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Effect of High CO<sub>2</sub> Treatment and MA Packaging on Asparagus Quality and Shelf Life during Cold Storage

        ( Wang,L. X. ),( I. L. Choi ),( J. H. Lee ),( H. M. Kang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2019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31 No.2

        Oxygen transmission rate (OTR) films of 1,300 and 10,000 cc/m<sup>2</sup>/day/atm, perforated (P), micro-perforated (MP), and vacuum (V) films were investigated for suitability in maintaining the quality and prolonging shelf life of asparagus during cold storage. An additional investigation using 60% (v/v) carbon dioxide treatment (V + 60% CO<sub>2</sub>) was also performed. All samples lost fresh weight over time, P and V + 60% CO<sub>2</sub> had the highest and lowest fresh weight loss rate by the last day. Only 1,300 cc and 10,000 cc OTR films kept the asparagus at a marketable value, the least off-odor was detected in P, and the worst was in V + 60% CO<sub>2</sub> in final day. The V + 60% CO<sub>2</sub> resulted in lower firmness in asparagus tips, and the V resulted in the lowest firmness in stems. Although, little color changes happened in all treatments, the V + 60% CO<sub>2</sub> treatment had greater soluble solids content and hue angle. The highest ethylene concentration was detected in the V film. The CO<sub>2</sub> and O<sub>2</sub> levels of the 1,300 cc and 10,000 cc OTR treatments were more suitable for asparagus storage. In general, based on the visual quality, 1,300 cc and 10,000 cc OTR films were more effective for asparagus cold storage. To some extent, high CO<sub>2</sub> treatment exhibited a positive effect on maintaining internal quality, fresh weight and color of asparagus.

      • KCI등재후보

        재가 뇌졸중환자의 보완 대체요법 이용실태

        강현숙 ( Hyun Sook Kang ),김원옥 ( Won Ock Kim ),김정화 ( Jeong Hwa Kim ),왕명자 ( Myung Ja Wang ),현경선 ( Kyung Sun Hyung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2

