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est Anxiety among Chinese Undergraduates from Urban versus Rural Backgrounds

        Dianping Liu,Ken Springer,Yang-Hee Kim 국제언어문학회 2021 國際言語文學 Vol.- No.49

        본 연구는 중국 도시와 농촌 학부생들의 시험 불안을 깊이 이해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이 연구를 위해 연변대학교에 재학 중인 5명의 도시 학생들과 5명의 시골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학생 개개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형화되지 않은 면접은 그들의 수행능력에 대한 자기평가, 시험 불안의 정도, 시험 불안 원인에 대한 이해, 선호하는 대처전략, 시험 불안을 줄일 수 있는 여부에 중점을 두었다. 인터뷰를 통해 모든 학생들이 반드시 시험 기간 동안에만 불안감을 느낀 것이 아니라 그들이 시험 전에 불안을 느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시험 불안을 해소하고자 학생들은 다양한 정서 중심 및 문제 중심 대처 전략을 사용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와 농촌 학생들 간 차이의 결과에서 시골학생들이 과하도록 심한 시험 불안을 경험했고, 자신 통제력을 포함한 시험 불안을 다루는데 있어 비교적 효율성이 떨어지는 대처 전략을 사용했다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 성별에 따른 시험 불안에 대한 차이에서는 기대와는 다르게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농촌 학생들이 갖는 시험 불안에 대한 심각성을 이해함으로써 그들의 시험 불안을 줄여,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방안을 찾는데 교육적 의의를 두었다. This is a qualita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to deepen understanding of test anxiety among Chinese undergraduates from urban versus rural backgrounds in China. Five urban and five rural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Yanbian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Semi-structured interviews conducted with individual students focused on self-assessment of performance, extent of test anxiety, understanding of causes of test anxiety, preferred coping strategies, and the possibility to reduce test anxiety. The interviews revealed that all students experienced anxiety before tests but not necessarily during tests. To reduce test anxiety, students used a variety of emotion-focused and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ies for dealing with test anxiety. The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rural students tended to show that rural students appeared to experience more severe, unqualified test anxiety, and they relatively used less effective coping strategies involving self-control to deal with test anxiety than their urban peers. Finally, contrary to expectations, no gender differences in test anxiety were fou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help reduce Chinese undergraduates’ test anxiety and adapt well to university settings by understanding the challenge of test anxiety, particularly among Chinese rural students.

