염 환아의 대변은 정상변과 비교하여 높은 acid steatocrit 치를 보여 로타바이러스 장염 환아에서 지방 흡수 장애가 동반됨을 확인하였고 그 원인은 소장 상피 세포의 기능 장애로 인한 흡수 장애에서 기인한다고 사료된다. Purpose : Rotavirus is a leading cause of severe gastroenteritis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around the worl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t content in stools of patients with rotaviral enteritis compared to the stools of children who had no gastroenteritis. Methods : Seventy two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Konkuk University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from Jun 2001 to May 2002 due to rotaviral enteritis and seventy five patients who were admitted at the same time with other diseases with no gastrointestinal problems as control,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age of patients was from one month to five years. The average age of children with rotaviral enteritis was $17{\pm}11months$ and the average age of control patients was $14{\pm}15months$. Fat content of stools was investigated by acid steatocrit tests in both patients with rotaviral enteritis and control. Results : Acid steatocrit value of patients with rotaviral enteritis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patien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acid steatocrit value of children with rotaviral enteritis among the age groups. In one month- to six month-old infan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acid steatocrit values between the children with rotaviral enteritis and control patients. But, over the age of seven months, the acid steatocrit value of children with rotaviral enteritis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patients. Conclusion : We are of the opinion that fat malabsorption in patients with rotaviral enteritis and steatorrhea in rotaviral enteritis may result from decreased fat absorption in the small intestine.

      • KCI등재

        급성 복통이 피부 발진에 선행한 Henoch-Schonlein Purpura 23례에 대한 고찰

        장주영,김용주,김교순,김희주,서정기,Chang, Ju Young,Kim, Yong Joo,Kim, Kyo Sun,Kim, Hee-Ju,Seo, Jeong Kee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6

        목 적 : 위장관 증상이 피부 발진에 선행했던 HSP 환아들을 대상으로 임상 경과와 내시경 및 복부 초음파 검사 소견의 특징을 고찰하여 본증의 조기진단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1년부터 2002년까지 12년간 서울대학교 부속 병원 소아과에서 내시경 검사를 시행받은 HSP 환아들 중 위장관 증상이 피부 발진보다 선행했던 23례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과 복부 초음파 및 내시경 자료를 고찰하였다. 결 과 : 1) 복부 증상의 선행 기간은 1일에서 30일(중앙값 5일) 사이였고 1례를 제외하면 모두 2주 이내였다. 관절염은 16례(70%) 중 2례에서 피부 병변에 선행되었으며, 신장염은 11례(47%) 모두 피부 발진 이후에 보였다. 2) 선행했던 복부 증상은 복통(23례), 구토(16례), 혈변(8례), 토혈(3례)의 순이었고, 장중첩증이 합병된 경우는 없었다. 3)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는 23례 중 21례(91%)에서 점막의 출혈반 혹은 미란을 동반한 염증이 관찰되었으며, 부위별로는 십이지장염(21례), 위염(12례), 식도염(1례)의 순이었다. 십이지장염은 3례에서는 하행이 구부보다 현저하게 심한 형태였고 2례에서는 하행에서만 병변이 관찰되었다. 하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는 8례 중 6례에서 병변이 보였고 직장염이 5례, S자 결장염이 4례에서 관찰되었다. 조직 검사는 5례에서 시행되었으나 혈관염은 관찰되지 않았다. 4) 17례에서 시행된 복부 초음파 검사상 12례(71%)에서 이상 소견을 보였고 소장벽이 두꺼워진 소견이 8례에서, 소장벽 출혈이 3례에서 관찰되었다. 5) 스테로이드가 투여되었던 22례 중 16례(72%)에서 첫 48시간 이내에 복통이 감소되는 반응이 있었다. 6) 3개월 이상 증상이 소실된 후 다시 재발한 경우가 4례(17%)에서 있었으며 이중 3례에서 신장염이 1년 이상 지속되었다. 결 론: 급성 복통으로 내원한 HSP 환아들의 대부분은 2주 이내에 피부 병변이 나타나며 전체적인 임상 경과는 피부 증상이 선행한 전형적인 경우와 유사하다. 내시경 검사에서 관찰되는 출혈과 미란을 동반한 하행 십이지장염과 장벽이 두꺼워진 초음파 소견은 피부 발진이 없는 시점에서 HSP를 진단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For the early diagnosis of Henoch-Schonlein purpura(HSP) presenting with acute abdominal pain preceding skin rash. Methods : The clinical, endoscopic and radiological records of 23 cases of HSP, presenting with gastrointestinal symptoms preceding skin rash were reviewed. Results : The intervals from the onset of abdominal pain to the development of the skin rash were one day to 30 days(median five days), most of them were within two weeks. The presenting abdominal symptoms were abdominal pain(23 cases), vomiting(16 cases), hematochezia or melena(eight cases) and hematemesis(three cases). The abnormal endoscopic findings include coalescing erythematous lesions, areas of submucosal hemorrhage and superficial erosions and ulcers. The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showed the abnormalities in 21 of 23 cases, which were observed in the duodenum( 21 cases), the stomach(12 cases) and the esophagus(one case). Duodenitis with hemorrhage and/or erosions in the descending duodenum was the sole endoscopic abnormality in two cases and was the most marked finding in three cases. Sigmoidoscopy showed the abnormalities in six of eight cases. The abdominal ultrasonogram showed abnormalities in 12 of 17 cases, which included small bowel wall thickening(eight cases) and intramural hemorrhage(three cases). Recurrences after three months of symptom free intervals developed in four cases; three of them had persistent nephritis beyond one year. Conclusion : The erosive hemorrhagic duodenitis in the descending duodenum in the upper endoscopy and the small bowel wall thickening in the abdominal ultrasonogram can be useful findings in the diagnosis of HSP presenting with acute abdomen.