        뇌졸중환자는 대부분이 편마비라는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으며 퇴원 후에도 장기적인 치료와 간호가 요구되므로, 특히 현대의학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보완대체 요법에 매우 관심이 높다. 본 연구결과,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대상자 가 69.2%로 나타났다. 이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Mok 과 Cho (2004)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71.6%와 유사하며, Yang 등(2004)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60.0%, Oh (2008) 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61.3%. Jin (2009)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55.4%, 각종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Lee와 Park (1999)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51.2% 보다는 높았다. 그러나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Lee과 Son (2002)의 보완대체 요법 이용률 77.5%, Lee, Kang과 Lee (1997)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80.6%, 노인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Park 등 (2003)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94.2% 보다는 낮았다. 이와 같 이 보완대체요법 이용률이 연구자마다 차이가 있는 것은 대상 질병, 대상자의 특성, 조사시기가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 되며, 무엇보다도 뇌졸중환자의 60% 이상이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고 있다는 것은 뇌졸중 환자간호에서 보완대체요법의 정의, 종류, 효과 등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보완대체요법의 이용유무는 나이, 성별, 배우자, 교육정도, 직업, 수입에서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Mok과 Cho (2004)의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였으나, Hong 과 Park (1999)의 연구에서는 성별과 직업Yang 등(2004)의 연구에서는 성별, Jin (2009)의 연구에서는 학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는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이것은 뇌졸중 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이용에 있어서 복잡 하고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라 사료되므로 앞으로 반복연구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연구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보완대제요법의 이용 유무는 진단, 발병 후 기간, 마비유무, 보완대체요법에 관한 교육경험 유무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물리치료 유 무, 일상생활동작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 결과는 Yang 등(2004)의 연구에서는 진단과 유병기간이 보완대체요 법의 시행여부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고 하여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으나 Mok과 Cho (2004)의 연 구에서는 선행질환, 재활치료, 일상생활기능에 따라 유의한 차 이가 있어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와는 상이하였다. 이것은 선행질환이 있는 경우,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일상생활에 도움이 필요한 경우에는 병의 정도가 중증이기 때문에 보완대체요법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재가 뇌졸중환자와 입원치료 중인 뇌졸중 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이용을 필요로 하 는 시점의 차이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앞으로 통일한 연구 도구를 이용하여 재가 뇌졸중환자와 입원중인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이용 현황을 비교·조사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에서 뇌출혈보다 뇌경색이더 이용 을 많이 하였고 Yang 등(2004)의 연구에서도 뇌경색에서 이용 을 많이 하여 유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을 볼 때 외과적 치료중심의 뇌출혈보다 뇌경색일 경우 보완대체요법이용에 치료효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보이며, 재가 뇌졸중 환자들은 발병 후 기 간이 2년 이상이고 마비가 있는 경우에 보완대체요법 이용을 유의하게 많이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뇌졸중이 뇌 조직의 특성상 일단 비가역적인 변성이 이루어진 이후의 회복은 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편마비 언어장애 및 치매 등의 섬 각한 후유장애를 남겨 사회적 복귀가 어렵고 치료 및 재활비용 등으로 사회경제적으로도 큰 부담이 되며(Saeki et al. 1994), 뇌졸중의 완치율이 10% 미만이어서(Lee & Park, 1999) 후유 증으로 인한 불편감을 안고 길게 투병해야하는 재가 뇌졸중 환 지들에게 계속적으로 의사에게 치료를 받고 있는 상태에서도 보조적이거나 대안적인 치료인 보완대체요법으로 관리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교육경험이 없는 재가 뇌졸중 환 자의 경우 보완대체요법 이용율이 높았다. 이것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교육경험을 조사한 타 연구가 없어서 비교 논의할 수 는 없으나 보완대체요법에 대하여 올바른 교육을 받지 않은 상 태에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는 것은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뇌졸중 대상자를 위한 올바른 보완대체요법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재가 뇌졸중 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이용 시기는 47.3%가 치료도중에 이용하여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Mok과 Cho (2004)의 경우 51.1% 가 치료도중 이용하였으며,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Park (2009)의 연구에서도 62.0%가 질병 초기에 이용하였다Yang 등(2004)의 연구에서도 처음 이용 시기는 발병 후 3개월 이내가 88.9%로 나타났다. 이것은 뇌졸중이 발병되고 응급치료 등이 끝나면 질병상태를 호전시커기 위해 한국인이 전통적으로 사용해왔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관련 정보를 활발히 수집하고 적극적으로 이용하게 되는 결과라 사료된다. 따라서 우리나라 국민 정서에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효율적인 간호중재로 개발 하여 뇌졸중 환자의 간호에 활용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한 기간은 1년 이상이 41.7%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대체요법 이용 기간이 평균 약 12개월이었다는 Oh (2008)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Mok과 Cho (2004)의 연구결과와 Jin (2009)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 이용 기간은 3개월 미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 타났으며(35.5%, 42.9%), Yang 등(2004)에서도 보완대체요 법 이용 기간은 59.3%가 3개월 이내로 본 연구 결과와 상이하였다. 