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립유치원 회계제도의 쟁점과 개선방안

        김미옥,차상권 한국세무학회 2021 세무와 회계저널 Vol.22 No.5

        Currently, private kindergartens are subject to the 「Rules on Financial Accounting of Private Schools」 because kindergartens are established and operated for childhood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Article 11. of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and Article 2, No. 2 of the Childhood Education Act. Although it may be legally justified, there are difficulties in practical application of this rule in private kindergartens. For example, despite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corporations, they are intended to be applied to private kindergartens, and even after the Kindergarten Act is revised, the terminology is still lacking and is not reflected in the national accounting system(edufine).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olicies. First, as the 「Private Schools Act」, 「Private School Institutions Financial Accounting Rules」 previously applied to corporate private kindergartens, the legal basis for private kindergarten accounting to be applied to individual private kindergarten accounting is unclear. The private kindergarten accounting is managed in accordance with the “Rules” and the financial affairs manual for private kindergartens of the metropolitan/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legal system to provide a legal basis for kindergarten accounting for private private kindergartens. Second, even if a private kindergarten is a private institution by law, it is operated by individuals and its scale is incomparably small. As a device that can do this, it seems necessary to activate the account of provisions and reserves. Allowing provision such as reserves for facility maintenance or depreciation for buildings or facilities is also a basis for taking responsibility for the quality of safety facilities or education. Third, this study allows the establishment of reserves and provisions under the current law, but it has to be accumulated according to the supervision and permission of the head of the provincial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its use is also limited even if it is intended for the purpose of accumulating and apportioning kindergarten facilities in the future. To realistically improve the situation and at the same time, we propose to introduce accounting educ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for private kindergartens for the smooth operation of K-edufine. In order to improve the transparency of the accounting system of non-profit corporations and private kindergartens, which are attracting public attention, it is urgently required to promote an accounting certification system and accounting education course at a renowned professional institution. This study identifies the causes of issues in the application of financial accounting rules for private institutions based on the type of establishment of kindergartens from a macro perspective, and examines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subsidies and subsidies between the government and private kindergartens due to differences in form and substance, it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proposes policies and systems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K-edufine. 현재 사립유치원은 「교육기본법」 제11조와 「유아교육법」 제2조에 따라 유아교육을 위해 설립․운영되는 학교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사학기관 재무회계 규칙」의 적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사립 유치원의 규모와 여건을 고려할 때, 동 규칙을 실무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거시적 관점에서 유치원의 설립형태를 기준으로 사학기관 재무회계규칙 적용에 대한 쟁점의 원인을 파악하고, 형식과 실질의 차이에 따른 정부와 사립유치원의 보조금과 지원금에 대한 인식차이를 고찰하며, 2020년 3월 1일부터 전면 도입된 K-에듀파인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정책과 제도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재정지원을 하는 정부 입장에서의 해결방안과 사인 사립유치원 설립자의 경제적 이해관계를 합리적으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법인격이 없는 유치원이라고 할지라도 이를 회계실체로 간주하여 유치원 설치와 구분경리를 통해 사립유치원의 공익성과 사인 재산의 투자라는 경제적 실질을 잘 조화시켜 줄 수 있는 재무회계 규칙을 마련이 시급하다. 둘째, 지원금과 보조금이 가장 주된 수입인 사립유치원에서 두 계정이 유사한 수준으로 관리․감독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지원금과 보조금의 구분을 달리할 필요가 없거나 두 용어가 명확하게 운영되지 않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보조금과 지원금에 대한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K-에듀파인의 회계 지원과 투명한 회계정보를 산출한 유치원에 ‘회계인증제’를 도입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과 사립유치원 회계정보의 표준화된 운영을 도와줄 수 있는 제도로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사립유치원 중 사인유치원은 독지가의 출연으로 설립되어 운영되는 개인 자산이며, 다만, 교육행정편리 상 학부모 지원금을 직접 지원받고 있다. 따라서 개인 자산의 유지보수를 위한 적립금의 계상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사립유치원 집단자원이 예산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자원동원이론을 중심으로

        김정인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19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3 No.3