      • 단백질-칼로리 영양 실조를 동반한 장결핵 1례

        송준섭,박지혜,정소정,김교순,Song, Joon Sup,Park, Ji He,Chung, So Chung,Kim, Kyo Sun 대한소아감염학회 2001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8 No.2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intestinal tuberculosis are decreased due to socioeconomic development, pasteurization of milk and more effective anti-tuberculous chemotherapy. But in recent year, HIV-infected patients are known to be at high risk of developing tuberculosis. The pathogenesis of intestinal tuberculosis is dependent on a immune state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patient, the tuberculosis amount of sputum and tuberculosis toxicity. The diagnosis of intestinal tuberculosis is usually difficult because of non-specific clinical features and radiological signs. Chronic diarrhea in intestinal tuberculosis is able to produce a malnutrition, marasmus, kwashiorkor or the combined form. The treatment is anti-tuberculous chemotherapy for 12~24 months, but operation should be considered to intestinal perforation, obstruction, fistula formation and massive bleeding. The study about kwashiorkor in intestinal tuberculosis is rare in recent years, we should remind that tuberculosis is still prevalent disease in Korea. We report a ten year-old boy with ileocecal tuberculosis who presented with kwashiorkor, severe malnutrition with review of literature. 아직도 우리나라에서는 미국과 같은 선진국과 비교해 폐결핵의 유병률이 높은 상태이다. 그리고 높은 폐결핵 발생과 함께 장결핵의 발생도 높을 것으로 예상되나 정확한 통계 및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발생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장결핵에 의한 영양실조에 대한 관심도 부족한 실정이다. 저자 등은 결핵 발생이 현격하게 감소되지 않는 한 앞으로도 계속 발생할 수 있는 장결핵에 의한 영양실조의 가능성을 상기하고자 장결핵에 의한 영양실조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후보

        Effects of Dietary Salt Restriction on the Development of Renal Failure in the Excision Remnant Kidney Model

        김기혁,김상윤,강용주,맹원재,김교순,Kim Kee-Hyuk,Kim Sang-Yun,Kang Yong-Joo,Maeng Won-Jae,Kim Kyo-Sun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1999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3 No.2

