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인권교육의 의의에 관한 고찰

        김녕(Nyung Kim)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8 인간연구 Vol.0 No.35

        이 시대 한국의 청년들, 특히 대학생들은 행복한가? 대학생들은 ‘삶의 의미’와 ‘공부하는 이유’를 찾았는가? 대학에는 ‘큰 배움’과 ‘큰 물음’이 있는가? 어떤 대학생들은 대학 공부를 그만 두고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몹시 힘들어하고 있다면, 대학은 어떻게 해야 할까? 본 논문은 그러한 문제의 원인이 대학 내의 인성교육, 시민교육, 가치교육의 부실에 있다고 보았고, 그것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인권교육이 우선 중요함을 강조했다. 물론, 과거에 비해 현재의 대학 인권교육은 양적 확산 추세에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부족하며, 더 나아가 질적 심화가 요청되고 있다. 필자는 대학 인권교육이 단지 기본적 인권에 대한 교육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의미’와 ‘공부하는 이유’까지도 제시해 줄 수 있는 가치교육, 인성교육, 시민교육의 토대이자 이런 교육들을 보완하고 추동하는 교육이기에 ‘특별한’ 의의를 지닌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인권교육이 어떻게 인성교육, 시민교육, 가치교육을 보완하고 추동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교육들이 ‘삶의 의미’와 ‘공부하는 이유’를 찾는 학생들에게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를 고찰하여 보았다. 아울러, 인권교육이 지닌 이러한 특별한 의의가 대학 내에서 커다란 공감대를 형성해 간다면, 인권교육은 양적으로 확산될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심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은 인권교육이 삶과 세상에 대한 긍정과 희망을 가져다준다는 점, 보편적 가치이자 복음적 가치인 인권, 정의, 평화 등을 접하면서 대학생들은 신앙을 찾게 될 수도 있다는 점, 그리고 인성교육, 시민교육, 가치교육의 토대로서의 인권교육은 오늘의 대학생들을 비롯한 젊은 세대에게 기본적으로 꼭 필요한 ‘사유세계의 확장’을 가능케 하고 현재의 대학교육에 꼭 필요한 ‘큰 배움’과 ‘큰 물음’을 가져다준다는 점을 필자의 오랜 강의 경험에 비추어 강조하였다. Are youth in Korea, especially university students happy? Do they feel they have a ‘purpose of their life’ and a ‘reason for their subject of study’? Are big questions examined on campuses? What do universities do if their students drop out or become frustrated when they face these problems? A failure of Korean universities to address theses questions, to a certain extent, can be attributed to considerable deficiencies in regard to character, civic, and values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Human rights education is important in solving this problem because it is the foundation of and can encourage such educations. The number of human rights education courses offered at Korean universities has recently grown, but the number is insufficient and most of the courses must be improved in terms of quality and depth. This paper argues that improving human rights education and providing it to more students and professors will make a difference. It is proposed that human rights education be used to either educate students about values such as human dignity, human character equipped with sense of justice and solidarity, and civic empowerment and engagement, or supplement such educations. The study concludes that such educations can assist students in finding meaning of life and reason for study. Students can become optimistic and hopeful as world history shows that human rights movements are very often victorious. As human rights and related values, such as human dignity, justice and peace, are not only universal values but religious values shown in the Bible as well, some of students who yearn for these values can be drawn sometimes to religion and God. Further, human rights education can encourage students to consider big questions, which Korean universities do not currently encourage students to do.

