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객의 공격적 행동은 조직에 항상 해로운가? : 심리적 주인의식의 역할

        공혜원,김효선,이상묵 한국인사관리학회 2015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5 No.1

        본 연구는 고객의 공격적 행동과 심리적 주인의식이 건설적 일탈행동 및 파괴적 일탈행동에 미치는 주효과 및 상호작용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금융업 종사자 약 4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Ping의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조절효과 검증방법에 따라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먼저 고객의 공격적 행동은 건설적, 파괴적 일탈행동을 모두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심리적 주인의식은 건설적, 파괴적 일탈행동 모두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흥미로운 것은 고객의 공격적 행동과 건설적 일탈행동의 관계가 심리적 주인의식 수준에 따라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가령, 심리적 주인의식 수준이 낮은 사람은 고객의 공격행동의 많고 적고에 따른 건설적 일탈행동 변화가 적었으나, 심리적 주인의식 수준이 높은 사람은 고객의 공격행동이 증가할수록 건설적 일탈행동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은 논의에 제시하였다.

      • KCI등재

        창업경험 및 기업가정신 교육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 성별 및 사회안전망의 삼원조절효과

        공혜원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 벤처창업연구 Vol.1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xperience and education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an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on these relationships. To test the hypothesis, we used GETR(Global Entrepreneurship Trend Report) data that was collected by Korea Entrepreneurship Foundation and was consisted of 40,388 data collected from 2,000 people in 20 countries. First, entrepreneurship experience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Second, gender moderating effects on these relationship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Specifically, the positiv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was found to be stronger for women than for men.  Finally, the analysis of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the social protection confirmed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experi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was stronger for women than for men, and this effect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high social protection group. In other words, women with entrepreneurial experience are more likely to increase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s when they are more aware of social protection than men. 최근 들어 기업가적 활동을 촉진하는 데 있어 무엇보다도 사회안전망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바, 본 연구에서는 창업경험 및 기업가정신 교육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에 대한 개인적, 맥락적 차이 규명에 초점을 두고, 이들 관계에 대한 성별의 조절 효과와 사회안전망의 삼원조절효과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경험, 기업가정신 교육이 기업가 활동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이들 관계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다. 둘째, 창업경험 및 기업가정신 교육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에 대한 성별 조절효과가 사회안전망과 같은 국가 맥락적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삼원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검증한다. 연구표본은 한국을 포함한 총 20개국을 대상으로 국가별 최소 2,000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고, 총 40,388개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분석 도구는 Hayes의 Process를 활용하여 창업 경험 및 기업가정신 교육, 성별, 성별 격차의 삼원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첫째, 창업경험 및 기업가정신 교육은 기업가 활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 관계에 대한 성별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성별 조절효과는 기업가정신 교육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에 대해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기업가정신 교육이 기업가 활동의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안전망의 삼원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창업경험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긍정적 관계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효과는 사회안전망이 높은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과거 창업경험이 있는 여성은 사회안전망이 높다고 인식할 경우 과거 창업경험이 있는 남성보다 기업가 활동의도가 더 많이 증가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논의는 본문에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감정조절전략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공혜원,김효선 한국인사관리학회 2014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감정조절전략(표면행위, 내면행위)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를 검증하고, 직무소진(감정소진, 탈인격화)이 감정조절전략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매개하는가에 대해규명해 보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감정노동 요구 정도가 높은 주요 직군인 영업 판매원, 콜센터, 간호사, 은행원과 같은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총 500부의 설문지가 배부되었고, 이들 중 약 470여부가 회수되었으며,그 중 불성실하게 응답이 이뤄진 24부를 제외하고, 총 446부의 유효한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 다. 분석 방법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자료 결측값은 EM 방식을 통해 처리하였고, 부스트랩핑을 이용하여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연구 결과, 근로자들이 직무수행과정에서 선택하게 되는 감정조절전략의 유형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음이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감정조절전략의 한 유형인 내면행위는 조직시민행동 을 증가시키는 반면 표면행위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표면행위는 감정소진 및 탈인격화를 증가시키지만, 내면 행위는 탈인격화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조절전략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대한 직무소진(감정소진 및 탈인격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탈인격화는 표면행위와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내면행위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면행위는 개인의 탈인격화된 행동을 줄임으로써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표면행위는 탈인격화된 행동을 높임으로써 궁극적으로 조직시민행동이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감정소진은 감정조절전략과 조직시민행동을 매개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분석결과에 대한 논의 및 경영 관리적 시사점 및 한계점은 논의에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surface acting, deep acting) have a differential effect on employee’s burnou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organizational citizen- ship behavior. To empirically test these relationships, data were collected from 470 respondents who interacted with customers in the service sector. In particular, we examined two aspects of burnout: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To test the hypotheses, a series of hierarchical regressions were use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urface acting increases burnout whereas deep acting decreases burnout. Also, it was confirmed that surface acting decreas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ereas deep acting increas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surface acting, deep act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s been supported, although only through depersonalization aspect ofburnout. While surface acting increased depersonalization, resulting in reducedo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eep acting decreased depersonalization whichresulted in increas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trary to prior study, the effect of emotional exhaustion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Manageri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presented in the discussion.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 요인

