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개 지역사회에서 여성의 골 밀도와 체성분과의 관계

        권근상,백송은,윤희망,진주련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5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5 No.4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BMD(bone mineral density) and body composition in women in a community and find the protective factor of the osteoporosis.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36 premenopausal women and 111 postmenopausal women who did not take any drugs and have any diseases affecting BMD.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BMD and body composition. So, BMD was measured at the os calcis with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and body composition was measured with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Results : The mean age of premenopausal women was 46.69 years andpostmenopausal women was 60.85 years.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BMD of the two groups; 0.53±0.08, 0.39±0.10 respectively. In premenopausal women, only age was correlated with BMD(r=-0.366, p〈0.05). But in postmenopausal women, age(r=-0.471, p〈0.01), parity(r=-0.231, p〈0.05), and lactation period(r=-0.247, p〈0.05)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BMD, whereasweight(r=0.481, p〈0.01), BMI(r=0.332, p〈0.01), fat mass(r=0.370, p〈0.01), fat free mass(r=0.536, p〈0.01) and muscle mass(r=0.538, p〈0.01)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D. In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djusted by age, parity, lactation period and exercise, total and partial R were 0.422, 0.196 in weight, 0.365, 0.118 in BMI, 0.386, 0.148 in fat mass, 0.410, 0.236 in fat free mass and 0.409, 0.233 in muscle mass respectively.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fat free mass and muscle mass, among body compositions, are the major determinants of BMD at the os calcis in postmenopausal women. Thus, we think that proper exercise and diet will be required for increasing fat free mass, especially muscle mass, to prevent the osteoporosis. -연구배경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지역사회 여성의 골밀도와 체성분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 이를 통하여 골다공증의 예방요인을 규명하는데 있다.방 법 2005년 7월 10일부터 15일까지 전라북도 김제지역의 만 40세 이상 70세 이하의 여성 1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 이중 골밀도 X-선 흡수법을 이용한 골밀도 , 생체전기저항 분석법을 이용한 체성분 등을 조사하였으며 , 이 중 당뇨병 , 갑상선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등의 과거력이 없으며 칼슘제재 및 기타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성인여성 147명(폐경 전 여성 36명, 폐경 후 여성 111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 결 과 폐경 전 여성에서의 골밀도는 체성분과 연관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 폐경 후 여성에서의 골밀도는 체성분 중 체지방률을 제외한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제지방량, 근육량과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폐경 후 여성에서 연령 , 수유기간, 출산력, 운동여부가 포함된 회귀모형에 체중 ,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제지방량, 근육량 등을 추가한 5가지 모델에 대해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 제지방량과 근육량을 포함한 두 모델의 설명력과 기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이 두 지표가 골밀도와 보다 큰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결 론 폐경 이후 여성의 골 밀도는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제지방량, 근육량 등의 체성분에 영향을 미치나, 이 중 특히 제지방량과 근육량이 골 밀도와 보다 큰 연관성이 있으며,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서는 제지방량, 특히 근육량을 높이기 위한 적정량의 운동과 음식섭취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RAW 264.7 세포에서 셀레늄이 유기수은에 의해 유도된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권근상,고대하,염정호,윤욱희 大韓産業醫學會 2003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5 No.3