      • KCI등재

        청소년의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사회환경적 변인

        성종호,이영식,이길홍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3

        연구목적: 시험 불안의 인지적, 감정적 두 요소와 상호 관련이 있으리라 예상되는 수험생들의 개인적 변인과 수험생들을 둘러싼 환경적 변인간의 상호 관련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개인적 변인으로는 성별, 나이, 학업 성적, 지능(I.Q), 심리 상태(자존심, 강박 성향, 일반적 불안 성향, 사회적 인정 욕구)이며, 환경적 변인으로는 수험생의 거주 지역, 학교 특성(인문계/실업계), 부모의 학력, 직업, 경제 상태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시험 불안의 인지적, 감정적 두 요소가 명확히 구분되는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고, 시험 불안이란 시험에 국한된 특수 불안인지 아니면 일반적 불안의 한 단면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서울 시내의 강남과 강북에 소재한 남·녀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실업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8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 도구는 Spielberger의 시험 불안 목록(Test Anxiety Inventory), 심리적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Rosenberg의 자존심 척도(Self-Esteem Scale), Hodgson과 Rachman의 Maudsley Obessive-Compulsive Inventory, 이영식과 이철원의 한국형 소아 공포-불안 주제 목록, Ellis의 비합리적 신념(Irrational Belief)중 사회적 인정 욕구(Demand for Approval)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 과: 1) 시험불안의 감정적 요소, 인지적 요소, 총점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2) 시험불안은 인문계와 실업계간, 강남과 강북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시험불안은 중학교 1학년이 2학년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고교 1학년과 2학년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시험불안은 자존심 척도, 지능지수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강박 장애 척도, 사회적 인정 욕구 척도, 소아불안 척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소아 불안 척도와 가장 큰 상관 관계를 보였다. 5) 시험 불안의 인지적 요소, 감정적 요소, 총점 모두는 어머니의 학력과는 의미 있는 관계를 보였고, 경계 상태와는 시험 불안의 감정적 요소가 의미있는 관계를 보였다. 6) 시험 불안의 인지적 요소와 학업 성적 사이에는 의미있는 관계를 보였다. 결 론: 상기 결과들을 종합하여 본다면, 첫째, 시험 불안의 인지적 요소, 감정적 요소가 청소년의 심리적 요소, 환경적 요소에 따라 명확히 구분되는 것이 아니지만, 학업 성취 면에서는 인지적 요소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둘째, 시험 불안은 시험이라는 특정한 상황에서 발생한다고 하지만 개인의 전반적인 심리적 상황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특성 불안의 요소를 가자고 있으며, 소아, 청소년에서 나타나는 불안 장애의 일종이라고 정의 내릴 수가 있다. 셋째, 시험 불안의 인지적 요소만이 청소년의 학업 능력과 상관관계를 보이며, 인지적 요소와 감정적 요소 모두는 심리적 요인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넷째, 청소년의 환경적 변인 중 어머니의 학력이 시험 불안에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것은 어머니가 자녀를 통해 보상을 받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자녀의 심리 상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그 외의 환경적 변인은 큰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 anxiety and individual, socioenvironmental factors in adolescents. Also, this study assessed whether two components, worry and emotionality, of test anxiety were distinctly distinguished or not, and whether test anxiety was specific state anxiety limited to test situation or a part of general trait anxiety.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8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o evaluate test anxiety level, we used Spielberg's Test Anxiety Inventory. For the evaluation of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Rosenberg's self-esteem scale, Maudsley's Obsessive-Compulsive Inventory, Lee's the Korean version of Fear-Anxiety Survey Schedule for Children, and Ellis' Demand for Approval scale were applied.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est anxiety level was higher in girls,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offspring's of high school graduate mother, and high economic clas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graduate mother, and high economic clas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characteristics and residence location. 2) Test anxiety was correlated negatively with self-esteem, I.Q. and correlated positively with obsessive-compulsiveness, demand for approveness, especially general fear-anxiety(r=0.47). So although test anxiety occurs in test situation, test anxiety is a part of general trait anxiety affected by individual psychologic factors. 3) The better school achievement subjects showed the lower worry component of test anxiety. 4) Two components, worry and emotionality, of test anxiety were not distinctly distinguished in this study. Conclusion : In summary, first, Worry and Emotionality of test anxiety were not markedly different from according to adolescent's psychological factor, sociodemographic factor but performance achievement was significantlycorrelated with Worry of test anxiety. Second, although test anxiety was occurred in specific situations as test, test anxiety was affected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 so defined by a series of anxiety disorder. Third, only Worry of test anxiety was correlated with performance achievement and Worry and Emotionality were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factor. Forth, mother's education level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est anxiety, this means that mother has the wish to compensate the her inferiority through her offspring and mother strongly affect to adolescent's psychological state.

      • KCI등재

        시험불안과 우울, 특성불안 및 상태불안과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조수철,정영,홍강의,신민섭,성영훈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1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2 No.2