        공혜원,이정교,서한울,이소윤,김선우,박예니,이은숙,최정윤,김여진 한국간호연구학회 2018 한국간호연구학회지 Vol.2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ty the factors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and satisfaction in major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thods :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62 nursing student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y 22, 2017 to May 30, 2017. The SPSS/WIN 20.0 program was used for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average score f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atisfaction in major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were 2.67, 3.88 and 3.33. There were positive corrections amo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atisfaction in major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24.1%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predictively described(F 15.15, = p .001) in the order of satisfaction < in major(β .35, = p .001), school grades(B < + β .54,= p .021, A =β .51,= p .011), and academic year( =β .23,= p .002). = Conclusion :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nursing students in their career behavior in a more positive way, nursing educational institutions will be required to make efforts to develop and enhance a curriculum covering a systematic career education and major, and also to map out a plan to identify its long-term effect.

      • KCI등재

        기업가정신에 대한 심리적 자본, 공감, 지각된 사회적 규범의 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 여성 기업가정신에 대한 함의

        공혜원,추승엽 한국창업학회 2023 한국창업학회지 Vol.18 No.4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academic foundation necessary to comprehend the nature of female entrepreneurship by examining the impact of individual and sociocultural factors on entrepreneurship and exploring the gender-based differences in their effect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resilience, and hope as individual psychological capital, empathy as unique emotional ability, and perceived social norms as sociocultural factors on entrepreneurship,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The research sample was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nd consisted of prospective entrepreneurs and general worker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5,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variables on entrepreneurship were examined through split-group regression analysis. Analyzing the main effects on entrepreneurship confirmed that self-efficacy, resilience, hope, and empathy significantly affected entrepreneurship. In addition, as a result of dividing group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the impact of perceived social norms was effective only in the female group. In contrast, it was not significant in the male group. In other words, unlike the general theor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the determinants of entrepreneurship and that socio-cultural factors, not individual characteristics, cause the differenc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essential to consider socio-cultural factors such as social norms in developing policy to enhance female entrepreneurship.