        목적 : 만성신부전유발 백서에서 식이 sodium 제한이 만성신부전의 진행속도 및 혈압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또한 항고혈압제제 (enalapril: E, nicardipine: N)와 병행 투여하였을 매 항고혈압제제 단독투여보다 만성신부전의 진행속도 및 혈압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를 연구하였다. 방법 : 5/6 신절제술로 만성신부전을 유발시킨 백서를 수술 제 7일부터 무작위로 0.49% sodium 식이군, 0.25% sodium 식이군, 0.49% sodium 식이 enalapril군, 0.49% sodium 식이 nicardipine군, 0.25% sodium식이 enalapril군, 0.25% sodium식이 nicardipine군으로 나누고 신절제술 4주, 12주, 16주 혹은 24주에 혈압, 24시간 단백뇨의 변화, 신 조직의 mesangial expansion score(MES) 및 사구체용적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곁 과 : 1) 0.25% sodium 식이군은 0.49% sodium 식이군보다 혈압의 감소를 보였고 0.25% sodium 식이 enalapril군, 0.25% sodium 식이 nicardipine군, 0.49% sodium 식이 enalapril군, 0.49% sodium 식이 nicardipine 군에서는 혈압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2) 16주째 0.25% sodium 식이 enalapril군, 0.25% sodium 식이 nicardipine군, 0.49% sodium 식이 enalapril군, 0.49% sodium 식이 nicardipine 군은 0.49% sodium 식이군보다 의의있는 단백뇨의 감소를 보였다 (P<0.05). 0.25% sodium 식이군의 16주째 뇨단백은 $78{\pm}16$ mg 이었고 0.25% sodium 식이 enalapril 군, 0.25% sodium 식이 nicardipine군은 각각 $35{\pm}9mg,\;41{\pm}15mg$으로 enalapril, nicardipine 에 의해 뇨단백의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고, 0.25% sodium 식이군의 24주째 뇨단백은 $82{\pm}10$ mg 이었고 0.25% sodium 식이 enalapril 군,0.25% sodium 식이 nicardipine군은 각각 $54{\pm}3mg,\;76{\pm}11mg$으로, enalapril 에 의해서만 24 시간 단백뇨의 의의있는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3) 24주째 백서를 희생하여 크레아티닌 청소률을 관찰한 결과 심한 신부전은 관찰되지 않았고, 0.25% sodium 식이 대조군에 비해 0.25% sodium 식이 enalapril군에서 사구체여과율이 증가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4) 신절제술후 남아 있는 신조직무게를 비교하여 보면 24주째 0.25% sodium 식이군, 0.25% sodium 식이 enalapril군, 0.25% sodium 식이 nicardipine군에서 16주째 0.49% sodium 식이군, 0.49% sodium 식이 enalapril군, 0.49% sodium 식이 nicardipine 군보다 의의있게 신조직무게가 증가됨을 관찰할 수 없었다. 5) 0.25% sodium 식이군은 0.49% sodium 식이군과 비교하여 MES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고 (0.25% sodium식이군: 12주; $1.97{\pm}0.02$, 24주; $2.06{\pm}0.03$ vs. 0.49% sodium 식이군: 12주; $2.29{\pm}0.09$, 16주; $2.55{\pm}0.16$, P<0.05) 12주 이후에 관찰한 MES는 0.25% sodium 식이군, 0.25% sodium 식이 enalapril군, 0.25% sodium 식이 nicardipine군 세군간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6) 24주에 시행한 0.25% sodium 식이군의 사구체용적은 16주에 시행한 0.49% sodium 식이군의 사구체용적보다 현저하게 감소되어있었다 (0.25% sodium 식이군:24주; $1.58{\pm}0.18{\times}10^6{\mu}m^3$ vs. 0.49% sodium 식이군:16주; $1.98{\pm}0.18{\times}10^6{\mu}m^3$, P<0.05). 24주 0.25% sodium 식이 enalapril군의 사구체용적($1.51{\pm}0.08{\times}10^6{\mu}m^3$)은 16주 0.49% sodium 식이 enalapril군의 사구체용적($1.81{\pm}0.22{\times}10^6{\mu}m^3$)과 비교하여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12주, 24 주에 관찰한 0.25% sodium 식이군, 0.25% sodium 식이 enalapril군, 0.25% sodium 식이 nicardipine군의 사구체용적은 세군간에 의의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식이 sodium 제한은 대상성 신비대의 감소를 통해 신손상을 감소시켰고 혈압의 감 Purpose: To evaluate whether or not sodium restriction had its own beneficial effect and increased the efficiency of the anti-hypertensive drugs on the progression of renal failure. Methods: We studied using the excision remnant kidney model. Treatment groups were as follows: 5/6 nephrectomy and a 0.49% (normal-high) sodium diet (NN); 5/6 nephrectomy and a 0.25% (normal-low) sodium diet (LN); 5/6 nephrectomy, a 0.49% sodium diet and enalapril (NNE); 5/6 nephrectomy, a 0.49% sodium diet and nicardipine (NNN); 5/6 nephrectomy, a 0.25% sodium diet and enalapril (LNE); 5/6 nephrectomy, a 0.25% sodium diet and nicardipine (LNN). Both diets were isocaloric and had the same content of protein, phosphorus and calcium. Proteinuria, remnant kidney weight, mesangial expansion scores, and glomerular volume were assessed. Results: Blood pressure tended to be lower in LN compared to NN (P<0.05). NN developed progressive hypertension. LNE, LU, NNE, and NNN reduced blood pressure. LNE, LNN, NNE, NNN, and LN had significantly less proteinuria than NN at 16 weeks (P<0.05). At 24 weeks, LN developed proteinuria (82 mg/day), which were lessened in LNE (54 mg/day) and not lessened in LNN (76 mg/day). Mesangial expans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less in LN rats compared to those in NN rats. Glomerular volumes at 24 weeks in LN rats were significantly less compared to those at 16 weeks in NN rats. Mesangial expansion scores and glomerular volumes at 4, weeks, 12 weeks, and 24 weeks were not different among LN, LNE, and LNN groups. Conclusion: Dietary salt restriction lessens renal damage, at least in part, by inhibiting compensatory renal growth and reducing blood pressure. Enalapril was particularly successful in reducing proteinuria and glomerular injury when combined with dietary salt restriction.

