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 영유아 대상과 장애위험/장애 영유아 대상 문제 행동 연구동향의 비교분석: 2010년-2017년 5월

        김태영 ( Kim Tae You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10년에서 2017년 5월까지 일반과 장애위험/장애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문제행동 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일반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 분야의 학술지 유형, 연구대상자, 연구유형, 연구주제 등에 대한 차이점과 공통점을 비교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논문 155편(일반 영유아 대상 논문 121편, 장애위험/장애 영유아 대상 논문 34편)을 분야별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일반 영유아 대상 논문은 2010년부터 다양한 학술지에 꾸준히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게재되어 온 반면 장애위험/장애 영유아 대상 논문은 연도별로 꾸준히 게재되었으나 학술지 분야가 협소한 경향을 보였다. 둘째, 일반 영유아 대상 논문의 연구 참여자는 주로 교사와 부모였으며, 장애위험/장애 영유아 대상 논문은 주로 영유아와 교사가 참여하였다. 영유아의 연령은 두 분야 모두 영아보다는 유아가 전반적으로 많았다. 연구유형은 일반 영유아 대상 논문에서는 조사연구를, 장애위험/장애 영유아 대상 논문에서는 단일대상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지역 및 장소는 두 분야 모두 서울 및 경기지역이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주제 동향은 일반 영유아 대상 논문에서는 부모나 영유아의 변인과 관련된 주제가 가장 많았으며, 장애위험/장애 영유아 대상 논문에서는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주제가 가장 많았다. 독립변인은 일반과 장애위험/장애 영유아 대상 논문 모두 긍정적 행동지원이 가장 많았으며, 종속변인은 모두 문제행동이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research synthesis on a total of 155 studies of problem behavior of young children with/at risk (34 studies) and without disabilities (121 studies) from 2010 to May, 2017. These studies were analyzed with trends of academic journals, participants, research method, districts/settings, research topics, and independent/dependent variables. The outcomes of research synthesis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both studies of young children with/without disabilities have been consistently published since 2010. However, studies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have been published in quite different types of academic journals while studies of young children at risk/with disabilities were published in limited types of academic journals. Second, participants of the studies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ere mainly teachers and parents while those of young children at risk/with disabilities were mainly themselves and their teachers. Participating children were mostly preschool age in both areas of studies. Studies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mainly used survey research while studies of young children at risk/with disabilities mainly used single subject design research. Districts of both studies were mostly Seoul and Kyeonggi-do. Third, topics of research studies of young children were mainly young children or their parents' variables related while these of young children at risk/with disabilities were positive behavior supports. Finally,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mainly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problems behavior were mainly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both studies.

      • KCI등재

        학습장애 위험이 있는 유아(幼兒)의 조기진단 및 중재 방안 탐색을 위한 시안 - 중재반응모형을 중심으로 -

        정광조 교육종합연구원 2012 교육종합연구 Vol.10 No.3

        In this study, I researched and described an early intervening system for young children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with response to intervention. For these, first I gathered young children' BASA(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 Reading) reading data in kindergartens and under achievement students' BASA reading data in elementary schools and in middle schools. And then, I compared young children' BASA reading data with under achievement students' BASA reading data in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to know whether reading fluency ability can separate young children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from other children. Also, I reviewed and analyzed Recognition & Response System for young children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and effective interventions which is for young children in kindergarten. As a results, I founded that reading fluency abilities can be separated young children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from children. And in the United States, Recognition & Response System was used for early intervening system for young children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Also, Direct Instruction reading programs and others was used for at risk children at kindergartens in the United States. Therefore, we need to apply Response to Instruction and research-based reading programs to early intervening system for young children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 KCI등재후보

