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SD 아동에 CABAS® 모델을 적용한 응용행동분석 기반의 조기집중행동중재: 사례연구

        서지원,전병운,박혜숙 한국특수아동학회 202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6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진단을 받은 2세 4개월의 남아가 CABAS® (The Comprehensive Application of Behavior Analysis to Schooling) 모델의 조기집중행동중재(Early Intensive Behavior Intervention) 프로그램을 받고 그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중재 시작 시 연구 대상은 1세 11개월로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ABA기반의 EIBI 중재를 결정하였다. 연구방법: 중재 프로그램은 CABAS® 모델을 기반으로 한 EIBI를 중재를 주 4일, 하루 3시간씩, 총 12시간의 중재를 2년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ABA 기반의 EIBI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교육 및 발달평가, 언어평가에서 긍정적인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균형적인 발달을 돕기 위한 다양한 중재방법의 모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Early Intensive Behavior Intervention program of the CABAS® (The Comprehensive Application of Behavior Analysis to Schooling) model for 2-year-old and 4-month-old boys diagnos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Method: At the start of the intervention, this is a case study to find out the study subject was 1 year and 11 months old, and ABA-based EIBI intervention was decided upon through consultation with a specialist.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an EIBI intervention based on the CABAS® model, 4 days a week, 3 hours a day, for a total of 12 hours of intervention, for 2 years. Results: ABA-based EIBI intervention had proven positive effectiveness in education, developmental evaluation, and language evalu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Conclusion: According to these research result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which wa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earch for various intervention methods to help the balanced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KCI등재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활용한 몸짓상징 중재가 비구어 자폐범주성장애유아의 의사소통 기능에 미치는 효과

        김운이 ( Kim Un-i ),최상배 ( Choi Sangba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2 No.1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활용한 몸짓상징 중재가 비구어 자폐범주성장애유아의 의사소통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3명의 비구어 자폐범주성장애유아를 선정하여 5개월간 총 24회기의 몸짓상징 중재를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활용한 몸짓상징 중재는 비구어 자폐범주성장애유아의 요구하기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유아 A는 중재 이후 요구하기 빈도가 높아졌으며, 유지 단계에서도 회기별 차이는 있었지만 어느 정도 유지되었다. 유아 B는 중재 초기에는 요구하기 빈도가 증가하였으나 중재 후기와 유지 단계에서는 정체되었다. 유아 C는 요구하기 빈도가 증가되는 회기도 있었으나 중재 후기와 유지 단계에서 정체되었다. 둘째, 강화된 환경중심언어중재를 활용한 몸짓상징 중재는 비구어 자폐범주성장애유아의 반응하기 기능 향상에 제한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대상 유아 간 차이가 컸다. 유아 A와 B의 경우에는 반응하기는 낮은 빈도를 보였으나, 대상 유아 C의 경우에는 반응하기 빈도가 상당히 증가하였다. 결론: 강화된 환경중심언어중재를 활용한 몸짓상징 중재가 대상 유아의 요구하기에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대상 유아의 반응하기에는 제한적인 효과를 나타났으며, 대상 유아 간 효과 개인차가 크게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비구어 자폐범주성장애유아를 위한 몸짓상징 중재를 적용할 때는 각 유아의 개인적인 특성과 차이, 중재에 대한 반응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 using enhanced milieu teaching on communicative function of nonverbal infants with ASD(autism spectrum disorder). Method: Three non-verbal infants with ASD were selected and evaluated by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for a total of 24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s for 5 months. Results: First, the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 using enhanced milieu teaching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demand of infants with ASD. Infant A became more demanding after the intervention, and maintained somewhat to some extent, even in the maintenance phase. Infant B increased in frequency of demanding early in the intervention but stagnated in the late and maintenance phases. Infant C had sessions with increased frequency of demand, but stagnated during the lat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s. Second, the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 using enhanced milieu teaching had a limited effect on improving the responding of infants with ASD, and the difference among the infants were large. Infants A and B showed a low frequency of responding, but in the case of Infant C, the frequency of responding was in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 The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 using enhanced milieu teaching general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manding but had a limited effect on the responding of the target infants, and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effects among the target infants were large. The findings suggest that various factors, such 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each infant, and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when applying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 for infants with ASD.

