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Effect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o Glomerular Epithelial Cells in Glomerular Permeability

        고철우(Cheol Woo Ko),이경희(Kyung Hee Lee),조민현(Min Hyun Cho),조동규(Dong Kyu Cho),이재태(Jae Tae Lee),조희중(Hee Jung Cho) 대한해부학회 2003 Anatomy & Cell Biology Vol.36 No.5

        미세변화신증후군은 소아의 원발성 신증후군의 주요 원인질환이다. 미세변화증후군의 정확한 병인기전은 아직까지 알 려져 있지 않으나, 최근 TNF-α가 이 질환의 병인기전과 관련된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에 저자들은 환아의 혈청과 요에서 TNF-α의 변화를 살펴보고, TNF-α가 이 질환의 표적세포인 토리 상피세포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2~15세의 미세변화신증후군 환아에게서 혈청과 요에서 TNF-α치를 측정하였고, 토리 상피세포로 도포된 Millicell system을 사용하여 TNF-α가 토리 상피세포에 의하여 형성되는 투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TNF-α가 토리 상피세포에서 생성되어 토리 기저막의 투과성을 결정하는 물질인 heparan sulfate proteoglycan의 유전자 발현과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미세변화신증후군의 재발시 요중 TNF-α치(ng/mg∙cr)는 364.4±51.2로서 관해와 대조군의 155.3±20.8과 36.0±4.5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p⁄0.05). 그러나 TNF-α가 토리 상피세포의 투과성 검사와 토리 상피세포의 heparan sulfate proteoglycan의 유전자 발현과 생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TNF-α는 토리 상피세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미세변화신증후군에서의 요중 TNF-α치의 증가는 질병으로 인한 이차적인 변화일 것으로 생각된다 Minimal Change Disease (MCD) is the most common primary nephrotic syndrome in children. Some suggested that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ar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MCD. This study was done to see changes of plasma and urinary TNF-α, and its effect on determination of permeability of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BM) contributed by heparan sulfate proteoglycan (HSPG). Study patients consisted of 19 biopsy-proven MCD children aged 2-15 years old. Both plasma and urinary TNF-α were measured. Employing the Millicell system, TNF-α was screened for the permeability factors. We examined whether TNF-α regulated BM HSPG gene expression and HS synthesis in the glomerular epithelial cells (GECs). Urinary TNF-α during relapse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364.4±51.2 vs 155.3±20.8, 36.0±4.5 ng/mg∙cr) (p⁄0.05). However, the negative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permeability assay using the Millicell system. No difference was seen in BM HSPG gene expression and HS synthesis in the GECs. Therefore, it seems that TNF-α may not play a disease-specific role in the pathogenesis of MCD.

      • SCOPUSKCI등재

        미세변화신증후군에서 말초혈액단핵구가 사구체 상피세포의 Glomerular Basement Membrane Heparan Sulfate Proteoglycan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및 이의 측정을 위한 적량적 PCR법의 개발

        고철우(Cheol Woo Ko),구자훈(Ja Hoon Koo),이종기(Chong Gi Lee),장희진(Hee Jin Chang) 대한신장학회 2000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19 No.1

        N/A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MCNS) reflects a disorder of T-lymphocytes. These T-cells are thought to release a vascular permeability factor (UPF) that injures the glomerular epithelial cells (GECs). Glomerular epithelial cellular damage may lead to proteinuria in MCNS by decreasing the synthesis of polyanions such as heparan sulfate proteoglycan(HSPG) : these polyanions constitute most of the normal charge barrier to glomerular filtration of macromolecules such as albumin. This study evaluates the direct effect of supernatant of culture media of peripheral blood mono- nuclear cells(PBMC) which was isolated from children with MCNS to GBM HSPG mRNA expression in rats GEC. GEC were cultured until confluent. Supernatant of culture media of PBMC from each group of 3 chilren with MCNS, IgA nephropathy or normal healthy were added. Total RNA was extracted at 12, 24 and 72hrs after adding supernatant. RT-PCR using Rat Perlecan Domain-I(RPD- I) specific primers and beta-actin as internal controls was done. Densities and areas of GRM HSPG corresponding bands to beta-actin bands were measured. At 24 hrs, supernatant of culture media of PBMC from 3 children with MCNS caused 62, 70, and 75Vo reductions, respectvely, in GEC's GBM HSPG mRNA expression compared to normal children. However, supernatant of culture media of PRMC from 3 children with IgA nephropathy did not. In addition, reductions of GEC's GBM HSK' mRNA expressions caused by supernatant of culture media of PBMC from 3 children with MCNS were restored upto levels of normal children at 72hrs after adding supernatant. Mutant cDNA was synthesized as primers for competitive PCR to quantify GBM HSPG mRNA expression. Mutant template was 212 base pairs shorter than RPD-I, 497 base pairs. In conclusion, we found that supernatant of culture media of PBMC from children with MCNS reversibly suppressed GBM HSPG mRNA expression in rats GEC. This study suggests cytokines of PBMC from children with MCNS directly injures GEC and leads to decrease in synthesis of GBM HSPG by GEC in the pathogenesis of MCNS.

