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층성장모형을 활용한 효과적인 고등학교의 학생 특성 탐색

        임현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3

        목적 종단적 학교효과를 산출하여 학교효과의 평균과 변화율이 높은 우수학교를 선정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방법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를 통해 수집된 2003년부터 2012년까지 4주기에 걸친 188개 일반고등학교와 40,852명의 고등학교 2학년생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수학성취도를 종속변수로 학교패널데이터에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종단적 학교효과를 산출하고, 초기값과 변화율이 상위 1/3에 해당하는 학교를 효과적인 학교로 선정하였다. 효과적인 학교의 과정적 변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2수준 다층성장모형을 통해 효과적인 학교와 일반학교의 과정요인 초기값과 변화율에 대한차이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배경요인의 영향을 통제한 이후 141개 고등학교 중에서 학교평균 성취도와 변화율이 높은 13개교가 효과적인 학교로 선정되었다. 일반학교와의 비교를 통해서 효과가 높은 학교는 일반학교에 비해 학습동기, 교과자아개념, 수업태도, 수업집중시간, 공부시간의 향상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학교교육 성과를 분석하고 우수학교를 판별하고자 할 때에는 학교의 변화 및 성장을 고려한 종단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연구를 통해 학생의 학습동기, 교과자아개념, 수업태도, 수업집중시간, 공부시간의 향상이 학교효과의 향상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있었다. 이와 같이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효과가 높은 학교의 특성을 탐색하면, 학교교육의 개선에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Objectives The study aims to calculate longitudinal school effects, select effective schools with their high average school effects and change rates, and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from 188 general high schools and 40,852 high school students collected through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s "Analysis on the Level of School Education and Its Actual Status of Korean Schools" from 2003 to 2012 over four periods. Multilevel growth modeling was applied to school panel data with mathematics achievement as the dependent variable to calculate longitudinal school effectiveness. Schools with both initial values and growth rates in the top third were selected as effective schools. To understand the procedurall characteristics change of effective schools, a two-level multilevel growth model was used to test the differences in initial values and growth rates of process factors between effective schools and regular schools. Results After controlling for background factors, 13 out of 141 high schools were identified as effective school based on high average school effectiveness and growth rates. Compared to regular schools, effective schoo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s in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self-concept in subjects, attitude towards classes, concentration during lessons, and study hours. Conclusions When analyzing school educational outcomes and identifying effective schools, a longitudinal approach considering school changes and growth is necessary. This study revealed that improvements in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self-concept in subjects, attitude towards classes, concentration during lessons, and study hours are related to the enhancement of school effects.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schools from a mid-to-long-term perspective can yield valuable insights for improving school education.

      • KCI등재

        고등학교 여자농구선수의 그릿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을 매개변인으로

        이근모 ( Lee¸ Keun-mo ),윤정희 ( Yun¸ Jung-hee ),김남규 ( Kim¸ Nam-gyu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교사교육연구 Vol.59 No.4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여자농구선수의 그릿과 회복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릿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한국 중·고 농구연맹에 등록된 총 18개의 여자농구부 145명 중 115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모바일 설문지를 이용하여 전수조사의 형태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분석 하였다.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α를, 각 요인 간 인과관계 분석을 위해 다중회귀 분석을 하였고, Baron & Kenny(1986)의 매개 효과 검증 3단계에 따른 회귀분석과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여자농구선수의 그릿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하위요인으로 노력지속성과 흥미일관성으로 두었고, 학교적응의 하위요인으로는 학교흥미, 학업성취, 학교규범으로 두었다. 노력지속성은 학교흥미, 학업성취, 학교규범에 정적영향을 미치며, 흥미일관성은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교 여자농구선수의 그릿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하위요인으로 노력지속성과 흥미일관성으로 두었고,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으로는 공감능력, 정서 조절력, 적극적 도전성으로 두었다. 흥미일관성은 공감능력, 정서 조절력에 정적영향을 미치고, 적극적 도전성에 부적영향을, 노력 지속성은 공감능력, 적극적 도전성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교 여자농구선수의 회복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으로 공감능력, 정서조절력, 적극적 도전으로 두었고, 학교적응의 하위요인으로는 학교흥미, 학업성취, 학교규범으로 두었다. 공감능력은 학교적응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영향을 미치며, 정서조절력은 학업성취에 정적영향을 미치고 적극적 도전성은 학교적응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등학교 여자농구선수의 그릿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매개효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high school female basketball player's GRIT and resilience on school adaptation and to confirm the mediated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school adaptation. To this end, a full-scal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non-face-to-face mobile questionnaire for 115 of 145 members from 18 women's basketball teams registered with the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Basketball Federation in 2020.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For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is study used the Cronbach's α test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causality analysis between each of the factors, and the Sobel test for regression and significance of the parameter effects according to step 3 of the verification of the parameter eff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 the influence of GRIT on high school female basketball player's school adaptation, efforts continuity and interest consistency were placed as the subfactor of GRIT, and school adaptation as the subfactor of school adaptation were school entertainment,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norms. It has been shown that effort continuity has a static effect on school entertainment,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norms, and interest consistency has a static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Second, on the effect of high school female basketball player's GRIT on resilience elasticity, the subfactor of GRIT were effort persistence and interest uniformity, and the subfactor of resilience were empathy, emotional control, and active challenge. Interest uniformity has a static effect on empathy and emotional control, and an negative effect on active challenge, efforts continuity has been shown to have a static impact on empathy and active challenge. Third, from the impact of resilience of female basketball player's in high school on school adaptation, the subfactor of resilience were empathy, emotional control, and active challenges, and the subfactor of school adaptation were school entertainment,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norms. Empathy was shown to have a static effect on all subfactor of school adaptation, emotional control has a static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active challenge has a static effect on all subfactor of school adaptation. Fourth,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school adaptation of high school female basketball players has been shown to act as a mediated effect.