        This research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the variables asociated with group resources including private kindergarten (the number of private kindergarten, the number of teacher and staf in the private kindergarten, and the number of children in the private kindergarten) afected budget decision making about private kindergarten of the ofice local educa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number of private kindergarten was signifcantly and positvely asociated with the suport budget for private kindergarten. Meanwhile, the number of children in the private kindergarten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suport budget for private kindergarten and the number of teacher and staf did not signifcantly influence the suport budget for private kindergarten. In aditon, we examined the efect of variables asociated with kindergarten on decision making for budget for kindergarten education and children. As a result, al the variables asociated with kindergarten did not afect signifcantly the budget decision. We ned to consider these results when we alocated the suport budget for private kindergarten. 본 연구는 자원동원이론을 활용하여 사립유치원 집단자원 변수들이(예: 사립유치원 수, 사립유치원 교직원 수, 사립유치원 원아 수) 지방교육청의 사립유치원지원예산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립유치원 규모(수)가 증가할수록 사립유치원지원예산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지만, 유치원 원아 규모(수)는 사립유치원지원예산에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립유치원 교직원 규모(수)의 경우 사립유치원지원예산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유치원(국․공립 및 사립유치원 포함) 관련 변수들(예: 전체 유치원 수 등)이 유아교육·보육예산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이들 변수들은 우리나라 유아교육·보육예산결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사립유치원회계의 개선방안

        노희천,김현숙,전규안 한국세무학회 2021 세무와 회계저널 Vol.22 No.1

        This study identifies the legal basis and status of private kindergarten accounting, summarizes the problems of private kindergarten accounting, and proposes suggestions, through which government supp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private kindergarten accounting education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The government revise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in 2020 to reinforce the accountability of private kindergartens, strengthen the internal control system for the operation of private kindergartens, and establish rules for returning support funds to spend the budget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kindergartens. Although the responsibility for accounting management of private kindergartens has been strengthened, the legal basis for accounting rules for private kindergartens is insufficient, there is no accounting for kindergarten support, the basis for the provisions for the return of support funds is insufficient, and there is no information to grasp the educational financial status of private kindergartens. The problem still exists.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laws and systems related to Korea’s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 accounting and private kindergarten accounting, and suggested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improve the problems of private kindergarten accounting.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basis so that the information system for private kindergarten accounting can be settled well. To this end, private kindergarten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kindergarten accounting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and kindergarten accounting is installed in private kindergartens. Secon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method of converting subsidies to subsidies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rules for returning subsidies to private kindergartens. Third, the follow-up management system for private kindergarten accounting was reorganized to analyze accounting information through private kindergarten accounting in connection with the achievement of the educational purpose of private kindergartens, and the efficiency of financial support was evaluated post-hoc by comparing private kindergartens with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s. It is necessary to publish a comprehensive report on accounting analysis of private kindergartens so that they can be evaluated.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easures to partially supplement the capital investment returns of private kindergartens by borrowing the build-transfer-lease (BTL) method. While previous studies mainly took micro-approaches such as accounting subjects and specific accounting treatments related to private kindergarten accounting, this study takes a macro-approach and suggested improvement so that substantial improvement in private kindergarten accounting could be achieved. This study summarizes the problems that exist despite the provisions for reinforcing the accounting of private kindergartens, and on the basis of this, suggests an improvement that can strengthen the management of accounting responsibilities that exist in private kindergartens. It is expecte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to the person in charge.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회계의 법률적 근거와 현황을 파악하여 사립유치원회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사립유치원 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부지원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부는 2020년 「유아교육법」을 개정하여 사립유치원의 회계관리 책임을 강화하고, 내부통제기능을 강화하였으며, 지원금에 대한 반환 규정을 마련하여 예산을 유치원 목적에 부합하여 지출하도록 강화하였다. 그러나 사립유치원회계 규정의 법적 근거가 미흡하고, 유치원지원 회계가 부재하고, 지원금 반환 규정의 근거가 미흡하며, 사립유치원의 교육재정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가 없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공립유치원회계와 사립유치원회계 관련 법과 제도 등 현황을 분석하고 사립유치원회계의 문제점 개선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사립유치원회계에 대한 정보시스템이 정착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유아교육법」에서 유치원회계의 범위에 사립유치원을 포함시키고, 개인 사립유치원에 유치원회계의 설치․운영 규정을 적용한다는 점을 명확하게 설정해야 한다. 둘째, 사립유치원에 대한 지원금 반환 규정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지원금을 보조금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도입해야 한다. 셋째, 사립유치원과 국․공립유치원을 비교하여 재정지원의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사립유치원회계분석 종합보고서를 발간할 필요가 있다. 넷째, 임대형 민자사업(BTL, build-transfer-lease) 방식을 차용하여 사립유치원의 자본투자수익을 보완하는 조치를 고려해야 한다. 선행연구들이 사립유치원회계와 관련하여 계정과목이나 회계처리 등 미시적 접근방법을 취한 반면에 본 연구는 거시적 접근방법을 취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화된다.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에 존재하는 회계책임 관리를 강화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관련 교육당국과 재정담당자에게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유아교육의 공공성 확대를 위한 사립유치원의 ‘공공성’ 증진 방안

