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의 영상 - 육명심의 `영상사진`과 토속성의 기록 -

        김계원 ( Gyewon Ki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0 No.-

        이 글은 1960년대~80년대의 한국사진의 흐름에서 `영상사진`이 무엇을 의미했으며 이는 사진에서의 모더니즘에 대한 자각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짚어본다. 기존의 사진비평에서 이 시기의 경향은 크게 생활주의 리얼리즘, 아마츄어의 살롱사진, 프로페셔널의 광고사진으로 나눠서 분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형식주의적, 기능주의적 관점은 사진이 어떻게 폭넓은 사회적 이슈와 공명하면서 시각적 가능성을 확보해 가는지 설명하기 힘들다. 반면 순수미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이 시기의 사진은 `현대사진`으로 나아가지 못한 기나긴 미발달의 시기로 해석된다. 이러한 제한적 비평의 관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이 글은 사진가 육명심(b. 1933)의 글과 사진에 초점을 맞추어 60년대부터 지속된 다양한 사진적 실험들을 모더니즘 사진의 수용과 번역과정으로 해석할 것이다. 특히 그의 사진적 실험을 압축하는 개념인 `영상사진`이 전통적 주제물과 접목되어 `한국적 사진미학`의 가능성의 토대를 구축하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그가 `우리 것 삼부작`이라 부르는 <백민>, <장승>, <검은 모살뜸>은 그러한 문화적 독자성에 대한 탐색이며 모더니즘 사진의 한국적 번역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육명심의 작업은 토속의 삶에 퇴적된 시간의 무게와 질감을 빠짐없이 길어올리며 `모던하면서도 전통적인 세계의 합일`이라는 익숙한 논리로는 설명될 수 없는 또다른 전통의 존재감을 포착한다. 그것은 현대화의 충격에 흡수되지 못했거나 화해하지 못한 채 남아있는 토속의 질감과 무늬, 그리고 물질성이다. 육명심의 전통의`영상`은 기존의 사진사에서 논의된 바 없는 1960~80년대 사진의 의미와 가치를 새로운 해석의 공간으로 끌어들인다. This paper examines the way in which a new style of photography that emerged in postwar Korea reflected a process of the conceptual translation of photographic modernism. Methodologically it centers on `Young-sang Sajin,` a term coined by Yook Myeong-Shim (b. 1933) in his historicization of Korean photography during the late 1970s. As opposed to the candid realistic style of photography in the previous period, `Young-sang Sajin,` according to Yook, pursued a subjective and heuristic mode of representation. It also explored the media specificity of photography by experimenting a renovative way of cropping, cutting and framing, the dramatic contrasts of black and white tones, and the unusual way of composition. The style of `Young-sang Sajin` penetrates the experimental works of the photographers including Yook Myong-Shim himself, Yi Gap-cheol, and Choi Gwang-ho, all of whom have documented the traditions and indigenous lives of Korean people in the margins of the country, otherwise quickly vanishing in the light of modernization. This paper especially addresses how Yook`s notion of `Young-sang Sajin` resonated with the contemporary Japanese theory and discourse on `eizo(映像)` and how it echoes a crucial aspect of the cultural translation in postwar Korea. Based on Yook`s writings and visual works, including the well-known photographic series of the `Ordinary People,` `Jang-seung (ancient monument),` and `Black Sand Bathing,` this essay also shows how Yook could synthesize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on the conceptual locus of `Yong-sang Sajin,` a notion that was gradually transformed into what is called `Korean photographic aesthetics.` Interestingly, however, Yook`s visual work was not squared with such a cliche of Korean-style modernism, nor accorded to the politically charged meaning of `tradition,` a notion that was intensively discussed and strongly supported by a progressive art movement in 1980s Korea. Instead, Yook`s work captured and visualized the materiality of indigenous folklore in a new way, through which the minute details, surfaces, and textures of vernacular folk life came to obtain a new level of visibility and visuality. Underlying these are the specific styles of `Young-sang Sajin` that brought the invisible, illegible, and uncanny matrix of the indigenous folklore to a new interpretative frame for Korean tradition.