      • KCI등재

        Korean Mothers’ Use of Naturalistic Language Interventions with Thei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김진희,Susan A. Fowler,Michaelene M. Ostrosky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9 유아특수교육연구 Vol.9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a communication intervention program, with a substantial evidence base established with families in the U. S. would be accepted and used by Korean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comprised of five communication facilitation strategies: pause, descriptive talk, imitation, expansion, and environmental arrangement. Three boys and their mothers completed all phases of the study. A within subject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and a nonconcurrent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dyads was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ll three mothers learned to use the intervention strategies correctly, increasing both accuracy and use of strategies across all conditions. Two of the three children showed clear increases in their rates of verbalizations and all the children increased the percentage of initiations and the length of tur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consistent with recommendations to involve parents in interventions that support teaching communication skills during naturally occurring routines, and that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positive parent‐child interactions. They also support the transferability of an evidence‐based communication intervention from the U. S. culture to Korean culture.

      • KCI등재

        스크립트활용 중재가 자폐성 장애유아의 언어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최진혁,김대용,김보람 한국자폐학회 2016 자폐성 장애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스크립트활용 중재가 자폐성 장애유아의 언어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자폐성 장애유아 1명을 대상으로 자유선택활동과 바깥놀이활동에서 상황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다. 유아의 필요와 흥미에 따라 스크립트를 작성한 뒤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언어적 의사소통은 의사소통의 기능에 따라 수용, 승인, 사물요구하기 및 정보 제공하기로 분류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기록법을 사용하였으며 각 언어적 의사소통은 통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시각적 분석을 하였으며 비중복비율(PND)과 개선율차이(IRD)를 활용하여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관찰자간 신뢰도를 통해 관찰 기록의 신뢰도를 입증하였다. 관찰자간 신뢰도는 96.8%로 나타나났으며, 연구의 중재충실도는 100%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사회적 타당도는 중재 척도 프로파일(IRP-15)을 활용하여 산출하였으며, 구체적인 중재수용도는 74.3점으로 수용가능한 중재로 나타났다. PND를 통해 산출된 중재의 효과는 효과적인 수준의 중재효과로 나타났으며, IRD를 통해 산출된 중재의 효과는 효과적인 수준의 중재효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ript intervention on verbal communications by a preschooler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One male preschool student diagnos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ettings was employed to identify a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the implementation of the script intervention which consisted of 10-min repetitive instruction and role play sessions.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number of participant’s verbal communications during target settings: free play and outside recess. The results depicts that the script intervention would be effective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verbal communications of a student with ASD.

      • KCI등재후보

        상담자의 면접기술이 공격적 아동의 언어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일사례연구

        이한종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4 초등상담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총 12회기에 걸쳐 진행된 공격적 아동의 상담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회기성과와 연관되는 내담자 언어반응을 조사하고, 고성과 회기와 저성과 회기의 분위기를 비교하며, 상담자 면접기술이 내담자 언어반응의 발생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내담자에 의해 평가된 회기성과점수를 기준으로 하여 고성과 회기와 저성과 회기가 각각 2회기씩 선정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고성과 회기에서는 사고-행동탐색, 감정탐색, 치료적 변화와 같이 내담자의 적극적 태도를 반영하는 내담자 언어반응의 발생비율이 높았던 반면, 저성과 회기에서는 저항, 설명과 같은 방어적 태도를 반영하는 내담자 언어반응이 빈번히 발생했다. 고성과 회기에서 상담자는 내담자의 감정다루기 및 지지, 욕구 및 자원 탐색에 주력하는 수용적이고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그러나, 저성과 회기에서는 비합리적 사고 및 문제행동, 그리고 이와 관련된 사건들을 탐색하는 부정적인 분위기가 나타났다. 연계분석을 통해 상담자 면접기술이 내담자 언어반응에 미치는 영향이 상담의 분위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주택시장에서 정부의 정책발표뉴스 효과