        표이정 ( Yijeong Py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의 공공성 확대를 위한 사립유치원의 ‘공공성’ 증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계의 공공성과 관련한 선행연구 및 육아정책연구소, 교육부, 서울시교육청의 정책보고서에 나타난 유아교육의 공공성 의미와 필요성, 사립유치원의 공공성, 사립유치원 공영화 사업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등한 교육기반 조성을 위한 사립유치원과 국공립유치원 간의 교육재정의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었다. 둘째, 사립유치원 교육의 질 확보와 사립유치원 교사의 낮은 처우 개선을 위한 인건비 지원 관련 법령을 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학부모의 교육과정 참여 확대를 위한 사립유치원 운영위원회의 심의 기관 격상과 지역 특색에 맞는 프로그램 계발을 제안하였다. 넷째, 사립유치원 공영화 사업의 비효율성으로 인한 공영화 사업의 보완 및 법령 개정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라 사립유치원의 설립 및 교사의 인건비 등 운영지원에 관한 유아교육법 개정과 공영형 유치원의 약정 기간 조정 보완, 공공 위탁업체의 다양화를 위한 법령 개정, 사립유치원의 신규 설립시 법인만 가능하도록 하는 유아교육법의 개정을 통해 사립유치원의 ‘공공성’ 증진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to enhance the ‘publicity’ of private kindergartens to expand the public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this end, we analyzed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public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ublic nature of private kindergartens, and the efficiency of private kindergarten publicization projects, as indicated i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public natu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policy reports of the Childcare Policy Research Institute,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ssue of equity in educational finance between private kindergartens and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s for the creation of an equal educational foundation was raised. Second, it was proposed to revise the laws related to labor cost support in order to secure the quality of private kindergarten education and to improve the low treatment of teachers in private kindergartens. Third, it was proposed to upgrade the review institution of the private kindergarten steering committee to expand parental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al process and to develop a program suitable for local characteristics. Fourth, it was proposed to supplement the publicization project due to the inefficiency of the publicized private kindergarten project and to revise the law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revision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on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kindergartens and operational support such as labor costs for teachers, adjustment of contract period for public kindergartens, revision of laws for diversification of public entrusted companies, and only corporations when establishing new private kindergartens Through the revision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to make this possible, a plan to enhance the ‘publicity’ of private kindergartens was proposed.

      • KCI등재

        유치원의 공간구성 특성과 학부모 만족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 중국 사립 유치원 사례를 중심으로 -

