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제주방언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한 대학에서의 방언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 제주대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

        권미소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talize Jeju dialect based on thorough analysis on usage and perception of Jeju dialect according to students at Jeju National University. A study based on survey of 160 students from Jeju National University who attended all twelve years of primary school using Jeju dialect about questions on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 toward education and policy issues regarding Jeju dialect. First, 85.5% of survey provided positive response such as “friendly” and “warm”. When the next survey asked about preservation of Jeju dialect, 93.4% agreed on the need to implement policies in the form of “development of contents related to Jeju dialect” and “education of Jeju dialect”. In regards to education of Jeju dialect, 92.6% provided positive response that dialect learning need to be provided through school education. Chapter three covers the current situation of Jeju dialect used in Jeju National University and analyzed in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and content utilization. Currently, Jeju National University provides educational courses under the name of “Understanding Jeju Dialect,” but the number of subjects is far short compared to the number of students showing interest in taking the course. Contents covered in the dialect courses are either overused or misled which leads to misunderstanding of dialect in various ways. In chapter four provided strategies on revitalizing Jeju dialect for students at Jeju National University such as proper education on Jeju dialect, establishment of dialect education center, Jeju dialect expert training, and certification system. Providing essential liberal art courses by different level is also essential however all contents and educational materials need to be verified through specialized institutions. Finally, the university needs to implement a Jeju language certification system for promotional purposes. As the official public university, Jeju National University needs to take responsibility for preservation and education of Jeju dialect. After students of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with proper intellectual understanding of Jeju dialect, they will be able to properly establish policies necessary for the Jeju region to further preserve the Jeju dialect by playing a leading role in Jeju Island. 이 글은 제주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제주방언에 대한 인식과 사용 실태 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에서의 제주방언 활성화 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제주대학교 재학생 160명에게 제주방언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제주방언 교육, 제주방언 정책 문제 등에 대해 질문한 결과 전체의 85.5%가 제주방언에 대해 ‘친근하다’, ‘정겹다’의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제주방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92.6%가 긍정적인 시각을 가졌으며 교육의 형태는 ‘학교 교육’을 통해 실현되기를 바랐다. 또 전체의 93.4%가 제주방언 보존을 위한 정책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었고, ‘제주방언 관련 콘텐츠 개발’, ‘제주방언 교육’의 형태로 정책이 실시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현재 제주대학교에서는 ‘제주방언의 이해’라는 교과목명으로 방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과목 수강을 희망하는 학생의 수에 비해 과목의 수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제주대학교 내 방언을 활용한 콘텐츠는 대개 자주 사용되어 식상해진 어휘를 활용한 것이거나 방언을 잘못 사용해 오해를 부를 만한 것들이 확인되었다. 이에 제주대학교 재학생을 위한 방언 활성화 방안을 대학 내 방언 교육, 방언 교육원 설치, 제주방언 전문가 양성 등으로 제안하였다. 방언 교육은 단계별, 수준별 필수 교양 교과목을 설치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으며, 대학 내 제주방언과 관련되어 생산되는 콘텐츠나 교육 자료 등은 제주방언의 쓰임을 검토, 감수할 수 있는 전문 기관을 통해 검증받아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제주대학교는 거점 국립 대학으로서 제주방언의 보전과 연구, 교육에 대한 책무를 지니고 있다. 제주대학교를 졸업한 인재들이 제주 사람의 삶과 문화를 담은 제주방언을 정확히 인지하고 활용할 때 비로소 지역에 필요한 정책을 제대로 수립하고, 나아가 제주도 내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제주지역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언어ㆍ문화 교육 방안