      • KCI등재

        파노라마와 제국

        김계원(Kim Gyewon)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08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19 No.-

        If Japanese imperialism was based on the extension of the metropole (naichi) to the colonies (gaichi), it was the panoramic vision that materialized the expansion of Empire through its graphic projection of concrete imagery. Like its Western counterparts, Japan co-opted the panoramic vision to express the physical and metaphorical consolidation of its power. This new and “all seeing” power of vision could compellingly concertized different aspects of national reality, generating the sense that “in a matter of minutes, all of Japan could be shown.”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how Japan’s national representation is built on the structure of panoramic vision and its metaphor - unbounded, total, unified and universal view. It particularly looks at the historical specificity of Japan, addressing how panoramic vision implies with respect to the “organic wholeness of Empire,” the ultimate expression of Japanese pan-Asianism.

      • KCI등재

        방법론의 회화: 박미나의 회화 및 드로잉 연작(1996~2020)에 관한 연구

        김계원(Gyewon Kim) 현대미술사학회 2020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48

        이 논문은 박미나(1973~)의 회화와 드로잉 작업이 어떻게 한국 회화의 담론과 실천의 방향을 확장시켰으며, 어떠한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수 있는지 방법론의 차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1990년대 중반부터 박미나의 회화는 물감 수집을 통해 색의 의미를 안료의 생산과 유통으로 재설정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하늘의 색을 물감의 색으로 정의, 기록하는〈 Sky Paintings〉(1996~2020), 시중에 판매되는‘ 오렌지’ 단어가 들어간 물감을 모아 색 띠로 구현한 〈Orange Paintings〉(2002~2003), 특정도시의 공공색을 수집하여 물감의 색에 대응시키는 〈Color Landscape〉(2003~2020)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작가는 〈Scream〉(2001~2010)을 통해 동시대 레디메이드 도상들의 생태계를 가늠하고, 이를 자체적인 기호 변주 프로그램을 가동시켜 시각적 직역의 형식으로 펼쳐낸다. 마지막으로 색칠 공부 도안을 활용한 〈Drawings〉(1998~2020) 연작에서는 색, 형태, 그리기의 관행을 수집, 조사할 뿐 아니라 주어진 규칙을 변형하고 질문에 붙인다. 박미나의 방법론들은 회화의 근본요소인 재료와 도상, 그리기에 대한 질문을 캔버스 내부로 침잠시키지 않고, 사회적 회로 안으로 미디엄을 진입시켜, 접촉과 충돌의 결과를 다시 회화적 언어로 구현하는 독특한 회화 프로그램을 구축한다. This essay aims to address how the paintings and drawings of MeeNa Park (b. 1973) deepen and expand the practices of contemporary Korean painting as methodology. Park’s paintings redefine the meaning of colors as the outcome of pigment industry and manufacture. For example, Orange Paintings (2002~2003) consists of stipes of different colors from different pigments, the names of which include ‘orange.’ In the series Color Landscape (2003~2020), the artist collects and investigates different colors of public space and completes a stripe-patterned painting through industrial paints available in regional supply stores. Her Scream series (2001~2010) collects, appropriates, and transforms popular ready-made images, produced and circulated in contemporary visual culture. Her Drawings (1998~2020) series forms an enormous archive of children’s coloring books in which the artist transforms and transgress the imposed rules of coloring, lining, and shaping. All in all, Park’s paintings and drawings contemplate the material, technical, and cultural conditions of the medium of painting with regard to contemporary social norms and cultural conventions; and in doing so, her works provide us a crucial opportunity to rethink the critical potential of painting as methodology that has been rarely addressed in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

      • KCI등재

        식민지 시대 ‘예술사진’과 풍경 이미지의 생산

        김계원(Kim, Gyewo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0 美術史學 Vol.- No.39

