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을 통한 바이럴 마케팅에 대한 규제 - 표시광고법을 중심으로 -

        손봉현 한국경제법학회 2017 경제법연구 Vol.16 No.1

        In recent years, viral marketing, which can reduce consumers’ rejection of advertising and gain high promotion effect at low cost, has been prevalent. However, viral marketing through the internet has made it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advertisement and information, It is also abused as a deceptive marketing tool or malicious marketing tool for competitors. The biggest problem of viral marketing is that it is a deceptive advertising. This is because the postings that are received at economic cost are recognized as third-party opinions irrelevant to the advertiser, thereby affecting consumer choice and it concealing the fact that economic interests exist.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examines the basic contents of viral marketing and the regulations of each country,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regulation of the current law. First, in order to clearly recognize the fact that viral marketing is a commercial message,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the standard label of the economic connection in a unified format and to display it on the top of the postings. And it is pointed out that a third party such as an advertising agency, recommender, or guarantor can bear legal liability in the event of special circumstances, and that corrective order and Temporary Suspension Orders must be activated as a countermeasure against malicious viral marketing. To solve the viral marketing problem effectively, it was proposed to establish basis for self-regulation of private organizations and to support self-regulatory activities for supplement public and ex-post regulations. Through this system improvement, it is expected that accurate information will be provided to consumers and fair competition will be achieved in viral marketing centered on high quality contents. 최근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적은 비용으로 높은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바이럴 마케팅이 성행하고 있으나, 인터넷을 통한 바이럴 마케팅은 사업자의 광고와 제품 등에 대한 정보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며, 기만적이거나 경쟁사업자에 대한 악의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악용되기도 한다. 바이럴 마케팅의 가장 큰 문제는 경제적 대가를 받고 작성된 게시물을 광고주와 무관한 제3자의 의견으로 인식시켜 소비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고, 경제적 이해관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은폐하는 기만적 광고행위라는 점에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논문에서는 바이럴 마케팅에 대한 기본적 내용과 각국의 규제현황을 살펴보고, 현행 법 해석과 관련한 규제의 개선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바이럴 마케팅이 상업적 메시지라는 사실을 명확히 인식시키기 위하여 경제적 이해관계의 표시문구를 통일된 형식으로 지정하고, 이를 게시물 상단에 표기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광고대행업자나 추천․보증인과 같은 제3자도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 법적 책임을 부담할 수 있다는 사실과 악의적 바이럴 마케팅으로 인한 대책으로 표시광고법상 시정명령․임시중지명령 제도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바이럴 마케팅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민간기구의 자율규제에 근거를 마련하고 자율규제 활동을 지원하여 공적․사후적 규제를 보완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제도 개선을 통하여 소비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바이럴 마케팅에서도 양질의 콘텐츠를 중심으로 공정한 경쟁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보험회사의 SNS마케팅활동과 바이럴마케팅과의 관련성 연구

        김선규,이정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1

        This study explores an effective SNS marketing communication method in a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based on the SNS community and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marketing and viral marketing. By examining the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proposes the hypothesis with some factors such as information itself factors (information offer and inform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offer factors (information reservation, newsletter), and information verification factors (feedback) and examines the hypothesis by considering the interrelationship with the viral marketing factors such as the increase in information posted and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posted.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some factors such as information offer, newsletter, and feedback have an effect on the viral marketing, but others such as information promotion and information reservation do not have an impact on the viral marketing. It also reveals that the viral marketing factors affects the factors like the increase in the information posted and the expansion of the information posted. In conclusion, SNS marketing communication in insurance companies needs to be informative, diverse and consistent in information offer as well as the method of information offer. To effectively achieve a marketing goal, a policy should be implemented to expand the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Especially, a method to connect with the viral marketing is to be considered and administered constantly to achive a goal. 본 연구는 SNS사회로의 변화된 경영환경 안에서 보험회사의 효과적인 SNS마케팅커뮤니케이션 방법론을 살펴보고 이를 바이럴마케팅과의 관련성을 찾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에 선행연구를 통해 마케팅커뮤니케이션 구성요인으로 정보 자체요인(정보제공, 정보홍보), 정보 제공요인(정보예약, 뉴스레터), 정보 검증요인(피드백)으로 구성하고 이를 바이럴마케팅 구성요인으로 선정한 게시물 증가와 게시물 확산 요인과의 관련성을 가설을 통해 검정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정보제공, 뉴스레터, 피드백 요인은 바이럴마케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홍보와 정보예약 요인은 바이럴마케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바이럴마케팅간의 요인이 게시물 증가와 제시물 확산 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험회사의 SNS마케팅커뮤니케이션은 정보제공에 충실하고 정보제공 방법의 다양화 및 지속화에 힘써야 할것이며 고객과의 의사소통확대를 위한 정책을 실시해야 만 효과적인 마케팅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이를 통해 바이럴마케팅과의 연계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실시해야만 그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중국 인터넷 스타 마케팅의 바이럴 마케팅적인 성향