      • KCI등재

        지역인재육성을 위한 교과과정에 관한 소고 : 지방대학 인재학부 사례를 중심으로

        김희준,조동제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法學論叢 Vol.28 No.3

        지금 우리나라 대학사회는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입학자원의 미달로 대입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대학은 도태될 것이라는 심각한 위기와 불안에 직면해 있다. 좋은 교육과정을 만들기 위하여 많은 대학들이 전략을 수립하고 있으며 본 연구 역시 어떠한 교과과정이 학생들을 지역의 인재로 육성하기에 적합한지에 대한 치열한 고민과 토론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소멸의 위기 속에서 제정된 지방대육성법의 내용을 파악하고, 이를 지역인재유치 목적으로 운영되는 지방대학 공공인재학부 교과과정에 반영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필자들이 속해있는 대학 편제의 큰 틀을 깨지 않는 범위 안에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특정 대학의 사례일 뿐이다. 교수진,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여부 등 학교별로 처한 상황 등이 다르기에 각 대학에 맞는 고유한 교과과정이 각별로 존재할 것임은 물론이다. 이러한 연구주제 자체의 본질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지방대육성법의 내용을 활용한 본 연구의 결과물은 학령인구가 급감하는 상황에서 혁신적인 교육정책을 개발해야 하는 대학소속의 연구자들에게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한 사람의 인재가 생성되는 과정은 쉬운 것이 아니다. 제대로 된 인재는 국가를 지키는 중요한 요소이다. 인재양성에 있어서 중요한 요건으로 지역대학의 인재육성을 위한 교과과정의 확보를 들 수 있다. Our society is facing a crisis of local extinction due to a decrease in the population. While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are having difficulties in recruiting new students due to a decrease in the population and school-age population, each university is expressing a sense of crisis for survival. Many universities are establishing strategies to create a good curriculum for regional human resources. Act on the development of local universities and colleges and regional human resources was enacted for regional hub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is Act is to contribute to reinforcing competitiveness of local universities and colleges, and balanced development of regions by providing matters concerning fostering and supporting local universities and colleges, and regional human resources. The authors of this paper suggested the optimal curriculum to attract regional human resources by reflecting the contents of this Act as much as possible.