        전가녕,김경숙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중국의 젊은 학부모들의 교육 수준이 높아지고 유아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공립유치원의 모집인원 제한으로 인하여 많은 수의 학부모가 적령기 유아교육을 위해 자녀들을 사립유치원으로 보내고 있다. 그러나 사립유치원은 관리와 질적 측면에서 양극화 문제가 나타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학부모가 가장 먼저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부분은 사립유치원의 실내 공간 환경으로 그 좋고 나쁨을 직접 인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실내 공간 환경의 개선을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의 소비자인 학부모에게 고객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및 이론을 적용하여 학부모가 만족할 수 있도록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증분석을 통해 사립유치원의 공간구성 특성과 학부모 만족도와의 상관관계 및 중요도를 파악하고 사립유치원의 유아 발달과 학부모 만족도 향상에 적합한 공간디자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첫째, 이론 고찰을 통해 사립유치원의 공간구성과 학부모 만족도에 관한 개념을 이해하고 선행연구에 따라 사립유치원의 공간구성특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연구 구조 및 모델 구축을 수행하고 관련 변수의 영향 관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2022년 사립유치원 순위 집계 데이터를 통해 대표적인 사립유치원 5곳의 사례를 선정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위해 SPSS 26.0 통계 프로그램과 AMO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요인분석, 설문지 및 연구 모델의 과학적 유효성을 테스트한 후 구조 방정식 모델을 통해 회귀 분석을 진행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모델의 적합성을 검증하고 변수 간의 상호 영향 관계를 분석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사립유치원 5 곳의 사례를 종합, 분석한 결과‘안전성’,‘쾌적성’,‘심미성’,‘융통성’,‘편의성’,‘자존성’은 모두 학부모 만족도에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그중,‘안전성’,‘편의성’,‘심미성’은 중요도가 높은 반면, 학부모 만족도에 대한‘이동성’의 영향 관계는 부(-)의 결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립유치원의 공간구성 특성 대부분이 학부모 만족도에 기여한다는 가설이 검증되었다. (결론) 분석 결과 사립유치원의 공간구성 특성의 중요도는‘안전성’>‘편의성’>‘심미성’>‘융통성’ >‘자존성’ >‘쾌적성’>‘이동성’순으로 나타났으며 특히‘안전성’,‘편의성’,‘심미성’은 학부모의만족도를 높이는 데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립유치원의 공간 환경 설계에서 중점을 두어야 하는 중요한특성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응답자 의견 피드백을 통해서‘이동성’이 학부모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이유는 학부모가 장기적인 학습 환경과 생활환경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는 점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사립유치원의 실내외 구성, 유아 특성과 학부모 수요 등에 관한 요인을 보다 상세하고 심도 있게 분석하며 사립유치원의 영역에 포함된구체적인 공간 유형을 확장하여 사립유치원의 실내 공간 환경 구축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with the rising education levels among young parents in China and increasing interes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ny parents are sending their preschool-aged children to private kindergartens due to restrictions on enrollment in public kindergartens. However, private kindergartens face polarization issues in management and quality, with the indoor spatial environment being a critical aspect that parents directly perceive and often demand improvements in. Therefore, there should be more efforts focused on satisfying parents, who are consum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pplying research and theories on customer satisfaction.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correlation and importance between the spatial configuration characteristics of private kindergartens and parental satisfaction, proposing spatial design strategies conducive to both child development and parental satisfaction enhancement. (Method) Firstly aimed to understand the concepts of spatial configuration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parental satisfaction through theoretical review, and derived the spatial configuration characteristics of private kindergartens based on previous research. Secondly, building upon prior studies, it performed the construction of a research framework and model and established hypotheses regarding the relationships among relevant variables. Additionally, it conducted an online survey by selecting five representative private kindergartens based on the 2022 ranking data of private kindergartens. Thirdly, for the analysis of survey results, the study utilized SPSS 26.0 and AMOS 26.0 statistical software to conduct reliability factor analysis, test the scientific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and research model, and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est the hypotheses. Finally, it validated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analyzed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nd derived research findings.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afety', 'Comfort', 'Flexible', 'Convenience', 'Self-preservation', and 'Aestheticnature', which are the spati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private kindergartens, all positively affect parent satisfaction, while 'Mobility' does not have a clear effect on parent satisfaction. Accordingly, some hypotheses were adopted that the spatial component of private kindergartens had a positive effect on parental satisfaction. (Conclusions) The importance of the space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private kindergartens can be seen in the ranking of 'Safety'> 'Convenience'> 'Aestheticnature'> 'Flexible'> 'Self-preservation'> 'Comfort'> 'Mobility'. In addition, 'Safety', 'Convenience', and 'Aestheticnature' have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parental satisfaction and are factors that should be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design of private kindergartens. The reason why 'Mobility'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parents' satisfaction through feedback on respondents' opinions was estimated to be related to parents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long-term learning environment and living environment of the indoor environment.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more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the construction of the indoor environment of private kindergartens by considering the effects of various levels of factors on parent satisfaction in future indoor environment studies of private kindergartens.

      • KCI등재

        사립유치원 회계 무엇이 문제인가?

