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 교사의 과학·AI융합교육 실천 동기와 인식

        신은혜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2 현장과학교육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tivation and perception of science teachers who practiced science·AI convergence education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science· AI convergence educa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science teachers who practiced science·AI convergence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LDA technique of topic model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motivation for practicing science·AI convergence education were classified into 4 topics and perception was classified into 6 topics. The topics of motivation were 'concerns of current science educ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positive perception of science, technology and information convergence trends' and 'attempt by interest or curiosity'. The topics of perception were 'useful for data analysis in science experiments', 'necessity of coding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valuation of AI as a teaching and learning tool', 'lack of research time for teachers', 'concerns about convergence curriculum', and 'necessity of a AI education platform'.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the difficulties and demands of science teachers who practiced science·AI convergence education were identified and future research was proposed. 이 연구는 과학 교사의 과학·AI융합교육 실천 동기와 인식을 조사하여 효과적인 과학·AI융합교육에 필요한 요소 및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 초·중·고등학교 과학·AI융합교육을 실천한 경험이 있는 과학 교사 15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토픽모델링의 LDA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과학·AI융합교육 실천 동기는 4개, 인식은 6개의 토픽으로 추출되었다. 동기에서 추출된 토픽은 ‘현 과학 교육에 대한 문제의식’,‘전문성 개발’,‘과학·기술·정보 융합 트렌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관심 또는 호기심에 의한 연수 참여’이었다. 인식에서 추출된 토픽은 ‘데이터 분석 과학실험에 유용’,‘초등학생 대상 코딩교육 필요’,‘교수학습 도구로서 AI에 대한 평가’,‘현장 교사의 연구 시간 부족’,‘정규교육과정 내 도입 방법에 대한 고민’,‘AI 교육 플랫폼 필요’이었다. 분석 결과를 통하여 과학 교사가 느끼는 과학·AI융합교육 실천 상의 어려움과 과학·AI융합교육 실천을 위한 요구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공유 문서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나타난 학생 담화의 특징 -인식 네트워크 분석(ENA)의 활용-

        신은혜 한국과학교육학회 202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4 No.1

        This study analyzed students’ discourse and learning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using Google Docs in science classes. The researcher, who is also a science teacher, conducted classes for 49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e classes included one using Google Docs and another using traditional paper worksheets covering identical content. Students’ discourse collected from each class was compared and analyzed using Epistemic Network Analysis (ENA). The findings indicated that in the class using Google Docs, the proportion of discourse related to task was higher compared to the traditional class. More specifically, discourse regarding taking and uploading photos was prominent. However, such discourse did not lead to peer learning as intended by the teacher. An analysis based on achievement levels revealed that the class utilizing Google Docs had a relatively higher proportion of discourse from lower-achieving students. Additionally,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types of utterances and connection structures between the higher and lower-achieving students. The higher-achieving students took a leading role in providing suggestions and explanations, while the lower-achieving students played a role in transcribing them, with this tendency being more pronounced in the class using Google Docs. Lastly, students’ changes in perception regarding the cause of static electricity were visualized using ENA.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strategies to enhance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Google Docs, including the use of open-ended problems to allow diverse opinions and outputs, and exploring the potential use of ENA to assess the learning effects of conceptual learning. 본 연구는 과학 수업에서 공유 문서의 활용이 학생의 담화 패턴과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학생들의 담화를 인식 네트워크분석(Epistemic Network Analysis)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49명의 중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 교사인 연구자 본인이 Google Docs 를 기반으로 제작된 활동지를 활용한 공유 문서와 동일 내용의 종이활동지를 활용한 일반 수업을 실시하고, 각 수업에서 수집된 담화를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유 문서 활용 수업에서는 일반 수업에비해 과제 수행과 관련된 발언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특히 사진 촬영과 업로드에 대한 담화가 두드러졌다. 그러나 이러한 담화가 교사가의도한 동료 학습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성취 수준에 따른 분석결과에서는 공유 문서 활용 수업에서 하위 수준 학생의 발언 비율이상대적으로 더 높았으며, 상위 학생과 하위 학생 간의 발언 유형 및연결 구조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상위 수준 학생이 의견과 설명제시를 주도하면 하위 학생이 이를 받아 적는 역할 분담이 관찰되었으며, 공유 문서 활용 수업에서 그러한 경향이 더 뚜렷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식 네트워크 분석으로 정전기의 원인에 대한 학생의 인식 변화를 시각화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유 문서를 활용하여 협력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의견과 산출물의 공유가 가능한 개방적 문제를 포함하는 전략과 인식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개념 학습 효과 확인 가능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EPLA(Electric Park Lock Actuator) System Safety Design Based on Vehicle Functional Safety Standard ISO 26262