        권미소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9 한국어문화교육 Vol.12 No.2

        이 글은 제주지역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제주 방언으로 제작된 TV 드라마를 활용하여 제주 방언 교육과 문화 교육을 통합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드라마 ‘멩질 먹게 저 오라’는 모든 대사를 제주 방언으로 구사하고 있고, 등장인물은 여성결혼이민자가 늘상 만나는 친근한 인물들로 설정되었다. 이러한 설정은 여성결혼이민자가 드라마를 학습 도구로 활용할 때 큰 거부감이나 어려움 없이 드라마의 내용을 받아들이는 장치로 작용할 것이다. 이 드라마의 모든 대사에는 표준어 자막이 사용되었다. 이는 여성결혼이민자가 제주 방언을 제대로 알아듣지 못한다고 해도 드라마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 문제가 없다는 점을 내포한다. 오히려 이 자료로 교육이 제대로만 이루어진다면 표준어와 방언 교육의 효과를 동시에 거두고 아울러 제주 지역민의 사유 체계를 담아내는 문화까지 학습하여 일석삼조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드라마 ‘멩질 먹게 저 오라’로 여성결혼이민자의 표준어 교육과 동시에 제주 방언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제주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의사소통의 장애를 조금이나마 해결할 수 있을 것이 다. 또한 문화 교육의 측면에서도 제주만의 독특한 문화를 제대로 담아내고 있는 이 드라마를 자료로 활용한다면 여성결혼이민자가 제주 사회에서 하나의 구성원으로 적응하는 데에 도움이 되리라 판단하여 ‘멩질 먹게 저 오라’를 활용한 언어ㆍ문화 교육 방법을 모색해보았다.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offering combined education on the Jeju dialect and culture to female marriage migrants in Jeju, Korea, using a local television drama series Mengjil Meokge Hanjeo Ora(roughly translated as “Come, Let’s Spend the Holiday Together!”), created entirely in the Jeju dialect of the Korean language. The characters in the series are akin to the family members and neighbors that foreign female spouses meet and interact with in their everyday lives. The exclusive use of the Jeju dialect throughout the series adds up to its uniqueness, making the series highly valuable in teaching the dialect. The female marriage migrants who join the dialect education program using this series can follow the storyline even without fully understanding the dialect because the series is accompanied by a standard Korean subtitle. This series can be utilized both for standard Korean and Jeju dialect teaching, which will help resolve female marriage migrants’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ith Koreans around them. Moreover, this series can be a suitable education tool of culture education that enables foreign female spouses to adjust to their new community, given its faithful depiction of Jeju’s unique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envisioned how Mengjil Meokge Hanjeo Ora can be leveraged for culture and language education of female marriage migrants.

      • KCI등재

        제주방언에 대한 방언 태도 연구-제주 지역 공무원을 중심으로-

        권미소,배영환 한국방언학회 2020 방언학 Vol.0 No.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alect attitude of public officials in Jeju on Jeju dialect. To this end, we organized the concept of dialect attitude, and reviewed the status of language policy on Jeju dialect which is in danger of extinction. Then, we analyzed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awareness on dialect attitude, dialect use area and dialect policy for public officials in Jeju. Jeju dialect shows high preservation awareness at the risk caused from stimulation due to change in external environment and internal active response. The change in external environment and stimulation can be roughly summarized into 3 stages of the Rise of Common English Language Theory, the enactment of the Framework Act on Korean Language, and the registration of UNESCO Crisis Language. Accordingl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enacted and promulgated an ordinance to prepare education and conservation policies for local languages to be developed only in the country. The survey targeting Jeju official‘s attitudes toward Jeju dialect confirmed that Jeju dialect is rated as a very positive image ('friendly'(38.3%)' and 'warm'(26.1%) accounted for 64.4% of the total). The survey on the area of Jeju dialect usage also showed that Jeju officials use Jeju dialect in a [-public] situation, and standard language in a [+public] situation. In the meantime, Jeju officials were found to be not well aware of Jeju language policies such as the "Basic Jeju Language Development Plan" and the "Jeju language notation."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that Jeju officials need to be more active in promoting its language conservation policy. 본고는 제주 지역 공무원들의 제주방언에 대한 방언 태도를 조사해 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방언 태도에 대한 개념을 정리해 보고, 소멸 위기의 제주방언에 대한 제주특별자치도의 언어 정책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러고 나서 제주 지역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방언 태도, 방언의 사용 영역, 방언 정책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제주방언은 외부 환경의 변화와 자극에 따른 위기에 내부의 적극적인 대응으로 높은 보전 의식을 보인다. 외부 환경의 변화와 자극은 영어 공용화론의 대두, 국어 기본법의 제정, 유네스코 소멸 위기 언어 등록의 크게 세 단계로 요약된다. 이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조례를 제정, 공포하여 전국에서 유일하게 지역어에 대한 교육과 보전 정책들을 마련할 수 있었다. 제주 지역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제주방언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제주방언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이미지(‘친근하다(38.3%)’, ‘정겹다(26.1%)’가 전체 64.4%를 차지)로 평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제주방언 사용 영역에 대한 설문을 통해 제주 지역공무원들이 [-공적]인 상황에서는 제주방언을 사용하고, [+공적]인 상황에서는 표준어를 사용한다는 결과도 알 수 있었다. 한편 제주 지역 공무원들은 실제 ‘제주어 발전 기본 계획’이나 ‘제주어 표기법’ 등과 같은 제주어 정책에 대해서는 잘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주 지역 공무원에게 제주어 보전 정책의 홍보 등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비합리적 신념과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와 낙관성의 매개효과

