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정치지각이 사회적 태만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냉소주의의 매개역할 및 학습목표지향의 조절역할

        허선,정원호,이지영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6

        Recently, studies in the field of organizational behavior have largely focused on the positive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such a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while relatively less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negative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Among negative behavior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ntecedent of and influential processes on social loafing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Even though organizations have strived to find ways and introduce systems in order to improve work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members, there are still many organizational members who are socially loafing.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organizations to come up with means to reduce or remove negative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as much as to foster and improve positive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Scholars have suggested that organizational politics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so that they think that their organizational environments are not fair when other members utilize politics to gain benefits. This study aims to test the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on social loafing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We also suggested that the influential proces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on social loafing behavior would be mediated by organizational cynicism. Moreover,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on social loafing behavior through organizational cynicism will be moderated by learning goal orienta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local government officers through 2 time points and the final sample size was 260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increased social loafing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That is, organizational members with higher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re more likely to increase social loafing behavior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and social loafing behaviors was fully mediated by organizational cynicism. The effects of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politics increase organizational cynicism, and then the increased organizational cynicism has positive effects on social loafing of organizational members.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ynicism on social loafing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were moderated by learning goal orientation, such that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ynicism on social loafing behavior were stronger for those with high learning goal orientation than those with low learning goal orientation. With further examination, it was found that those with lower learning goal orientation show higher level of social loafing behaviors regardless of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ynicism. However, those with higher learning goal orientation show lower level of social loafing behaviors with low level of organizational cynicism and their social loafing behaviors wer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ir organizational cynicism. Finally, the indirect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on social loafing behaviors through organizational cynicism was also moderated by the level of learning goal orientation such that the indirect effect was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learning goal orientation was high.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의 부정적 행동 중에서 사회적 태만행동의 선행요인과 그 영향력 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최근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직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조직 내 사회적 태만행동은 사라지지 않고있는데, 조직에서는 조직구성원의 긍정적 행동을 장려하는 것만큼 부정적 행동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양한 선행연구에도 불구하고 무엇이 사회적 태만행동을 유발하는지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 속에서 사회적 태만행동의 선행요인으로 조직정치지각의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기존 선행연구의 영역을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조직정치지각과 사회적 태만행동의 관계에서조직냉소주의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조직구성원들의 학습목표지향이 이러한 영향력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기초지방자치단체 공무원 26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수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정치지각이 높을수록 사회적 태만행동은 높아지며, 조직정치지각과 사회적 태만행동의 관계를 조직냉소주의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냉소주의와 사회적태만행동 간의 정적 관계는 학습목표지향이 높을수록 더 강하게 나타났다. 그런데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결과학습목표지향이 낮은 구성원의 경우에는 조직냉소주의의 변화와 상관없이 높은 사회적 태만행동을 보인 반면에 학습목표지향이 높은 구성원의 경우에는 조직냉소주의가 증가함에 따라서 사회적 태만행동이 증가하는현상을 보였다. 한편, 조직냉소주의를 매개로 조직정치지각이 사회적 태만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도 학습목표지향에 따라서 달라짐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 태만행동 선행요인으로 조직정치지각이 미치는 영향을확인하였다는 점과, 구성원의 개인특성인 학습목표지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이 구성원의 사회적 태만행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조직 내 구성원들의 조직정치지각을 낮추기 위한 운영 측면에서의 고민이 필요하며, 조직구성원에게 우호적인 업무환경을 조성해 줄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함의를 제공한다. 아울러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업무요인과 보상요인이 사회적 태만에 미치는 영향