      • SCOPUSKCI등재

        Puromycin aminonucleoside로 유발된 흰쥐에서의 사구체 비후 및 경화증의 형태학적 변화

        고철우(Cheol Woo Ko),구자훈(Ja Hoon Koo),김승미(Sung Mi Kim),장희숙(Hee Suk Jang),홍인희(In Hee Hong),김용진(Young Jin Kim) 대한신장학회 2000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19 No.2

        N/A Purpose : This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serial morphological changes of rat's kidney with chronic puromycin aminonucleoside (PAN) nephropathy. Special emphasis was given to the occurrence of glomerular hypertrophy and its relationship to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FSGS). Methods: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00- 230g were used and divided into control(n=9) and experimental group(n=15). Rats were given subcuta-neous injections of PAN at a dose of of 2mg/100g body weight, or an equivalent volume of normal saline and six injection were given over a period of 9 weeks, at weeks 0, 1, 3, 5, 7 and 9. At weeks 4, 8 and 11, rats were sacrificed and kidney weight, kidney weight/body weight(%) and various laboratory tests including serum protein and albumin were determined. Renal tissues were prepared with Histo-choice fixative and paraffin embedding for morpho-logic study. Results : Kidney weight and kidney weight/body weight(%)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controls at 4, 8 and 11 weeks. Heavy proteinuria along with lowering of serum protein and albumin and elevation of serum cholesterol was seen in experimental group at week 4 and this change became more marked on weeks 8 and 11. The frequency of FSGS in experimental animal, at week 4, 8 and 11 were 0.6%, 10.6% and 26.2% respectively(p<0.05) and the development of FSGS was more marked in juxtamedullary glomeruli compared to cortical glomeruli. Glomerular surface area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experimental animals compared to controls(p<0.01), the percentage of increase being 12.0, 14.7 and 12.3% at week 4, 8 and 11. And the surface areas of juxtamedullary glo-meruli were larger than those of cortica1 glomeruli throughout the study period. Conclusion: In summary,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glomerular hypertrophy occurs and precedes the development of FSGS in rats with chronic PAN nephropathy and juxtamedullary glomeruli are more susceptible to developing FSGS compared to cortical glomeuli.

      • KCI등재후보

        소아 선천성 요로계 기형에 관한 고찰

        신원혜,고철우,구자훈,정성광,Shin Weon Hye,Ko Cheol Woo,Koo Ja Hoon,Chung Sung Kwang 대한소아신장학회 1999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3 No.1

        목 적 : 요로 기형은 선천성 기형중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며 조기 진단에 어려움이 많아 발견당시 이미 비가역적인 신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아에서 요로계의 선천성 기형의 임상상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진단과 치료 방법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 조사 대상은 1987년부터 1998년까지 10년간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선천성 요로기형으로 진단된 65명의 환아로 하였고 후천적으로 발생한 수신증과 방광요관 역류 등은 제외시켰다. 이들 환아에 대한 임상상과 치료 및 경과를 임상 기록을 토대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결 과 : 요로계 기형의 빈도는 신우요관 이행부 협착이 26례로 가장 많았으며 그외 중복 요로계 11례, 일측성 신무형성 10례, 방광요관 이행부 협착 7례 등의 순이었다. 이중 8례에서 한가지 이상의 요로계 기형이 동반된 복합 기형을 나타내었으며 11례에서는 선천성 심장병과 같은 타 장기의 기형이 동반되어 있었다. 진단 당시의 연령 분포는 1세 이하가 39명($60\%$)으로 가장 많았고 남녀 비는 2.25:1로 남아가 많았다. 내원시 주 증상은 요로 감염이 25례로서 가장 많았고, 그외 혈뇨, 복부 종괴, 패혈증, 복통, 배뇨 이상 등이 있었다. 산전 초음파검사로 발견된 경우가 11례였고 입원시 고질소 혈증을 보인 경우는 모두 9례로서 이중 4례는 신우요관 이행부 협착, 방광요관 이행부 협착 및 중복 요로계등의 요로계 폐쇄질환이었다. 수술적 교정은 총 73례의 기형중 38례에서 시행되었다. 고질소 혈증을 보인 폐쇄성 요로 기형 4례중 1년에서 5년까지의 추적관찰 기간중 2례에서 고질소 혈증이 소실되었으며 같은 추적관찰 기간중 새로이 신기능 저하를 일으킨 례는 없었다. 결 론 : 요로의 선천성 기형은 높은 빈도로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특이적인 증상을 나타내지 않아 조기 진단에 어려움이 많다. 그러므로 요로 감염, 복통, 배뇨 곤란 등의 증상이 있는 환아에서는 요로 기형의 존재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여야 하며 특히 산전 초음파검사의 광범위한 이용으로 요로 기형의 존재 여부를 조기에 진단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조처를 행함으로서 신장의 비가역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 Malformation of urinary tract is among the most common of all congenital anomalies and can progress to irreversible renal damage before diagnosis due to difficulty of early diagnosis.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urinary tract anomaly and to find out the most appropriate diagnostic and therapeutic measures for children with these anomalies. Methods : During the past 10 years from 1987 to 1998, review of medical records revealed 65 children with congenital anomaly of urinary tract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Results : The most common anomalies were ureteropelvic junction obstruction occuring in 26 cases ($36\%$), followed by ureteral duplication in 11 cases, renal agenesis in 10 cases and ureterovesical function obstruction in 7 cases. Complex anomaly of urinary tract was found in 8 cases and anomaly of other systems such as congenital heart disease was detected in 11 cases. The most frequent age group at the time of diagnosis was below 1 year of age constituting 39 cases ($60\%$) and male preponderance was noted as male to female ratio being 2.25:1. Presenting symptoms were urinary tract infection in 25 cases, followed by hematuria, abdominal mass, abdominal pain and voiding difficulty, etc, and in 11 cases, the anomaly was picked up by routine prenatal ultrasonography. Azotemia was noted in 9 cases and the underlying anomaly was obstructive uropathy in 4 out of these 9 cases. Surgical correction was undertaken in 38 cases (most frequently in cases of obstructive uropathy) and in 2 out off cases with obstructive uropathy in whom surgical correction was done, azotemia disappeared during follow up period of 1-5years. No new cases of deteriorating renal function appeared during follow-up period. Conclusion : In spite of high incidence of congenital malformation of urinary tract, early diagnosis is still hampered by nonspecific symptoms and signs. Therefore, in patients with symptoms such as urinary tract infection, abdominal pain and voiding problems, etc, it Is advisable to take various diagnostic tests promptly to pick up any urinary tract anomaly and to apply proper therapy in order to avoid progression to irreversible renal damage. In this regard, prenatal ultrasonography should be utilized more widely as a routine procedure to detect any urinary tract anomalies before birth.