      • KCI등재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 미치는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강경석(Kang, Kyung-Seo),고광혁(Ko, Kwang-Hyuk) 한독교육학회 2011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6 No.3

        이 연구에서는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교사 효능감, 학교 조직몰입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몰입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는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교사 효능감, 학교조직몰입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변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수용 가능한 수준이었다. 둘째, 공분산구조방정식 모형에 따른 최종모형의 경로분석 결과에 의하면,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교사 효능감 및 학교조직몰입은 학교조직효과성에 모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학교조직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몰입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몰입이 매개변인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 을 알 수 있으며, 교사 효능감보다는 학교조직몰입의 매개역할이 더욱 큰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s efficacy and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 s servant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tudy verified the hypothetical path model, and analyz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rincipal s servant leadership, teacher s efficacy, and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785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verify hypothesized model fit and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of the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using maximum likelihood method.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show that principal s servant leadership affects teacher s efficacy,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ositively, and teacher s efficacy and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affect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ositively. The results also show that teacher s efficacy and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serve as positive mediators to the effects of principal s servant leadership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regard to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rincipal s servant leadership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indirect effects through teacher s efficacy or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mediators are higher than the direct effects of principal s servant leadership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KCI등재

        콜만 보고서로부터 형성된 학교효과 개념의 재고찰

        이규재(Lee Kyu Jae) 한국교육사회학회 2020 교육사회학연구 Vol.30 No.4

        학교효과 연구에서 ‘학교효과’는 ‘학교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교육결과의 차이’라는 의미로 통용되고 있다. 학교 간 차이에서 비롯되는 상대적 효과라는 ‘학교효과’의 의미는 교육사회학에서 학교와 관련된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탐색하는 일종의 틀로 작동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의 형성과정과 타당성에 대해 검토할 가치가 있다. ‘학교효과’가 교육결과에 대한 개별 학교의 상대적 효과의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콜만 보고서(Coleman Report)’로 알려진 「교육기회의 평등(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Coleman et al., 1966)에서 부터이다. 이 보고서는 미국의 1964년 민권법에 따라 소수자의 교육 불평등 사례 조사를 위해 진행된 것으로, 오랫동안 유지되어 오던 인종분리교육이 교육기회 평등에 위배될 수 있음을 연구를 통해 드러내야 했다. 교육결과에 대한 개별 학교의 효과가 다른지 확인한 것은 이를 위한 것이었다. 인종에 따라 분리된 학교의 교육효과가 다르다면 교육기회의 평등에 위배된다고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Coleman은 각각의 학교가 학생의 표준적 학업성취결과에 서로 다른 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면서 이를 ‘학교효과’로 규정하였는데, 이것이 교육사회학에서 통용되는 ‘학교효과’ 의미의 출발점이 되었다. 이후 이 주제를 다루는 연구들은 기존 연구의 문제를 보완하려는 연구의 내적 논리 안에서 ‘학교효과’의 의미를 정착시켜 나갔다. 새로운 학교 특성에 대한 모색과 방법론적 진전은 학교 간 차이를 드러내는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제대로 분석하기 위한 작업으로 진행되었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학교효과 연구의 전통에서 ‘학교효과’를 확인하는 일은 학교의 차이에 따른 교육결과의 차이를 확인하는 일로 전제되었다. 이후 1990년대 교육에 대한 시장원리의 도입으로 인한 학교선택제의 확대, 학교의 책무성에 대한 강조와 같은 정책 환경은 학교 간 차이에 따른 교육결과 차이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며, 학교의 상대적 효과로 제한된 ‘학교효과’의 의미를 강화시켰다. 이러한 역사·사회적 맥락과 연구의 내적 논리 안에서 ‘학교효과’는 개인의 성취에 대한 학교의 상대적 효과에 국한된 의미로 정착되었다. 이러한 의미의 한계는 학교의 절대적 효과에 대한 관심을 포괄하지 못하고, 오히려 배제할 소지가 있다는 점에서 그 한계가 논의될 필요가 있다. The current conceptualization of “school effects” heavily relies on the relative effects of between-school on educational outcomes. Given the importance of ‘school effects’ literature in the field of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this concept has evolved throughout the empirical studies. To this end,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its conceptualization and validity, to refine the existing theory of school effects. The term “school effects” was originally adopted to estimate the relative effects of between-schools on educational outcomes in th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Coleman et al., 1966), known as the “Coleman Repor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inequality of social minorities under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in the United States. Given the main purpose of its research, which was to reveal the association between racial segregation and educational inequality, Coleman examin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educational outcomes between schools. As a result, Coleman estimated whether each school had varying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conceptualized relative between-school effectiveness as “school effects”. Subsequent studies that re-examined the “Coleman Report” employed this conceptualization, without much theoretical discussion, and the relative school effects on educational outcomes were largely employed in further empirical analyses. This study discusses that the current conceptualization of “school effects” was constructed in the historical and policy context of the United States rather than the result of academic property.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lative effects of between-school is limited to shed light on the absolute effects of schools, and thus needs to extend the current conceptualization of school effects in future studies.