      • KCI등재

        주자의 격물치지설과 원불교의 사리연구 비교

        박성호(朴成浩)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0 No.-

        본 연구는 유학의 격물치지설이 지금까지 언급되었던 단순한 인식방법론의 차원을 넘어 삼학병진에서의 사리연구와 어떻게 연관될 수 있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기존의 인식방법론상에서 주자의 격물치지설과 원불교의 사리연구의 비교연구가 가지는 한계를 지적하고, 각각의 수행방법상에서 그 구조와 내용에 대한 동이(同異)를 고찰한 것이다. 수행구조상에서 살펴보면, 주자의 심미발(心未發)시 주경함양(主敬涵養)과 심이발(心已發)시 격물궁리(格物窮理)의 병진구조는 원불교 삼학병진수행 중 정신수양과 사리연구 사이의 병진구조와 그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실천의 문제에 관해서 주자는 심의 이발미발이라는 심성론 안에서 함께 해결하지 못하고, 주경함양과 격물궁리의 수행구조 이외에 선지후행(先知後行)의 입장에서 치지(致知)와 역행(力行)의 관계를 따로 설정한다. 반면, 원불교의 삼학병진수행 구조 안에서는 성품의 속성을 따라 수양과 연구뿐만 아니라 실천의 문제까지도 함께 병진하게 함으로써 원만한 수행을 하게 한다. 수행내용상에서 살펴보면, 주자의 방법적 이론인 리일분수(理一分殊)는 원불교의 일원상의 진리관과 성리(性理) · 윤리(倫理) · 물리(物理)적인 의미에서 각각 상통하는 면이 있다. 리의 개념과 이기관(理氣觀)에 따른 격물치지의 대상과 방법에서도 사리연구와 유사성을 보지만, 각각 리[天道]에 대한 순응과 활용, 외향적 경향성과 내외동정의 원만성이라는 차이를 보인다. 주자의 격물치지에서는 그 과정과 절차에서 누적과 관통 그리고 유추를 강조한다. 원불교의 사리연구에서도 오랜 시간의 적공을 요구하며 연구력을 얻어 사리에 통달하였다고 할지라도 그 구체적인 대인접물에 있어서 묻고 배우는 자세가 요청되며, 지혜를 얻었다 할지라도 다시 매(昧)하지 않도록 늘 연마의 공을 쉬지 않을 것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주자와 일치하는 견해를 보인다. 그러나 지식의 범주와 목적에는 각각 국한의 차이를 보인다. 주자학에서 중시하는 지식이란 당시 관리들의 개인수양과 국가 통치에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천문 · 농사 · 예제 · 복무 등에 관한 지식이었다. 그러므로 그 지식은 계급적 역사적 한계를 지니며 그 범위도 제한적이다. 반면, 원불교는 정신문명과 함께 과학문명의 병진을 중시하며 시대를 따라 학업을 준비하게 하는 등 시대정신에 맞게 다양한 지식을 추구할 것을 강조하였으며 그 자격 또한 남녀노소 선악귀천을 불문하고 일체 모든 인류를 포괄한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당시에 해결해야할 시대적 사명이 다른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본질적인 차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격물치지와 사리연구는 지식학습의 차원에서 그 인식론적 의미를 포함하고 있음을 부인할 수는 없지만 주자의 격물치지의 본래 목적은 결코 객관세계를 인식하기 위함이 아니라 ‘리’에 대한 인식을 통해서 도덕적 경지에 도달하기 위함이었으며, 사리연구 역시 그 궁극적 목적은 도덕적 인격완성에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이러한 본래 목적은 각각 주경함양과 삼학병진이라는 전체 수행구조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내용을 통해 사리연구와 격물치지가 인식론적 차원에서의 개념비교를 넘어서 각각의 전체수행과정안에서의 수행방법론으로도 다양한 연관성을 맺으며 비교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study will look into how Zhuzi’s GewuZhizhi(格物致知) of Confucianism and The Threefold Study’s SariYŏn’gu(Inquiry into Human Affairs and Universal Principles) of Won -Buddhism could be compared in the methodology of training beyond a dimension of traditional epistemology. For this purpose, I will point out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researches on GewuZhizhi and SariYŏn’gu. At the same ti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will be compared with both structure of practice and contents of practice. From a structure of practice, Zhuzi’s ZhujigHanyang(主敬涵養) and GewuZhizhi are mutual-supporting each other in their structure. It is similar to the structure of practice between Chŏngsin Suyang(Cultivating the Spirit) and Sari Yŏn’gu of The Threefold Study in Won-Buddhism. While, in the aspect of their applications, Zhuzi could not suggest enough solution in Human Nature theory, Won Buddhism has a feature of embracing them by three characteristics of Human Nature, namely voidness (kong), completeness (wŏn), and rightness (chŏng). From the contents of practic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found at three points: methodical theory, objects and methods, and purposes and results. It"s undeniable that GewuZhizhi and Sari Yŏn’gu connotes epistemological meanings at the level of knowledge study. However, their fundamental purpose is not seeking knowledge but completion of the moral personality. In the study, it is found that GewuZhizhi and Sari Yŏn’gu can be compared in practice methodology beyond a level of the knowledge methodology.