        시험불안은 전세계적으로 학령기 아동 또는 청소년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불안이라고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어느 정도의 시험불안은 학습을 촉진시키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학습을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지난 수십년동안 시험불안의 요인이나 특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들이 있어왔으나 단편적이며, 시험불안의 정확한 특성이나 원인에 대하여 아직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험불안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험불안과 상태-특성불안, 우울증과의 상호관련성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서울시내 한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시험불안, 우울증, 상태-특성불안 간의 상호관계에 대하여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평가도구를 시용하여 상관성을 검증하였다. 시험불안과 우울증과의 상관성은 상관계수 0.56(p<0.05), 특성불안과의 상관성은 상관계수 0.53(p<0.05), 상태불안과의 상관성은 상관계수 0.75(p<0.05)로서 모두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시험불안은 단순한 시험불안이 아니라 우울증, 상태불안, 또는 특성불안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시험불안에 대한 치료적인 대책을 수립할 때에는 이러한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Introduction : Test anxiety is a pervasive problem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While anxiety in test situations may actually facilitate the performance of some students, more often it is disruptive and leads to performance decrements. Over the past years, many child psychiatrists have become concerned with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est anxiety, but it is not clearly understood yet.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est anxiety,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 anxiety and depression, state anxiety, trait anxiety was examined. In addi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scores of test anxiety (worry and emotionality) and the subscores of CDI, state anxiety or trait anxiety were examined. Methods : The Test Anxiety Inventory, Chidlren's Depression Inventory,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were administered to 425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relationships between test anxiety and other measures were test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to test the causal ra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est anxiety and depression, state anxiety, trait anxiety were 0.56(p<0.05), 0.75(p<0.05), 0.53(p<0.05)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subscales of test anxiety and depression were all significant. The correlation between subscales of test anxiety and state and trait anxiety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 This study indicates that test anxiety is closely related with depression, state and trait anxiety. In addition, the subscales of test anxiety a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ose of the depress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est anxiety and state-trait anxiety a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in order to develop the preventive and effective methods for treatment, these psych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should be kept in mind.

      • SCOPUSKCI등재
      • 光州地域 一部 中·高等學生들의 試驗不安에 대한 硏究

        전세정,정영,박상학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1997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2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 anxiety and several variables (sex, grade of school, parent's school year, academic performance, parent's occupation, religions, blood type, personality trend, etc)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wangju City (total numbers = 1060). Test Anxiety was assessed by the TAI-K(Kim Moon Joo, 1990). The data were processed by student t-test and ANOVA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Fe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test anxiety scores than males (especially worry factors were more prominent than emotionality factors) 2. In the area of grade difference in test anxiety, 2nd grade students were the highest group, 3rd grade were the lowest group in high school, In middle school, 1st grade were the highest and 3rd grade were appeared the lowest score of test anxiety. 3. In the area of mothers school graduate, female student with high school graduated mother group were appeared significantly higher test anxiety scores than other groups. 4. School performance and test anxiety was correlated negatively and significantly. 5. If student dislikes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subjects, they experienced higher test anxiety significantly than other groups. 6. Test anxiety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s of live with their brothers or sisters than have no brothers and sisters group. 7. In male students, one of parent was not employed group had higher test anxiety scores than employed all. 8. In female students with religion, test anxiety scores were higher than had no religion group.

      • KCI등재

        인문계 고등학생의 시험불안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미희,유형근,신효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2 敎員敎育 Vol.28 No.3