        목적: 이 연구는 수은의 세포 독성에 대하여 방어 효괄르 나타낸다고 알려진 셀레늄아 수은에 의해서 유도되어지는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수은의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MTT를이용. 미토콘드리아 내의 dehydrogen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Hoechat-33258과 PI를 이용한 핵 염색, TdT를 이용한 dUTP-FITC nick-end labeling(TUNEL) 방법 및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apoptosis를 관찰하였다. 결과: 유기수은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냈으며, 유기수은과 셀레늄을 동시에 처리한 군은 유기수은에 의한 세포독성을 셀레늄의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나 셀레늄을 전 처리 한 후에 단독으로 유기수은만을 처리한 군은 유기수은에 의한 세포독성을 감소시키지 못했다. DNA 유전분석과 Hochest 33258 및 PI 염색을 이용한 핵 형태 분석을 통해 DNA laddering과 핵응축 그리고 apoptotic body를 확인하여 유기수은에 의해서 apoptosis가 유도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annexin V-FITC를 이용한 세포막 지질 구조 변화에서도 유기수은을 처리한 군에서 PS에 대한 annexin V의 강한 결합에 따라 유기수은에 의해 유도되는 apoptosis를 확인 할 수있었다. 셀레늄이 유기수은에 의해 유도되는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유기수은과 셀레늄을 동시에 처리한 군은 핵 형태 변화, DNA 분절과 세포막 지질구조에 있어서 대조군과 같은 양상을 보인 반면 셀레늄을 전 처리 한 후에 단독으로 유기수은만능 처리한 군과 유기수은을 전처리 한 후 셀레늄을 처리한 군은 수은에 의한 apoptosis를 감소시키지 못했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셀레늄이 유기수은과 반응하여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수은에 의한 세포막 단백질 sulfhydryl group의 결합에 의한 세포막 손상 및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존재하는 세포 내 활성산소 해독에 관여하는 여러 효소와의 결합 등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 유발을 차단함으로써 유기수은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독성 및 apoptosis에 방어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selenium against the methyl mercury chloride (MehgCl) induced cell apoptosis. Methods: The effect of selenium on the MeHgCl induced cell apoptosis was observed in mouse macrophage-derived RAW 264.7 cells, in vitro. The cells were cultured 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Results: MeHgCl exerted a dose dependent cytotoxicity, as demonstrated by the MTT assay, an assay dependent, in part, on mitochondrial function. Concurrent exposure to selenium provided complete protective effects against the cytptpxicity induced by MeHgCl. Pretreatment with selenium increased the protective effects of subsquent administrations of selenium in conjunction with MeHgCl, but pretreatment of selenium along did not provide protection against MeHgCl when given alone. Selenium administered after exposure to MeHgCl did not repair the existing MeHgCl induced cytotoxicity. Furthermore, the apoptosis induced by MeHgCl was revealed by the DNA fragmentation, using the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Biotin-dUTP nick end labeling (TUNEL) assay, alterations to the nuclear morphology, by nuclei stauining, and the plasma membrane lipid organizations, as shown by cell flow cytometry. The apoptosis induced by MeHgCl was administration of selenium in conjunction with MeHgCl. However, no inhibittion of the MeHgCl induced apoptosis was observed with selenium pretreatment prior to exposure to MeHgCl alone, or with the administration of selenium after exposure to MeHgCl.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existence of selenium and MeHgCl are essential for the protective effects of selenium against the MeHgCl-induced apoptosis, and the cytotoxicity, in RAW 264.7 cells, and may involve selenium-MeHgCl binding.

      • SCOPUSKCI등재

        Mercury Chloride가 마우스 복강대식세포 및 EMT-6 세포의 Nitric Oxide 생성에 미치는 영향

        권근상,고대하,기노석,염정호,Kwon, Keun-Sang,Koh, Dai-Ha,Ki, No-Suk,Youm, Jung-Ho 대한예방의학회 1997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30 No.2