        일반어린이집 장애위험영유아 보육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과 요구

        권은주,남미경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19 상담심리교육복지 Vol.6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childcare teachers regarding the childcare of at-risk young children in general day care centers and it aims to notify people of the need to provide systems and policies for the provision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services for at-risk young children. For this, it made a survey after precedent literature was studied and reviews were conducted by child education experts and conducted that survey on 237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general day care cente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ceptions of childcare teachers regarding the childcare of at-risk young children in general day care centers showed that there was great need for the individualized care of at-risk young children and that perception levels were high regarding the positive effects of integrated childcare of at-risk young children and nondisabled children and that they were also high regarding difficulties that have to be resolved. Second, survey results on the demands of childcare teachers regarding the childcare of at-risk young children showed the need for the expanded placement of specialized teachers of at-risk young children in general day care centers, assistant staff support, support with physical environments, and systems and policies that can resolve financial difficulties and also, the need to construct a system that can conduct individualized childcare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teacher to child ratio by age in classes where there are at-risk young children appeared to be high. 본 연구는 일반어린이집 장애위험영유아 보육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과 요구를 살펴보고, 장애위험영유아에게 특수교육지원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도와 정책마련의 필요성을 알리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반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직원 237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 고찰과 유아교육 전문가 검토를 거쳐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어린이집 장애위험영유아 보육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은 장애위험영유아를 위한 개별화 보육에 대한 필요성은 높게 나타났고, 장애위험영유아와 비장애영유아의 통합보육에 대한 긍정적 효과에 대해서 높게 조사되었고, 해결해야 할 어려움에 대한 인식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장애위험영유아의 보육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요구 조사 결과 일반어린이집에도 전문성을 갖춘 장애위험영유아 전담교사 배치를 확대하고, 보조인력에 대한 지원, 물리적 환경을 갖추기 위한 지원과 재정적인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제도와 정책 마련의 필요성, 장애위험영유아가 소속된 반의 교사 대 아동 비율을 연령별로 적합하게 조절하여 개별화 보육을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구축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장애위험 및 장애영아 대상 국내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김태영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research trend of thestudies targeting for young children at risk or with disabilities. A total of 41 studiesfrom 2001 to March, 2014 were found as appropriately met the inclusion criteria. Specifically, the analysis of the 41 studies is summarized into overall researchtrends, research topics, research methods, and variables of quasi-experimentalstudies and single- subject design studies. The outcomes of the research synthesispresented that studies targeting for young children at risk or with disabilitieswere published on relatively wide range of academic journals. Research studieswere divided into seven different topics but largely leaning on the topics related to‘development test’ and ‘language and communication.’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were largely used whil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limitedly used. Quasiexperimentalstudies and SSD were more likely to be focused on certain variablessuch as screening or assessment instruments and those related to language andcommunication skills. Therefore, research studies targeting for young children atrisk or with disabilities in the future need to be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developed as evidence-based research with a variety of research topics and methods. 본 연구는 장애위험 혹은 장애 영아를 대상으로 한 논문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국내영아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분석대상 논문은 2001년부터 2014년 3월까지 총 41편이 선정되었으며, 구체적으로 연도별 학술지 동향, 연구 주제, 연구 방법(연구유형, 연구참여자, 대상아동, 연구지역), 실험연구 및 단일대상연구 변인분석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장애위험 혹은 장애영아 대상 연구논문은 다양한 학술지(21개)에 발표되었다. 연구 주제는 크게 6가지로 나뉘어졌는데, 그 중 검사관련 주제와 언어 및 의사소통과 관련된 주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방법으로는 양적연구가 절대적으로 많았으며,질적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는 비교적 다양했고, 연구지역은 전국을 중심으로 많이 이루어졌으나, 전체적으로 서울 및 경기지역에 다소 편중된 경향을보였다. 마지막으로 실험연구와 단일대상연구의 변인분석 결과, 특정 독립변인(예, 검사도구)과 종속변인(예, 언어 및 의사소통 관련 결과)에 집중되어 있는 경향을 보였다. 향후장애위험 혹은 장애영아 대상 연구가 다양한 접근을 통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심도 있게수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영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해외 연구동향: 2011-2018년 10월