        The research seeks to prov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reduce test anxiety of high school students. To do this, the research examined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est anxiety and constituent factors of anxiety responses in testing scale, and selected 6 test anxiety subfactors based on common elements. Based on these constituent factors, the research formed 11 session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reduce test anxiety of high school students. To verify hypothesis, the research selected 22 1st grader students, whose having a high test anxiet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1 students were in the treatment group and the other 11 students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test tool was 'Anxiety Responses in Testing Scale' of Park Byeong-gi, Im Sin-il, Kim Eo-jin(2008). For the data processing, 'Mixed ANOVA' was used to analyze statistical results. To complement the limits of quantitative research, the analysis of students' experience reports and counselor's observations was also presented. Results showed that group counseling program to reduce test anxiety had positive impact on a test anxiety of high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인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험불안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시험불안에 대한 선행 연구결과와 시험불안 검사에 포함된 시험불안 하위영역을 검토하여 공통요소를 토대로 6개의 시험불안 하위영역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인문계 고등학생의 시험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11회기의 시험불안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B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267명 가운데 시험불안 점수가 M+1SD(142.96+36.50), 즉 179.46 이상인 학생 46명 가운데 집단상담에 참여를 원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1명과 통제집단 11명을 구성하여 실험집단의 학생에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박병기, 임신일, 김어진(2008)에 의해 재개념화된 시험불안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통해 통계적 분석을 했으며, 양적 결과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회기별 경험 보고서와 상담일지를 통한 상담자 관찰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험불안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인문계 고등학생의 시험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고학년의 시험불안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조은경,유형근,신효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09 敎員敎育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reduce test anxie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higher grade, and to verify the influences on test anxiety.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those who desired to participate in group counseling who had high score in the TAI-K(test anxiety inventory - Korea) taken by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the N elementary school in Kyongsang-Namdo, and composed of 7 memb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7 members of the control group. The inquiries design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ccord with the actual conditions of Korean students based on TAI created by Kim, Moon-Joo(1991) was used as a test tool. For data processing, 'Mixed ANOVA' from SPSS/Windows 12 was used to analyze statistical results, and the analysis of experience reports by session and counselor observation contents was also indicat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in the reliability of quantitative results. The major conclus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in short,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est anxie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o reduce test anxiety and the control group. And, so are the cognitive factors and the emotional factors, which are sub-categories of it. Second, in consequence of analyzing experience log and counseling observations, and questionnaires for program evaluation, this program was proved to have an affirmative effect on relieving test anxie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program to relieve test anxiety was developed and proved to be effective through consisting of sub-categories for test anxiety using not one way but complex approaches to resolve test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higher grade.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시험불안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는 경남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시험불안 검사(TAI-K)를 실시하여 점수가 평균보다 1 표준편차 높은 학생들 중 집단상담에 참가하기를 원하는 학생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주 2회, 총 10회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TAI-K로 김문주(1991)가 TAI를 기초로 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개발한 초등학생용 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통해 통계적 분석을 하였으며 양적 결과에 대한 해석을 보완하기 위하여 회기별 경험보고서와 상담일지를 통한 상담자 관찰내용을 분석하였다. 시험불안 감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시험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었으며, 내용 분석 결과 실험 참가자들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살펴볼 때, 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시험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Assessing Oral Test Anxiety and Its Proximal Variables

        Li Guo 한국영어평가학회 2010 영어평가 Vol.4 No.1

        The present study primaril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test anxiety and its nine contextual/personal variables. 306 non-English majors in a Chinese university participated in a face-to-face oral English proficiency test and then a questionnaire survey which involved 8 variables selected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and a preliminary study. It was revealed that students’ average score of general test anxiety as measured by TAI was 37 and they experienced medium degree of oral test anxiety. Correlational analysis demonstrated a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ral test anxiety and three factors – general test anxiety, perceived test difficulty and examiner impact. Five variables including oral test performance, self-efficacy, previous oral testing experience, preparedness, perceived test difficulty, perceived time constraint were found to relate inversely to oral test anxiety. Gender was shown to have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dependent variab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epwise regression, six of the nine independent variables contributed to the prediction of oral test anxiety. General test anxiety made the greatest contribution, followed by perceptions of difficulty, self-efficacy, examiner impact, oral test performance and preparednes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possible sources of anxiety in oral English tests.

      • KCI등재

        기질 및 애착유형이 청소년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소연,이영식,한덕현,남규탁,고복자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6 신경정신의학 Vol.45 No.3

