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 스포츠 콘텐츠 이용동기와 이용만족 및 재이용 의도의 관계

        임정일(Im Jeong-Il) 한국체육과학회 2009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using motivation of internet sports contents, using satisfaction and reusing intention. Fir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using motivation of internet sports contents and using satisfaction, secondly, relationship between using motivation of internet sports contents and reusing intention, thirdly, relationship between using satisfaction of internet sports contents and reusing intention.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as spectator be watching game in baseball facility located in Seoul. The final 361 responses (male 235, female 126), col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procedure. The using motivation of internet sports contents were measured by largely based on Lee(2001)s study, the using satisfaction of internet sports contents were measured by largely based on Seo(2002)s study,, and The reusing intention were measured by largely based on Lee(2007)s study. To analyze the final data (361), the frequenc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rom the analyses of the data,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 using motivation of internet sports contents, partially influenced the using satisfaction. In depth, the higher using motivation of internet sports contents(sub-factor) is, the higher is using satisfaction 2) The using motivation of internet sports contents, partially influenced the reusing intention. In depth, the higher using motivation of internet sports contents(sub-factor) is, the higher is reusing intention. 3) The reusing satisfaction of internet sports contents, partially influenced the reusing intention. In depth, the higher using satisfaction of internet sports contents(sub-factor) is, the higher is reusing intention.

      • KCI등재

        모바일 위치기반광고에 대한 이용 동기 및 지각된 속성, 수용자 혁신성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염동섭 ( Youm Dongsup ),김화동 ( Kim Hwa-do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7 No.-

        본 연구는 위치기반서비스를 바탕으로 광고, 마케팅 분야에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위치기반광고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문헌분석을 바탕으로 위치기반광고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 이용 동기(경제적 보상 동기, 일반정보 습득 동기, 지역정보 습득 동기) 및 수용자 혁신성 그리고 지각된 속성(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위치기반광고 이용 동기는 지속적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위치기반광고에 대한 지각된 속성은 지속적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용자들의 혁신성향은 지속적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지역정보 습득 동기, 경제적 보상 동기, 일반정보 습득 동기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위치기반광고와 관련한 기초적인 연구 자료의 제공과 함께 관련 업계 실무자들에게 위치기반광고를 제작하고 기획하는데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look into factors of Location-Based Advertising(LBA) showing a rapid growth in advertising and marketing affecting intentions for continuous used based on Location-Based Service(LBS). For this purpose, based on preceding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inquired into use motivation(motive for economic reward, motive for the acquisition of general information and motive for the acquisition of local information) and the audience innovation and perceived attributes(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regarding LBA which were expected to affect the intentions for continuous us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LBA use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s for continuous use. Second, perceived attributes of LBA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s for continuous use. Third, it was found that users` innovation propensity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s for continuous use. Lastly, as a result of an inquiry into the relative effects of these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s were great in the order of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motive for the acquisition of local information, motive for economic reward and motive for the acquisition of general information. These results will provide the basic research data related to LBA and useful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of related industry in producing and planning LBA.

      • KCI등재

        만족도와 지속이용 의도에 미치는 포털뉴스의 이용동기에 대한 고찰

        이효성 한국지역언론학회 2019 언론과학연구 Vol.19 No.1

        이용자들의 만족도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포털 사이트 뉴스의 이용동기(흥미성, 편의성, 전문성, 상호작용성)의 효과에 관해 고찰했다. 결론적으로 흥미성과 편의성 차원의 이용동기는 만족도를 거쳐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성 이용동기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지속이용의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흥미성과 편의성 이용동기는 지속이용의도에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흥미성과 편의성 차원의 이용동기는 만족도를 거쳐 간접적으로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지속이용의도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다. 이같은 결과는 최근 포털 공간에서연성뉴스의 증가현상 및 편리한 모바일기기의 보급확산과 관련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흥미성이나 편의성 동기만큼 통계적 유의성이 크지는 않았지만 포털 뉴스의 전문성 이용동기가 지속이용의도에 직접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난 점도 주목할만 했다. 결론에서는 주요 변인들 간의 관계와 관련된 함의에 대해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e motives of portal site news (interest, convenience, professionalism, interactivity motives) 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In conclusion, the motives for interest and convenience uses were found to have influences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through satisfaction. The motives of professionalism use did not affect the satisfaction, but it directly affecte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In other words, interest and convenience, along with professionalism, directly affecte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motives of interest and convenience not only indirectly influence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through satisfaction, but also directly influence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These results may be related to the increase of soft news in portal site and the expansion of convenient mobile devices. It was also noteworthy that the motive of professionalism use of portal site news directly affecte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of the service, althoug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not as big as the interest and convenience motives.