      • KCI등재후보

        소아 특발성 신증후군에서의 cyclosporine A(Cipol-$N^{(R)}$)의 치료 효과

        홍인희,고철우,구자훈,김지홍,김병길,조병수,Hong Ihn Hee,Ko Cheol Woo,Koo Ja Hoon,Kim Ji-Hong,Kim Pyung-Kil,Cho Byoung Soo 대한소아신장학회 1999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3 No.1

        목 적 : 소아 특발성 신증후군에게 cyclosporine A(Cipol-$N^{(R)}$,종근당)를 투여하여 이의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하고 또한 기존의 cyclosporine A 제제를 사용한 치료 효과와 비교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대상 환아는 특발성 신증후군 환아로서 스테로이드 의존형(SD) 또는 빈발 재발형(FR) 39명과 스테로이드 저항형(SR) 3명으로 하였으며 이들에게 cyclosporine A를 1일 체중당 4-5mg을 경구 투여하고 스테로이드 제제 (prednisolone 혹은 같은 역가의 deflazacort)는 격일 요법으로 감량 투여하였다. 4개월의 조사 기간중 2, 4, 8, 12, 16주에 이들 환아에 대한 문진, 이학적 검사 및 각종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39명의 SD/FR NS 환아중 35명 ($89.7\%$)에서 16주간 관해가 지속되었으며 혈청 단백, 알부민, 콜레스테롤 및 24시간 뇨 단백은 치료 개시후 4주째에 정상 수치를 보였고 BUN, creatinine 및 24시간 뇨를 이용한 사구체 여과율은 16주간 변동 사항이 없었다. 3명의 SR NS 환아에서는 2명에서 완전 관해가 유도되고 지속되었으며 1명에서는 반응이 없었다. Cyclosporine A에 대한 부작용은 다모증이 8명, 고뇨산혈증이 5명에서 관찰되었으나 이로 인해 투약을 중지할 필요가 없었으며 기타 CBC, 간기능 검사, 혈압 등은 16주간 정상 소견을 보였다. 결 론 : 스테로이드 의존형, 빈발 재발형 및 스테로이드 저항형의 특발성 신증후군 환아에게 cyclosporine A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약제로 생각되며 본 연구의 다음 과제는 cyclosporine A의 장기 투여(1-2년)로서 얻을 수 있는 효과 및 약제의 안전성 (특히 신독성)여부를 확인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 This multicenter collaboratory study was conducted to see the therapeutic efficacy and side effect of cyclosporine A (Cipol-$N^{(R)}$, Chong Kun Dang) on children with idiopathic nephrotic syndrome who experienced frequently relapsing (FR), steroid dependent (SD), or steroid resistant (SR) pattern. Patients and methods : Thirty-nine children with SD/FR NS and 3 children with SR NS were enrolled in the study. After induction of remission (SD/FR NS) with steroid or after 4 weeks of steroid therapy (SR NS), cyclosporine A was started in a dose of 4-5 mg/Kg/day in two divided dose and steroid (prednisolone or equivalent dose of deflazacort) was tapered slowly. During 16 weeks of study period, monthly check up of physical examination and various laboratory tests including BUN, creatinine, Ccr and cyclosporine blood level were done. Results : Out of 39 children with SD/FR NS, 35($89.7\%$) maintained sustained remission and at 4 weeks after therapy, values of serum protein, albumin, cholesterol, and 24 hours urinary protein excretion showed normal values. Two out of 3 children with SR NS showed and sustained remission with cyclosporine A therapy. Side reaction to cyclosporine A therapy showed hypertrichosis in 8 cases and hyperuricemia in 5 cases. However, other laboratory tests including CBC, liver profile, BUN, creatinine and GFR (creatinine clearance utilizing 24 hour urine) did not show any abnormalities during the 16 weeks of study period. Conclusion : Cyclosporine A (Cipoi-$N^{(R)}$ Chong Kun Dang) can be utilized quite effectively on children with SD/FR or SR NS and further trial of cyclosporine A on long-term basis (1-2 year period) is needed to determine it's efficacy and side effect (especially nephrotoxicity) of long-term administration of cyclosporine A.