        김태영 ( Kim Tae-you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11년에서 2018년 10월까지 일반과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의 문제행동 관련 외국연구 동향(연도별 학술지, 연구 참여자 및 연구유형, 주제 및 연구유형별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바탕으로 같은 주제로 이루어진 국내연구 분석결과와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분석논문은 총 124편으로 모두 영문이었으며, 대부분이 미국 전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이었다. 분석결과, 첫째 연도별 학술지 동향을 살펴보면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21%)와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15.3%)에 영유아 대상 문제행동 관련 논문이 가장 많이 게재되었다. 또한 2011년에서 2016년까지 영유아 대상 문제행동 관련 연구가 꾸준히 활발하게 이루어지다가 2017, 2018년에 다소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참여자는 일반과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가 함께 참여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교사와 부모 및 가족의 참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의 연령은 유아기의 아동들이 가장 많았으며, 장애유형은 자폐범주성과 정서ㆍ행동장애가 가장 많았다. 연구유형은 조사연구(35.5%)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단일대상연구(13.7%)와 실험연구(12.9%)가 많았다. 셋째, 연구주제 동향은 중재, 특히 긍정적 행동지원(PBS)을 활용한 연구가 37.9%로 가장 많았으며, 문제행동이 영유아의 발달이나 학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제(13.7%)도 비교적 많았다. 실험연구와 단일대상연구의 독립변인은 모두 PBS가 많았는데, 특히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에서 총 17편 중 12편이 PBS를 사용하였다. 종속변인은 모두 영유아의 문제행동이었는데, 일부 교사나 부모의 중재실행이 포함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research synthesis(trends of academic journals, participants, research method, research topics, and independent/dependent variables) of foreign countries on challenging behaviors of young children from 2011 to October, 2018. Results of the research synthesis of foreign countries was compared with them of domestic research synthesis on the basis of commonness and differences. A total of 124 studies, which were all written by English was analyzed and most of the studies were published in peer-reviewed academic journals of USA. The outcomes of research synthesis were presented in the following. First, studies of young children with challenging behaviors were mainly published in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21%) and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15.3%). The studies were actively researched from 2011 to 2016, however turned to decrease in 2017 and 2018. Second, participants of the studies were mainly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cluding those at risk and their teachers and parents. Participating children were mostly preschool age. Among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and emotional disorder participated in the highest rate of the studies. The studies mainly used survey research(35.5%), single subject design(13.7%), and experimental research(12.9%). Third, topics of the studies were mainly about early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challenging behaviors, particularly positive behavior supports(37.9%) and effects on development and learning of young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s(13.7%). Finally, studies of SSD(12 of a total of 17 studies) and experimental research mainly used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se studies all used challenging behaviors as a dependent variable and many of them used treatment fidelity of teachers or parents.

      • KCI등재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 대상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연구의 질적 지표 반영 분석: 2011-2021년

        김태영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research studies’ quality indicators that implemented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a disability and at risk. A total of 42 studies including 28 single subject studies, 9 quasi-experimental studies, and 5 mixed studies from 2011 to 2021 were found as appropriately met the inclusive criteria. Single subject studies were reviewed based on quality indicators that were suggested by Horner et al.(2005) while quasi-experimental studies were reviewed based on them by Gersten et al.(2005). The findings of research synthesis presented that most of SSD studies met the criteria of the quality indicators except result of generalization. Quasi-experimental studies included information of participants, research settings, and intervention implementation while several studies did not include explanation of comparative group, and result measurement. Therefor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to address generalization results for SSD studies and several important quality indicators for quasi-experimental studies in order to provide evidence-based research. 본 연구는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 대상 긍정적 행동지원을 적용한 중재연구의 질적 지표 반영을 분석하여 증거기반의 중재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2011년부터 2021년까지 관련 주제의 중재연구는 총 42편이었으며, 단일대상연구가 28편, 실험연구가 9편, 단일대상연구와 실험연구가 혼합된 연구가 5편이었다. 단일대상연구는 Horner와 동료들(2005)이 제시한 질적 지표를 기반으로 분석하였으며, 실험연구는 Gersten과 그의 동료들(2005)이 제시한 질적 지표를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최근 10여 년 동안 단일대상연구를 한 연구 33편은 질적 지표 중 일반화에 대한 결과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표가 명시되었거나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연구를 한 14편의 연구는 연구참여자나 장소, 중재실행에 대한 지표는 잘 반영되었으나 비교집단 조건이나 결과측정에 대한 지표가 적절히 반영되지 않는 연구가 다수 있었다. 따라서 후속 단일대상연구는 보다 증거기반의 연구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일반화도 함께 검증할 필요가 있으며, 후속 실험연구는 실증적인 연구에 충족할 수 있는 항목들을 좀 더 엄격하게 반영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증거기반의 반복연구 분석: 국내 특수교육 분야의 학령전기 장애 및 장애위험 아동 대상 중재연구