        Balb/c 마우스의 복강대식세포와 동종 마우스의 유선암에서 기원한 EMT-6 세포를 배양하는 조건에 여러 농도의 수은을 첨가하여 nitrite와 nitrite 생성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복강대식세포 및 EMT-6 세포가 생성하는 nitrite와 nitrate 양은 공히 배양시작 12시간 후에 생성량에 비해 24 시간 후에는 2배, 36시간 후에는 3배의 농도로 측정되었다. 이때 nitrite와 nitrate 농도 사이에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수음첨가에 따라 nitrite 및 nitrate 생성량은 용량 의존적 관계로 현저한 감소를 보이며, 24 시간 또는 36시간 후의 세포생존률도 역시 수은농도에 비례하여 감소되는데, 복강대식세포의 생존률 감소가 EMT-6 세포의 것에 비해 더욱 현저하였다. 이들 세포내에서 생성되는 ATP의 양은 복강세포의 경우 그 생존률과 비례하는 경향이었으나, EMT-6세포의 경우는 비교적 높은 생존률에도 불구하교 배양액내에 수은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ATP생산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면역세포인 복강대식세포 뿐아니라 암세포인 EMT-6 세포에서도, L-arginine으로부터 nitric oxide를 생성하는 생화학적 반응이 수은에 의해 공히 억제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수은의 세포성 면역에 미치는 독성은 수은이 면역세포의 ATP생성과 관련한 에너지 대사과정의 장애을 초래하여 nitric oxide 생성에 필요한 반응에너지의 공급을 억제시키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사료된다. The effects of treatment with mercury chloride on the nitrite and nitrate syntheses were observed in peritoneal macrophages from Balb/c mice and EMT-6 cells in vitro. The cells were cultured 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with cytokines. Amounts of nitrite and nitrate in the culture media after 24 and 36 hours of culture were about 2-fold, and 3-fold of those measured after 12 hours respectively. There were very close associations Between the amounts of nitrite and nitrate measured in the culture media according to culture time. The survival rate of peritoneal macrophage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mercury chloride added into the media in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the survivals of EMT-6 cells were not influenced by mercury chloride concentration in media. Nitrite and nitrate syntheses were dose-dependently decreased by mercury chloride added in culture media. ATP synthesis also decreased in EMT-6 cells by mercury chloride. These results reported here suggest that the disorder of cell mediated immunity by mercurials could be related to the inhibition of nitric oxide synthesis which seems to be caused by the inhibition of ATP synthesis.

      • KCI등재

        Evidence of Long-Distance Droplet Transmission of SARS-CoV-2 by Direct Air Flow in a Restaurant in Korea

        권근상,Jung-Im Park,Park Young Joon,Jung Don-Myung,유기완,이주형 대한의학회 2020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5 No.46

        Background: The transmission mode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is primarily known as droplet transmission. However, a recent argument has emerged about the possibility of airborne transmission. On June 17, there was a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outbreak in Korea associated with long distance droplet transmission. Methods: Th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was implemented based on personal interviews and data collection on closed-circuit television images, and cell phone location data. The epidemic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developed by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was used for contact tracing. At the restaurant considered the site of exposure, air flow direction and velocity, distances between cases, and movement of visitors were investigated. Results: A total of 3 cases were identified in this outbreak, and maximum air flow velocity of 1.2 m/s was measured between the infector and infectee in a restaurant equipped with ceiling-type air conditioners. The index case was infected at a 6.5 m away from the infector and 5 minutes exposure without any direct or indirect contact. Conclusion: Droplet transmission can occur at a distance greater than 2 m if there is direct air flow from an infected person. Therefore, updated guidelines involving prevention, contact tracing, and quarantine for COVID-19 are required for control of this highly contagious disease.