이것은 급성기를 지나 재활단계에 있는 대상자가 회복에 대한 한계를 인식하고 영구적 장애에 대해 더 이상 나아질 수 없다는 생각에서 보완대체요법 이용 기간이 줄어들거나 경제 적 부담이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생각되나, 연구의 시기가 다르고 Oh (2008)의 연구에서도 병원치료를 받고 있으면서도 대체요법을 이용하고 있는 대상자가 45.0%임을 볼 때 장기로 요 양을 하고 있는 뇌졸중 환지를 중심으로 한 반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한 이유는 치료에 대한효과 기대’가 52.7%로 가장 많았다. 이 결과는 Mok과 Cho (2004)의 연구결과 43.2%가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 같아서," Yang 등 (2004)에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게 된 주증상은 “ 근력약화 와 마비”가 64.1%로 제일 많았으며 Jin (2009)의 연구에서 이 용 동기는 “병용하면 좋을 것 같아서" 68.2%, “질병을 낫게 하 기 위해서가 25.8%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동일하게 치료효과에 대한 기대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뇌졸중 환자의 경우 보완대체요법의 치료효과에 대한 기대가 높다는 것을 말하며 특히 만성질환자의 경우는 치료효과에 대한 기대가 더 절실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보완대체요 법의 이용은 현대의학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훌륭한 자연친 화적 요법으로서 대부분의 경우 질병치료의 효괴를 기대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보완대체요법을 알게 된 경로는 가족 24.4%, 이웃 20.4% 순 으로 많았다. Mok과 Cho (2004)의 경우 이웃 27.3%, 가족 25.2 % 순이었고Yang 등(2004)에서는 가족이나 친구의 소개가 45.3%, Jin (2009)의 연구에서도 가족이나 진지가 55.4%로 보완대체요법을 알려주는 사람이 환자와 가까운 사람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보완대체요법의 정확한 정보제공을 위해서 환자는 물론 가족과 이웃을 함께 보완대체요법 교육에 참여시 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한 후 느낌은 혈액순환이 잘된다’ 20.9%, ‘심리적으로안정된다 159%순이었다. 이 결 과는 Yang 등(2004)의 연구결과에서 “증상조절에 효과가 있었다”가 95.0%, “치료효과는 없었으나 심리적 안정이 되었다” 5%로 나타난 결과, Jin (2009)의 연구결과 “증상이 좋아졌다’ 39.4%, “심리적 안정이 되었다" 36.4%와 유사하게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그러나 Mok과 Cho (2004)의 경우 ‘효과가 없다’ 30.9%, 혈액순환이 잘된다’ 28.1% 순으로 효과가 없다 는 느낌이 우세하였으므로 본 연구결과와 차이가 있다고 본다. 이것은 보완대체요법 이용기간이 본 연구는 1년 이상이 가장 많고 Mok과 Cho (2004)는 3개월 미만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유추해 볼 때 효과를 비교하기에는 기간의 차이가 컸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향후 이용기간을 고려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 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이 양방치료보다 좋은 점은 “붐에 해가 없다”가 24.4%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정서적으로 안 정감을 준다" 16.4%, “몸을 보호해 준다" 12.9% 순이였다. Mok 과 Cho (2004)의 연구에서도 “몸을 보호해준다”가 31.7%, “심리적 안정감을 준다" 25.2%로 나타났고, Lee (1999)의 연구에 서 만성질환자들은 32.3%가 “몸을 보호해준다”,25.3%가 “심리적 안정감을 준다”라고 응답해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보완대체요법은 만성질환을 치료하는 수단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정통의료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플러스 효과를 기대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보완대체요법 종류는 한방요법(침, 폼, 부항, 한약)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식이 및 영양, 수기요법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Mok과 Cho (2004)의 연구에서 식이 및 영양요법, 수기요법 순 이었으며, Jin (2009)의 연구결과에서도 식이 및 영양요법, 한약 및 약초요법, 수기요법 순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Hong 과 Park (1999)의 연구에서도 우황청섬환, 침, 사혈, 한약의 순 서로 보완대체요법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난 젓과 유사 하다. 또한 Oh (2008)의 연구에서 대체요법에 대한 신뢰에서 특히 한방에 대한 신뢰가 많아 병원에서 퇴원하게 되면 한약이나 침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보완대체요법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과학적 근거 마련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재가 뇌졸중 환자들은 질병경험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더 적극적으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주로 치료도중에 사용하고 현대의학과 병행하고 있었으며, 치료효과에 대한 기대가 높고 인제에 무해하다는 생각을 나타냈다. 또한 가 족과 같이 환자와 가까운 사람이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이용자의 대부분이 올바른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이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재가 뇌졸중환자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간호요구를 충족시키기 위 해서는 보완대체요법에 관한 대상자의 요구를 파악하는 반복적 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의 결과는 재가 뇌졸중 환자를 위한 동서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use of the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CAM) in stroke patients, in order to provide the appropriate CAM information to patients recovering from stoke. Methods: Subjects were 201 stroke patients who were randomly selected from a health care center and a welfare center. Data from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collected from February to Apri1 2009 was analyzed using SPSSIWIN 12.0. Results: Subjects averaged 67.4-yr-of -age. Of the 201 subjects, 69.2% had used CAM. CAM u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iagnosis, duration of post stroke, paralysis, and education about CAM. CAM was used in the mid-portion of treatment by 47.3% of the subjects, and 41.7% used it for more than a year. Of those using CAM, 52.7% of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ir reason was the belief in the treatment`s beneficial effects. Of the subjects 89.2% reported most frequent use of oriental medicine. Conclusions: The majority of stroke patients surveyed frequently and continuously used CAM in their mid-period of treatment expecting positive effects.

