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무용동작유형별 피드백제공방식에 따른 동작수행 및 학습효과

        문영 국민대학교 종합예술연구소 2003 예술논총 Vol.6 No.-

        본 연구는 무용동작 학습시, 피드백 정보의 제공방식이 동작의 특성에 따라, 즉 무용동작의 주요한 두 특성인 기술적 동작과 표현적 동작에 따라 수행과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무용학습의 주요변인인 정보제공 문제와 관련된 경험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무용학 연구 영역에서 다소 미진한 과학적 접근, 구체적으로는 무용학습 이론의 잠정적 가설에 현장연구를 통한 해답을 제공하여 무용심리학 연구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이차적 목적을 지닌다. 그리하여 응용적으로는 무용학습 현장(학교 및 직업단체의 훈련과정)에서, 특히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훈련시스템이 요구되는 발레연습 과정 내에 포함된 일련의 동작 습득에 있어서 교사 또는 지도자로 하여금 학습자의 기술수준에 따른 적정한 동작 제시방법을 모색하게 하는 토대를 제공하여 단계적이고 효과적인 학습과 공연상황에서의 절정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데 그 연구목적을 둔다. 실험집단은 동작유형과 피드백 정보 제공방식에 따라 언어적 피드백-기술동작 집단(집단A), 언어적 피드백-표현동작 집단(집단B), 시각적 피드백-기술동작 집단(집단C), 그리고 시각적 피드백-표현동작 집단(집단D)의 네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기술통계적 수준에서 수행점수는 기술동작의 평균이 M=6.6이었고, 표현동작의 평균이 M=6.1로 차이를 보였고, 검사에 따른 변화는 사전검사(M=5.5), 사후검사(M=6.8)로 나타나 수행 후기에 점수의 변화가 컸으며, 제공방식에 따른 수행점수의 변화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한 기술동작 집단이(M=7.4) 가장 큰 폭으로 향상되었으며, 다음은 언어적 피드백을 제공한 표현동작 집단(M=6.5), 언어적 피드백을 제공한 기술동작 집단(M=5.8), 그리고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한 표현동작 집단 (M=5.7)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피드백 제공방식과 동작유형에 대한 밀접한 상호관련성을 시사하는 결과로서, 기술 동작의 경우에는 보다 정확한 오차수정을 위한 시각적 피드백이 유의미한 수행점수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표현동작의 경우는 그 동작이 요구하는 질적 요소를 파악할 수 있는 언어적 오차수정이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다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결과는 기준벙보 제시방법과 동작 유형과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를 지지하면서(김윤진, 1996), 기준정보와 피드백 정보와의 관련성을 더욱 공고히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문영 1998, 2000, 2001 : 박금자, 문 영, 1998). 피드백 제공방식과 동작유형에 따른 변화, 구체적으로 언어적 정보와 시각적 정보 제공에 따른 무용동작 유형별 수행점수 변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사후 동작수행점수에 대한 삼원 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검사에 따른 주효과가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검사에 따른 주효과는 피드백 제공방식과 동작 유형의 학습효과를 의미하는 연구로, 상기의 결과가 무용학습 현장에서 유의미한 결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acquisition of dance movement skill through experimenting the interactive effects of feedback information mode and movement type. Forty ballet dancers were required to practice ballet enchainement movements(battement tendu-adagio-grand battement-petit jete-grand jete) task in four different practice condition (visual feedback+technical movement, verbal feedback+technical movement, visual feedback+expressive movement, verbal feedback+expressive movement) during ten days. The experimental design was 2(feedback mode) × 2(movement type) × 2(test)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test. Pre-Post test performance scores was analyzed with three 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ain effects of feedback mod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main effect of movement type was not significant. 2) The main effect test was significant. 3) The interactive effects of feedback mode, movement type and tes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concluded to suggest that verbal feedback information for expressive movement and visual feedback information for technical movement have significant on dancers' acquisition of skill and thus, on dance performance; the using feedback information method is a factor to effective dance learning.

      • KCI등재

        청년 재직자 직업훈련의 기업규모별 노동시장 성과(임금·직무만족도·장기근속)

        문영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2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5 No.1