        주재진 한국공안행정학회 2014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3 No.3

        경찰업무들은 집단을 중심으로 설계되고 수행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집단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데서 오는 하나의 부작용이라고 할 수 있는 사회적 태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사회적 태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는 것은 조직 속에서 업무성과를 극대화 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기존의 사회적 태만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결과를 통하여 업무관련 요인과 보상관련 요인이 사회적 태만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경찰조직 내에서 사회적 태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이 연구에서는 업무요인과 보상요인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였고, 사회적 태만을 종속변수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업무요인의 하위변수로는 업무가시성, 업무의 내적 관여도, 업무의존성을, 보상요인의 하위변수로는 공정성, 임금만족, 직무만족을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경찰공무원의 업무관련요인이 사회적 태만에 미치는 영향은 업무가시성은 사회적 태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업무의 내적 관여도의 하위변수 중 업무공헌도는 사회적 태만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업무의존성은 사회적 태만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상관련 요인이 사회적 태만에 미치는 영향은 공정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임금만족은 사회적 태만에 정(+)적인 영향을, 직무만족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olice organization is designed around the work performed by the group. As a result, Social Loafing as a side effect of collective mission, it is important to find the cause of Social Loafing. and it is very necessary to find. a method for minimizing the side effects of Social Loafing. In other word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police organization, providing the best security services and the construction of a safe society, a precise diagnosis of Social Loafing factors and the Social Loafing-level are needed. This study explored the Police Officer's Work Factors & Compensation Factors on Social Loafing. The Police officers' Police Officer's Work Factors & Compensation Factors and Social Loafing has been measured, and then how Police Officer's Work Factors & Compensation Factors affects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has been examined. The study results may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to assert the need of Work Factors & Compensation Factors to decrease the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The findings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olice Officer's Work Factors & Compensation Factors and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and the three dimensions of Work Factors & Compensation Factors were correlated to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So,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for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decrease plan for the police.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based largely on the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model. Independent variable is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and Dependent variable is comprises 2 categories; Police Officer's Work Factors(Perceived Task Visibility, Intrinsic Involvement, Interdependence), & the Police Officer's Compensation Factors(Justice, Wages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800 police officers from korea was selected as subjects and 661 police officers among them responded to the survey and used 553 police officers' response in actual analysis. Her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crosstabs, and frequency are used in data-processing with SPSS for Windows 14.0.

      • KCI등재

        The Effect of Coworker Social Loafing on Employees’ Distributive Justice Perceptions

        박지성,김현정 대한경영학회 2016 大韓經營學會誌 Vol.29 No.5

        Coworker social loafing, the tendency of workgroup members to reduce effort when they are working in groups, affects employee demotivation and productivity losses. However, little attention is paid to the dynamics of individual traits and situational contexts in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worker social loafing and perceptions of distributive justice. Therefore, drawing on organizational justice and social comparison theories, we examine the interactive effects of individual and situa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loafing and distributive justice perceptions. More specifically, we primarily focus o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CO) as a dispositional factor and leader-member exchange social comparison (LMXSC) as a situational factor because the degree to which people perceive unfairness markedly differs depending on how much an individual is sensitive to the context that harms self-interest, and how much a damaged sense of fairness can be compensated by a resource allocator’s support. Our findings showed that the degree of SCO negatively deterio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worker’s social loafing and distributive justice, and this negative effect was the highest when a high level of SCO was combined with a low level of LMXSC. This means that employees’ perceptions of justice decreased more severely for individuals with greater comparison orientations and their perceptions of fairness were the lowest when people with high SCO feel less support from their leaders compared to other colleagues. These findings have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we extend theoretical perspectives through the integra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social comparison theories. By introducing organizational justice and social comparison theories, we provide richer rationales for the dynamics of loafing, dispositions, and situations, beyond simply predicting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loafing and perceptions of distributive justice. Second, we simultaneously considered the effects of individual orientations and situational conditions to elucidate the employees’ ultimate recognition of others’ social loafing. By simultaneously considering the combined effects of an individual disposition and a situational factor in explaining the employees’ perceptions of justice, the theoretical arguments and empirical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laboration of the extant social loafing literature. Third, we stress the importance of leader support to mitigate the negative effect of social loafing on distributive justice.