      • Java Applet을 이용한 SNMP 망 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강건호,오양훈,송왕철 濟州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8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9 No.2

        The internet enables multivendor computer systems to join together so that many different models of network devices can co-exist with one another. These days a management program for a web-based SNMP network device is being developed by using web techniques such as HTML. Java Applet. etc. This paper proposes a user interface technique for managing a web-based network to provide static, dynamic, and interactive management information. He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user interface using the web-based technique of Java Applet. makes it possible for a manager to easily search and manage agent MIBs through a browser.

      • 서산·태안지역 민가의 배치 및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 Foused on the tradinal houses built from late-Choson to pre-1945- 조선후기에서 1945년 이전에 건축된 민가를 중심으로

        이강복,이왕기 牧園大學校 建築·都市硏究센터 1998 建築·都市環境硏究 Vol.6 No.-

        This study lays emphasis on the traditional houses built from the late-Chosun dynasty to pre-1945. The houses not losing original from heavily of unpublished traditional houses and the house of which the structural changes are not big, though there are some structural changes, have been investigated. While the study on the history of the traditional houses in Korea has been done abundant, the study in this area hasn't been given much weight. The traditional houses of Chungchong was largely classified into Chungbu type. There were "一" character type, "ㄱ" character type, "ㄷ" character type and "ㅁ" character type in the plan and the arrangement of Anchae. "ㄷ" character type and "ㅁ" character type was shown in the houses which had financial power. Five cross beamed structure with a high coloum and Pyung-Sa-Ryang(Four cross beamed structure) were general. The traditional houses in this area was Chungbu type but special type would be shown: for exampl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ppear in the house of Yoo Ki-sang and the house Yoo Jung-no located in Seosan City because both a carpenter of Chungchong-do and that of Seoul took charge of the construction.

      • 계룡산 중악단 실측조사 연구

        이왕기,이강복 牧園大學校 建築·都市硏究센터 1997 建築·都市環境硏究 Vol.5 No.-

        During the Chosun Dynasty there were many shrine buildings for the Royal family to perform an ancestral sacrifice. 'Choongakdan' in Mt. Kyeryong is the only shrine that remains until now. This article analyzed the data on the actual survey of many attached buildings in Chungakdan. This building stands close by Shinwonsa Temple. Therefore it looks like one of the attached buildings of the Temple. But Chungkdan is not temple but one of the shrines. Chungakdan has a small size but it was built symmetrically between right and left with the pivot in the center to make the atmosphere of the building more solemn as a shrine. The main building of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styles and techniques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The space structure of Chungakdan is the one peculiar to Korean space styles.

      • 連續性의 몇가지 形態에 關하여

        李旺律,姜信玟 慶尙大學校 1992 論文集 Vol.31 No.2

        S.V. Fomin 는 θ-連續函數를 처음으로 紹介했다. 1968年에 M. K. Singal은 A. R. Singal과 함께 連續函數보다는 弱한 새로운 連續函數인 槪 一 連續函數를 定議하고 그들은 모두 槪 一 連續函數는 θ-連續函數가 되는지 물었는데 그것이 성립한다는 것은 H. O. Kim와 F. J. Papp가 보였다. 그후 ,1980年에 T. Noiri는 강 θ-連續函數와 槪 一 連續函數사이에 있는 δ-連續函數의 存在性을 보이고, 그 또한 이 連續函數에 關한 많은 性質들을 調査하였다., 한편 B. M. Munshi와 D. S. Bassan는 超-連續函數를 紹介했으며, I. L. Reilly와 M. K. Bamanamurthy는 이 槪念에 關하여 또 다른 많은 性質을 求하였다. 本 論文에서는, 위에서 紹介한 여러가지 連續函數사이의 關係와 또 다른 性質에 關해서 硏究하였다.