        First, the participation rate of vocational training was three times lower in SMEs (5.1%) than in large enterprises (18.3%). Secon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determinants of vocational training participation, large companies, high education, high wages, regular workers, union members, job satisfaction, and white colla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ir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wage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both SMEs (2.2%) and large enterprises (2.2%) had a positive effect. Fourth,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job satisfaction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nd the influence was greater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5.4%) than large enterprises (5.0%). Fifth,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longevity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fter 2 years of vocational training (t-2, t-3).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2011-2020)’과 ‘인적자본기업패널(2020)’자료를 사용하여 청년 재직자 직업훈련의 노동시장 성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 참여율과 1인당 훈련비용은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3배 이상 낮았으며, 대·중소기업 간의 직업훈련 참여율 격차는 청년 재직자(13.3%p)가 전체 노동자(11.5%p)보다 더 컸다. 둘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청년 재직자의 직업훈련 참여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대기업, 고학력, 고임금, 정규직, 노조원, 직무만족도, 화이트칼라 등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직업훈련의 임금효과를 추정한 결과, 중소기업(2.2%)과 대기업(2.2%)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직업훈련의 직무만족도 효과를 추정한 결과,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영향력은 중소기업(5.4%)이 대기업(5.0%)보다 컸다. 다섯째, 직업훈련을 받은 청년 재직자의 이직률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직업훈련의 장기근속 효과를 추정한 결과 직업훈련 2년 이후(t-2, t-3)부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청년 재직자의 직업훈련이 기업의 생산성과 노동자들의 근로조건(임금, 직무만족도, 이직률, 장기근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원 · 하청기업의 임금 격차 및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 공급측 요인과 수요측 요인의 종합적 접근 -

        문영만(Moon, Young-Man) 한국지역사회학회 2019 지역사회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원·하청기업의 임금 격차 및 결정요인을 공급측 요인뿐만 아니라 수요측 요인도 함께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Oaxaca-Blinder의 임금 격차 요인분해법을 활용하여 공급측 요인의 임금 격차 요인을 분해한 결과, 원·하청기업의 총임금격차는 47.5%였으며, 이 중 인적자본 등의 차이에 의한 임금 격차가 28.8%이고, 차별에 의한 임금 격차가 18.7%로 추정되었다. 임금 격차의 주요한 요인은 기업 규모, 근속연수, 학력 순이었으며, 비제조업보다 제조업에서 더 컸다. 둘째, 기업의 경영실적 등 수요측 요인의 임금 격차 요인을 분해한 결과, 총임금격차는 39.1%였으며, 이 중 기업특성 등의 차이에 의한 임금 격차가 32.2%, 차별에 의한 임금 격차가 6.3%로 추정되었다. 임금 격차에 미치는 영향력은 기업 규모, 부가가치 노동생산성, 노조, 외주비율 순으로 컸다. 셋째, 하청기업의 임금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공급측 요인은 남성, 연령, 학력, 노조, 근속연수 등의 변수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비정규직 변수는 부(-)의 영향을 미쳤다. 수요측 요인은 자본집약도, 연구개발비(t-3), 부가가치 노동생산성, 노조 변수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외주비율과 거래집중도 변수는 하청기업의 임금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원·하청기업의 임금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인적자본의 차이 등 공급측 요인뿐만 아니라 기업의 경영실적 등 수요측 요인도 함께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First, As a result of decomposing the total wage gap and factor of supply side factors using factor decomposition method of Oaxaca-Blinder, the gross wage gap of the flagship company and subcontractors was 47.5%. Among them, the wage gap due to the difference in human capital was 28.8%, and the wage gap due to discrimination was estimated at 18.7%. Second, the total wage gap was 39.1% as a result of decomposing the gross wage gap and factors due to demand side factors such as business performance. Among them, the wage gap was 32.2% due to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firms, The wage gap due to discrimination was estimated at 6.3%. Thir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wage determinants of the subcontractors, the supply side 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variables such as gender (male = 1), age, education, labor union, and years of service. The demand-side 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apital intensity, R & D expenditure (t-3), value added labor productivity, and unions. However, the outsourcing ratio and transaction concentration variables were negatively related to wages of subcontracto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인단체 운영 성과 및 한계점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문영,김지혜,이채식 한국장애인개발원 2022 장애인복지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ts performance and limitations through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and activity of disabled group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disabled groups in the future. The resultls of the research, literature analysis on the operation of groups for the disabled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group employee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disabled groups contributed to the promotion of independence and social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business operation centered on them. It was also found to be playing a pivotal role in improving the social integration and awareness of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On the other hand, the limitations of group operation include poor treatment and frequent turnover of workers, overload of work, lack of manpower, perception gap and discrimination between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workers, unstable financial status due to insufficient budget, and lack of an objective evaluation system for group operation. was pointed out a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plan for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successful disabled groups was suggested. 본 연구는 장애인단체의 운영 및 활동의 특성 분석을 통해 그 성과와 한계점을 도출하고, 향후 장애인단체의 운영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장애인단체 운영에 대한 문헌분석 및 단체 종사자 개별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인단체는 당사자 중심의 사업 운영을 통해 장애인의 자립 및 사회참여 증진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사회통합 및 인식개선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종사자의 열악한 처우와 잦은 이직, 업무과중, 인력 부족, 장애인 근로자와 비장애인 종사자간 인식 괴리 및 차별 대우, 부족한 예산으로 인한 불안정한 재정 상태, 객관화된 단체 운영 평가시스템 부족 등이 단체 운영의 한계점으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장애인단체 운영 개선 및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단체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 결정요인 연구 - 종사자 집단(장애인, 비장애인)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문영,이성규,김지혜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3 GRI 연구논총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terminants of their job stress by dividing workers working in organizations with disabilities into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workers.” Population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disability characteristic factors, 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s, public job characteristic factors, and individual job characteristic factor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the analysis, the ‘2021 Study on the Status and Operation Status of Disabled Organizations’ conducted by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Disabled was used, and 827 workers of disabled organizations, including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were analyzed in a multiple regression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fluence among the determinants of job stress of disabled workers was significant in the order of satisfaction with group culture and relationship within group, other work areas, organizational environment stability, group culture and group satisfaction, salary satisfaction, monthly salary, age, age, and operation. In other words, satisfaction with group culture and intra-group relationships in the disabled group was analyzed as a factor that had a decisive influence on job stress in the non-disabled group. 본 연구는 장애인단체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를 ‘장애를 가지고 있는 종사자’와 ‘비장애인 종사자’로 나누어 이들의 직무 스트레스에 있어 결정요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구사회환경적 요인, 장애 특성 요인, 개인 특성 요인, 공적 직무 특성 요인, 개별 직무 특성 요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장애인재단에서 수행된 ‘2021년 장애인단체 현황 및 운영실태 연구’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포함한 전체 장애인단체 종사자 827명을 다중회귀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단체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 결정요인 간 영향력은 장애인 종사자 집단의 경우 집단문화 및 집단 내 관계에 대한 만족도, 기타 업무분야, 조직환경 안정도, 월 급여수준 순서로 크게 나타났으며, 비장애인 종사자 집단에서는 직무만족, 조직환경 안정도, 집단문화 및집단 내 관계에 대한 만족도, 보수 만족도, 월 급여수준, 단체유형, 연령, 프로그램 운영 업무분야 순으로 검증되었다. 즉 장애인 종사자 집단에서는 집단문화 및 집단 내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비장애인 종사자 집단에서는 직무만족도가 직무 스트레스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노동문제에 대한 통계적 분석 : 패널데이터를 이용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노동조합 가입의향 결정요인