        정영기 한국회계정책학회 2019 회계와 정책연구 Vol.24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present conflicts between stakeholder in the private kindergarten. Als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evance of the administrative rule of finance and accounting for private school and to suggest the resolutions in respect of accounting standards for the private kindergarten. [Methodology] This study analyzed the accounting system of private kindergarte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heoretical review, the preceding study, various related laws and accounting regulations for private school in Korea. [Findings] In accordance with the importance of transparency of the private kindergarten, one of the measures of securing transparency is separating accounting entity between founder of kindergarten and kindergarten itself. Under the separate accounting system, the use of allowance for the founder’s assets for kindergarten can be justified when depreciation expense is not included. Also the basic financial statements are need to be developed from report on budget and closing account based on administrative rule of finance and accounting for private school. [Policy Implications] Accounting standards for private kindergarten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accounting standards for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This is because it can not properly represent the economic substance of the private kindergarten’s unique aspects relative to local private school. Based on this respect, hybrid type of accounting standards for private kindergarten in Korea is proposed considering the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s and the statement of activities. [연구목적] 대부분의 사립유치원은 법인화 형태가 아닌, 사인이 설립주체가 되어 운영되고 있는바, 법인설립 형태의 사립학교를 대상으로 규율하고 있는 현행 「사학기관재무․회계규칙」은 사립유치원의 회계기준으로서 적절하지 않다는 점을 경제적 실질과 회계개념상의 측면에서 규명하고, 유아교육이라는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립유치원의 성격과 실질에 부합되는 회계기준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의 회계투명성을 위해서는 법인설립 형태가 아니더라도, 설치․경영자와 유치원간의 구분회계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현행 유치원회계세입․세출예산과목을 수정․보완하여 기본재무제표인 재무상태표와 운영수지보고서로 연계될 수 방안을 검토하고, 작성원칙에 대해 이론적 검토와 선행연구, 각종 관련 법규 및 규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육을 위해 직접 사용하고 있는 설치․경영자의 재산을 재무상태표의 자산항목으로, 대변항목으로는 ‘기본순자산’으로 표시하고, 운영수지 차액의 누계액인 ‘운영순자산’이 구분 표시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교육활동을 위해 투입한 자원과 자원의 사용내역을 나타내줌으로써 사립유치원의 운영측면에서 최소한의 수지균형을 달성하고 있는지 보여줄 수 있도록 운영수지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운영차액이 발생한다면, 그 한도 내에서 투자한 재산에 대한 사용료나 투자보수를 대신하여 운영비용 중 업무추진비 등의 항목에 추가하여 비용으로 인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정책적 시사점] 한편 사립유치원의 현안 문제와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회계적 관점에추가하여 향후 사립유치원 설립은 법인 형태로 제한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정할 필요가 있으며, 법인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법인설립 형태의 사립유치원에 대해서는 재정지원이나 건축적립금 적립비율에 우대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사립유치원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정책의 현황 및 개선방향 : 유치원3법을 중심으로

        조영숙(Cho Youngsuk) 한국법학회 2021 법학연구 Vol.84 No.-

        유치원 3법을 통해 우리사회는 사립유치원의 공공성에 대한 사회적 공론화를 구체화하였다. 사립유치원의 공공성의 문제는 2004년 유아교육법이 제정된 이래로 계속되어 온 문제였지만 사립유치원은 사유재산과 사학의 자율성 침해를 이유로 정부의 시책에 반대해 왔다. 2018년 교육위원회 감사결과 사립유치원 운영자의 비리 명단과 사례가 공개되었고, 이를 계기로 유치원 3법(유아교육법, 사립학교법, 학교급식법)의 개정이 발의되었고, 이는 여야가 정면 대립하는 정치적 쟁점화까지 이르렀다가 결국 2020년 1월에 국회를 통과하게 되었다. 유치원 3법의 시행으로 회계투명성 강화, 유치원 운영의 공개, 급식부정문제 차단, 교육자로서의 자격 기준을 강화하는 등 많은 성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많은 사립유치원의 원장들은 막대한 금액을 출연하여 설립한 사립유치원은 사유재산이며, 사학에 대한 자율성을 보장해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다. 유치원은 기관을 운영하는 원장의 신념이 어떠한가에 따라 교육의 가치와 운영방법에 많은 영향을 받는 기관임을 감안하면 진정한 교육의 공공성을 이루기 위해서 규제위주의 정책은 한계가 있을 것이다. 사립유치원의 교육 공공성에 대한 합의를 이끌고 자발적이고 진정성 있는 협치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rough the Kindergarten 3 Act, our society embodied social public debate about the publicity of private kindergartens. The issue of publicity of private kindergartens has continued since the enactm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in 2004, but private kindergartens have opposed the governments policies citing violations of private property and private schools autonomy. As a result of the 2018 audit by the Education Committee, the list and cases of corruption by private kindergarten operators were disclosed, and the revision of the Kindergarten 3 Act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Private Schools Act, and School Meals Act) was proposed leading to a political issue in which the opposition parties face-to-face confrontation. The implementation of the Kindergarten 3 Act has brought many results, such as strengthening accounting transparency, disclosing the operation of kindergartens, blocking the problem of irregular meals, and reinforcing qualification standards as educators. However, the prevailing idea is that private kindergartens established by the directors of many private kindergartens are private property and that autonomy over private schools should be guaranteed. Kindergarten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value of education and the method of operation according to the beliefs of the director who runs the institution. In order to achieve the true publicity of education, there will be limits to policy-oriented policies. Efforts are needed to lead a consensus on the publicity of education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to pursue voluntary and sincere cooperation.