      • KCI등재

        감정노동과 감정소진의 관계에 대한 교차 수준 연구: 고객공격행동 경험 및 고용유형의 조절 효과

        공혜원,전주언 한국기업경영학회 2017 기업경영연구 Vol.24 No.4

        Previous studies related to existing emotional labor have mostly been cross-sectional studies focusing on static differences in emotional regulation between individuals at a single point (Scott & Barnes, 2011). However, the studies which took a between-individual approach has a limitation in that within-individual variation is implicitly treated as error variance, even though the variance is theoretically meaningful (Judge et al., 2006). Thus, researches should be extended to take into account emotional labor occurring within individuals over time to more fully understand emotional labor. With this in mind, we examine the dynamical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daily customer aggression and emotional labor by taking multilevel approach. In addition, we explored whether customer aggression and employment type (regular and non-regular employee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haustion. Also we examin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customer agg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haustion. It was hypothesized that 1) Within individual, customer aggression will increase emotional exhaustion 2) Within individual, surface acting will increase emotional exhaustion 3)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aggression and emotional exhaustion will be stronger for high level of surface acting 4)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aggression and emotional exhaustion will be stronger among non-regular employees compared to regular employees 5)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acting and emotional exhaustion will be stronger among non-regular employees compared to regular employees.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s empirically, we designed diary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questionnaires form bankers. A HLM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urface acting increased the emotional exhaustion. Second, the employees who experienced customer aggression increased emotional exhaustion.Thir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acting and emotional exhaustion was stronger for the employees who experienced high level of customer aggression. Lastly, th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surface acting and customer aggression were shown in non-regular employe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argued that emotional events and emotional labor in the workplace are dynamic, and emotional exhaustion of the employees can be different within individuals. 본 연구는 서비스 조직 근로자들의 심리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먼저 감정노동(표면행위, 내면행위) 및 고객공격행동 경험이 근로자의 감정소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탐색하였고, 아울러 감정노동과 감정소진의 관계가 고객공격행동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개인 내 차이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감정노동과 감정소진, 고객공격행동 경험과 감정소진의 관계가 고용유형(정규직, 비정규직)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한 교차수준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였다. 실증검증을 위해 일지조사법으로 설계했고, 은행근로자 5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반복측정을 통해 총 616개의 자료가 실증검증에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고객공격행동 경험 및 표면행위가 감정소진에 미치는 개인 내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근로자들의 표면행위는 감정소진을 유발하지만, 내면행위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고객공격행동 경험은 근로자들의 감정소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표면행위와 감정소진의 정적 관계는 고객공격행동 경험이 높을수록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비정규직 근로자들은 정규직 근로자들에 비해 표면행위를 할수록, 고객공격행동 경험이 높을수록 더 높은 감정소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감정노동에 따른 감정소진은 역동적임을 밝히고 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 KCI등재

        글로벌 국가 비교를 통한 한국 기술기반 스타트업 생태계 진단: 정량 및 정성 연구

        공혜원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 벤처창업연구 Vol.14 No.1

        기술기반 스타트업은 혁신을 장려하고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 개발을 촉진하며 고용창출에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기술기반 스타트업은 생태계 차원의 적절한 지원이 이뤄질 때 기업가정신이 더욱 활성화되고 번창한다. 따라서 창업 생태계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한국 기술기반 스타트업 생태계를 진단하기 위해 글로벌 국가들과 생태계 환경을 비교한다. 둘째, 본 연구는 한국 기술기반 스타트업 생태계를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 관련 VC투자가, 엑셀러레이터, 창업가, 지원기관 관계자, 교수 등 주요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해 심층인터뷰를 수행하고, 스타트업 생태계 관련 중요한 이슈들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글로벌 생태계 현황 비교 및 이해관계자 인터뷰를 토대로 한국 기술기반 스타트업 생태계가 발전 및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연구 자료는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IT 기반 창업 기업 중 2015년 이전에 설립된 초기 단계의 295개 기업을 대상으로(정부, 엔젤, 벤처캐피털(VC) 등으로부터 투자받은 창업자)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또한 심층 인터뷰는 창업지원기관, 창업가, 투자자,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 인식에 대해 이루어졌다. 스타트업 생태계 현황을 국가 간 비교한 결과, 첫째,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 중 정부 지원 및 정책 제도는 다른 선진 국가보다 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또한 원격근무 비율, 스타트업 기업 근무 경험이 있는 근로자 비율은 다른 선진 국가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해외시장진출 성과, 인재 다양성, 투자유치, 기술엔지니어 확보, 여성 창업자 비율 등은 해외 선진 국가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터뷰 분석 결과, 한국은 정부의 시장 지향적인 정책 지원에 힘입어 스타트업뿐만 아니라 개인 엔젤 투자자, 엑셀러레이터, 지원 및 후원 기관 등 다양한 스타트업 생태계가 발전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연속성 있는 투자시스템, 엑시트(Exit) 방법 다양화, 외국인과 여성 창업자에 대한 다양성의 확대와 투자비 회수 시스템 및 글로벌 마켓에 대한 접근성, 외국인 고용비율 제한, 연대보증제도, 여성 창업가에 대한 부정적 인식, 빠른 성과에 대한 기대 등과 같은 제도, 투자, 고용, 사회문화 차원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된 논의가 함께 제시되었다. Technology-based start-up is important in that it encourages innovation, facilitates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and services, and contributes to job creation. Technology-based start-up activates entrepreneurship when appropriate support is provided within the ecosystem. Thus, understanding the technology-based start-up ecosystem is cruc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Herrmann et al.'s(2015) study, we compare and analyze the ecosystem of each country by selecting representative regions such as Silicon Valley, Tel Aviv, London and Singapore which have the highest ranking in the start-up ecosystem. Second, we try to deeply understand the start-up ecosystem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VC investors, start-ups, support organizations, and professors related to the Korean start-up ecosystem.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suggest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Korean technology-based start-up ecosystem. As a result, the Seoul start-up ecosystem showed a positive evaluation of government support compared to other advanced countri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atio of tele-work and start-up company working experience of employees was higher than other countries. On the other hand, in Seoul, It was confirmed that overseas market performance, human resource diversity, attracting investment, hiring technological engineers, and the ratio of female entrepreneurs were lower than those of overseas advanced countrie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analysis, Seoul was able to find that start-up ecosystems such as individual angel investors, accelerators, support institution, and media are developing thanks to the government’s market-oriented policy support. However, in order for this development to continu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tinuous investment system, expansion of diversity, investment return system, and accessibility to the global market. A discussion on this issue is presented.