      • KCI등재

        퇴계 이황의 생애와 사상

        이성무 조선시대사학회 2008 朝鮮時代史學報 Vol.45 No.-

        The choson society in the 16th century, the time of Twaegyae Lee Hwang, was witnessing the transfer in power, from the Hungu faction to the Sarim faction. When the so-called 'Dohak politics(politics based upon one's own understanding and studies of Do[the way of life])' led by Jo Gwang Jo failed because of 1519 political purge of newcomers, Twaegyae gathered together Sarim figures, and in order to appropriately train them, he concentrated his efforts upon establishing 'Dohak' theories, developing the 'Dotong' line of succession(line of succession in terms of 'Dohak' studies), initiated the custom of Hyangyak(local rules for autonomous self-governing), and erected Seoweon schools. Twaegyae's Dohak studies began with the argument calling for self character building. Twaegyae developed the theory regarding human nature, in order to criticize the wrong doings and malpractices of the Hungu figures. He figured that human nature was good in its very design, as it was formed while receiving the essence and principles of the universe. And as he figured that human nature would be good-hearted because of its relationship with the heavenly principles, his theories led to a series of other theories, which involved the nature of the universe. He argued that in order to preserve this good nature, one must continue its efforts of being sincere and maintaining the concept of Gyeong/敬. And in order to do so, Twaegyae argued that one must honor the principles of the universe(存天理) and suppress one's own passions and desires(遏人欲). Twaegyae's Dohak studies inherited those of the Chinese Sung dynasty Dohak philosophers, from Ju Don Ih to Jang Jae, to Jeong Ho and Jeong Ih, and finally to Ju Hi. More specifically Twaegyae consulted and built his theories upon the theories of Ju Hi. As a result, quite naturally he came to criticize and reject all other forms of theories and studies, which not only included Shamanism, Buddhism, Taoism but also included other Confucian trends such as the Shimhak studies(studies of human nature and especially the ‘Shim/心’ concept) of Ming dynasty's Wang Yang Myeong and choson's Seo Gyeong Deok. The theory of Ih/理's determinative influences was the essence of Twaegyae's philosophy. It argued that no Gi/氣 could exist without Ih/理. In his theory of '4 starters and 7 emotions', Twaegyae argued that Ih was the one that always triggered(理發), and Ih was the one that always motivated(理動/or mobilizes). Ih would trigger and set '4 starters' in motion, which were good in nature, but the 7 emotions that were induced as a result could appear either good or bad due to certain variables. In the meantime, one might question how could Ih trigger or motivate something when its very nature was the one of 'Muwi/無爲'("letting it flow without interfering"), and in response Twaegyae suggested the argument that Ih had both Chae and Yong(體用論) in its design, saying that Ih was composed of not only Chae(which embodies the 'letting it flow' side of Ih), but also Yong(which embodies the more dynamic[動靜] part of Ih). Although there were some objections and controversies among philosophers, Twaegyae faithfully engaged in establishing such theories regarding Ih's prominence in influence and Ih's nature of triggering and motivating, in order to clearly define the principles behind the concept of morality(道德理). His concept of Ih was not a mere, naturally-conceived, objective kind of Ih, but also a concept that can be used in valuation, determining what would be right and what would be wrong. In other words, he connected the act of doing something good, to the theories that dealt with universal properties. 퇴계가 살던 16세기 조선사회는 훈구파에서 사림파로 정권이 바뀌는 과도기였다. 퇴계는 조광조가 주창하던 도학정치가 기묘사화로 좌절되자 사림세력을 결집하고 재훈련시키기 위해 도학 이론을 정립하고, 도통을 확립하며, 향약을 실시하고, 서원을 설립했다. 퇴계의 도학은 수양론으로부터 출발한다. 훈구파의 부정부패를 비판하기 위해서 심성론을 개발했다. 인간의 본래의 마음은 천리를 품부받아 착하다고 본다. 성선설이다. 이 착한 마음이 하늘로부터 온 것이기 때문에 심성론은 우주론으로 연결된다. 이 착한 마음을 지키기 위해서는 경(敬)을 해야 한다고 했다. 경을 하려면 존천리(存天理) 알인욕(遏人欲)해야 한다는 것이다. 퇴계의 도학은 주돈이-장재-정호-정이-주희로 이어지는 송대 도학자들의이론을 이어받았다. 특히 주희의 이론을 조술했다. 따라서 주자의 이론과 다른 사상은 이단으로 배격했다. 무속, 불교, 도교, 노장뿐 아니라 같은 유교 중에서도 왕양명의 심학, 서경덕의 심학까지 배격했다. 리기론에서 주리론은 퇴계철학의 핵심이다. 리(理) 없는 기(氣)가 없다는 것이다. 퇴계는 4단7정론(四端七情論)에서 리발(理發), 리동(理動)을 주장했다. 리가 발한 것이 4단으로 순선(純善)인데 반해 7정은 중절(中節) 여부에 따라 선(善)할 수도 있고 악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리는 무위(無爲)라고 했는데 어떻게 발하느냐는 문제가 생긴다. 이에 퇴계는 리의 체용론(體用論)을 들고 나온다. 리의 체(體)는 무위이지만 리의 용은 동정(動靜)이 있다는 것이다. 이와같이 반론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주리론, 리동론을 고집한 것은 도덕리(道德理)를 밝히기 위해서이다. 이 때의 리는 자연법칙적, 객관적 리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시비, 선악을 밝히는 가치론적 리, 곧 도덕리인 것이다. 선행을 하는 것을 우주론인 리기론에 연계한 것이다.