      • KCI등재

        연구논문 :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교사 효능감 및 학교조직몰입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강경석 ( Kyung Seok Kang ),고광혁 ( Kwang Hyuk K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문화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교사효능감 및 학교조직몰입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의 모든 하위변인 간에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효과성의 모든 하위변인 간에는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학교조직몰입과 학교조직효과성의 모든 하위변인간에도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하위변인 중에서 인지 및 통찰?비전제시, 구성원의 성장유도 공동체 형성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교사 효능감 하위 변인 중 자신감, 과제난이도 선호가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리고 학교조직몰입의 하위변인 중에서 충성심 가치수용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하위변인 중 특히 인지 및 통찰`비전제시 구성원의 성장유도 공동체 형성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교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교사 효능감 학교조직몰입을 고려한 학교경영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teacher`s efficacy, and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tudy explored the correlation between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efficacy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tudy also analysed the effects of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teacher`s efficacy, and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teacher`s efficacy, and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ddition,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teacher`s efficacy, and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positively affect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teacher`s efficacy, and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very important factors in school-based management for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KCI등재후보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교사 효능감 및 학교조직몰입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강경석,고광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문화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teacher's efficacy, and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tudy explored the correlation between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efficacy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tudy also analysed the effects of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teacher's efficacy, and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teacher's efficacy, and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ddition,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teacher's efficacy, and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positively affect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teacher's efficacy, and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very important factors in school-based management for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본 연구는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교사 효능감 및 학교조직몰입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의 모든 하위변인 간에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 효능감과 학교조직효과성의 모든 하위변인 간에는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학교조직몰입과 학교조직효과성의 모든 하위변인 간에도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하위변인 중에서 인지 및 통찰․비전제시, 구성원의 성장유도, 공동체 형성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교사 효능감 하위 변인 중 자신감, 과제 난이도 선호가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리고 학교조직몰입의 하위변인 중에서 충성심, 가치수용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하위변인 중 특히 인지 및 통찰․비전제시, 구성원의 성장유도, 공동체 형성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교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교사 효능감, 학교조직몰입을 고려한 학교경영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내외 통제성,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김상효 ( Sang Hyo Kim ),엄준용 ( Joon Yong Uhm ) 안암교육학회 2014 한국교육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들과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에 있어 중등교사의 내외 통제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 방안과 중등교사의 내적 통제성과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내 35개 공립 일반계 고교 교사 939명의 표본을 바탕으로 기초통계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과 함께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학교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내외 통제성의 조절효과가 있다. 이는 직무스트레스가 학교조직효과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때 교사들이 지닌 내적 통제성이 이러한 부정적 영향을 중재하는 조절변인으로 작용하게 될 개연성이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둘째,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학교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교사가 인식하는 상급자 지지, 가족 지지의 조절효과가 있다. 셋째, 교육당국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높이고 학교현실과 맞지 않는 교육정책에 대한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학교현장에서는 교사의 과업 요인 스트레스와 기술적 요인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학교 경영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넷째, 학교조직에서 학교 관리자인 교장, 교감이 동료교사보다 좀 더 조직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지위에 있기 때문에 가장 주요한 직무스트레스 제공자인 반면 학교조직효과성을 높이는 데도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moderate effect of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 between secondary school teacher``s job stress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is purpose, I conducted this research in order to deduce the effective administration device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job stress and elevate their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social support. In order to conduct the research, 1,100 questionnaire which got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circulated to teachers in 35 public high school. 939 teachers`` answ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mong them.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T-test, F-test,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ere done using SPSS 19.0. I confirmed the relations through affirmative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AMOS 20.0.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when secondary school teachers`` job stress influence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moderate effect of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exists. Second, when secondary school teachers`` job stress influence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moderate effect of senior support and family support exists. However, the moderate effect of colleague support i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Third, among secondary school teachers`` job stress external and task factor is the highest. The stress of technical factor is higher and the stress of structural and human factor is the next. Fourth, when it comes to secondary school teachers`` job stress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uch high negative relation exists and senior support, colleague support, family support in the factors of social support in the regular sequence have higher negative relations. On the contrary, much high affirmative relation exists i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senior support and high affirmative relation exists of colleague support, family support in regular order.