        권미소,오인수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敎育問題硏究 Vol.28 No.1

        This study identified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career maturity in terms of developmental perspectives. The effect of irrational belief, inverted narcissism and optimism on career maturity was examined. In particular, the inverted narcissism and optimism was postulated as mediators between irrational belief and career maturity. 312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survey was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a mediation analysis including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 with hierarchical regression. The inverted narcissism was found as a perfect mediator between irrational belief and career maturity, while optimism was found as a partial mediator between irrational belief and career maturity. Implication for effective career counseling was discussed and effe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본 연구는 진로문제를 발달적 관점에서 주목하고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 요인의 규명과 함께 그 관계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으로 비합리적 신념, 내현적 자기애 및 낙관성을 상정하고, 비합리적 신념과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와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대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비합리적 신념, 내현적 자기애, 낙관성, 진로성숙의 관계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비합리적 신념과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는 완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낙관성은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진로교육 및 진로상담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제주방언의 부사형어미 ‘-아/어X’ 교체에 관하여

        권미소 영주어문학회 2024 영주어문 Vol.56 No.-

        이 글은 제주방언 용언 어간과의 결합에서 나타나는 부사형어미 ‘-아/어X’의 교체양상을 검토하여 그에 대한 해석을 시도해 보고자 한 것이다. 즉, 현재 제주방언에서부사형어미 ‘-아/어X’ 교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기술하고, 이를 설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제주방언의 단음절 어간과, 다음절 어간이면서 개음절인 경우 부사형어미 ‘-앙/엉’의 교체는 모음조화 현상이 유지되는 것으로 보인다. 양성모음으로 분류할 수 있는 모음들은 ‘-아X’를 취하고, 음성모음으로 분류할 수 있는 모음들은 부사형어미 ‘-어X’를취한다는 일종의 공식이 적용되는 것이다. 다만 ‘ㅂ’으로 끝나는 단음절 어간 중 음성모음임에도 ‘-아X’를 취하는 예외도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단음절이면서 개음절 어간의 어간말 음절 모음이 ‘ㅜ’인 경우에는 부사형어미 ‘-엉’이 결합하나 다음절이면서 개음절 어간의 어간말 음절 모음이 ‘ㅜ’인 경우에는 부사형어미 ‘-앙’을 취하고 있다는 점과, 그 가운데 일부 어간이 이전 시기의 활용형을그대로 유지하여 부사형어미 ‘-앙’의 형태로 실현되는 것을 이 방언의 특징으로 정리하였다. 이 글에서는 ‘-어X’형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자리에 ‘–아X’형이 나타나는 것을‘공시적 언어 체계 속에 남아 있는 이전 시기 언어의 흔적’으로 보았다. 즉, 이전 시기의 언어 요소가 변화를 겪지 않은 예외임을 말하는 것이다. 어간의 재구조화 등이 나타나더라도 이전 시기의 활용형들이 화석화되어 나타나는데, 이것은 결국 어떠한 음운 변화가 적용될 때는 기저형에서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활용형 각각에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한편, 폐음절 어간의 부사형어미 ‘-아/어X’ 교체 또한 어간말 음절 모음의 음운론적 성격과 관련되는바 특히 모음조화의 모음 부류를 변화시키는 모음변화가 관계하더라도 ‘-앙/엉’의 교체는 이전 버릇을 유지한다고 보았다. 이는 음운체계가 변화해도모음조화와 관련된 ‘-앙/엉’ 교체는 여전히 일부 과거의 질서에 묶여 있음을 보여주는것이라고 설명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attern of replacement of the adverbialending ‘-아/어X’ that appears in combination with the predicate stemin the Jeju dialect and attempts to interpret it. In addition, the purposewas to describe from a synchronic perspective how the replacement ofthe adverbial ending ‘-아/어X’ occurs in the current Jeju dialect. In the case of monosyllabic stems and polysyllabic stems in the Jejudialect, as well as stem-final vowels that are open syllables, thereplacement of the adverbial ending ‘-아/어X’ seems to maintain thephenomenon of vowel harmony. In other words, a kind of formula isapplied in which vowels that can be classified as positive vowels take‘-아X’, and vowels that can be classified as negative vowels take theadverbial ending ‘-어X’.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some exceptionsalso exist. If it is monosyllabic and the stem-final syllable vowel of theopen-syllable stem is ‘ㅜ’, the adverbial ending ‘-엉’ is combined;however, when it is polysyllabic and the vowel of the stem-finalsyllable of the open-syllable stem is ‘ㅜ’, the characteristic of thisdialect is that it takes the adverbial ending ‘-앙’. In this article, the appearance of type ‘-아’ in the place where type‘-어’ is expected to appear was seen as ‘a trace of language from aprevious period remaining in the synchronic language system.’ In other words, this is an exception in which language elements from theprevious period did not undergo change. It was judged that theseirregularities appear because conjugations were fossilized in the previousperiod and were not in harmony with the synchronic phonologicaldescription system. Meanwhile, the replacement of the adverbial ending ‘-아/어’ in theclosed syllable stem of the Jeju dialect is related to the phonologicalnature of the final syllable vowel of the stem and in particular, evenif a vowel change that changes the vowel class of vowel harmony isinvolved, the replacement of ‘-앙/엉’ is also considered to maintain theprevious habit. This can be said to show that even if the phonologicalsystem changes, the ‘-앙/엉’ replacement related to vowel harmony isstill tied to some of the past order.