      • KCI등재

        청소년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동기와 또래관계 기술과의 관계 연구

        채경선,정윤주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5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4 No.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가 보편화되면서 SNS의 무분별 한 사용은 청소년들의 또래관계 기술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청소년의 SNS 이용실태와 SNS 이용동기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역시 커지는 시점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현황을 파악하고, 청소년들 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동기와 또래관계 기술 사이의 관련 양상을 조사하였다. 이 를 통해 청소년들의 무분별하고 중독적인 SNS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미리 예방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 고등학생들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소셜 네트워크 이용동기 척도와 또래관계 기술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 적 분석방법은 먼저 조사 대상자의 성별, 학년,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 이용동기를 알아 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소셜 네트워크 이용동기와 또래관계 기술과 어 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또래관계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동기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과 관련하여 여학생, 남학생 모두는 먼저 이용 상의 편의와 기분전환을 위해 SNS를 사용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정보전달·정보획득을 위 해, 그리고 의사소통·상호작용을 위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둘째, 청소년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동기와 또래관계 기술의 하위영역별 상관 관계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SNS 이용동기 중 ‘현실탈피·가상적 자아형성’ 동기가 높을 수록 또래관계 기술이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의 SNS 이용동기 중 ‘정보전 달·정보획득’ 동기, ‘인맥형성·관계 유지’, ‘사회적 의사소통·상호작용’, ‘이용편리’에 대한 동기의 높고 낮음이 또래관계 기술인 주도성과 협동, 공감 능력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 목표가 사람들 간의 관계 형성이라는 점을 전제한다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이 사회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과 같은 또래관계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그러나 현실탈피를 위한 동기에서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또래관계 기술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이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의 주된 목적을 해치는 이유가 될 수 있다. As the social network service becomes universal, the indiscreet use is likely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peer relations skill of adolescents. And also the necessity of the study on the SNS excessive use or the use motive of SNS is becoming large. Hereupon in this study the relation between peers among the relationship skill, the basic meaning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d the use motive of the adolescent social network was examined.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social network use status of adolescents and examined what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the social network use motive of adolescents and the peer relation skill. It would be a guideline to prevent the side effect by the indiscreet and addictive use of the social network by adolescents, which is rapidly increasing.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of 230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process, social network service incentive measurement and peer relation technical measurement are used. Statistical analysis method for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we fin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als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service incentive measurement and peer relation technical measurement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us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 for a change because it was convenient. They were using the social network for the information delivery, information acquisition,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Second, to look at the correlation by sub-domains of the adolescent social network use motive and peer relationship skill, as the motive of ‘reality departure, virtual ego-formation’ was high among adolescent social network use motives among the adolescent social network use motives was high, the peer relationship skill was low. As the motive on the ‘information delivery/ information acquisition’, ‘personal connection formation/ relationship maintenance’, ‘social communication/ interaction’, and ‘use convenience’ was high among adolescent social network use motives, it was related to the initiative, cooperation, and sympathy which were the peer relationship skill. Although it is a natural result that the social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er relationship skill among the use motives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when the use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is the relationship formation among people. But when it is used as a motive for escaping from the reality, the youths rather experience the low peer relationship skill, which can be a reason for impairing the primary purpose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 KCI등재

        스마트폰 이용동기와 활용능력이 스마트패드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응구(Eung-Goo Kang),김영한(Young-Han Kim),김광용(Gwang-Yong Gim) 한국IT서비스학회 2012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11 No.4