      • KCI등재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이순희,허만세,이창미 한국아동복지학회 2018 한국아동복지학 Vol.- No.6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hame and social anxiety varies according to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type and gender child’s in the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school adaptation through multi-group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is purpose,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area were surveyed, and 50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s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when the communication typ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as “open type”, for boys, the communication had a direct effect on shame and school adaptation, but did not have an effect on school adaptation by way of shame and social anxiety. On the other hand, for girls, the open-type communication had a direct effect not only on shame, social anxiety, and school adaptation, but also on school adaptation by way of shame and social anxiety. Second, when communication typ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as “problem type”, for boys, the communication had a direct effect on shame, social anxiety, and school adaptation, but th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by way of shame and social anxiety were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for girls, the problem-type communication had a direct effect on shame, social anxiety, and school adaptation, and th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by way of shame and social anxiety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summarize, for boys,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had a direct effect on school adaptation regardless of its typ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hame and social anxie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when the communication was open-type. On the other hand, for girls, both open-type and problem-type communication had a direct effect on school adaptation, and the shame and social anxiety were found out to have a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when developing an intervention program to promote adolescents school adaptation. For boys, an intervention is needed to educate parents to have open-type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in order to promote positive school adaptation. For girls, intervention should focus not only on improving parent-child communication but also on reducing shame and social anxiety.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다중집단 분석을 통하여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학교적응과 수치심 및 사회불안의 구조적 관계가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지역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502개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이 개방형일 경우 남학생은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이 수치심과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수치심과 사회불안을 경로하여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여학생은 부모 자녀간의 개방형 의사소통이 수치심, 사회불안 및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수치심과 사회불안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이 문제형일 경우 남학생은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이 수치심, 사회불안 및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수치심과 사회불안을 경로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여학생은 부모 자녀간의 문제형 의사소통이 수치심, 사회불안 및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수치심과 사회불안을 경로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정리하면, 남학생은 유형과 관계없이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이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는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이 개방형인 경우에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학생은 개방형과 문제형의 부모 자녀간의 의사소통 모두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수치심과 사회불안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부모 자녀간의 개방형 의사소통이 학교적응을 향상시키더라도 수치심과 사회불안이 그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하며, 부모 자녀간의 문제형 의사소통이 여학생의 학교적응을 감소시키는 영향을 미칠 때 수치심과 사회불안이 그 강도를 더 증가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학교적응 향상을 위한 개입에서는 가족요인과 개인내적 요인을 동시에 고려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교원업무경감, 교사의 전문성과 학교조직 효과성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치호(Lee, Chiho)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한국교육행정학회 학술연구발표회논문집 Vol.2018 No.9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업무경감, 교사의 전문성, 학교조직효과성 간에 구조적 관계가 어떠한지를 규명하는 것으로 교원업무경감, 교사의 전문성,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교사의 지각수준을 살펴본 후, 교원업무경감, 교사의 전문성, 학교조직효과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교원업무경감이 교사의 전문성을 매개로 하여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186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프로그램과 AMOS 22.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되었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업무경감, 교사의 전문성,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지각수준은 보통보다 높아 비교적 고른 분포로 나타났다. 