      • KCI등재

        Leucine-Rich Repeat-Containing G-Protein Coupled Receptor 5/GPR49 Activates G12/13-Rho GTPase Pathway

        권미소,김선홍,박비오,김호민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2013 Molecules and cells Vol.36 No.3

        Leucine-rich repeat-containing G-protein coupled recep-tor 5 (LGR5/GPR49) is highly expressed in adult stem cells of various tissues, such as intestine, hair follicles, and stomach. LGR5 is also overexpressed in some colon and ovarian tumors. Recent reports show that R-spondin (RSPO) family ligands bind to and activate LGR5, enhancing canonical Wnt signaling via the interaction with LRP5/6 and Frizzled. The identity of heterotrimeric G-proteins coupled to LGR5, however, remains unclear. Here, we show that Rho GTPase is a downstream target of LGR5. Overexpression of LGR5 induced SRF-RE luciferase activity, a reporter of Rho signaling. RSPOs, ligands for LGR4, LGR5, and LGR6, however, did not induce SRF-RE reporter activity in the presence of LGR5. Consistently, LGR5-induced activity of the SRF-RE reporter was inhibited by Rho inhibitor C3 transferase and RhoA N19 mutant, and knockdown of G12/13 genes blocked the reporter activity induced by LGR5. In addition, focal adhesion kinase, NF-B and c-fos, targets of Rho GTPase, were shown to be regulated by LGR5. Here, we have demonstrated, for the first time, that LGR5 is coupled to the Rho pathway through G12/13 signaling.

      • KCI등재

        특성화 고등학생의 진로교육 유형 탐색과 유형별 진로개발역량 및 자기효능감 차이

        권미소 ( Mi-so Kwo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9 중등교육연구 Vol.6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진로교육 경험 유형을 분류하고 분류된 유형에 따라 진로개발역량 및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KEEPⅡ: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Ⅱ)의 1차년도 자료를 Mplus 7.4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특성화 고등학교의 진로교육은 통합적 진로교육형, 진로교육 부진형, 체험중심 진로교육형, 텍스트중심 진로교육형의 네 가지 개입 유형으로 탐색되었다. 또한 유형에 따라, 진로개입 성과로서 진로개발역량 및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생들의 진로교육 현황과 그 실효성을 검토하고 진로교육 개입 방향에 관한 논의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differences in career education experience in specialized high school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classified career education experience. For this purpose, KEEPⅡ(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Ⅱ) 1st year's data was used and was analyzed using Mplus 7.4 and SPSS 22.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ur types of career education were extracted: integrative experience type, poor experience type, field experience type, text experience type.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self-efficacy were found among the four types of career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current status and the effectiveness of career education in specialized high school were examined. Also, a discussion on the intervention direction for career education was provid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복합어에서의 유기음화 현상 연구 - 제주방언을 중심으로 -