      • SCOPUSKCI등재

        소아의 B형 만성 활동성 간염에서 저용량 ${\alpha}$-Interferon과 Thymodulin의 병용 치료 효과

        최병호,고철우,Choe, Byung-Ho,Ko, Cheol-Woo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1998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 No.1

        목 적: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치료에 많은 항바이러스제와 면역조절 물질이 시도되었지만 현재까지는 ${\alpha}$-interferon만이 일정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 면역조절제 중에는 현재thymodulin 등의 면역증강 물질이 시도되어지고 있다. 저자들은 interferon 치료시 thymodulin을 병용하면 소아의 B형 만성 활동성 간염에 interferon 단독 치료보다 효과가 있는지를 조사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3월부터 1996년 2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였던 환아 중 6개월 이상 HBsAg과 HBeAg 및 HBV DNA가 양성(1+~4+)이고, 혈청 AST와 ALT치가 상승되어 있으며 간조직 검사상 만성 활동성 간염으로 확진된 환아 23명($9.8{\pm}2.8$세)을 대상으로 recombinant ${\alpha}$-interferon 300 MU($280\;MU/m^2{\pm}68$; 범위: $189{\sim}448\;MU/m^2$)를 주 3회씩 6개월간 피하 주사하였다. 그 중 10명에게는 thymodulin 60 mg을 매일 복용시켰고 13명은 ${\alpha}$-interferon만 투여하였으며 치료 종료 후 최소 12개월 이상 추적 검사를 하였다. 양군간의 모든 변수에서 통계학적 유의차는 없었다. 결 과: 1) 23명 전예에서 interferon 치료 중에 AST, ALT 및 HBV DNA의 감소가 있었고 12개월째 추적 검사상 9명(39%)에서 평균 3.1개월째에 HBeAg과 anti-HBe의 혈청전환 및 HBV DNA의 음전이 생겼으며 18개월째 추적검사에서는 이 중 2명에서 ${\alpha}$-interferon 중단 후 8개월과 9개월에 HBeAg이 다시 나타났고 또 다른 2명에서 추가로 혈청전환이 생겨서 전체적으로는 23명의 환아 중 11명(48%)에서 혈청전환이 생겼고 재발한 2명을 빼면 최종 성적은 9명(39%)이 된다. 2) 수직 감염이 있는 7례 중 2례(29%)에서 혈청 전환이 생긴 반면 수직 감염이 없는 12례 중 6례(50%)에서 혈청전환이 생겨 수직 감염 유무는 혈청전환과의 상관 관계가 밀접하다고 생각한다. 3) ${\alpha}$-interferon 치료 전의 ALT치가 정상치의 2배 이하인 경우 8례 중 3례(38%)에서 혈청전환이 있었는데 비해 2배 이상이었던 경우는 15예 중 8례(53%)에서 혈청전환이 있어서 ${\alpha}$-interferon 치료전의 높은 ALT치가 좋은 치료 효과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4) ${\alpha}$-interferon 치료 전의 HBV DNA가 3+ 이상이었던 경우는 12례 중 5례(42%)에서 혈청전환이 있었는데 비해 1+ 이었던 경우는 11례 중 6례(55%)에서 혈청전환이 있어서 ${\alpha}$-interferon 치료전의 낮은 HBV DNA가 좋은 치료 효과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5) B형 만성 활동성 간염 환아 23례 중 10례에게 thymodulin을 병용하여 투여하였으나 10례 중 5례(50%)에서 혈청전환이 있었으며 이는 대조군인 ${\alpha}$-interferon 단독 치료 시의 13례 중 6례(46%)와 비교할 때 통계적인 의의를 찾을 수 없었다. 결 론: 면역조절 물질인 thymodulin의 투여로써 숙주 면역계의 기능을 증강시켜 바이러스의 제거를 촉진하고자 소아의 B형 만성 활동성 간염에 ${\alpha}$-interferon 치료시 thymodulin을 병용하여 치료하였으나 ${\alpha}$-interferon 단독 치료보다 더 효과가 있다고 볼 수는 없었으며 향후 더 많은 환아를 대상으로 한 interferon과 다른 종류의 항바이러스제 및 면역조절제 등과의 병용 치료 연구가 더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ough many antiviral or immunomodulatory agents have been used in patients with chronic HBV hepatitis, interferon is considered to be the only effective therapeutic agent so far. Among immunomodulatory agents, thymodulin, the oral form of thymosin, is currently in clinical trial. We compared the efficacy of alfa-interferon therapy alone with a combined therapy of alfa-interferon and thymodulin in children with chronic active hepatitis B. Method: Twenty three children aged 4.4~13.7 years who were known to be positive for HBsAg and HBeAg in serum for at least 6 months and who had biopsy-proven chronic active hepatitis were given either combined therapy of alfa-interferon and thymodulin or alfa-interferon alone, and all children were HBV DNA positive in their serum at the beginning. Follow-ups have been done for at least 1 year after a 6 month course of therapy and clearance of viral replication markers has been evaluated. Results: 1) During follow up period, 11 (48%) children were seroconverted to anti-HBe and were cleared of HBV DNA from their serum. However, 2 of them relapsed after discontinuance of interferon therapy. 2) Seroconversion occurred more frequently among those who had not been vertically transmitted, had elevated serum ALT levels and low HBV DNA levels before interferon therapy. 3) There was no significant advantage of the combined therapy with thymodulin compared to interferon therapy alone. Conclusion: Combined therapy of alfa-interferon and thymodulin failed to demonstrate synergistic effect. We think that combination therapies of alfa-interferon with other antiviral or immunomodulatory agents need to be studied in order to achieve better therapeutic responses.