        신은혜,김현희,이경창 한국산업융합학회 2023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Vol.26 No.2

        In this paper, we conduct a study on the design that can secure the safety of the EPLA system by performing safety activities based on the ISO 26262 standard for vehicle functional safety. In the case of a company developing a detailed system, it is responsible for verification through hardware design and safety analysis in the overall flow of safety activities, and safety analysis according to the ASIL safety level must be properly performed. At this time, there are cases where the safety goal quantitative metric value suggested by the ISO 26262 standard cannot be satisfied only by the hardware design of the basic function, so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install the safety mechanism. Based on ISO 26262 safety activities, it is possible to derive an effective design plan through hardware safety analysis.

      • KCI등재

        색소건피증환자의 각막 이형성과 POLH 유전자 변이 확인의 1예

        신은혜,임동희,김윤덕,우경인,한지상,박종은,정태영,기창석 대한안과학회 2019 대한안과학회지 Vol.60 No.4

        목적: 색소건피증환자의 각막 이형성과 유전자에 기반한 진단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2세 여환이 좌안 시력저하와 각막 혼탁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상환은 좌측 하안검의 바닥편평상피암종, 얼굴 피부의 신경섬유종, 악성 흑색종으로 수 차례 수술을 받은 과거력 있었다. 각막표면의 반복적인 병변과 함께 가지모양 궤양이 의심되어 항바이러스 치료를 시작하였으나 효과가 없었고, 단순포진 바이러스의 중합효소 연쇄반응검사는 음성이었다. 정기적인 외래 관찰하였으나, 좌측 각막윤부로 신생혈관이 발생하였으며 불규칙한 각막 표면을 보였다. 이에 각막상피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자가혈청 안약을 처방하였다. 이후 환자의 시력 및 각막 표면이 호전되었다. 각막 압흔검사상 각막 이형성 소견이 나왔으며, 전장유전체 염기 서열분석에서 POLH 유전자에 관해 두 가지 병원성 변이형과 하나의 유사 병원성 변이형이 검출되었다. 결론: 본 증례는 국내 최초로 색소건피증환자에서 눈꺼풀과 각막의 안과적 병변의 대한 기술과 치료 및 유전학적 진단 결과도 논하였다. 색소건피증환자에서 불규칙한 각막 표면에 대한 상피절제술과 자가혈청 안약의 사용이 시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Purpose: To discuss the clinical course and diagnosis of corneal dysplasia in a xeroderma pigmentosum patient based on a genetic evaluation. Case summary: A 42-year-old female visited our clinic for decreased left visual acuity and corneal opacity. She had undergone several surgeries previously due to the presence of basosquamous carcinoma in the left lower eyelid, neurofibroma, and malignant melanoma of the facial skin. The patient showed repeated corneal surface problems, with a suspicious dendritic lesion; however, antiviral therapy was ineffective, and herpes simplex virus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were negative. Despite regular follow-ups, the patient showed neovascularization around the corneal limbus and an irregular corneal surface. We performed corneal debridement with autologous serum eye drops for treatment. The patient’s visual acuity and corneal surface improved after the procedure. The impression cytology result was corneal dysplasia. In whole exome sequencing, two pathogenic variants and one likely pathogenic variant of the POLH gene were detected. Conclusions: This is the first genetically identified xeroderma pigmentosum case with ophthalmological lesions of the eyelid and cornea in Korea. Debridement of the irregular corneal surface and autologous serum eye drop administration in xeroderma pigmentosum could be helpful for improving visual acuity.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역할과 유아의 유치원 적응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

        신은혜,손강숙 한국발달지원학회 2015 발달지원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 역할과 유아의 유치원 적응, 어머니의 사회적 관계망이 어떠한 관 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어머니의 양육 역할과 유아의 유치원 적응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경 기도 소재의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 400명과 유아의 어머니 400명, 그리고 교사 14명을 대 상으로 양육역할 수행 척도, 유치원 적응 척도, 사회적관계망 척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 료를 바탕으로 측정 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 고,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 역할, 어 머니의 사회적 관계망, 유아의 유치원 적응의 세 변인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 역할은 유치원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사회적 관계망 중 친정어머니와 시어머니의 지지가 유치원 적응에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역할과 유치원 적응에서 어머니 의 사회적 관계망이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역할과 유아 의 유치원 적응에서 어머니의 다양한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적 영향력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