        The growing interest in smartphones has increased the number of studies conducted on technology acceptance and user satisfaction. It is now over two years since the launching of smartphones, but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on the usage behavior of today’s smartphone users. Smart devices have evolved from smartphone to smart pad and smart TV, but there are still not many studies on variables such as knowledge about the parent product and the ability to use it. With this, I decided to study how the motivation and the ability of using smartphones affected the smartphone user’s intention to use smartpads. This study presents the usage behavior of smartphone users and proves that the ability to use a parent product (smartphone) affects the user’s intention to use an extension product (smartpad).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smartphone usage ability affected both variety of use and rate of use. The convenience and passing time factors affected variety of use; and the social interaction, entertainment and passing time factors affected rate of use. As for the intention to use smartpads, the smartphone usage ability and variety of use positively affected the smartphone user’s intention to use smartpads.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re the user used a smartphone to pass time and for convenience, the more effectively the user could use various functions. It proves that the variety of use of smartphone is highly related to the acceptance of smartpads. This study also proves that usage abil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using innovative products, such as smart devices.

      • KCI등재

        신예독립패션디자이너 We Media 이용 동기 연구 -중국 상해 패션디자이너를 중심으로-

        요가혜 ( Yao Jia Hui ),김세화 ( Kim Se Hwa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6

        중국 패션관련 비즈니스에서 We Media를 새로운 마케팅 채널로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미디어 이용 동기 측면에서 보면, 패션명품 브랜드나 일반 사용자의 이용 동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We Media의 미디어 활동이 활발한 신예독립패션 디자이너들에(emerging independent fashion designer, EIFD) 대해서는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예독립패션을 별도의 We Media 사용자 그룹으로 분류하여 We Media 이용 동기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We Media 사용 이유에 대한 질문지를 작성하고,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반구조화된 인터뷰 방법을 적용하였다. 참여자들은 17명의 패션디자이너들이었으며, 조사결과 21개의 We Media 사용 이유를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25명의 패션디자이너들에게(EIFD) 동의를 진행하여 평균값이 낮은 1개를 제외하고 20 개의 사용 이유를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3명의 디자인·미디어분야 PhD과정 연구자들에게 열거된 사용 이유들을 유사한 개념으로 카드소팅(Card Sorting) 하도록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EIFD의 We Media 사용 동기로 6가지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각각의 각 요인을 자기노출, 창작, 수집, 경쟁심, 고객육성, 브랜드 노출이라고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이 결과를 선행 연구에서 정리한 일반인, 패션 인플루언서, 패션 기업들의 We Media 이용 동기들과 비교하는데, EIFD와 일반인들과 비교했을 때, 수집, 자기노출, 창작, 수집, 경쟁심 요인이 유사하였다. 패션인플우언서와 비교했을 때 자기노출, 고객 육성, 브랜드 노출 요인이 유사하였고, 패션기업들과 비교했을 때 고객 육성, 브랜드 노출 요인이 유사하였다. 이는 EIFD가 일반인들과 같은 개인적 차원의 동기 요인 뿐 만 아니라 패션기업과 같은 사회적 차원의 동기 요인을 동시에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We Media, as a new marketing operation channel, its commercial attributes have become increasingly prominent in nowadays fashion businesses in China.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use motivations, the research most focuses on the We Media use motivations of fashion luxury brands and the general public, while emerging independent fashion designer (EIFD) with high activeness in We Media have received little concern. Therefore, the research attempted to treat EIFDs as the uncommon We Media users for studying their We Media use motivations. Th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ly, based on the questions designed for We Media use motivations,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interview results of 17 EIFDs, 21 We Media use motivations were extracted. Then, through 25 EIFDs’ reconfirmation of these motivations, 20 of them were distilled excluding one with low mean value. Further, 3 PhD researchers whose major are communication science were asked to card-sort the 20 motivations with the similar concept. A total of 6 We Media use motivations of EIFDs are derived, namely, Self-Disclosure, Creation, Collection, Competition, Customer Cultivation, and Brand Exposure. Finally, comparing them with the general public, fashion influencer, and fashion enterprise's We Media use motivations summarized in the literature review, it appears that the EIFD’s motivations of self-exposure, creation, collection, and competition are similar to the general public, while self-exposure, customer cultivation and brand exposure are similar to the fashion influencer. Meanwhile, EIFD’s and fashion enterprises obtain the similar motivations of customer cultivation and brand exposure. Hereby, EIFD’s We Media motivations do not only obtain the individual attributes like public, but also gain the social characteristics such as fashion enterprises.