      • SCOPUS

        건국의대에서 경험한 세 가지 문제중심학습 유형

        노연희(Yun Hee Noh),김교순(Kyo Sun Kim),박형석(Hyung Seok Park),김경수(Kyung Soo Kim),배기만(Kee Man Bae),안의환(Eu Whan Ahn),정진상(Jin Sang Chung),이성기(Sung Kee Lee),최희정(Hee Jung Choi),장동욱(Dong Wook Jang),박승훈(Seung Hun P 한국의학교육학회 2000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12 No.2

        건국의대에서는 보다 학습에 효율적이고 임상실습에 도움을 주는 PBL 유형을 알아내고자 1999년 6월 28일~7월 9일까지 1학기말 고사가 끝난 후 2주일 간 본과 3학년 41명 전원을 대상으로 세 가지 유형의 PBL (두 가지는 면대면 PBL, 나머지 한 가지는 사이버 PBL)을 실시하였고 설문조사와 PBL 평가결과의 상호 비교 및 3학년 1학기 평균평점과의 비교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1.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한 PBL 사전교육은 PBL의 취지와 필요성을 이해시키고 진행하는 방법을 이해시키는 데에 반드시 필요하였다. 2. 면대면 PBL이나 tutor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높았으나 평가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3. 면대면 PBL은 사이버 PBL에 비해 만족도가 높았는데 이는 사이버 PBL 모듈의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면대면 PBL만큼 토론이 자유롭지 못하였고 컴퓨터 사용 미숙, 그리고 시스템에 대한 이해부족 때문으로 사료되었다. 4. 임상실습에 가장 도움을 준 PBL 유형은 면대면으로 진행하되 모듈제작교수의 총정리 강의 대신지침서로 대신한 제 II형이었으며, PBL 과정 중 동료들과 토론하면서 문제를 해결했던 경험이 가장 임상실습에 도움을 준 것으로 밝혀졌다. 5. 면대면이나 사이버 PBL의 평가결과는 상호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고 각각의 PBL 결과와 3학년 1학기 평균평점과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현행과 같은 커리큘럼에서 PBL은 본과 3학년 1학기말고사가 끝난 시점 2~3주간이 적절하고, 사이버 PBL은 면대면 토론이 불가능한 방학 때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꼭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한 모듈 내용에 대한 정리는 지침서 배부로 충분할 것임을 알게 되었다. 학생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분야에서 능력에 따라 성적의 높낮이를 보였으며 금번 PBL에서 주로 평가하였던 과정 및 행동평가만으로는 PBL을 통한 새로운 지식습득 여부와 통합능력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Triple Jump, OSCE 및 MEQ와 같은 방법을 이용한 평가도 반드시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 되었다. We performed three kind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formulas in all of forty-one 3rd grade students after the final examination of the first semester from June 28, 1999 to July 9, 1999 at Konku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o investigate which formula is the most efficient and helpful in medical education and polyclinic course. The PBL formulas applied were the typical face-to-face PBL accompanied by mini-lecture (Type I) or by distribution of the guidelines without lecture (Type II) and cyber PBL using web-based module and discussion over cyber space (Type III). Response of students was surveyed using some questionnaires and the evaluation results of each PBL were analyzed with Pearson s correlation test. All participating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face-to-face PBL especially in applying time of PBL, using discussion to solve the problem, and studying with tutors. In cyber PBL, in spite of excellency of the contents, limitations in discussion over cyber space and computer skills, misunderstanding of computer system, and additional cost for private PC rent seemed to decrease the satisfaction with this PBL. Experience in Type II PBL was turned out to be the most helpful and discussion among fellow students in PBL to be the most useful experience for incoming polyclinic cours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evaluation results of face-to-face PBL and cyber PBL or between the evaluation results of each type of PBL and the average credit of that semester, suggesting that evaluation of the newly acquired knowledge through PBL using tools such as Triple Jump, OSCE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and MEQ (modified essay question) should be included in assesment of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o the evaluation of activities during PB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