        김태영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논총 Vol.36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plication research studies for appraising evidence-based practices of intervention studies targeting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or at risk and their families. Method: This study applied the systematic review procedure that used by previous studies(Banerjee et al., 2018; Cook et al., 2016) in order to analyze intervention studie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ECSE) and special education(SE). 1,228 articles in six journals of ECSE and SE from 2015 to March of 2020 were reviewed to investigate intervention studies. Results: From the 89 identified intervention studies a total of 45 replication research studies were met the criteria for replication.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ype of replication research(direct or conceptual), rates of findings comparing with previous studies, overlap author(s), and research design of 45 replication research studies. In results, all of the replication research studies were conceptual replications and most of the replication research studies have similar findings with them of previous studies. The rate of overlap author(s) of replication research studies was 51%. Identified intervention studies used group experiment design and single-subject design and the replication research studies used single-subject design(58%) more than group experimental design. Conclusion: Based on clear understanding of replication research. we need to specify replication procedures and systematically implement them to provide evidence-based practices in the future.

      • KCI등재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이 장애위험영아와 장애영아의 발달변화에 미치는 영향

        장혜성,서소정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2 특수교육 Vol.11 No.1

        본 연구는 진단·평가와 연계하여서 조기중재를 가능하게 하는 교육과정중심평가(CBA)인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을 활용하였을 때에 장애위험영아와 장애영아 발달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고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영아는 장애위험군 영아 실험집단 8명, 비교집단 9명, 장애영아 실험집단 12명, 비교집단 12명이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검사는 「DEP 영아선별·교육진단검사」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은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을 사용하여서 16주간 조기중재를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비교집단 영아들이 재학하고 있는 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는 조기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을 활용하였을 때에 장애위험영아와 장애영아의 발달변화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을 적용한 장애위험군 영아집단과 장애영아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더 많은 발달변화를 보였다. 셋째, 장애위험영아와 장애영아 발달점수의 차이를 비교해 보면, 장애위험군 영아집단보다 장애영아집단의 발달변화가 훨씬 많았다. 넷째,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을 적용한 장애위험군 영아집단의 의사소통영역이 타 영역에 비해서 가장 발달변화가 많았다. 연구결과를 통해서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이 장애위험영아와 장애영아의 발달에 효과적인 교육과정이라는 것을 검증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로서 선정하기 쉽지 않은 3세 미만의 영아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고, 교육현장에서 1학기 이상의 기간에 「DEP 조기중재 교육과정」을 적용하였다는데 큰 의의를 둘 수 있겠다. It is researched in this study that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young children at risk can be effected when “DEP early intervention curriculum" is used. Eight young children at risk of experiment group with nine children of control group, and twelv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experiment group with twelve children of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DEP development assessment” is used for pre-test 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Experiment group was trained with “DEP early intervention curriculum” for 16 weeks. There are four research results. First, young children at risk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meaningfully improved when “DEP early intervention curriculum” was used. Second, young children at risk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rained with “DEP early intervention curriculum” were more improved than control group. Thir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group were more improved than young children at risk, Fourth, communication skills of young children at risk trained with “DEP early intervention curriculum” were improved more than other skills.