      • KCI등재

        기업가정신 교육과 창업의도의 관계: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 및 성별 조절효과

        공혜원,김효선 대한경영학회 2018 大韓經營學會誌 Vol.31 No.12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ese relationships still report inconsistent findings. These results imply that mediating factors as well as moderating factors existing between these relationships.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on these relationship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That is, we suggest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vide various resources for both men and women which may result in positiv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which could be translated into entrepreneurial intention later in life. Furthermore, we expect such relationship to be strong for women than for men. We developed hypotheses and research model as below: Hypothesis 1: Entrepreneurship education experience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Hypothesis 2: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will positively affec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Hypothesis 3.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experi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Hypothesis 4: The positiv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will be stronger for women than for men. To test the hypotheses, we adopted Global Entrepreneurship Trend Report data which was collected by Korea Entrepreneurship Foundation. The GETR data is composed of 40,000 data collected from 20 countries. After eliminating outliers and unfaithful respondents, 37,882 data were used to test the hypotheses. We adopted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and Model 5 proposed by Hayes (2012) using Process Macro for data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ntrepreneurship intention. Also,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experience & entrepreneurial intention. Lastly, we found that gender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Specifically, the positive effect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was stronger for women than for men. Our study shows that prior entrepreneurial education experiences increase entrepreneurial intention. Furthermore,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was stronger for women than for men. The result may have to do with the fact that women generally have low entrepreneurial intention than men, which reflects the gender stereotypes prevailing in most countries. Nevertheless, it confirms providing entrepreneurial education for women is an effective way to overcome such gender streotypes. The result is in line with diversity management literature where leadership training has been found to be more effective for minorities and women. Next question will be to examine whether gender equity level at the national level have any effect on the relationship that we found.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eco system may also have impact on our findings, which we hope to examine in our future research. One caveat of our study is that our measure of entreprenerial education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content of the program, nor do we include the change that occurred as a result of such education. Future research should consider these aspects. 기업가정신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기업가정신 교육이 기업가정신과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그간 많은 연구에서 기업가정신 교육과창업의도의 관계에 대해 규명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들 관계는 일치되지 않는 연구결과들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이들 관계에 조절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 있음을 암시하는 것은물론 이들 관계에 매개효과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업가정신교육과 창업의도의관계를 매개하는 요인으로써 기업가정신 함양 정도의 역할을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기업가정신교육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보고 성별의 조절효과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기업가정신교육의 매개효과가 성별에 따라 조절되는지도 함께 고려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기업가정신교육경험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둘째, 기업가정신이 기업가정신 교육 변인과 창업의도 간의관계를 매개하는가를 살펴보고, 셋째, 이들 관계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재) 청년기업가정신재단의 글로벌 기업가정신 트렌드 리포트(GETR) 자료를 활용해 가설검증이 이루어졌다. GETR 자료는 각 20개 국가별 2천 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40,388개의 자료로 구성되었으나, 불성실 응답자를 제외한 37,882개의 자료가 가설 검증에 활용되었다. 분석방법은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Hayes(2012)가 제안한 Model 5에 의해 가설 검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기업가정신 교육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들 관계에 대한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성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업가정신 교육이창업의도에 미치는 성별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교육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성별의 주효과도 나타났는데, 여성이남성에 비해서 창업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문화적인 요인으로 인해서, 여성이 남성에비해서 창업의도가 낮지만, 기업가정신 교육을 통해서 이러한 차이가 좁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향후 기업가정신 교육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여성들의 창업의도를 높이는지에 대한 그 메카니즘을 밝혀야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실무적으로 기업가정신 교육을 확산하고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창업을 활성화하는데 도움이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