      • KCI등재

        개인설립 유치원의 회계 투명성 제고를 위한 회계 모형개발 및 적용

        김성섭 ( Sung Sub Kim ),유구종 ( Gu Jong Yo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2

        우리나라의 개인설립유치원들은 설립 주체나 설립 재원 및 운영 등은 민간 재원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회계 제도 규칙과 운영은 사학기관재무회계규칙에 의한 재정회계기준을 준용하고 있다. 따라서 개인 설립 유치원의 회계는 회계 기준과 적용 기준이 일치하지 않아 실제 운영 상황을 회계적으로 정확하게 반영할 수 없으며, 이러한 원인에 의해 투명한 운영을 담보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유치원의 일반운영자들을 대상으로 현행의 개인설립유치원 회계현황에 대한 인식 조사와 항목을 수집하고, 유치원 운영자 그룹, 회계 전문가 그룹 및 학계등 3개의 그룹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와 내용 분석 및 분류분석을 통해 개인설립유치원의 운영을 잘 반영할 수 있는 회계 항목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지역별, 운영 규모별로 구분된 일반 운영자 그룹을 대상으로 유치원 적정 회계에 대한 인식 조사와 필요한 항목에 대한 요구 및 적정도 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로 제시된 항목과 내용에 대하여 전문 운영자 그룹과 학계 및 회계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항목의 적정성에 대해 조사하고, 필요성이 제시된 항목들을 회계적 내용과 성격에 의한 분류를 통하여 적정 회계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형에 대하여 회계의 충실도, 회계의 안정성 회계의 적합성을 검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모형을 확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verifying the major factors that made noncorporate kindergarten accounting inaccurate. For the object of the study, the research investigated awareness and demands of accounting professionals and kindergarten directors and Delphi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by the research process problem is as follows. First, the accounting operation system related to the noncorporate private kindergartens can be gradually turned into an objective and systematic. Noncorporate private kindergartens are introducing an accounting program or specialized agency charged with accounting showed that seeks to operate in a professional and structured financing. Second, such as earned by the loan, capital investment and external resources is necessary because of institutional factors is absolutely necessary to recognize the persistence of private kindergartens. And right to recognition of depreciation and compensation would be needs because it is responsible for the operational necessity of the fee and the founder of the kindergarten building shall be included in the noncorporate private accounts of the kindergarten. Third, depreciation, reserves, borrowings and related expenses, such as the right to property guaranteed availability of the founders will be recognized in order to be transparent, that gives a direct impact on the transparency of noncorporate private kindergartens accounting. Fourth, the transparency of noncorporate private kindergartens accounting will be reset to the new standards by the harmonization of operational factors and institutional factors. Fifth, the noncorporate private school accounting system has the disadvantage in the noncorporate private financial accounting rules , that is, the rule and program of the kindergarten, institutions and noncorporate private kindergartens with the contents of the difficulty and lack of accounting skills of kindergarten, so, it does not accurately reflect the actual financial management situation. New and discussed with the institution that issues such as the improvement should be considered as an item insertion is required for the noncorporate private kindergarten Financial Accounting rule.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기관의 회계기준에 관한 연구: 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정영기 (사)한국정부회계학회 2018 정부회계연구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accounting standards for the preschool in Korea(especially on the private kindergarten). Als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flict of establishing the administrative rule of finance and accounting and to suggest the resolutions for this public conflict betwee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representative group of these organiz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both aiming for normalization of operation through financial support for these private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he importance of transparency of these organizations are growing. Also, in the long run, securing a stable system which enables these private organizations to make reliable financial reporting is perceived as a key success factor for maintaining financial durability and management. One of the measures of securing transparency is a public disclosure of its accounting information prepared by proper accounting standards with it’s unique aspects of educational institution and private compan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basic financial statements are included with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s, statement of activities, almost same as the basic statement of private company. But their contents, chart of accounts and terms need to represent the unique character of educational organization. Also it should be differentiated with existing accounting standards for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 in Korea. Because it can not properly represent the economic substance of the private kindergarten’s unique aspects relative to local private school. Based on this respect, hybrid type of accounting standards for private kindergarten in Korea is proposed considering both aspects of private company and non-profit educational organization. 최근 불거진 사립유치원의 재정관리와 회계투명성 문제는 국가의 재정지원과 감독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사립유치원이 적용하도록 규정된 「사학기관재무・회계규칙」은 개인재산을 투자하여 운영하는 사립・민간 유아교육기관의 경제적 실질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 라, 자산・부채・수익・비용 등 회계의 기본개념과 상충되어 유용한 재무정보를 산출하는 데 적합하지 않 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의 재정지원에 따른 회계투명성을 제고하고, 회계업무에 따른 과도한 부담을 덜어주면서 작성자나 이용자 모두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회계기준의 필요성과 제정방향을 토대로 구체 적인 회계기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재무보고의 목적과 일반원칙, 회계단위와 구분 회계, 자산・비용・부채의 구분, 설치・경영자의 투자와 투자보수, 적림금과 감가상각비의 구분 등 주요 논점별로 살펴본 다음 기본재무제표로 재무상태표와 운영수지보고서를 제안하고, 작성원칙에 대해 논 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아교육기관을 설치・경영하는 사인이 투자한 몫을 적절히 나타내 줄 수 있도록 ‘기본순자산’항목을 재무상태표에 도입하고, 운영측면에서 적절한 수준의 재무적 성과나 최소한의 수 지균형을 달성하고 있는지 ‘운영차액’을 운영수지보고서에서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유아교육 기관은 ‘비영리’라는 법적 형식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운영과정에서 발생한 이익에 상응하는 재무적 성 과를 배당 등의 형태로 인출할 수 없기 때문에 당기운영차액의 한도 내에서 설치・경영자가 제공하는 인적용역에 대한 대가나 투자보수를 추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 KCI등재