        윤을요 ( Yun Eul-y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0 No.-

        인터넷 기반의 전자상거래가 급성장하면서 중국의 인터넷 스타(왕홍) 마케팅은 많은 기업들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중국 전자상거래에 영향력 자로 부상하고 있는 왕홍(인터넷 스타) 마케팅에 관한 연구이며,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스타 마케팅의 바이럴 마케팅적인 성향 파악에 중점을 두었다. 실시간 방송과 블로그에서 활동하면서 시청자와 팔로워를 실 구매자로 이끄는 인터넷 스타(왕홍) 마케팅은 이미 중국 마케팅 부문에서 상당한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중국의 온라인 시장에 진출하려는 우리기업에게도 유용한 마케팅 수단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경색된 중국과의 무역관계에 있어서도 중국 소비시장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반드시 지속되어야 할 부분이며, 본 연구가 왕홍 마케팅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s Internet-based e-commerce has grown rapidly, many companies have been focusing on Internet Celebrities(Wanghong) marketing in China. Wanghongs introduce product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their supporters, and their supporters who accepted the information are naturally converted to consumers and help sales growth of companies. This study focuses on marketing by Wanghongs (Internet celebrities) who have recently emerged as an influencer in Chinese e-commerce and aims to examine the tendencies of Wanghong marketing from the perspective of viral marketing. Wanghong marketing that persuade viewers and followers to become actual purchasers by developing activities in real-time broadcasting and blogs has been already highly recognized in Chinese marketing. In addition, Wanghong marketing can be a useful marketing tool for Korean companies that try to enter the Chinese online market. Thus, there is a strong need to continue to have an interest and studies on the Chinese consumption market even in the current stagnated trade relations with China.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eline data on Wanghong marketing.

      • KCI등재

        The Impact of Government Regulations on Consumers Behaviour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Case Study in Indonesia

        Sri Setyo IRIANI,Dian Anita NUSWANTARA,Ajeng Dianing KARTIKA,Purwohandoko PURWOHANDOKO 한국유통과학회 2021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 Vol.8 No.4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xamine whether government regulation on Covid 19 pandemic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in economic sectors, particularly on consumer behavior. Thus there are three hypotheses, 1) viral marketing has an effect on online trus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ra, 2) viral marketing has an effect on impulse buy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ra, and 3) Viral marketing has an effect on impulse buying in the Covid-19 Pandemic Era through online trust. To test the hypothese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50 respondents, however, only 110 were selected due to incomplete data. There are 3 variables, namely viral marketing, online trust, and impulse buying, where online trust is also a mediating variable. Once the assumption test is completed, the researcher employs path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es. The results are 1) there is an effect of viral marketing on online trust in the Covid-19 Pandemic Era, 2) There is no effect of viral marketing on impulse buying in the Covid-19 Pandemic Era, and 3) Viral marketing has an effect on impulse buying in the Covid-19 Pandemic Era through online trust. This means online trust succeed in mediating viral marketing-impulse buying relationship. The findings emphasized that the credibility of online trust enforce consumers in making buying decisions.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의 구전 마케팅의 효과성 영향 요인

        김신태(Sin Tae Kim),김종우(Jong Woo Kim) 한국IT서비스학회 2014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13 No.3

        Social Network Services (SNSs) have grown to be new and promising tools of marketing. By referring to researches done on e-mail viral marketing, this paper operationizes SNS viral marketing effectiveness to accurately reflect marketing success in SNS environment, and tries to identify its affecting factors. As potential affecting factors, fan size, advertisement type, existence of engagement elicitation and incentive are identified. By sampling real advertisement postings on Facebook, we showed that fan size, advertisement type, and engagement elicitation are factors affecting SNS viral marketing success. This research expanded the conventional model of viral marketing into SNS settings to improve understanding on SNS viral marketing. Motivation is discussed as an important factor, and this research showed that viral campaign can be more successful when it triggers internal motivation to engage, but not the external motivation. This research could also be a guide for practitioners on how to post a successful advertisement in SNSs.