        이 논문은 식민지 시기 ‘예술사진’의 맥락에서 생산된 풍경의 의미와 재현 방식을 동시대 일본 ‘예술사진’과의 교차관계를 통해 고찰한다. ‘예술사진’은 1920-1930년대 아마추어 사진가들을 중심으로 신문지상의 공모전과 각종 전시를 통해 제도화된 역사적 범주이다. 당시 ‘예술사진’을 지향했던 아마추어 작가들은 자신의 작품을 영업사진, 신문사진 등 생계를 위한 사진과 목적 및 동기 면에서 차별화하고, 개인의 표현과 취향에 밀착한 사진활동을 추구하였다. 이들의 ‘예술사진’에서 풍경은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주제물이었다는 점이 흥미롭다. ‘예술사진’의 바운더리에서 집중적으로 생산된 풍경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논문은 이미지 생산 주체를 기준으로 나누어 접근한다. 첫째, 일본 ‘예술사진’에서의 풍경 개념과 재현의 방식을 ‘회화적 풍경사진’이라는 범주를 통해 살펴본다. 둘째, 재조선일본인 사진가들이 조선에서 제작한 ‘회화적 풍경사진’이 일본 사진계에서 어떠한 의미로 수용되었는지 추적한다. 셋째, 조선인 사진가들이 ‘회화적 풍경사진’을 번역, 수용하는 양상과 일간지의 납량사진공모전이 풍경의 재현과 학습, 그리고 ‘회화적 풍경사진’의 변형과 심화에 담당한 역할 또한 짚어본다. 논지를 전개하는 과정에서 연구자는 일본 ‘예술사진’과 재조선 일본인의 ‘예술사진’ 그리고 조선인 사진가의 ‘예술사진’ 사이에서 행해진 문화번역과 상호교섭에 초점을 맞추어, ‘예술사진’ 이라는 개념 자체가 품고 있는 다층성과 복수성을 드러내고자 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style and meaning of landscape images, produced within the cultural context of ‘Yesul Sajin (Fine Art Photography)’ during the colonial period of Korea. It particularly addresses how the landscape imagery of ‘Yesul Sajin’ developed in relation to, and through meditation of, Japanese ‘Geijutsu Shashin (Fine Art Photography).’ In contrast to the ‘professional artists’ leading today’s art scene, it was amateur photographers who inaugurated the movement of ‘Yesul Sajin’ in early twentieth century Korea and Japan. In order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commercial or documentary photographers, the amateur artists pursued ‘Yesul Sajin’ as the expression of their personal tastes and pastime activities, in which landscape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subject-matters.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and implication of the landscape imagery of ‘Yesul Sajin’ by categorizing them into three different parts. First, it explores the style of ‘pictorial landscape photography,’ emerged and developed in the Japanese photographic circle around the turn of the century. Second, it addresses how Japanese residents in Korea developed their own style of landscape photography by portraying famous places in the colony; and in turn how their works received specific attention from the photographic circle within Japan. Third, it traces how Korean photographers came to achieve their own way of perceiving landscape, through the cultural translations of the landscape imagery of ‘Geijutsu Sajin.’ It also examines the integral role of popular photo contests in the discovery and visualization of a new mode of landscape imagery. Taken together, this paper seeks to address the formation of ‘Yesul Sajin’ not as a singular fixed category of aesthetics, but as a muti-layered discourse that emerged during the course of intersections and inter-mediations between the colony and the empire, and their communal formations of photographic agencies, materials, and institutions.

      • KCI등재

        홍승혜의 〈유기적 기하학〉과 기술의 미술적 전용

        김계원(Kim Gyewon)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1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2 No.-