      • KCI등재

        Transition from Far Eastern/Eastern/East Asian Studies to Korean Studies: Focusing on the Practice of Korean Humanities Institutes in Their Early Period

        김현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Korea Journal Vol.51 No.3

        In the context of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tudies, this paper reviews the practices and development of university research institutions that led the way toward production of humanities knowledge in support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identity of Koreans after the Korean War. Studies on Korea, which had previously been defined within the three different but interrelated regional perspectives, such as Far Eastern, Eastern, or East Asian, gradually came to be independent from these regional study groups with the formation of Korean studies. Along with this move came the decline and loss of regional views, the blooming and subsequent peripheralization of culturalist Korean linguistics which succeeded the tradition of Joseon studies formed in the colonial period. To a large extent, the separation of Korean Studies, driven by university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s in the 1960s and 1970s, transformed the terrain and character of discourse on humanities.

      • KCI등재후보

        ‌내러티브를 통한 ‘사고와 표현’ 수업모형 비교

        김영국,박주희,이영란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3

        The courses titled ‘Thinking and expression’ 1 & 2 from Chosun University are designed for entire freshmen students and these same courses are lectured by diverse professors for each class. The class syllabus of each lecturer can be altered or varied based on textbooks of ‘Thinking and Expression.’ Students can choose to take a class among many professors after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lecturers. Therefore, students' various needs for the courses can be met by professors delivering the lecture, ‘Thinking and Expression’ in the same way and at the same time study activities for better qaulity of courses are performed to emphasize characteristics of lecturers. It is meaningful in that a lecturer teaching ‘Thinking and Expression’ doesn't cover only one course but it is also taught by humanities specialists. So it appears to be necessary to analyze courses of professors from the field of humanities before deducting the result about effects on students. Lecturers compare and analyze each course model through joint research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year 2013. Course models in conducting fundamental education by professors specialized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and Education will be compared. Comparison will be made in order, which is as follows; 1) Class syllabus, 2) Compare models and narrative lessons. Thus,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instill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in students so that they can express their thoughts more efficiently,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writing and presentation and become intelligent, well-educated people with broader views and opinions by fostering insight about humanities. Classes through the narrative(s) can help discover the structure of knowledge by letting us understand something universal and comprehensive that surpasses information and facts that we have known. 조선대학교 ‘사고와 표현1, 2 ’ 과목은 전체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각 분반별로 같은 과목을 여러 교수가 진행한다. 교수자별 강의 계획서는 ‘사고와 표현’ 교재를 중심으로 다소 유연하게 짤 수 있다. 학생들은 교수자들의 특성을 알고 각 전공별 교수자가 담당하는 분반을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다. 그래서 ‘사고와 표현’ 과목을 동시에 강의하는 교수들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강의에 대한 다양한 필요를 채우면서 아울러 강의자의 특성을 살려 보다 질적인 수업을 해보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스터디가 진행되었다. ‘사고와 표현’이라는 과목을 가르치는 교수자가 어느 한 전공에 치우치기보다는 인문학 전공자들이 교수한다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학생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가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기 이전에 인문학 분야의 전공 교수들의 수업을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교수자들은 2013년 1학기 동안 공동 연구를 통해 각각의 수업모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국문학 전공, 역사학 전공 그리고 교육학을 전공한 교수들이 대학에서 기초 교육을 수행함에 있어 수업모형을 비교해 보았다. 비교 항목으로 1) 강의계획서, 2) 수업모형 및 내러티브 비교 순으로 서술하였다. 이 과목의 목표는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갖추어 자신의 생각을 보다 효율적으로 표현하고, 글쓰기와 발표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며 나아가 인문학에 관한 통찰력을 길러 보다 넓은 시각과 견해를 갖춘 지적인 교양인이 되는 것이다. 내러티브를 통한 수업은 우리가 사전에 알고 있는 정보나 사실들을 초월하는 보다 보편적이고 포괄적인 것을 이해할 수 있게 하여 지식의 구조를 발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KCI등재