      • KCI등재

        국내 바이럴 광고영상의 크리에이티브 표현 연구

        백재훈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4 조형미디어학 Vol.17 No.2

        The developments of information technology has made the form of the media expanded and personalized, and changed the consumer behavior. The consumer preference of media advertising has moved from TV commercials regarded as the most reliable and influential media to on-line contents, which brought a paradigm shift for advertising media. And, the way of communication has become interactive, which has made the consumers traditionally considered as the receiver of the mass media, deliver their own information through online-based social media. Accordingly, company has started to utilize the viral marketing for interacting with consumer. A viral marketing is based on the intrinsic attributes of distinctive, spreadable, and sensational contents. Especially, viral advertisement of moving images have been produced with diverse styles and contents, free of the expense of the transmission media. The guidelines to develop creative expression method on the analysis of viral-marketing contents using moving image comes of this research. which shows emotional type of advertising appeal is dominant and humorous contents are popular relatively. There are a large number of parody styles and funny music in humorous appealing type. And, many demonstration types are to show the attribute and quality for high-involvement products such as electronic goods. The length of time for the analyzed viral motion advertisements is less than 3 minutes, and the funny song and self-produced music are used actively for them. The viral marketing advertisement can deliver its message effectively with consumer’s reaction and recommendation in on-line media, different from TV commercial. Therefore, the creative planning ability to understand and stimulate consumers segmentalized depending on the attributes of media is indispensable for a marketing success. 정보통신의 발달로 미디어는 확장되고 개인화되었으며 소비자의 행태도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그동안 대중매체 중 최고의 신뢰성과 영향력을 가졌던 TV선호에서 점차 온라인으로 이동하며 광고매체의 패러다임을 가져왔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방식도 일방적인 수신에서 양방향으로 커뮤니케이션하게 되었고 수신자였던 소비자는 온라인과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유포하며 송신자가 되었다. 이에 기업은 입소문에 기반 한 소비자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인 바이럴 마케팅을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바이럴 마케팅은 매체의 속성상 독특한 소재와 전파가능한 자극적 요소를 활용하고 있다. 특히 바이럴 광고영상은 매체비를 지불하는 TV광고와 달리 자유로운 형식과 내용으로 제작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활성화 되어가는 국내 바이럴 광고영상의 분석을 통해 크리에이티브한 표현전략을 개발하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소구유형은 감성적 소구가 지배적이며 특히 유머소구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유머소구의 표현유형으로는 코믹송과 패러디 등이 많았으며 고관여 전자/제품군에서는 제품의 속성을 사실적으로 보여주는 시범형이 많았다. 분석된 바이럴 광고영상의 길이는 대체적으로 3분미만으로 형성되고 있었고 자체 제작한 음악과 코믹송들이 적극 활용되고 있었다. TV를 매체로 하는 광고와 달리 바이럴 광고영상은 온라인을 기반으로 소비자의 참여와 추천으로 광고 전달 효과를 볼 수 있다. 따라서 매체의 속성을 기반으로 세분화된 소비자를 이해하고, 자극 할 수 있는 바이럴 광고영상기획이 요구되며, 차별화된 크리에이티브한 표현이 전제되어야만 바이럴 마케팅으로서 성공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디지털 인플루언서 마케팅과 전자상거래 소비자보호법 상 규율 - 경제적 대가를 표시하지 않은 기만광고 관련 규제를 중심으로 -