      • KCI등재후보

        영아에서 경련을 동반한 저칼슘혈증에 관한 연구

        김미정,고철우,구자훈,Kim Mi-Jung,Ko Cheol-Woo,Koo Ja-Hoon 대한소아신장학회 199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2 No.1

        목적 : 최근 6개월 이하의 영아에서 저칼슘혈증의 임상 경험의 예가 증가하여 이의 원인, 증세, 치료 및 임상 경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4년 2월 부터 1991년 4월까지 경북대학교 병원 소아과에 경련을 주소로 내원하였던 환아 중 그 원인이 저칼슘혈증으로 확인되었던 1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모두 6개월 이하였으며 평균 $2.2{\pm}1.1$개월이었다. 이들 환아의 병력지를 통하여 후향적으로 각종 검사를 분석하였다. 결과 : 이 환아들의 저칼슘혈증의 원인으로는 비타민 D 결핍이 8예였고, 무기인의 과다한 섭취가 3예였다. 경련의 양상은 전신성 간-근대성이 9예였고 부분 근대성이 2례였다. 경련의 지속시간은 30초에서 20분까지 다양하였으며, 경련의 횟수는 평균 6.5회였다. $Bonky^{(R)}$, 칼슘 단독 또는 병합 요법 후 혈청 칼슘은 치료 전 $6.3{\pm}0.9$ mg/dL서 치료 후 $9.9{\pm}1.7$ mg/dL로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고(P=0.0008), 혈청 ALP는 치료 전 $1,418{\pm}864$ U/L에서 치료후 $772{\pm}503$ UL로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P=0.0112). 입원 당시 iPTH은 $176.7{\pm}129$ pg/mL로 증가되어 있었고 3명의 환아에서 치료 이후 추후 검사상 정상 범위로 회복 되었다. 모든 환아에서 치료 전$25(OH)D_3$는 감소되어 있었으며 평균 $3.9{\pm}2.7$ ng/mL였고, 치료 후 1예에서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1,25(OH)_{2}D_{3}$는 6예 중 2예에서 감소되어 있었다. 결론 : 최근 비타민 D가 보강된 것으로 알려진 조제 분유 영양아에서 발생된 경련을 동반한 저칼슘혈증의 원인은 상당수에서 비타민 D 결핍이었으며 $1,25(OH)_{2}D_{3}$의 단기간 투여로 성공적으로 치료되었으며, 조제 분유 영양아에서도 저칼슘혈증의 원인으로 비타민 D 결핍을 반드시 생각해야 한다고 사료 된다. Purpose : Hypocalcemia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convulsion in infants. The causes of hypocalcemia are hypoparathyroidism, deficiency and metabolic abnormalities of vitamin D, or increased uptake of inorganic phosphorous, etc. We analyzed the causes, symptoms and signs, treatment, and clinical courses of hypocalcemia as, recently, there were many clinical experiences of hypocalcemic infants under age of 6 months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pook University Hospital. Objects and Methods : The authors observed 11 infants with hypocalcemia who had been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pook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of February 1992 to April 1997. Various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concerning causes, clinical courses and treatment of hypocalcemia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 (1) The sex incidence revealed male predominance with male to female ratio 4.5 : 1. The mean age at onset of symptoms was $2.2{\pm}1.1$ months old. (2) The causes of hypocalcemia were vitamin D deficiency in 8 cases and excessive inorganic phosphate intake in 3 cases. (3) All eleven patients manifestated convulsion which was generalized tonic-clonic in 9, and focal clonic in 2 cases. (4) Serum calcium concentrarion increased from $6.3{\pm}0.9$ mg/dL to $9.9{\pm}1.7$ mg/dL after therapy of $1,25(OH)_{2}D_{3}$ with or without calcium(P=0.0008), and serum ALP concentration decreased from $1,418{\pm}864$ U/L to $772{\pm}503$ U/L (P=0.0112). Serum iPTH levels were high in all 11 patients initially. All showed decreased $25(OH)D_3$ levels initially. (5) All patients were treated successfully with $1,25(OH)_{2}D_{3}$ and/or calcium supplement. Conclusions : Vitamin D deficiency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causes of hypocalcemia even in formula(known as vitamin fortified) feeding infants. Fortunately, they were successfully treated with $1,25(OH)_{2}D_{3}$.