      • KCI등재
      • KCI등재

        동북아 집단주의 문화의 관점에서 바라본 사회적 태만의 변인: 사회적 태만의 요인적 기제 고찰과 해결책 연구

        소원현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0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5

        Many of our important tasks can only be accomplished in groups, and many group tasks are collective tasks that require the pooling of individual members' inputs. However, task performing groups rarely achieve their productive potential. individuals frequently exert less effort on collective tasks than on individual tasks. Social loafing is the reduction in motivation when individuals work collectively compared with when they work individually or coactively. The identification of direct or indirect causes in social loafing is a problem of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ortance. In terms of theoretical importance, specifying which variables influence social loafing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processes and mechanisms of group performance. Since Inghamn Levinger, Graves, and Peckman conceptualize social loafing, many studies have attempted to clarify its causes and cures. In terms of practical importance, determin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individual do or do not engage in social loafing may provide ways of interventions by which social loafing may be reduced in applied settings.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review research findings (1) about a variety of causes of social loafing to understand the processes and mechanisms of group performance, (2) about several cures to enhance group motivation to provide ways of interventions in applied settings, and (3) about the impact of cross-culrtural context on social loafing. For these purposes, I would like to summarize first, the history of important researches regarding social loafing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second, a variety of causes based on different theories proposed by many of social loafing researchers, and last, some of the cures of social loafing.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개인적 성향과 조직문화가 사회적 태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재진(Joo Jae Jin) 한국공안행정학회 2013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2 No.3

        사실 조직의 많은 주요한 업무들은 집단상황하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집단의 업무들은 각 구성원들의 노력이나 기술, 지식, 능력 등 개인적인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업무를 수행하는 집단들의 대부분이 잠재적인 생산력을 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많은 선행연구에서 언급되어지고 있다. 조직 구성원으로서의 개인은 혼자 일할 때 보다 집단에 공동으로 주어진 업무들을 타인과 함께 수행할 때 더 적은 노력을 기울이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혼자서 일을 할 때보다 여러 사람이 모여서 집단을 이루어 집단의 업무를 수행할 때 자신의 노력을 줄이는 현상을 사회적 태만(Social Loafing)이라고 한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사회적 태만의 정도를 측정하고, 기존의 사회적 태만 연구에서 언급되었던 영향변수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도출된 독립변수(경찰공무원의 개인적 성향과 조직문화)가 사회적 태만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경찰공무원의 조직관리 전략 수립과 사회적 태만 정도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근거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독립변수로는 경찰공무원의 개인적 성향과 조직문화를 선정하였으며, 개인적 성향의 하위 요인으로 '신념', '가치', '규범'의 3개 변수를, 조직문화의 하위변수로는 '집단문화', '위계문화', '발전문화', '합리문화' 4개 변수를 선정하였고, 사회적 태만을 종속변수로 선정하였다. 표본의 크기는 전국의 경찰공무원 8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개인주의적 성향을 의미하는 가치는 사회적 태만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집단주의 성향을 의미하는 규범은 사회적 태만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문화는 사회적 태만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합리문화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Social Loafing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in social science disciplines including psychology, sociology, economics, and organization studies. This study explored the Police Officer's personal tendencies, & the Police Organizational culture on Social Loafing. The Police officers' Police Officer's personal tendencies, the Police Organizational culture, and Social Loafing has been measured, and then how Police Officer's personal tendencies, & the Police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s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has been examined. The study results may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to assert the need of Police Officer's personal tendencies, & the Police Organizational to decrease the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The findings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olice Officer's personal tendencies, & the Police Organizational and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and the two dimensions of Police Officer's personal tendencies, & the Police Organizational was correlated to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So,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for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decrease plan for the police.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based largely on the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model. Independent variable is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and Dependent variable is comprises 2 categories; Police Officer's personal tendencies(Belief, Value, Norm), & the Police Organizational culture(The group culture, The hierarchical culture, The developmental culture, The rational culture). 800 police officers from korea was selected as subjects and 661 police officers among them responded to the survey and used 553 police officers' response in actual analysis. Her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crosstabs, anova and frequency are used in data-processing with SPSS for Windows 14.0.