        최요섭 한국경쟁법학회 2019 競爭法硏究 Vol.40 No.-

        It is beyond doubt that the topics on practices of digital influencer marketing, especially of misleading contents, have brought numerous critical issues relating to consumer protection. In particular, the rapid development of ICT and online platform of social media has influenced the progress of e-commerce and its involving legal issues of comsumer protection acts around the world, and the case in Korea is not an exception. On the one hand, the recent development of e-commerce through digital influencer marketing or viral marketing has improved inter-brand competition and distribution in the relevant market because the advertising costs have been reduced when using viral marketing. The reduction of advertising costs enables small traders to enter the market. Moreover, consumers have more chances to receive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goods and services that they are interested in. In summary, the emergence of viral marketing has enhanced efficiencies including consumer welfare improvement. On the other hand, e-commerce through using digital influencer marketing has brought notable consumer protection problems, particularly when traders and endorsers do not disclose their economic relations. Influencers can frequently reach a large audience, and their posts are usually considered as trustworthy contents, which may mislead consumers about the economic characters of the posts. In other words, where there is no clarification of economic relations, consumers often believe that the posts of influencers are non-commercial contents, which may harm consumer interests. Therefore, a regulatory framework normally includes the prevention of unfair or misleading posts of digital influencers, thereby protecting consumers from non-disclosure of economic relations between endorsers and traders. However, the current legal provisions are not applied to influencers but only to traders for non-disclosure practices.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discuss the existing problems of regulating non-disclosure of economic relations between endorsers and traders and to suggest proposals for amending the e-commerce law provisions, thereby to impose special responsibilities on digital influencers that can largely affect purchasing decisions of consumers. In particular,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Korean e-commerce law should be applicable not only to traders but also to influencers for the violation of Article 21 of the law because an influencer often aims to share profits with social media platforms through being popular in SNS and to use his or her position to receive economic benefits from posting advertisements on the websites by contracting traders. To conclude, expansion of the regulatory scope to digital influencers can ensure consumer sovereignty in the digital era.

      • KCI등재

        크라우드 펀딩의 바이럴 마케팅 효과 사례 및 분석-디자인 브랜드 창업을 중심으로-

        박주영,황성걸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3

        There are many variables and situations in the start-up market. But what is common to success in business startup is money, distribution channels, and marketing strategies. Basically, operating a company requires funds, distribution channels that can implement a business model, and marketing strategies that can inform consumers of the business model. In recent years, more and more entrepreneurs are raising money through crowd funding. This has a virtuous cycle in which projects are validated and funded by the public before being released to the market, and the public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voluntarily promotes and market as a fandom effect. Use crowd funding to reduce time and cost, efficiency in project production, and capture consumer data to identify customer demand to lower entry barriers to the startup market. Crowd funding in Korea is mainly a cultural and artistic project. This can be seen as an opportunity for the creation of a design brand and by promoting the idea with less capital, initial market response can be observed. For the long term effect, this study used crowd funding as a strategic channel for launching a domestic design brand, and the sponsors of the project promoted the brand through voluntary viral marketing. The company's success in the crowd funding platform is expected through case studies in the design brand start-up field as it provides direction for future businesses, such as market entry, brand value, and not one-time projects. 창업 시장에는 다양한 변수와 상황이 존재한다. 하지만 창업 성공에 공통으로 필요한 것은 자금, 유통채널, 마케팅 전략이다. 기본적으로 기업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자금, 비즈니스 모델을 실현할 수 있는 유통채널, 그리고 소비자에게 비즈니스 모델을 알릴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이 반드시 필요하다. 최근 창업 시장에서는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자금을 마련하는 창업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시장에 출시하기 전에 대중에게 직접 프로젝트를 검증받고 자금 조달을 받으며, 프로젝트에 참여한 대중이 팬덤 효과로서 홍보와 마케팅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선순환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크라우드 펀딩을 활용하여 시간과 비용의 절감, 프로젝트의 생산 기간의 효율성, 소비자 데이터를 확보해 고객의 수요를 파악하여 창업시장의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다. 국내 크라우드 펀딩은 문화⦁예술 분야의 프로젝트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디자인 브랜드 창업에 대한 기회의 장으로 꼽을 수 있고, 적은 자본으로 아이디어를 홍보하여 시장 초기 반응을 관찰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장기적인 효과를 위하여 본 연구는 국내 디자인 브랜드 창업을 위하여 크라우드 펀딩을 전략적인 채널로 활용하고, 프로젝트의 후원자들이 자발적인 바이럴 마케팅으로 브랜드를 홍보하는 사례를 분석하였다.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에서의 창업은 1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앞으로 나아갈 시장 진입, 브랜드 가치 상승 등의 창업기업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때문에 디자인 브랜드 창업 분야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 다양한 창업 성공 사례가 많아지길 기대하는 바이다.