      • KCI등재후보

        혈뇨를 동반한 소아 특발성 고칼슘뇨증에 관한 장기 추적 관찰

        이영석,신원혜,고철우,구자훈,Lee Young-Seok,Shin Won-Hye,Ko Cheol-Woo,Koo Ja-Hoon 대한소아신장학회 199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2 No.1

        목적 : 소아에서 전신 질환 없이 단독 혈뇨를 보이는 환이중에서 특발성 고칼슘뇨증의 빈도, 이의 임상적인 의의 및 장기적인 예후를 알아보고자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대상 환아는 전신 질환 없이 단독혈뇨를 주소로 경북대학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150례로 하였으며 고칼슘뇨증은 통상적인 식사를 취하는 동안 24시간 요칼슘배설이 4mg/kg 이상인 경우로 하였고 입원후 경구칼슘 부하검사를 시행하여 흡수형 흑은 신성으로 구분하였다. 모든 환아에서 입원시 및 추적 관찰 기간중 1년간격으로 초음파를 시행하여 신결석 유무를 확인하였고 또한 Dipstick을 이용하여 혈뇨 소실 여부를 추적 관찰하였다. 결과 : 대상 환아 150례중 44례 (29%)가 특발성 고칼슘뇨증으로 진단되었으며 정상 칼슘 배설군에 비해 여아보다 남아 (9:35)가 많았고 혈뇨 양상은 육안적 혈뇨가 현미경적 혈뇨 (37:7)보다 많았다 (P<0.05). 경구 칼슘 부하검사로서는 신성이 29례, 흡수형이 8례였으며 7례에서는 형을 결정할 수 없었다. 세 형간의 24시간 요중 칼슘배설량 및 각종 검사상 차이점은 발견 할 수 없었다. 3례에서 시행한 신조직검사는 모두 정상 소견이었다. 고칼슘뇨증 환아에서의 신결석의 발생은 4례 (입원시 2졔 및 추적 관찰 기간 $1{\sim}2$년에 2례)로서 10%의 빈도를 보였으며 신결석이 발생한 군은 발생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연령이 낮았으며 ($3.7{\pm}2.7\;vs\;7.2{\pm}2.9$ yr) 여아가 남아보다 많았다 (3:1 vs 6:34) (P<0.05). 24시간 요칼슘배설량 및 칼슘 부하검사에 의한 유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혈뇨의 소실은 추적 관찰 기간 $1{\sim}2,\;2{\sim}4,\;4{\sim}6$ 및 $6{\sim}8$년에 각각 56, 50, 66및 75%의 환아에서 혈뇨가 소실되었다. 결론 : 특발성 고칼슘뇨증은 소아의 혈뇨의 원인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을 알 수 있었으며 그러므로 반복성 혹은 육안적 혈뇨 환아에 대해서는 요중 칼슘 배설량 측정이 필수적인 검사로 생각된다. 또한 신장 결석 발생의 조기 진단을 위하여 정기적인 신초음파 검사가 필요하다 하겠다. 그러나 경구 칼슘 부하검사에 의한 신성과 흡수형의 구분은 임상적으로 큰 의의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관해서는 추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long-term outcome of children with idiopathic hypercalciuria. Study patients consisted of 150 children with isolated hematuria (recurrent gross or persistent microscopic), and hypercalciuria was defined as urinary calcium excretion over 4 mg/kg/day. During follow-up period up to $6{\sim}8$ years, serial check-up of renal sonogram for stone formation and Dipstick examination for hematuria were done. Forty-four (29%) out of 150 cases were diagnosed as idiopathic hypercalciuria, and in hypercalciuric children compared to normocalciuric children boys were more common than girls (9:35) and gross hematuria was more common than microscopic hematuria (37:7) (P<0.05). Oral calcium loading test showed renal type in 29 cases, absorptive type in 8 cases and in 7 cases type could not be definable. Among 3 types no differences could be found in 24 hour urinary calcium excretion and in clinical or laboratory data. Urolithiasis developed in 4 out of 44 cases (2 at the time of initial diagnosis and 2 within $1{\sim}2$ years of follow-up periods) and these children showed lower chronologic age ($3.7{\pm}2.7\;vs\;7.2{\pm}2.9\;yr$) and more girl than boys (3:1 vs 6:34) (P<0.05) compared to the rest of the hypercalciuric children. Follow-up urinalysis showed disappearance of hematuria in 56, 50, 66 and 75% of children at $1{\sim}2,\;2{\sim}4,\;4{\sim}6$ and $6{\sim}8$ years after initial diagnosis respectively. In conclusion,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idiopathic hypercalciuria is a major cause of isolated hematuria in children so that in these children 24 hour urinary calcium excretion test seems to be an essential test to be performed. And serial renal sonography should be done to detect development of nephrolithiasis. However, clinical significance of dividing hypercalciuric children into two pathophysiologically distinct subtypes by oral calcium loading test seems to be in doubt and further study is needed to solve this problem.