      • KCI등재

        대학생들의 인터넷미디어스포츠 이용동기와 이용만족 및 미디어적 기능평가의 관계

        류정수(JungSuRyu),원영신(YoungShinWon)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2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인터넷미디어스포츠 이용동기와 이용만족 및 미디어적 기능평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 경기지역의 6개 대학에 재학 중인 체육 비전공 대학생으로 설정하였으며, 총 481명의 자료가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Window 용 SPSS 18.0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첫째, 대학생들의 인터넷미디어스포츠 이용동기가 이용만족과 미디어적 기능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인터넷미디어스포츠 이용만족이 미디어적 기능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의 인터넷미디어스포츠 이용동기, 이용만족, 미디어적 기능평가는 인과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동기가 미디어적 기능평가에 미치는 직접효과보다 이용만족을 통한 간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용동기, 이용만족 및 미디어적 기능평가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갖고 있으며, 특히 이용만족이 미디어적 기능평가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use motivation, satisfaction and media functional evaluation of internet-media sports. The subjects were physical education nonmajor students who are in attendance at six university in Seoul and Kyong-gi area, and total 481 surveys were used for the actual analysis. For the analysis of data,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use motivation of internet-media spor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use satisfaction and media functional evaluation. Second, University students’ use satisfaction of internet-media spor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media functional evaluation. Third, there was a causal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use motivation, satisfaction and media functional evaluation of internet-media sports. In other words, there was a useful positive correl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use motivation, satisfaction and media functional evaluation of internet-media sports, especially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use satisfaction is affecting media functional evaluation as important factor.

      • KCI등재

        한국어판 음란물 사용동기 척도(K-PUMS)의 타당화 연구

        박경우,유현종,장혜인,이상규,이은지 한국건강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7 No.5

        Pornography use is one of the most common types of sexual behavior. In Korea, wher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come common, a particularly high rate of pornography use has been reported. However, there is a general lack of research on this topic, anda Korean measure to assess underlying psychosocial factors of pornography use has not been developed. Thus, we translated and validated the Pornography Use Motivation Scale (PUMS; Bőthe, Tóth-Király, Bella et al., 2021), into Korean, and examined how the pornography use motivation relates to the frequency of pornography use and the problematic pornography use. Recruitment and data collection were conducted anonymously online. Participants consisted of 769 adults (384 men and 385 women), and the average age was 44.18 (SD=13.62). A series of procedures were implemented including a review of the translated scale by an expert committee as well as a pretest of the translated scale to obtain respondents’ feedback.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an 8-factor (sexual pleasure, sexual curiosity, fantasy, boredom avoidance, lack of sexual satisfaction, emotional distraction/suppression, stress reduction, and self-exploration) model demonstrated adequate fit to the current data.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of total scale and subscales were good (≥.86), and test-retest reliability (ICC) was .65 supporting temporal stability. Pornography use motivation measured by K-PUMS showed a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requency of pornography use and the problematic pornography us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only the sub-factor of sexual pleasure predicts the frequency of pornography use, and none of the sub-factors predicts the problematic pornography use. Furthermore, results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heterogeneous groups only by the overall level of pornography use motivation, and heterogeneity according to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levels of sub-factors was not observed. Last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음란물 사용은 성행동의 가장 흔한 유형 중 하나로 한국에서도 높은 사용률이 보고되나, 그 기저의 심리사회적 영향요인을 살펴볼 수 있는 한국어판 도구나 유관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란물 사용동기 척도(Pornography Use Motivation Scale, PUMS; Bőthe, Tóth-Király, Bella et al., 2021)를 한국어로 번안 및 타당화하고, 실제 음란물 사용 빈도 및 문제적 음란물 사용과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절차에 따라 원척도를 번안하고 전문가 위원회 검토 및 수정 작업을 거쳤으며, 사전조사 결과에 기반한 추가 수정을 통해 한국어판 척도(K-PUMS) 문항을 확정하였다. 타당화를 위한 참가자 표집과 자료수집은 온라인상에서 익명으로 진행하였으며 성인 769명(남 384명, 여 385명, Mage=44.18, SDage=13.62)이 연구에 참가하였다. 모든 참가자는 K-PUMS와 유관요인(음란물 사용 정도, 문제적 음란물 사용, 강박적 성행동),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측정하는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원척도의 8요인 구조(성적 쾌감, 성적 호기심, 환상, 지루함 회피, 성적 만족감 부족, 감정 분산/억제, 스트레스 완화, 자기 탐색)는 한국어판에서도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다. 전체 척도 및 각 하위요인의 내적 합치도 역시 최소 .86 이상으로 우수하였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ICC)는 .65로 나타나 시간적 안정성 역시 확보되었다. 한편, K-PUMS로 측정한 음란물 사용동기는 음란물 사용 빈도 및 문제적 음란물 사용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K-PUMS 하위요인을 나누어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실시한 결과 성적 쾌감 요인이 음란물 사용 빈도를 예측하였으나, 문제적 음란물 사용을 예측하는 요인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참가자들은 전반적인 음란물 사용동기 수준에 의해서만 이질적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특정 하위요인 고저에 따른 이질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하고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이용의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 현존감의 영향