      • KCI등재

        진성리더십과 사회적 태만 간의 매개효과 분석: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심리적 계약위반의순차적 직렬매개효과분석

        김예성,신제구 리더십학회 2018 리더십연구 Vol.9 No.2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social loafing, our study looks into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in the order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Our results show that authentic leadership (X) affects social loafing (Y) indirectly through psychological empowerment (M), which negatively affected the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had a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with social loafing. Thus,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authentic leadership => psychological empowerment =>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 social loafing) was causally associated negatively. Through our systemic exploration of the mediating variables that enable authentic leadership to lower members' perceived social loafing, we empirically verified that the leader's authentic leadership can strengthen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lower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of members, thereby decreasing their perception of social loafing. In particular, by quantitatively demonstrating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social loafing, our study presents new possibilities for in-depth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authentic leadership.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our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Key words: Authentic Leadership, Social Loafing, Psychological Empowerment,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본 연구는 조직 내 사회적 태만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지향적 차원의 리더십과의 영향요인과개인의 심리적 차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심리적 계약위반의 작용효과를 실증하여, 사회적 태만현상의 이해와 예방이 필요한 조직에 실질적인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진성리더십과 사회적 태만 간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심리적임파워먼트와 심리적 계약위반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순차적 직렬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심리적 임파워먼트(M1)는 진성리더십과 사회적 태만(Y)에 부(-)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계약위반(M2)은 진성리더십과 사회적 태만에 부(-)적인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성리더십(X)이 심리적 임파워먼트(M1)와 심리적 계약위반(M2)을 순차적으로 직렬매개하여 사회적 태만에 부(-)적인 영향이 있다는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진성리더십은 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증가시키고 심리적 계약위반은 감소시켜 사회적 태만을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요약하면, 조직에서 리더가 진성리더십을 높게 발휘할수록 구성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는증가되고 심리적 계약위반은 감소되어 사회적 태만은 낮아진다. 특히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심리적 계약위반 간의 순차적 직렬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하여 진성리더십과 사회적 태만 간에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심리적 계약위반의 역할과 효과성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제언하였다. 키워드: 진성리더십, 사회적 태만, 심리적 임파워먼트, 심리적 계약위반.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사회적 태만에 관한 연구

        주재진 ( Jae Jin Joo ) 한국경찰학회 2014 한국경찰학회보 Vol.16 No.2

        사회적 태만은 여러 사람이 함께 모여서 집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때 자신의 생산력을 제공하고자 하는 동기가 감소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사회적 태만의 직·간접적인 영향요인을 밝히는 것은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조직구성원의 업무수행활동의 과정과 기제를 이해하는 데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요인이기에 의미가 있고, 실무적인 관점에서는 사회적 태만을 일으키는 요인을 확인하여 제어함으로써 조직의 업무성과를 증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일이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한국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태만 및 사회적 태만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전무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또한 기존의 사회적 태만관련 연구들이 사회적 태만의 원인 또는 결과의 한 측면만을 다루는 경우가 많았던 반면에, 이 연구에서는 조직문화와 개인적 성향을 매개변수로 하고 그 원인과 결과를 동시에 분석하여 이들 요인들 간의 통합적인 모형화를 시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전국의 16개 지방경찰청에 50부을 배포하여 총 800명을 조사대상자로 선정하여, 업무관련 요인, 보상 관련 요인, 그리고 집단관련요인이 경찰공무원의 사회적 태만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직문화와 조직구성원의 개인 주의-집단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자료는 경찰공무원의 사회적 태만 감소방안과 조직몰입의 증진방안을 도출하는 실증적 근거로 활용되고 경찰교육훈련 변화에 대한 정책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으며 경찰 조직 내 계층 간 갈등해결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and the factors affecting of the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The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 the factors affecting of the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has been measured, and then how Work-related factors, Compensationrelated factors, Group-related factors affects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has been examined. The study results may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to assert the need of organizational system to improve the police officer`s job attitud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findings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Work-related factors, Compensation-related factors, Group-related factors and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So,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for police officer`s job attitude improvement casting plan for the police.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based largely on the social loafing model. Independent variable comprises 3 categories; Workrelated factors, Compensation-related factors, Group-related factors and Dependent variable is the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and the control variable comprises 2 categories; Organizational culture, Individualism- Collectivism 800 police officers from korea was selected as subjects and 661 police officers among them responded to the survey and used 553 police officers` response in actual analysis. Her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crosstabs, and frequency are used in data-processing with SPSS for Windows 14.0. and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with AMOS 7.0.