        이 논문은 홍승혜(1959- )의 〈유기적 기하학〉을 기술의 미술적 전용이라는 관점에서 파악하여, 그의 작업이 1990년대 이후 한국미술계의 기술 담론에 어떤 새로운 지점을 던져줄 수 있는지 살펴보는 시도이다. 1990년대. 학부시절 회화를 전공했던 작가는, 화면을 그려서 채우는 고전적인 회화의 접근법보다 캔버스라는 주어진 틀 속에 무엇을 구축할 것인가를 질문했다. 이러한 질문은 1997년 포토샵이라는 새로운 그래픽 기술을 접하며 〈유기적 기하학〉 시리즈로 전개, 발전되었다. 이 때부터 작가는 일관적으로 포토샵의 기본 유닛인 사각 픽셀을 작품의 기본 유닛으로 도입해 왔다. 픽셀은 그의 작업 속에서 천문학적인 비율로 확대되거나, 가구와 조각 등의 레디메이드로 병합, 합치된다. 픽셀은 2, 3차원을 쉽게 넘나들고, 전시장의 흰 벽과 바닥의 경계를 소거한다. 증식과 변주를 거듭하는 홍승혜의 픽셀들은 그리드로 대변되는 기하학적 추상의 미학을 소환하여 미술의 중요한 지점들을 재기입하면서 동시에 자신이 디지털 매체 환경의 상징이자 결과물임을 숨기지 않는다. 즉 홍승혜의 픽셀-그리드는 탄탄하게 얽힌 한 쌍으로 발아하여 동시대 미술의 주요 의제들에 충실히 답변하고, 그것에 새로운 논점들을 등재시켜 왔던 것이다. 포토샵이라는 디지털 기술의 ‘첨단적’인 이용보다는, 이를 미술의 새로운 질료로 파악하여 전용하는 그의 방법론은 1990년대 이후 한국 미술계에서 유행했던 ‘미디어’ 아트, ‘테크노’ 아트, ‘뉴미디어’ 아트 담론을 재고하게 만든다. 홍승혜의 작업에서 기술은 미술이 계속 담아가고 좇아가며 적용해야 할 유행과는 거리가 멀다. 기술을 미술적으로 전용하여 미술 스스로의 경계를 재설정하는 그의 작업 안에서, 미술과 기술은 나란히 사유해야 할 대상이자 쌍생적(pair-productive)으로 파악할 조건이 된다. This paper addresses how Hong Seung-Hye (b. 1959)’s Organic Geometry opens a new discour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echnology by examining it as the artistic appropriation of technology. Since her earlier career as painter, Hong has been interested in building up pictorial forms and elements rather than drawing them on canvas. Her interest in construction was developed into a series entitled Organic Geometry as she came to adopt Adobe Photoshop for digital drawing in 1997. Since then, the artist has continued to use pixel, a basic unit for computer graphics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s the integral element of her own work. She used to draw an image in an extremely low resolution such as 2dpi or 4dpi, but when it is printed out, each pixel is enormously enlarged and incorporated with various objects, sculpture, ready-made furniture, and the white wall of museum. The pixels in her work easily cross over different dimensions, mediums, genres, or places and spaces, while posing a set of critical questions about the solid boundaries between painting and installation, fine art and applied art, art and technology, etc. Rather than considering Photoshop a software for editing images, Hong takes it as a new tool for producing her own ‘pictorial bricks’ that guarantee a more efficient, mechanical, and economic means of construction. Her artistic appropriation of digital technology sheds a light on the discourse of technology emerged in the Korean art scene during the 1990s, wherein technology was considered an either good or bad effect on artists’ creative activities. This paper aims to address how Hong’s Organic Geometry leads us to imagine a new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echnology - neither as their ‘convergence’ nor their ‘mixture,’ but as their pair production.