        디지털 정보기술을 활용한 근대한국학 연구의 성과와 한계 ― 디지털 인문학과 근대한국학-디지털의 눈으로 한국학을 읽다에 대한 서평

        선민서 국제비교한국학회 2022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30 No.1

        본고에서는 한국학 분야에서 디지털 인문학 연구 방법론을 통해 괄목할 만한 성취 를 거두어온 연세대 근대한국학연구소의 디지털 인문학과 근대한국학을 통해 최 근의 디지털 인문학의 성과와 한계를 가늠해보고자 했다. 본서에 구현된 디지털 정보 기술을 통한 근대한국학 연구의 성과로 첫째, 근대한국학 하위 개념의 해체와 재구 축, 둘째, 근대한국학 연구 영역의 확장 가능성 시사, 셋째, 디지털 정보기술의 적용 가능성 확대를 찾을 수 있었다. 반면에 디지털 정보기술을 통한 근대한국학 연구의 한계로 디지털 정보기술의 미발달에 따른 이른바 ‘분석 불가능한 데이터의 문제’가 나타났다. 또한 인문학적 해석의 불충분에 따른 한계로 즉 ‘과잉 해석되거나 방치된 데이터’의 문제를 찾을 수 있었다. 향후 디지털 정보기술을 발달시키고 단기간에 연 구 성과를 제출해야만 하는 강압적인 연구 환경을 변화시킴으로써 우리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인문한국학이 나아가야 할 길 : 이념과 제도

        백영서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한국학연구 Vol.17 No.-

        이 논문은 한국학의 개념 및 한국학의 세계화의 의미와 방안을 검토하기 위해 쓰인 글이다. 현재 우리가 쓰는 ‘한국학’에는 ‘조선학’ 혹은 ‘국학’ 그리고 ‘Korean Studies’이라는 두 개의 맥락이 뒤섞여 있고 최근에는 ‘한국학의 동아시아적 정체성’을 중시하는 흐름이 생기고 있다. 미래의 한국학은 이러한 흐름에서 더 나아가 ‘비판적·역사적 동아시아학’의 정체성을 가져야 한다. 한국학이 세계화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타 분과학문과의 소통가능성, 보편성의 지반을 넓힘으로써 전략적 제휴를 모색하는데 힘써야 한다. 이를 위해, 동아시아한국학 집중강좌 개설, 동아시아한국학회 창설, 『동아시아한국학』}학술지 개설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In this article, the concept of Korean studies is discussed, along with the meaning of achieving globalization in Koreanology studies. Also intended is to suggest new ways that would be viable in achieving such goal of globalization, in relevant area of studies. The term 'Korean studies', which is currently being used by many people, actually possesses multiple meanings. We can see other terms such as either ‘Joseon studies’ & ‘national studies’, or the term ‘Korean Studies’, being used in similar occasions as well. Nowadays, people are just starting to consider the concept of 'East Asian identity of Koreanology' as a very important subject to ponder upon. The Korean studies in the future should establish an identity as truly 'East Asian' studies armed with critical and historical qualities of its own. And in order for the Korean studies to achieve a truly globalized nature, people involved in those studies should endeavor to strategically concert their overall efforts through many ways, like communicating with other individuals engaged in other areas of studies, and eventually strengthen the universal nature of Korean studies. And to achieve such goals, concentrated classes dealing with East Asian Korean studies should be arranged in schools, a research society of scholars engaged in East Asian Korean studies should be organized, and a bulletin(that could be named as 『East Asian Korean studies』) should be founded as well.