둘째, 교원업무경감은 교사의 전문성 및 학교조직효과성과 높은 상관이 있고, 교사의 전문성도 학교조직효과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교원업무경감은 교사의 전문성 및 학교조직효과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교사의 업무경감이 교사의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업무경감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교사의 전문성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조직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교사의 업무를 줄여야 한다. 교사의 업무가 경감되면, 교사들은 스스로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노력을 하게 될 것이며 결국, 학교조직의 효과성으로 이어지게 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 overall investigation into structural relations among reducing teachers" workload,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fter examining the perception level of reducing teachers" workload,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o examine correlation among reducing teachers" workload,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o examine effects that reducing teachers" workload have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mediating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that purpos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6 incumbent teacher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tilizing a SPSS 22.0 and AMOS 22.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level of reducing teachers" workload,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higher than a moderate level and its distribution was relatively uniform. Second, reducing teachers" workload had significantly high relations with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also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to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reducing teachers’ workload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effect of reducing teachers’ workload on teachers’ professionalism is much more huge than effects on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ducing teachers’ workload directly influence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t also have indirectly influence with teachers’ professionalism as a mediating variable. In other words, to improve the perception level of teachers on reducing teachers’ workload, once teachers’work was reduced. If teachers’work was decreased, teachers would make efforts for their professionalism, and finally,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ould naturally be achieved.

      • KCI등재

        학습조직화, 교사효능감, 수업전문성,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유정(Yu jung LEE),임규연(Kyu Yon 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1

        본 연구는 학습조직화, 교사효능감, 수업전문성,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 계를 확인하고, 학교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학교조직효과성의 초점을 교사에게 두고 교사의 핵심역량인 수업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효능감과 학습조직화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교사 개인차의 이해와 조 직차원의 학습조직 수준을 모두 고려하여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분 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중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281명을 대상 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 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모형 및 구조모형에 대한 적합도 검증 결과, 학습조직화, 교사효능감 수업전문성, 학교조직효과성 사이에 의미 있는 구조적 관계 가 성립하였다. 둘째, 모형에 포함된 변수들의 직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습조직화 가 교사효능감에, 학습조직화가 수업전문성에, 학습조직화는 학교조직효과성에, 교 사효능감이 수업전문성에, 교사효능감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수업전문성이 학교조직 효과성에 유의미한 직접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모형에 포함된 변 수들 간의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사효능감은 학습조직화, 수업전문성 간에, 수 업전문성과 교사효능감은 학습조직화, 학교조직효과성 간에, 수업전문성은 교사효 능감, 학교조직효과성 간에 유의미한 간접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dentified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teacher efficacy, teaching competencies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effectiveness. Data were collected from 281 teachers in middle school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structural relationship was found among learning organization, teacher efficacy, teaching competencies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verification on appropriateness of the measuring model and the structural model. Second, results of analysis on direct effect of the variables in the model show significant direct effect 1) of learning organization on teacher efficacy, 2) of learning organization on teaching competencies, 3) of learning organization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4) of teacher efficacy on teaching competencies, 5) of teacher efficacy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6) of teaching competencies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results of analysis on indirect effect of the variables in the model show significant indirect effect 1) of learning organization on teaching competencies through teacher efficacy, 2) of learning organization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eaching competencies, 3) of learning organization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eacher efficacy and 4) of teacher efficacy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eaching compete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