      • 開發途上國의 外債現況과 償還能力 分析 : 한국을 중심으로 With Emphasis on the Korean Case

        李汪宰,姜錫寅 상명대학교 논문집 1986 상명대학교논문집 Vol.18 No.-

        External debt is not a new issue. Indeed, it has existed throughout history, but became more signficant internationally after the second World War because of the demand of funds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The oil crises of 1973-4 and 1979 exacerbated the external debt problem, particularly for oil-importing developing countries. Poland was the first country rescheduled in March 1981. By the end of 1983, total rescheduling rose to US$ 90 billion. Several factors contributed to the sudden expansion of external debt after the 1970s, First, while grants constituted the bulk of foreign aid after World War Ⅱ, the 1970s saw a shift of loans to developing countries. Second, before the 1970s, most foreign capital was used for internal purposes, while in the post oil crisis period, external purposes became more important. Third,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external debt after the oil crises made this issue an international problems, rather than a simple domestic issue. At the end of 1985, total developing countries' external debt stood at US$865 billion. Of this, 89%, or US$ 768 billion was borne by oil importing developing countries. The total developing countries' external debt in 1985 represented a 260% jump over its 1977 level. The Latin American region's debts made up 55.1% of the total, while Asian countries were responsible for 26.5%, showing the severity of the external debt problem in both regions. Indeed, developing countries' external debt has consistently worsened: in 1977, the external' debt to GNP ratio stood at 25%, but deteriorated to 36.4% by 1985; the external debt to export ratio worsened from 127% in 1977 to 150% after 1983; and the debt servicing ratio for these countries was 25.6% at the end of 1985. In this article, the writers have analyzed the external debt and debt service ability of the developing countries, giving special attention to the Korean case. In chapter Ⅱ, the developing countries' external debt status and the origins of the rapid expansion of worldwide external debt have been discussed. In chapter Ⅲ, Korea's external debt was focused, fully considering the structure of external debt. In chapter Ⅳ, the developing countries' debt servicing ability was analysed and the Korean case in particular closely looked at. In chapter Ⅴ, the writers concluded that Korea's external debt status is relatively good, compared with that of other developing countries. Thanks to Korea's foreign assets, the net foreign debt to GNP ratio at 40% is relatively stable. Short term debt constitutes less than 23% of total external debt. In addition, Korea's debt structure is well-balanced among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bank loans. Korea has also benefited from recent decline in international interest rates as 69% of her external debt is made in floating rates. Korea's debt service ability is also relatively good. Effective economic management has successfully promoted annual growth rates to 5-9%. Korea has benefited from favorable interest rates and the proportion of short-term debt in total debt has been held down. Korea's debt service ratio, including short-term debt is only 20% and Korea enjoys a relative high country credit in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s. Korea's balance of payments is also being improved as a result of increase in exports. On the domestic side, Korean citizens have positively supported the movement to reduce foreign debts. Korea, however, has no natural resources, and so is dependent on the external environment for economic growth. For this reason, Korea must continue to promote domestic savings and consumer's frugality in order to reduce external debt in the future.

      • Object Web 기반의 OSI 망 관리

        김강석,송왕철 濟州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8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9 No.2

        The Object Web translates the existing CORBA IDL into the Java language and uses IIOP for interaction between a client and a server under the exiting Web environment. The client and the server through the Object Web, do not use HTTP, a web protocol, but IIOP that is an inter-object communication protocol provided by the CORBA. This paper proposes an architecture which consists of a gateway. a CORBA manager and an OSI agent. The CORBA manager is based on Object Web and can manage MOs in the OSI domain. The gateway has a role to translate CORBA IDLs into CMIS service and vice versa. Hence, an OSI agent can be abstracted into a CORBA agent. In this architecture, any client with the Web browser can manage OSI MOs in distributed environment. The client can invoke the management operations through CORBA server after it download the Java applet from HTTP server.

      • 連續線型 k-within-m-out-n :F 시스템을 應用한 緊急斷電 狀況下에서의 信賴度分析

        유왕진,강희정 건국대학교 산업기술연구원 1998 건국기술연구논문지 Vol.23 No.-

        본 논문은 외적요인이 독립적이고, 지수분포를 따르는 도착시간을 갖는 긴급단전 상황하에서 연속선형 k-within-m-out-of-n:F 시스템을 응용하여 신뢰도분석을 하였다. 기본적인 가정으로, 해당 시스템의 모든 요소는 수리불가능하며, 고장간 평균 동작시간은 분석적으로 구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가정을 전제로 평균고장시간과 시스템의 유효도를 고려하였고, 추가로 수리가능 한 부품을 가진 시스템에 대해서도 제안하였다. 수치 예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유도한 공식들이 시스템의 신뢰도를 쉽게 구할 수 있음도 보여주었다. This research will deals with the model of a consecutive k-within-m-out-of-n : F system subject to common-mode forced outages, where the interarrival times of external events are independent and exponentially distributed. First, assume that the components of system are not repairable. Then, the mean operating time between failures is analytically derived. The mean failure time and availability of system are then considered. Furthermore, system with repairable components is also presented. Finally, numerical example shows that the system reliability can be easily found by using the derived formu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