      • KCI등재

        회화로의 우회, 풍경으로의 진입 - 공성훈의 풍경 연작(1999~2019)에 대한 연구

        김계원(Kim Gyewon)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0 No.-

        이 논문은 1990년대 이후 한국 미술의 흐름 속에서 공성훈(1965- )의 풍경 연작이 갖는 미학적 의의를 살피는 기획이다. 1990년대 중반 공성훈의 미디어 설치 작업은 미술계를 강타했던 포스트모더니즘론과 탈장르적 경향을 드러내는 대표적인 예로 거론되었다. 그런데 1990년대 말 그는 탈모던의 아젠다와 거리가 멀어 보이는 ‘오래된 매체’인 회화로 돌아가 <벽제의 밤>(1999) 연작을 발표하며 미술계에 작은 파문을 일으킨다. 회화의 위기와 죽음이 공공연히 언급되던 1990년대 말부터, 그는 다수의 회화 연작을 통해 화석화된 전통으로서의 회화가 짊어진 위압적 무게를 상대화하면서 동시에 바로 그 ‘전통’이라 부르던 것의 근원에 무엇이 놓여있는지 탐색해 왔다. 거주지 경기 외곽의 을씨년스러운 풍경에서 신도시를 에워싼 인공자연, 제주의 바다에 이르기까지, 풍경 속에 스며들어 있는 기묘하고 불안한 징후를 렌즈의 시선으로 포착하여 고전적인 회화의 어법으로 표현한다. 동시에 글과 작품을 통해 ‘회화적 회화 (painterly painting)’론을 제안하고, 현대미술로서의 회화가 갖는 가능성과 임계치를 모색하기도 했다. 이 논문은 공성훈의 풍경 연작을 한국미술에서 공백에 가까웠던 회화론적 사유와 실천으로 파악함으로써, 포스트모더니즘, 신세대 미술, X세대 미술 등 1990년대 미술의 기존 프레임 ‘바깥’의 미술을 재사유하고 미술사적 의의를 가늠한다. This essay explores the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the landscape paintings of Kong Sunghun(b. 1965) in the wider context of contemporary Korean art. In the mid-1990s, Kong addressed in his media installations critical questions to the problems of art market and institution. As a ‘young emerging artist,’ he represented a good example of postmodernism, one of the most prevalent tendencies at that time. However, Kong returned to painting in the late 1990s, an ‘old’ medium seemingly far from contemporary art. <A Night at Byeokje (1999)> was considered fairly controversial in the art world wherein a sense of the ‘crisis and death of painting’ was penetrated. Nevertheless Kong has developed his unique style of landscape that he calls ‘landscape as event’-an unstable and uncanny situation in which something will happen. Through his writings and painting series including <Dogs, Night (2002)>, <Neighboring Nature (2009)>, and <Winter Travel (2010)>, Kong relativized the overbearing weight of painting as a fossilized tradition, while addressing what lied in the root of the very ‘tradition.’ By understanding Kong’s works as a critical practice to reflect and rethink a mediatic nature and potential of painting, this essay aims to rediscover what has been rarely addressed in the discourse of 1990s art that stressed on postmodernism, new generation art, generation X, etc.

      • KCI등재

        다가올 풍경을 위하여: 1960~1970년대 일본의 도시 사진 연구

        김계원(Kim, Gyewo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1 美術史學 Vol.- No.41

        이 논문은 전후 부흥과 고도성장의 시기 일본 사진가들이 도시 공간을 주제로 한 작업들을 분석하고, 도시와 사진론 사이의 상호연관성을 탐색한다. 1964년 도쿄 올림픽 유치라는 중요한 역사적 분기점에서 신진 사진가들은 도시 개조의 현장을 냉소적, 비판적 시선으로 촬영한다. 이들에게 영향을 미친 도마쓰 쇼메이는 전후의 첨예한 사회문제들이 집적된 도시 풍경을 주관적 시점으로 포착하는 다큐멘터리의 방식을 전개했다. 아방가르드 사진 그룹 프로보크는 특유의 ‘거칠고 흔들리고 초점이 나간’ 도시의 이미지를 제출하며, 카메라, 작가, 세계 사이의 관계항을 유동적이며 불명확한 것으로 재정의한다. 프로보크의 멤버인 나카히라 다쿠마는 권력이 획일화한 풍경에 균열을 가하기 위해 도감적 시선과 하루를 단위로 하는 기록-전시-퍼포먼스를 시도한다. This essay explore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changing urbanity and urban landscape photographs during the process of the postwar revival and rapid growth of Japan. At the time of the 1964 Tokyo Olympics, young photographers captured the scenes of rapid urban renovation with highly cynical and critical eyes. They were deeply influenced by Tomatsu Shomei, who developed a new approach to document the urban remnants of wartime Japan from his personal and subjective perspective. In contrast, the photographers of the Provoke group questioned such a direct correspondence between an individual photographer and the world; instead they experimented rather vague, fluid and ever changing relationships among the city, photographers, and their cameras by providing "rough, blurred, and out of focus" images of murky urbanity. Nakahira Takuma, one of the Provoke members went further to explore a new form of landscape in his writings, works, and exhibitions, which he hoped to make a small crack to break ultimately down the homogeneous landscape, created and maintained by state power and high capitalism.