      • KCI등재후보

        비구조화 신체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태만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신도헌,전선혜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18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6 No.1

        유아의 사회적 태만은 성인에 비해 밝혀진 바가 적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태만이 사회성 교육에 의해 변화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유아의 사회적 태만이 감소되고 친사회적 행동이 발달될 수 있는 사회성 발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통해 그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연구의 참여자는 A시에 위치한 B유치원의 만4세 유아 60명이다. 실험집단 30명은 주 3회간 27회기에 걸쳐 비구조화 신체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비교집단 30명은 실험집단의 활동시간과 같은 시각에 자유활동을 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맞는 사회적 태만을 측정하기 위해 ‘물통 들고 버티기’동작을 선정하여 측정에 활용하였다. 친사회적 행동은 친사회적 행동 검사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검증과 대응표본 t검증, 공분산 분석(ANCOVA)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비구조화 신체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는 사회적 태만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비구조화 신체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는 친사회적 행동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유아의 사회적 태만은 사회성 발달을 목표로 한 체육프로그램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사회적 태만은 현상일 뿐만 아니라 환경에 의해 변화 가능한 특성적인 요인이 있으며, 사회성에 대해 학습하는 것으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사회적 태만과 친사회적 행동은 서로 연관이 있었으며 사회성 교육으로써 변화할 수 있다. Purpose: Social loafing of children could not enough research than adult. So this study was checked social loafing can be changed by social education. And reduce social loafing and develop prosocial behavior according to physical play program. Methods: This study on 9 week 27 times social education physical program who 60 children (aged 4 years old, 30 experimental groups, 30 comparative groups). In order to measure the social loafing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lift and hold bottle' action was choose and used for the assessment. And prosocial behavior was measured using a prosocial behavior tes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Results: First, social loafing significantly reduced in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Second, prosocial behavior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Unstructured physical play program'. Conclusion: Social loafing of children can be controlled by a physical education program aimed at social development. Therefore, social loafing is not only a phenomenon but also a characteristic factor that can be changed by the environment and can be different from learning about sociality.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인식과 조직몰입이 사회적 태만에 미치는 영향

        주재진(Jae-Jin Joo)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

        집단과 조직에서 수행되는 업무가 필수적인 경찰활동의 특성 상 경찰공무원의 사회적 태만 정도를 줄이고 조직에 몰입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이 연구는 지금가지 사회적 태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왔으나, 개인적 요인과 문화적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통합적인 연구들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했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직문화 인식과 조직몰입이 사회적 태만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조직문화인식의 하위 요인으로 ‘합리문화’, ‘발전문화’ ‘위계문화’ ‘집단문화’의 4개 변수를, 조직몰입의 문화의 하위변수로는 ‘감정몰입’, ‘지속몰입’, ‘규범몰입’의 3개 변수를 선정하였고, 종속변수로는 사회적 태만을 선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조직문화인식 중 집단문화는 사회적 태만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합리문화는 사회적 태만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몰입의 하위변수 중 감정몰입과 지속몰입은 부(-)적인 영향을, 규범몰입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revious findings on Social Loafing indicated that Social Loafing explaine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the lower level of Social Loafing they had, the higher performance they would have, and that it is a useful index for effectiveness of the organiz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Police Organizational culture &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Social Loafing. The Police officers’ Police Officer’s Organizational culture &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ocial Loafing has been measured, and then how Organizational culture & Organizational Commitment affects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has been examined. The study results may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to assert the need of Organizational culture &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decrease the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Independent variable is Police Officer’s Social Loafing and Dependent variable is comprises 2 categories; Police Organizational culture(The group culture, The hierarchical culture, The developmental culture, The rational culture), &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The group culture & Normative Commitment influenced in Social Loafing(positive), and The Rational culture, Affective Commitment, & Continuance Commitment in Social Loafing(neg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