        목적 시험 불안 원인 파악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서울시 학교보건원과 연계하여 대규모 설문조사를 통해 개인의 타고난 기질과 어린 시절 형성된 애착유형이 시험불안에 어떤 영항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5년 5월부터 6월까지 서울시내 6개의 중학교와 5개의 인문계 고등학교, 1개의 실업계 고등학생 4,1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험불안의 측정도구로는 시험불안 목록(Test Anxiety Inventory)을 사용하였고, 애착 형성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애착관계형성 척도-개정판(RAAS : Re-vised Adult Attachment Scale)을 사용하였고, 기질 성격 검사(Junior Temperament Character Inventory, 이하 JTCI)를 사용하여 기질을 측정하였다. 결과 여중생, 남중생, 남고생, 여고생 네 군으로 나누었을 때 시험불안은 여고생이 다른 세 군에 비해 높았다. 애착유형은 네 군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고, 기질 면에서 여고생이 남고생 보다 사회적 민감성이 큰 반면에 자극 추구요인은 의미있게 낮았다. 중학생의 경우 남녀 간의 차이는 없었다. 시험불안이 높은 군은 낮은 군에 비해 애착유형측면에서 볼 때 불안이 높은 반면 친밀성과 의존성은 낮았으며 기질 면에서는 위험 회피 요인이 높은 반면 인내력이나 사회적 민감성은 낮았다. 네 종류의 기질특성 및 세 종류의 애착유형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중요도를 보았을 때 위험 회피 기질 특성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불안한 애착형성이었다. 결론 시험불안의 원인적 측면에서 볼 때 기질특성 특히 위험 회피 기질과 불안정한 애착이 중요하다고 판단되었다. Objectives : Through mass survey with Seoul School Health Cent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any correlational factors that affect test anxiety in individual's temperament and attachment type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Methods : Subjects were 4,178 students from 6 middle schools, 5 high schools and 1 technical high school in this study from May to June, 2005. Test Anxiety Inventory (TAI) by Spielberger, Revised Adult Attachment Scale (RAAS) by Collins and Read and Junior Temperament Character Inventory (JTCI) by Ludy were used in this study. Results : Among 4 groups by sex and age, high school girls had the highest level of test anxiety and high school boys had the lowest level of test anxiety. The attachment subsco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ur groups. High school girls had higher social susceptibility but had lower novelty seeking subscores than high school boys. Middle school students revealed no meaningful differences of temperament between sex. Compared to low test anxiety group, high test anxiet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anxiety subscores in attachment scale and high harm avoidance subscores in temperament scale. However, the results of other three subscores of temperament and two subscores of attachment were reversed. Anxiety subscore of attachment and harm avoidance subscore of temperament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st anxiety score (r=0.26, r=0.32). However, other subscore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est anxiety score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scores were very low. Conclusion : We concluded that, in temperament and attachment aspect,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est anxiety was harm avoidance temperament and the next important factor was anxious attachment.

      • KCI등재

        청소년의 시험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 환경적 요인

        이영식,성종호,손인기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0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1 No.1

        연구목적 : 청소년의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사회환경적 변인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시험불안의 인지적요소, 감정적 요소와 가정환경 요소간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학생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 서울 시내 8개 남녀 중고등학교 총 8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험불안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Spielberger의 시험불안 목록(Test Anxiety Inventory)을 사용하였고, 가정환경적 요소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Moos와 Moos의 가정환경척도(Family Environmental Scale)를 사용하였다. 기타 사항은 저자들이 작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 : 1) 시험 불안의 총정 및 인지적 요소는 응집력 척도, 독립성 척도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시험불안의 총점 및 인지, 감정적 요소 모두는 성취 지향성 척도, 조절성 척도와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2) 시험 불안이 높은 군은 낮은 군에 비해 성취 지향성 척도, 조절성 척도는 노고 웅집력 척도는 낮았다. 3) 시험 불안과 밀접히 연관된 상기 4가지 척도 중 조절성 척도를 제외한 세가지 척도(성취 지향적, 독립성 응집력)는 부모의 학력, 경제력이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보였다. 결론 : 따라서 부모는 아이의 능력에 맞는 성취지향성 목표를 설정하여야 하며, 자녀에 대한 과도한 통제나 조절보다는 독립성을 고취시켜야하며, 가정내 구성원간의 갈등이 없는 응집력을 보여야 하겠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done as a part of investigating individual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est anxiety in adolescent. The focusing of this study was detecting specific family enviromental factors affecting worry and emotionality of test anxiety.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8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 To evaluate test anxiety level, Spielberger's Test Anxiety Inventory was ap-plied and to evaluate familial factor, Moos and Moos' Family Environmental Scale was done.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otal and worry part of test anxiety scor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hesion and independence scores. Total, worry, and emotional part of test anxiety 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hievement orientation and control scores. 2) High test anxiety group showed higher achievement orientation and control scores, and lower cohesion scores than low test anxiety group. 3) The higher socioeducational level of parents were, the higher three subscale(cohesion, independence, and achievement orientation)scores were, except control score. Conclusion : In therapeutic approach of adolescent's test anxiety,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treatment of their parents should be emphasized. Parents should set their children's appropriate achievement goal, encourage their children's independency instead of control. Cohesion of familial members are also needed. KEY WORDS : Test anxiety·Family environmental factor·Adolesc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