      • KCI등재

        효모의 종류에 따른 탁주의 품질특성 변화

        전혜정,유재철,김계원,공홍식,Jeon, Hyejeong,Yu, Jae Chul,Kim, Gyewon,Kong, Hong-Sik 한국식품영양학회 2014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7 No.5

        Investigati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brewing mashes prepared with several different yeasts was carried out during the 42-day brewing process, including examination of titratable acidity, amino acid content, sugar contents, alcohol contents, pH, reducing sugar, yeast population, lactic acid bacteria, and sensory evaluation. Fermivin yielded the highest titratable acidity, while la parisienne had the lowest. Fermivin also had the highest value of amino acid content (14.33%), while other yeasts shows period tended to increase over exclude Instaferm and Song chun. The amount of sugars in instaferm ($11.33^{\circ}Bx$) and instaferm red ($10.53^{\circ}Bx$) were higher than those in La parisienne red and Song chun ($9.57^{\circ}Bx$). The alcohol contents of instaferm was the highest value (15.20%) while the alchol content of the other yeasts tended to increase the fementation period. Fermivin had the highest pH at $12^{th}$ day among the yeasts(4.02), Instaferm red had the lowest pH among the yeasts (3.87) while safbrew wb-06 had the highest reducing sugar content(117.60 mg/mL). Instaferm obtained the highest preference in the sensory evaluation for all items.

      • Cefatrizine과 clavulanic acid 병합제의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생산균에 대한 항균력의 상승작용

        지영,김계원,최성학,원배,이경원,정윤섭 대한화학요법학회 1998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6 No.3

        배경 : ESBL을 포함한 β-lactamase 생산세균의 감염 치료에 유효한 경구용, β-lactam제 개발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CTRZ와 CV의 병용효과를 시험관내 및 실험적으로 감염시킨 생쥐에서 시험하고자 하였다. 방법 : 시험균주는 동아제약 연구소에 보존중인 것을 사용하였다. CTRZ 단독 및 CV 병합시의 MIC는 일본화학요법학회의 한천희석법으로 시험하였다. β-Lactarnase 생산균주로 복강내, 호흡기 혹은 요로감염을 일으킨 생쥐를 CTRZ와 CV 병합제로 치료하고 그 효과를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결과 : ESBL을 포함한 β-lctamase 생산균주에 대한 CTRZ의 MIC는 CV 첨가로 저하되었으며 이 두 병합계의 비율이 8:1-2:1인 경우에 상승효과가 가장 컸다. ESBL 생산균주인 E. coli EB13 및 K. pneumoniae EB4O으로 유발시킨 생쥐 복강내 감염 model에서의 치료효과는 CTRZ와 CV의 병합 비율이 2:1-1:2일 때 가장 우수하였다. CTRZ와 CV를 2:1의 비율로 병합하였을 때 ESBL블 포함한 β-lactamase 생산균주에 대한 살균력 평가 시험에서 상승적인 살균력이 관찰되었으며, E. coli EB13, K. pneumoniae EB40 및 P. vulgaris 5로 유발시킨 생쥐 복강내감염에 대해 CV 병합에 의한 CTRZ의 치료효과가 뚜렷하게 개선되었다. K. pneumoniae EB40으로 유발시킨 생쥐 호흡기감염 및 E. coli EB13으로 유발시킨 요로감염에 대해서도 CV 병합에 의해 CTRZ의 치료효과가 뚜렷하게 개선되었다. 결론 : CTRZ와 CV의 2:1 병합제가 ESBL을 포함한 β-lactamase 생산세균 감염증 치료에 유효할 것이며, 따라 임상시험을 수행할 가치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ynergistic activity of cefatrizme (CTRZ) combined with clavulanic acid (CV) against extended-spectrum β-lactamase (ESBL) producing strains. Methods :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was deterinined by the standard agar dilution method as recommended by the Japan Society of Chemotherapy. CTRZ/CV was evaluated for in vivo efficacy in a variety of experimental intra-peritoneal infections as well as in localized kidney and lung infections in mice. Results : The addition of 0.012 ㎍/mL of CV markedly increased the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y of CTRZ against β-lactamase-producmg strains including ESBL-producing strains and the most effective combination ratio was shown to be between 8:1 and 2:l. The in uivo efficacy of CTRZ and CV in combination was determined using experimental intraperitoneal infections in mice with ESBL-producing Exherichia coli EB13 and Klebsiella pneumoniae EB40 and the inost effective combination ratio was shown to be between 2:1 and 1:2. CTRZ/CV at a ratio of 2:1 showed baetericldal activity against β-lactamase-producing strains including ESBL-producing strains and the therapeutic efficacy of CTRZ/CV against intraperitoneal infection in mice with E. colz EB13, K. pneumoniae EB40 and Proteus vulgaris 5 was superior to that of CTRZ. in respiratory tract infection in mce due to K. pneumoniae EB40, CTRZ/CV at a ratio of 2:1 was more effective than CTRZ and also more efficacious than CTRZ in urinary tract infection in mice due to E. coli EB13. Conclusion : CTRZ/CV combination at a ratio of 2:l is a useful drug for the treatment of infection caused by β-lactamase-producing strains including ESBL-producing strains.