        김예람,박남기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6 No.3

        This study examined the motivations for using SNS real-time video streaming services, and their impacts, along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on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continuous use. It also looked into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presence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use satisfaction. Using an online survey, the study found the motivations of information seeking, social interaction, entertainment, and escape from reality. These motivations except for social itneraction affected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continuous use.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innovativeness, self-presentation, and self-disclosure affected the outcome variables as well. In addition, social presence was found to mediate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use satisfaction. This study provid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investig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motivations, personal characteristics,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continuous use in the context of newly introduced SNS real-time video streaming services. 본 연구는 기존의 소셜미디어에서 새롭게 제공되는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이용의 이용동기를 밝히고 이용동기와 이용자 개인적 특성이 이용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개인적 특성과 이용 만족도와의 관계를 사회적 현존감이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으며(N = 400), 이용동기로는 정보추구, 사회적 상호작용, 오락/즐거움, 현실도피가 도출되었다. 이들 이용동기 중 정보추구, 오락/즐거 움, 현실도피는 이용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이용자 특성의 개혁성, 자기표 현, 자기노출은 모두 이용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사회적 현존감은 개혁성, 자기표현, 자기노출 성향이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앞으로의 뉴미디어 동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지는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와 관련하여, 이용동기와 개인적 특성, 이용 만족도와 지속사용의사 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기존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 연구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다뤄졌던 사회적 상호작용 요인이 SNS 실시간 동영상 이용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는 기존의 SNS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가 필요로 하는 기능과 관련하여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인터넷 이용자의 정보가치 평가 및 참여인식 수준에 대한 연구 - 이용동기, 이용행태, 이용량을 중심으로

        윤승욱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14 No.-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use pattern, use motive and use amount of the Internet information upon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value and the level of participatory recognition.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of information users on the Interne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data, the use pattern was classified into passive use and active use. The use motive was classified into information motive, entertainment motive and convenience motive. In addition, the use amount was measured with liberal description.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Such variables as the active use pattern, the information use motive and the use amount have a positive influence upon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value. On the other hand, such variables as the active use pattern, the information motive and the convenience motive have a positive influence upon the level of participatory recognition. In addition,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value has a positive influence upon the level of participatory recognition, whereas the level of participatory recognition also has a positive influence upon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value. 과거의 전통적 미디어에 대한 이용자의 이용률이 감소하는 반면, 인터넷 미디어의 이용률이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이에 따라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특히 포털과 같은 인터넷 싸이트의 뉴스와 각종 정보 제공 기능을 강화하면서 인터넷을 통한 정보 이용률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이용형태와 이용동기 그리고 이용량에 따라 인터넷 정보에 대한 가치평가와 참여인식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용형태는 수동적 이용형태와 능동적 이용형태로 구분하였고, 이용동기는 요인분석결과 정보적 이용동기, 오락동기, 편의성동기 등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인터넷 정보 이용량은 자유서술로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용형태 중 능동적 이용형태, 이용동기 중 정보 이용동기, 그리고 이용량 등이 정보가치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인식 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이용형태 중 능동적 이용형태, 이용동기 중 정보 이용동기와 편리성동기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정보가치 평가는 참여인식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인식 수준 역시 정보가치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