        사립유치원 초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지원 요구에 대한 탐색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정아란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oncrete measure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s of private kindergartens and to enhance teachers' job satisfaction by exploring the job stress and support requirement of first-year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at private kindergartens. To this end, a research problem was established, as to explore the job stress perceived by first-year kindergarten teachers in private kindergartens and teachers' support requirement. For this study,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comprised of in-depth interviews on 21 first-year kindergarten teachers, who had worked for less than 12 months after being appointed in 2017, at 16 private kindergarten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rst-year kindergarten teachers of private kindergartens had job stress caused mostly from working conditions, then guidance of children, and lastly, interactions with parents Second, the teachers demanded support for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mentoring by senior teachers and support for parenting education. Based on such results, this study suggests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private kindergartens and methods for first-year kindergarten teachers to manage their stress.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초임교사들의 직무 스트레스와 그들의 지원 요구를 탐색함으로써 사립유치원의 직무환경을 개선하고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립유치원 초임교사가 지각하는 직무 스트레스와 지원요구를 탐색하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의 16개 사립유치원에 근무 중인 교사로서 2017년에 임용된 근무경력 12개월 미만인 21명의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는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립유치원 초임교사는 근무 여건, 유아의 생활지도, 학부모와의 상호작용 순으로 직무스트레스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근무 여건에 대한 개선, 교수능력 멘토링, 학부모에 대한 부모교육 지원을 요구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립유치원의 근무 여건 개선과 초임교사 자신의 스트레스 관리 방법의 기초자료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