      • Cefatrizine과 Clavulanic acid 병합제의 항균작용의 향상

        최성학,김계원,지영,원배,이경원,정윤섭 대한화학요법학회 1998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6 No.3

        배경 : β-lactam계 항균제 내성의 주된 원인은 β-lactam 항균계를 가수분해하는 β-lactamase에 기인한다. 경구용 cephalosporin인 cefatrizine (CTRZ)과 β-lactamase의 inhibitor인 clavulanic acid (CV)의 병합제 투여는 β-lactamase 생성 내성균에 유효하다. 본 연구는 β-lactamase에 대한 CV의 저해 특성을 조사하여 CTRZ와 CV의 병합제 투여시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제형의 가능성에 대하며 검토하였다. 방법 : CV와 CTRZ의 β-lactamase 저해활성은 IC_(50)으로 측정하였고, CV의 노출에 따라 CTRZ의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은 postantibiotic effects (PAE), post, β-lactamase inhbitor effects(PLIE), bactericidal effectsin vitro simulation bactericidal effects로 평가하였다. 결과 : CV는 extended spectrum β-lactamase class A β-lactamase에 강한 저해작용을 나타내었다. CTRZ/CV에 2시간 노출시킨 E. coli EB13, K. pneumoniae EB40과 M. catarrhalis 6012에서 PAE와 PLIE가 인정되었고 PLIE가 PAE보다 크게 나타났다. CTRZ/CV의 살균력은 CV에 노출되지 않은 세균보다 CV에 노출된 세균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E. coli EB13에 대한 In vitro simulation bactericidal effects에서 CTRZ 250 mg투여하고 2시간 후에 CTRZ 250mg 투여 시 예상되는 인체의 혈중농도 profile을 적용시켰을 때 CTRZ 500 mg과 CV 250 mg 투여 시 예상되는 인체의 혈중농도 profile을 적용시킨 경우의 항균활성 개선 효과가 관찰되었다. 결론 : CTRZ의 유효혈중농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CTRZ/CV 방출 제어 복합항생제를 고안한다면 β-lactamase 생산에 의하여 내성을 획득한 세균 감염증에 대하여 우수한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항균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β-lactamase play an important role in bacterial resistance against β-lactamase antibiotics. The resistant strains due to the β-lactamases including extended spectrum β-lactamase were susceptible to a combination of cefatrizme (CTRZ) and clavulanic acid (CV), a oral cephalosporin and a β-lactamase inhibitor. We studied properties of β-lactamase inhibition by CV and proposed a concept that the controlled dosing of CTRZ and CV combination can produce more effective synergistic antibacterial activity. Methods : Inhibition activities of CTRZ and CV against various plactamases were determined by IC?? and effects of CV exposure on antibacterial activity of CTRZ and CV combination were estimated by postantibiotic effects (PAEs), post β-lactamase inhibitor effects (PLIEs), bactericidal effects and in vitro simulation bactericidal effects. Results : The class A and extended spectrum plactamases were inhibited by CV. PAEs and PLIES were shown to Escherichia coli EB13, Klebsiella pneumoniae EB40 and Moraxella catarrhalis 6012. The PLIEs were prolonged more than the corresponding PAEs. CV-exposed strains were rapidly killed and delayed in regrowth compared to the unexposed strains. The sequential dosing of CTRZ (250 mg) two hours after CTRZ (250 mg) plus CV (250 mg) enhanced antibacterial activity than simultaneous dosing of CTRZ (500 mg) and CV (250 mg) against E. Coli EB13 in in vitro simulation bactericidal effects. Conclusion : When a combination of CTRZ and CV was used in human, the controlled-release combination to maintain long CTRZ plasma levels above a cntical concentration was useful for treatment of β-lactamase producing bacterial inf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