        설윤,김희호 예금보험공사 2021 金融安定硏究 Vol.22 No.1

        In a sharp contrast to its expected effects of the government policy news in house markets, the house prices are rapidly increasing and get unstable recently. Although the advent of internet technology and perfect information would bring about the efficiency in house market, few studies examine the effects of these government policy news and verbal intervention on house prices. This study analyses the effects of the government policy news and verbal intervention on the house market during January 2008-May 2020, of which data are extracted from two daily economic news papers of Maeil and Hankook. The evidence strongly indicates that the government policy news is not effective in Seoul house prices, while affecting the house prices in metro-cities of Daegu and Pusan during very short periods of three months at most, and that the government policy news to tighten the house market is more effective than that to lessen the market. 효율적인 금융시장과 다르게 주택시장은 헤도닉 특성으로 인해 정보가 불완전하고 비효율적이어서, 주택정책의 발표뉴스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효과가 불분명하다. 최근 정보와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정부의 주택정책 뉴스가 시장참여자의 기대심리와 주택가격에 미치는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2008년 1월-2020년 5월까지 일간신문에 나타난 정부의 주택정책 뉴스와 그 횟수를 사용해서 주택정책뉴스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Stein의 주택가격모형을 우리나라 주택시장에 맞게 수정하였으며, 수정된 주택가격모형을 Pooled OLS기법과 서울 및 6개 광역시의 월별 자료를 사용해서 추정하였다. 추정결과에서 광역시의 주택가격은 정부의 정책뉴스에 1-3개월 동안 유의적으로 반응하였으며, 규제완화보다 규제강화 뉴스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하지만, 서울의 주택가격은 주택정책 뉴스에 유의적으로 반응하지 않았는데, 이는 서울소재 주택에 대한 편향적 선호와 정부정책의 신뢰부족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정부 주택정책의 방향이 서울과 지방에서 서로 다르게 시행되어야 하며, 서울에서는 금리정책이, 지방에서는 주택정책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유아-교사 간 상호작용 속에 나타난 메타인지적 개입양상에 대한 분석

        이화도 한국유아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연구 Vol.24 No.6

        인간의 고등정신기능(high mental function)이 처음에는 개인 간 상호작용 과정단계에서 내면화(internalization)과정을 통해 점차 개인 내 단계로 발달됨을 설명한 Vygotsky의 이론적 바탕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유아 스스로 자신의 인지과정을 조절할 줄 아는 자율조절(self-regulation) 능력의 발달의 근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프랑스 유아학교(Ecole maternelle)의 실제적 수업상황 속에서 이루어진 유아-교사 간 언어적 상호작용 과정 속에서 나타난 교사의 다양한 타율조절(other-regulation) 언어적 개입의 양상을 메타인지적 관점에서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유아 스스로 자신의 인지과정에 대해 생각하고, 문제점을 찾아내고 해결하며, 활동 후 자신의 활동을 평가하고, 자신의 학습과정을 스스로 조절할 줄 아는 자율조절 능력발달의 단계를 추출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최근 학습장애의 대안으로 새롭게 조명되는 메타인지개념을 이해하고 메타인지 활동으로 간주되는 유아의 자율조절능력 발달을 위해 이상적인 교육환경이 무엇인가에 대해 함께 생각하고자 함이다. This research is predicated on the notion that the origin of preschool children's metacognitive competence is dependent upon the quality of the environment. It starts from the Vygotskian hypothesis according to which metacognitive competencies, such as self-regulation, planning, and self-monitoring, develop during the preschool period through interactions with adults or with other children in the course of problem solving. Through such interactions, a child's competency in self-regulation progresses through the inter-individual level, and transforms to the intra-individual level. Using this Vygotskian perspective, this research characterizes the metacognitive environment of preschool children and verifies the existence and development of their metacognitive competenc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