      • 응용논문(應用論文) : 온라인 커뮤니티와 키워드 광고에 관한 연구

        김영우 ( Young Woo Kim ),홍성백 ( Sung Baek Hong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08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2 No.-

        인터넷이라는 문화의 한 주류가 형성되면서 국가와는 또 다른 사이버 커뮤니티의 개념이 생겨났다. 이는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변화를 말해 주는 것이다.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체계의 변화는 기업에 대해 커뮤니티로서의 변화를 요구하였다. 그리고 인터넷 혁명의 산물인 사이버 커뮤니티는 새로운 사회관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치열한 광고 시장에서 새로운 개념의 마케팅을 필요로 하게 만들었다. 인터넷과 사이버 커뮤니티로 대표되는 가상공간을 공략하기 위해 만들어진 온라인 마케팅이 그것이다. 온라인 마케팅은 입소문 마케팅을 비롯해 새로운 광고의 개념을 만들었고 광고 기법에 있어서도 다양한 방식을 내놓았다. 계속되는 새로운 방식의 광고 전략들은 광고 시장을 더욱 세분화 시키고 경쟁은 더욱 치열해 졌다. 본 연구는 이 다양한 시도 속에서 나타난 키워드 광고의 효과와 문제점에 대해 온라인 시장의 발전과 커뮤니티의 변화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키워드 광고의 정의와 온라인상의 키워드 광고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이용한 마케팅과 광고 시장에서의 올바른 활용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A culture of the Internet as a mainstream form another country with the concept of cyber-community elements. This is a change of the existing communications environment will tell us. Changes in the communications systems of public companies was about to change as the community. And the Internet revolution, the production of the cyber community is showing a new social relationship. In addition, marketing and advertising battle in need of a new concept made. The virtual space of the Internet and cyber-community that was created for the attack is that online marketing. Online marketing and word-of-mouth marketing and advertising techniques to create a new ad in the concept of the same variety of methods, he said. A new way of advertising that the advertising market to more competition and has broken down. This study attempts in a wide range of issue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keyword advertising, changes in the market and the development of online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ty and presents. Studies of the definition of the keyword advertising and keyword advertising practices for online marketing and advertising market, for checking with the study is to present the correct way.

      • 응용논문(應用論文) : 온라인과 바이럴 마케팅에 관한 고찰

        김일석 ( Il Seok Kim ),박승배 ( Seung Bae Park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08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2 No.-

        현대 사회는 방송과 통신 등의 급속한 발전을 바탕으로 디지털을 통한 정보화의 시대로 가고 있다. 이 디지털 문화의 발전은 정보의 교류 형태나 방송은 물론 영상, 음성, 문자 등의 많은 매체의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이러한 정보화 시대가 도래 하면서 인터넷의 역할은 대중들에게 있어 새로운 소비문화 형태를 구축하게 하였다. 기존의 상품구매는 TV나 인쇄매체를 통해 정보를 기업의 의도대로 주입식으로 얻었다면, 현재의 소비자들은 상품의 정보를 인터넷 상의 정보를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상품구매에 활용하게 된 것이다. 이렇게 소비자의 구매 패턴이 바뀌게 된 것은 결국 기술진보의 과정에서 소비자의 수요(Needs)와 충족(Satisfy)이 상호 영향을 주면서 이루어진 결과이다. 이러한 변화의 물결 속에서 지금까지의 마케팅과는 다른 새로운 패러다임을 필요로 했고, 이와 같은 필요에 의해 나오게 된 새로운 마케팅 기법을 통칭 온라인 마케팅이라 한다. 이는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변화를 말해 주는 것이다. 이에 온라인 마케팅의 한 주류인 입소문을 바탕으로 하는 바이럴 마케팅의 분석을 통해 사회적인 영향과 그 효과, 그리고 기업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The rapid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such as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and to the era of digital information is go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digital culture in the form of exchange of information, broadcasting, as well as video, voice, text, and has brought many changes to the media. In addition,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 age and the role of the Internet to the masses to build a new form of consumer culture. Buy an existing product information through the TV or print the intentions of the companies Injection of the way, Current information on the Internet for information about their products through more active will be used to purchase the product. This was to change consumer purchasing patterns of consumers in the end, the process of technological progress and meet the Needs & Satisfy of this is the result of mutual effect gives. These waves of change in the market so far as to require a new paradigm, and come out by the same need for a new marketing techniques, collectively called online marketing. Therefore, one of the online marketing and based on word of mouth that analyzing of Viral marketing by the social impact and its effects, and companies will look out for the r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