      • KCI등재후보

        한국의 인문학 소외 현상과 한국학의 세계와 방안

        권영우 ( Young Woo Kwon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건지인문학 Vol.10 No.-

        This article has two purposes. Firstly it aims to diagnose the phenomenon of alienation of the humanities in Korea and its factors (Chap.2), and secondly to suggest a proposal for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Chap.3). In chapter 2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is considered as the phenomenon of alienation of members (or rather subjects) of university. One of the important appearances of this ali-enation is the alienation of the humanities in Korea. Moreover this article analyses and criticizes briefly the policy of Korean govern-ment for high level education. In chapter 3 a proposal for global-inzation of Korean studies is suggested as a possible methode that can reduce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in Korea, that can revitalize the identity of university through the efficient supporting of Korean gov-ernment, and that can raise the value of the role of government.

      • KCI등재

        창의적인 글쓰기를 유도하는 협동글쓰기 수업 모듈- <마음사전> 만들기 사례연구: 낱말의 비교와 용례의 활용을 통한 협동글쓰기

        고명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4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writing are different. Although, there are some part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y need different abilities. In this context, writing is a productive activity that finds an suitable balance between personality and sociality, or between individuality and universality. Writing is carried out by seeking a suitable balance between unique personal thoughts and converging the idea logically. So we asked like this. Is there any effective way to encourage these two competencies at the same time in the university's writing process? This study is made with this intention.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making Mind Dictionary. This module takes a short term of one to two weeks. We have tried this module of classes to improve both students' creativity and writing skills at the same time. The reason for applying the concept of modules in this study is that it considers short-term efficiency and completeness in time. The <Mind Dictionary> is a writing module that compares, contrasts, and analyzes synonyms and similar words, reveals differences in meanings that were not previously thought, and logically converges and explains them. In this process, students were able to experience proper selection and use of the language, and freely emit novel ideas. They collaborated to make the prose. They were able to enhance the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because they used the dictionary as an examples. Above all, it is a great advantage to be able to expand both creativity and writing ability. In the future, we are committed to investigate the disadvantages of the module to create better modules in the future. 창의적인 생각을 하는 것과 창의적인 글을 쓰는 것은 다르다. 양자는 상통하는 부분도 있지만, 서로 다른 역량이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글쓰기는 개인성과 사회성, 혹은 개별성과 보편성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점을 찾아내는 생산적 행위이다. 그렇다면 대학의 글쓰기 과정에서 이 두 가지 역량을 동시에 신장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있을까. 본 연구는 이와 관련하여 ‘창의성’과 ‘글쓰기 능력’을 동시에 신장시킬 수 있는 수업 모듈을 구상하여 직접 시도해본 사례 연구이다. 본 연구는 ‘<마음사전> 만들기’라는 1~2주가량의 짧은 수업 모듈(Module)을 만들어 학생들과 함께 새로운 글쓰기 수업을 수행해본 결과물이다. 본 연구에서 모듈이라는 개념을 적용한 것은 단기적인 시간 내의 효율성과 완결성을 고려한 결과였다. ‘<마음사전> 만들기’는 유의어나 비슷한 낱말을 서로 비교 · 대조 · 분석하여, 기존에는 생각해보지 않았던 의미의 차이를 드러내고 이를 논리적으로 수렴 · 설명하는 글쓰기 모듈이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언어의 적확한 선택과 운용을 경험할 수 있었으며, 매우 참신한 생각을 자유롭게 발산할 수 있었다. 협동을 통해 글의 내용을 정치하게 만들고, 용례와 사전을 활용하여 글의 논거로 활용해보는 정보 처리 능력도 기를 수 있었다. 무엇보다 창의성과 글쓰기 능력을 동시에 신장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었다. 이 외에도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모듈의 단점들을 보완하여 차후에 더 훌륭한 모듈을 만드는 것을 기약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