      • KCI등재

        보육교직원의 다문화가정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탐구

        이춘영,이재욱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보육교직원들의 다문화가정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경험을 심층 분석하여 보육현장에서 요구하는 지원방안을 탐구하고자 근거이론 방법으로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중심현상은 다문화가정 영유아 지원 상황이며, 다문화배경으로 인한 발달지연과 의사소통 문제 지원의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인과적 조건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 및 한국문화적응의 어려움으로 인한 자녀양육의 어려움이다. 셋째, 맥락적 조건은 다문화가정 영유아의 특징, 가정환경, 부모의 특징, 아버지 고유의 특징들이 작용하여 보육의 어려움으로 작용하였다. 넷째, 중재조건에는 보육교직원들의 기관차원의 노력과 더불어 다문화 전문성 강화이다. 다섯째, 작용/상호작용에서 성공적인 다문화가정 영유아 보육요건으로는 가정연계 협력적 지도, 문화적 특성이해, 전인적 관점의 이해가 필요하며, 영유아지원 개선에서는 교사전문성 강화, 기관차원 지원, 지역사회 협력지원방안이 필요하다. 마지막 결과에서는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 기틀 마련’이라는 핵심범주를 도출함으로써 보육교직원들은 다문화가정의 영유아 보육의 어려움을 극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upport methods required in the field of child care by analyzing in-depth experience of child care staff suppor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entral phenomenon is the situation of supporting infants and toddl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it is difficult to support developmental delay and communication problems due to multicultural background. Second, the causal condition is the difficulty of raising children due to the difficulty of Korean language ability and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of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toddl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home environment,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s,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fathers, which served as difficulties in child care. Fourth, the intervention condition is the strengthening of multicultural expertise along with the efforts of the institutional staff of childcare staff. Fifth, as for the requirements for successful child care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action/interaction, it is necessary to have cooperative guidance in family connection, understanding of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understanding from a holistic perspective, and for the improvement of child care suppor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eacher expertise, institutional support, and community cooperation support measures. In the last result, the core category of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growth as a healthy social member’ was derived, and the childcare staffs overcame the difficulties of childcar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문제해결전략중심 양육지원 프로그램이정서․행동장애 위험유아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인식, 양육 효능감, 양육 스트레스,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지원,박지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8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8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parenting support program based on problem solving strategies on child impact on family,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A total of 22 mothers who had 4-5 year-old children at risk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ttending preschools located in Seoul, Kyunggi, and Incheon participated in the study (11 experimental and 11 control group). The program, composed of 12 sessions, included activities such as watching video clips on problem situations, searching solutions using problem solving strategies, conducting role-play and discussion. After each session, individual coaching was provided to make sure mothers utilized what they have learned from the session and answer their question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hild impact and parenting efficacy between groups, but no difference was found in parenting stress. Interactions behaviors of both mothers and children were all improved after intervention. Finally, discussions of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posed.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전략 양육지원 프로그램이 정서ㆍ행동장애 위험유아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인식, 양육 효능감, 양육 스트레스,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경기, 인천에 위치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4-5세 정서ㆍ행동장애 위험유아와 어머니 22쌍이었다(실험집단 11쌍, 통제집단 11쌍). 12회기로 구성된 중재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 참여자는 회기별로 정해진 문제 상황 예시 동영상을 보고 문제해결전략을 활용하여 해결책을 찾고, 역할극 및 토론에 참여하였다. 또한 각 회기에서 학습한 전략을 가정에서 직접 자녀에게 적용해 보고 그 결과를 개별 코칭을 통해 피드백 받았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 어머니들의 자녀에 대한 인식, 양육 효능감은 통제집단과 비해 유의하게 증진되었고 양육 스트레스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집단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은 사전-사후 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과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