        권미소 ( Kwon Mi-so ),배영환 ( Bae Young-hwan ) 영주어문학회 2022 영주어문 Vol.51 No.-

        본고는 제주방언의 복합어 가운데 후행하는 형태소의 두음이 평음일 경우 후행어의 초성이 유기음으로 실현되는 형태들이 확인되는바 이들의 실현 양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고찰하고자 했다. 제주방언 복합어에서의 유기음화는 전부 요소의 말음이 모음이나 ‘ㄴ, ㄹ, ㅁ, ㅇ’과 같은 자음일 때 나타났다. 중세국어의 ‘ㅎ’말음 체언과 비교하면 제주방언의 경우 전부 요소의 말음이 ‘ㅇ’일 때도 유기음화 현상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제주방언에서는 다른 어떤 방언에서의 어형보다도 복합어 사이에서 많은 유기음화의 예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를 유추에 의한 확대 때문이라고 판단하였다. 즉, 중세국어에 어간 말음 ‘ㅎ’의 존재를 인식하고 유기음화를 반영한 형태가 다른 형태소들의 결합 과정에서도 적용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또한 이들은 더 나아가 제주방언 합성어의 형태소 경계[+]가 단어 경계[#]로 변화하면서 유기음화가 적용된 후부 요소 ‘칩’, ‘르’ 등이 활발히 쓰이고 있다고 해석하였다. In this study, among the compound words of the Jeju dialect, when the leading consonant of the trailing morpheme is a plain consonant, it is confirmed that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following word is realized as an aspira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ir realization patterns and to examine the reasons for these phenomena. Aspiration in compound words of the main language appeared when the final consonants of all elements were vowels or consonants such as ‘ㄴ, ㄹ, ㅁ, ㅇ’. Compared with the ‘ㅎ’ phoneme of medieval Korean, the Jeju dialect shows a difference in that the aspiration occur even when the final phoneme of all elements is ‘ㅇ’. In the Jeju dialect, there are more examples of the aspiration between compound words than in any other dialect, and it was judged that this phenomenon was due to expansion by analogy. In other words, it is considered that the form reflecting the aspiration was also applied in the process of combining other morphemes, recognizing that there was a word ‘ㅎ’ in the medieval language. Furthermore, they interpreted that as the morpheme boundary [+] of the Jeju dialect compound words changed to the word boundary [#], the latter elements to which aspiration was applied were actively used as the single nouns ‘칩’ and ‘르/를’ etc.

      • KCI등재

        제주 방언 교육의 현실과 교육 방안 -제주 지역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권미소 ( Kwon Mi-so ) 영주어문학회 2018 영주어문 Vol.40 No.-

        이 글은 제주 지역의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제주 방언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에서 출발하여 제주 방언을 효과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방향을 제언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제주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수는 해가 바뀔수록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이 삶의 터전으로 삼고 살아가는 제주에 대한 이해 교육은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여성결혼이민자가 제주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제주 사람들의 사유 체계와 제주 문화를 담고 있는 제주 방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결혼이민자들은 별도의 방언 교육을 받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여성결혼이민자가 문화적ㆍ언어적 차이 때문에 제주 사회에 적응하는 것이 어렵다면 주변인들과의 소통에서 상실감을 느끼게 될 것이며, 이 때문에 그들이 속한 가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은 분명하다. 이에 이 글은 여성결혼이민자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최소한의 시간을 들여 최소한의 노력으로’ 방언 교육을 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을 제안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suggestion whether Jeju dialect can be taught more effectively when Jeju dialect education is needed from necessity of Jeju dialect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Jeju. The number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reside in Jeju region increases as the year changes, but the understanding education of Jeju where they live as living foundation is not implemented because they face with real issues. It requires the comprehension of Jeju dialect which contains the Jeju people’s thinking structure and Jeju culture in order that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can live as members of Jeju society. However, It is the reality that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do not receive the dialect education from Korean language teachers or home visiting supervisors with whom they can come in contact first except their families with early stage in their entrance. If it is difficult for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to adapt to the Jeju society because of the cultural and linguistic difference, they can feel the sense of loss in the communication with the marginal men. For this reason, it can have negative effect on the homes that they belong to. Accordingly, this study was to suggest Jeju dialect education by using dialect exposure strategy which could execute dialect education ‘with minimal effort by taking minimal time’ for smooth communication among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