        문영만 ( Young Man Moon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3 산업노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데이터(6차~13차)를 병합하여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노조가입의 향 결정요인에 대해 ‘패널 로짓 확률효과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인 노조가입의향에 대해 정규직은 성별, 연령, 사업체 규모, 임금, 직무만족도, 노조만족도, 이직의사, 직종(생산기능직) 등의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비정규직은 연령, 학력(대학원졸), 사업체규모, 고용안정, 노조만족도, 이직의사, 직종(생산기능직) 등의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연령, 사업체규모, 노조만족도, 이직의사, 직종(생산기능직) 변수는 고용형태와 관계없이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에서 노조가입의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성별, 임금, 학력, 고용안정성 변수는 고용형태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변수별로 노조가입의향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기 위해 승산비를 분석한 결과, 정규직은 노조만족도(3.2배), 이직의사(1.9배), 성별(1.5배), 사업체규모(대기업1.5배, 중기업 1.3배) 순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비정규직은 노조만족도(3.6배), 사업체규모(대기업 3.0배, 중기업 2.0배), 이직의사(1.9배), 직종(생산기능직 1.8배)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비노조원의 노조가입의향을 높이기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노조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고용형태별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노조가입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나 비노조원의 24%가 노조가입의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잠재된 수요를 노조가입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노조가 없는 사업장에 노조를 적극적으로 공급함과 더불어 정규직노조의 가입범위를 비정규직까지 확장할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the regular and non-regular employees` willingness to join the labor unions by using the ``panel logit random effect model`` after comb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Data (KLIPS) (6th~13th). As for the willingness of joining labor unions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the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business size, wage, job satisfaction, union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job type (production and technical pos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gular employees, while the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 (graduate diploma), business size, employment stability, union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job type (production and technical pos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non-regular employees. While the variables such as age, business size, turnover intention, job type (production and technical pos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willingness of joining labor unions in both of the regular and non regular employees regardless of the employment type, the variables such as gender, wage, education, employment stability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mployment type.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dds ratio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each variable has effect on the willingness of joining labor unions, the regular employees were affected by the variables in the order of union satisfaction (3.2 times), turnover intention (1.9 times), gender (1.5 times), and business size (large businesses, 1.5 times; medium sized businesses, 1.3 times), while the non-regular employees were affected by the variables in the order of union satisfaction (3.6 times), business size (large businesses, 3.0 times; medium-sized businesses, 2.0 times), turnover intention (1.9 times), and job type (production and technical posts, 1.8 time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non-regular employees` willingness to join labor unions, there is a need to increase union satisfaction as a prior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ular and non-regular employees by employment type need to be considered. Additionally, it has been analyzed that 24% of the non-union members have the willingness to join labor unions although the rate of joining unions is continuously decreasing, In order to connect these potential demands to joining labor unions,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range of joining regular employees` labor unions to non-regular employees as well as providing labor unions actively for the workplaces without a labor un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