      • KCI등재후보

        국내 사람 브루셀라증 환자에 대한 3년 간의 추적 관찰 연구

        이창섭,권근상,백병걸,박상원,이흥범 대한감염학회 2007 감염과 화학요법 Vol.39 No.4

        목적 : 2002년 증례 보고 이후, 사람 브루셀라증 환자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임에도, 이와 관련된 장기간의 임상 증상과 혈청학적 추적 관찰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보고된 적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2003년 전북 일부 지역에서 집단 감염된 11명의 사람 브루셀라증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의 임상 경과와 혈청학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3년 전라북도 정읍 지역에서 사람 브루셀라증으로 진단된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10명의 환자가 임상 증상에 대한 추적 관찰에, 11명의 환자가 혈청학적 추적 검사에 포함되었다. 사람 브루셀라증의 추적검사는 standard tube agglutination test (SAT)로 시행하였고, 혈청학적 음성 전환은 SAT titer 1:40 이하로 정의하였으며, 브루셀라의 임상 증상이 진단 전 1년 미만으로 지속되었던 경우를 조기 회복기로, 1년 이상 지속되었던 경우를 지연 회복기로 정의하였다 결과 : 대상은 남자 8명, 여자는 3명이었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45세였다. 11명 중 10명이 축산업자였으며, 1명은 수의사였다. 3년 후 까지도 임상 증상이 남아 있다고 호소하는 환자는 8명(80%)이었으며, 만성 피로, 관절통이대부분이었고, 그 외 발열(1), 두통(2), 안통(1), 체중감소(1), 어지럼증(2)이 일부 있었다. 그러나 3년 후 추적 관찰에서 60% 이상 지속적으로 남아있는 증상은 만성 피로와 관절통이었다. 치료 기간은 최소 6주에서 최고 52주까지 다양하였으며, 중앙값은 11주였다. 혈청학적 추적 검사는 최소 11개월에서 최고 39개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중앙값은 22개월이었다. 혈청학적 음성으로 전환된 시점은 치료시작 후 최소 5개월에서 최고 16개월이었으며 중앙값은11개월이었다. 결론 : 사람 브루셀라증에 걸렸던 환자들은 피로나 관절통과 같은 임상 증상이 지속적으로 남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이 재발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항생제의 지속 복용은 필요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 혈청학적으로 마지막 음전된 시점이 치료 시작 후 16개월이라는 점으로 보아, 혈청학적 추적 검사는 치료 시작 후 최소 16개월 이상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Background : The first probable case of human brucellosis in Korea was reported in 2002. Since then there has been a gradual increase in the incidence and prevalence of the disease. There has not been any long-term follow-up investigation of the clinical course and serologic profiles of the disease in Korea. The present investigation is a 3 year clinical and serologic follow-up of human brucellosis patients in Chonbuk province. Materials and Methods : The investigation involved a total of 11 patients who were positively diagnosed with brucellosis in 2003. Clinical manifestations were evaluated either directly or via telephone interviews. The serologic follow-up was done by standard tube agglutination test (SAT). Negative sero-conversion was defined as an SAT titer less than 1:40. Early convalescence was defined as clinical manifestations of brucellosis observed within 12 months of diagnosis, and delayed convalescence was defined as clinical symptoms persisting longer than 12 months. Results : A total of eleven patients (8 males and 3 females; with a mean age of 45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en patients were livestock workers and one was a practicing veterinarian. Three years after the initial diagnosis, chronic fatigue and arthralgia were persistently observed in more than 60% of the patients in delayed convalescence. There was no evidence of relapse or reinfection of the disease. The median duration of antibiotics treatment and serologic follow-up were 11 weeks and 22 months, respectively. Negative sero-conversion was noted between 5 and 16 months after the initiation of treatment (with a median 11 months). Conclusion : Although the human brucellosis patients developed chronic symptoms such as fatigue and arthralgia even after negative sero-conversion, there was no evidence of any relapse or reinfection. This may mean that antibiotic intervention is not a justifiable recommendation. We also suggest that serologic monitoring be performed for at least 16 months after the initiation of treatment.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쯔쯔가무시병의 진단에 사용되는 피동혈구응집법과 간접면역형광법의 비교 연구

        이창섭,권근상,나상언,이흥범 대한감염학회 2008 감염과 화학요법 Vol.40 No.1

        The gold standard for the serologic detection of scrub typhus is the indirect immunofluorescence assay (IFA), however the passive hemagglutination assay (PHA) is commonly used method in Korea because of its availability, easy handling. We compared the sensitivity of PHA and IFA to compare their effectiveness in diagnosing scrub typhus. Out of 35 patients who were eventually diagnosed of scrub typhus by positive IFA, 19 patients (54%) were also tested positive for PHA during the acute phase (titer=1:80). Whereas 30 patients (85%) were positive in IFA during the acute phase. During the recovery phase 30 (85%) patients were positive in PHA, whereas all patients were found to be positive in IFA. Patients with 4-fo1d or greater rise of antibody were 12 (34.3%) in PHA, and 19 (54.3%) in IFA. We note that IFA has better sensitivity over PHA in detecting scrub typh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