      • KCI등재후보

        소아에서의 요로감염과 방광요관역류에 관한 고찰

        임현석,박창로,고철우,구자훈,Lim Hyun-Suk,Park Chang-Ro,Ko Cheol-Woo,Koo Ja-Hoon 대한소아신장학회 1997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 No.1

        목적 : 소아기의 요로감염은 신손상을 유발하여 신반흔, 고혈압, 말기신부전증 등을 일으키며 요로감염에 흔히 동반되는 방광요관역류는 이와같은 신손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조사는 한국소아에서의 요로감염과 방광요관역류와의 관계를 밝히고 또한 신반흔 발생과의 관련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 대상 환아는 1990년 1월부터 1996년 6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요로감염으로 진단된 291례로 하였고, 신 초음파 검사, 경정맥 신우 조영술, 배뇨성 방광요로 조영술, DMSA 주사 등을 시행하여 방광요관역류 및 신반흔을 확인하였다. 역류의정도는 국제 소아 역류 조사팀에 의한 분류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대상환아는 남아 177례, 여아 114례로서 총 291례였으며, 1세이하에서는 남아 대 여아비가 134:42로 남아가 훨씬 많았고, 5세이상에서는 11:35로 여아에서 그 빈도가 높았다. 방광요관역류는 64례(22%)에서 관찰되었으며 1등급 4.0%, 2등급 3.0%, 3등급 2.7%, 4등급 5.8% 및 5등급 6.2%였으며 남녀의 차이는 없었다. 원인 균주로는 E.coli가 167례로서 가장 많았으며 방광요관역류의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합병증으로서는 신결석이 4례에서 관찰되었고 5등급 방광요관역 류 환아 4례에서는 내원당시 말기신부전증의 증세를 보였다. 방광요관역류의 경 중에 따른 신반흔의 빈도는 역류가 없었던 경우 1.2%, 1등급 6.7%, 2등급 27.3%, 3등급 29.4%, 4등급 57.1% 및 5등급 100%로서 총 582개의 신장중49개(8.4%)에서 반흔이 관찰되었으며 역류가 심할수록 이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연령에 따른 신반흔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를 요약하면 역류의 정도가 심할수록 신반흔의 빈도가 높으며 그러므로 소아에서의 요로감염과 방광요관역류의 조기발견 및 적절한 치료는 신손상을 예방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이라 하겠다. Urinary tract infection (UTI) in children has been known to be a cause of renal damage, leading to scar formation, hypertension and renal failure. And vesico-ureteral reflex (VUR), frequently accompanying UTI in young children, has been incriminated as the main factor causing scar formation. This retrospective study has been undertaken to see the relationship among UTI, VUR and renal scar formation.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291 children (boy 134, girl 42) with UTI, who have been admitted to the Pediatric Department of Kyungpook University Hospital during 6 1/2 year period from January 1990 to June 1996. VUR was diagnosed by VCUG and renal scar by ultrasonogram, DMSA scan (or DMSA SPECT) and IVP. The following result were obtained. Sexual difference showed male predominance (male to female, 134:42) below 1 year of age, and female predominance (male to female, 11:35) over 5 years of age were rioted. VUR has been found in 64 children (22%) and the degree of reflux, classfied by the method proposed by 'International Reflux Study in Children', were as follows ; Grade I : 4.0%, Grade II : 3.0%, Grade III : 2.7%, Grade IV : 5.8% and Grade V : 6.2%. There was no sexual difference E.coli was the most predominant infecting agent occurring in 167 children (57%), and end-stage renal failure was diagnosed at the time of first admission in 5 children with Grade V VUR. Renal scar has been noted in 49 out of 582 kidneys (8.4%), and the incidence of scar foram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VUR were as follow ; Grade 0 (No reflux) : 1.2%, Grade I : 6.7%, Grade II 27.3%, Grade III 29.4%, Grade IV : 57.1%, and Grade V : 100%. In summary, present study shows that renal scar formation in UTI has close correlation with the severity of VUR occurring more frequently in severe reflux, so that early diagnosis and proper treatment of UTI and VUR is of paramount importance in preventing renal damage in children with UTI.

      • KCI등재후보

        소아의 무증상성 일차성 혈뇨에 관한 고찰

        이정미,박우생,고철우,구자훈,곽정식,Lee, Jung-Mi,Park, Woo-Saeng,Ko, Cheol-Woo,Koo, Ja-Hoon,Kwak, Jung-Sik 대한소아신장학회 2000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4 No.1

        Purpose: This retrospective study of 126 children with symptomless primary hematuria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various histologic types by renal biopsy, clinical outcome according to the biopsy findings and also to find out feasibility of performing renal biopsy in these children. Patients and Methods :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126 children with symptom-less primary hematuria who have been admitted to the pediatric department of Kyung-poot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the past 11 years from 1987 to 1998 and renal biopsy was performed percutaneously. Hematuric children with duration of less than 6 months, evidences of systemic illness such as SLE or Henoch-Schonlein purpura, urinary tract infection, and idiopathic hypercalciuria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Results : Mean age of presentation was 9.2${\pm}$3.3 years (range ; 1.5-15.3 years) and male preponderance was noted with male to female ratio of 2:1. IgA nephropathy was the most common biopsy finding occuring in 60 children ($47.6\%$), followed by MsPGN in 13 ($10.3\%$), MPGN in 5 ($3.9\%$), TGBM in 6 ($4.7\%$), Alport syndrome in 2 ($1.6\%$), FSGS in 1 ($0.8\%$), and in 39 children ($30.9\%$), 'normal' glomeruli were noted. Recurrent gross hematuria was more common than persistent microscopic hematuria (84 versus 42), and especially in IgA nephropathy, recurrent gross hematuria was the most prevalent pattern of hematuria. In 58 out of 126 cases ($46.0\%$), hematuria was isolated without accompa-nying proteinuria and this was especially true In cases of MsPGN and 'normal' glomer-uli by biopsy finding. Normalization of urinalysis (disappearance of hematuria) in IgA nephropathy, MsPGN and 'normal' glomuli group were similar and it was $14\%,\;27\%\;and\;21\%$ respectively during 1-2 years of follow-up period, and $37.1\%,\;40\%\;and\;35\%$ respectively during 3-4 years of follow-up periods. However, abnormal urinalysis persi-sted in the majority of children with MPGN, TGBM. Alport syndrome and FSGS. Renal function deteriorated progressively in 6 cases (3 with IgA nephropathy, 2 with Alport syndrome and 1 with TGBM). Conclusion : In summary,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in 126 children with symptomless primary hematuria, IgA nephropathy was the most common biopsy findings followed by MsPGN, MPGN, TGBM, Alport syndrome and FSGS, and 'normal glomeruli' was also seen in 39 cases ($30.9\%$). Renal histology could not be predictable on the clinical findings, so that to establish appropriate long-term planning for these children, we would recommend to obtain precise histologic diagnosis by renal biopsy. 목 적 : 무증상성 일차성 혈뇨 환아를 대상으로 신생검을 시행하여 이들의 조직학적 검색과 추적 관찰을 통한 예후를 살펴보며 또한 이들 환아에 대한 신생검의 적합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대상 환아는 1987년부터 1998년까지 경북대학교 병원 소아과에 6개월이상 지속되는 반복성 육안적 혈뇨 또는 지속성 현미경적 혈뇨을 주소로 입원하여 신생검을 시행한 126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신질환의 소견, 요로감염, 특발성 고칼슘뇨증 등의 소견이 있거나 고혈압, 부종이 있는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대상환아의 126례의 연령분포는 1.5세에서 15.3세로서 평균 $9.2{\pm}3.3$세였으며 남아가 84례, 여아가 42례로서 남아가 2배가량 많았다. 조직학적 소견은 IgA신병증이 60례로 가장 많았고 그외 메산지움증식성 신염(MsPGN) 13례, 막증식성신염(MPGN) 5례, TGBM 6례, Alport증후군 2례, 국소성 사구체 경화증(FSGS)가 1례였으며 정상소견을 보인 경우가 39례였다. 질환에 따른 연령 분포는 IgA신병증이 $10.4{\pm}2.8$세, MPGN이 $10.4{\pm}3.3$세로 발병연령이 다소 높았으며 성별은 MPGN을 제외하고는 남아에서 호발하였고 특히 IgA신병증에서는 3:1의 비로 남아가 높았다. 혈뇨의 양상은 반복성 육안적 혈뇨가 지속성 현미경적 혈뇨보다 더 흔하였으며 (84:42)특히 IgA신병증은 반복성 육안적 혈뇨가 주된 양상이었다(43:17). 단백뇨가 동반되지 않은 단독혈뇨는 총 126례 중 58례였으며 특히 MsPGN이나 신조직검사상 정상소견을 보인 경우에서 단독혈뇨의 경우가 높았다. 추적 관찰기간중 혈뇨소실의 빈도는 IgA신병증의 경우는 1-2년이내에 $14\%$, 3-4년이내에 $37.1\%$였고, MsPGN의 경우는 1-2년이내에 $27\%$, 3-4년이내에 $40\%$였으며, 신조직검사 소견이 정상인 경우에는 1-2년이내에 $21\%$, 3-4년이내에서 $35\%$로서 세군 모두에서 비슷한 빈도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뇨검사소견이 정상화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MPGN, TGBM, Alport증후군, FSGS에서는 지속적인 뇨검사 소견의 이상을 나타내었다. 장기추적 관찰기간중 신부전증으로 이행한 경우는 모두 6례로서 IgA신병증 3례, Alport증후군 2례 및 TGBM 1례였으며 IgA신병증의 경우에는 3례중 2례에서 Hass subclassification IV 이상이였고 심한 단백뇨가 동반되어 있었다. 결 론 : 126명을 대상으로 한 무증상성 일차성 혈뇨 환아에서 시행한 신생검 조직소견은 IgA신병증이 가장 높았으며, 그외 MsPGN, MPGN, TGBM, Alport증후군등이 소수 있었고, 사구체가 정상인 경우도 $30.9\%$였다. 조직 검사상의 소견은 환아의 임상상으로는 추정할 수 없었으며 그러므로 환아에 대한 장기적인 관리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신생검을 시행하여 정확한 조직학적 병변을 확인함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