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ransformative Object Design: Unveiling the Characteristics that Foster Emotional Attachment between Individuals and Objects

        김민선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2

        This research explores th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individuals, specifically exploring transformative properties within objects that can engender emotional attachment. While previous studies have acknowledged the potential of transformative qualities such as “wearing away through use” in fostering connections between objects and users, a systematic investigation in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 has been lacking.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 providing insights into the nuanced ways in which intentional transformations within objects contribute to enduring relationships toward users. The qualitative research design was utilized in this study in order to offer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key elements in object transformation. As a designer, the researcher offered how such transformation was applied in artifacts to discuss real-world instance of emotional attachment to objects. This enabled a cross-reference analysis of the primary research findings pertaining to the pivotal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four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 the slow and subtle transformation, constituting transformation, elevating positive transformation within object, and the active involvement of the user in the transformation process and showed that they foster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individuals. By grasping the nuances of these emotional attachments, designers and creators can not only craft functional objects but also create objects of profound personal significance, enriching the human experience. Designers and creators can use these insights to craft objects that not only serve their functions but also become deeply significant to users and prolong the life of objects. These findings contribute not only to the emotional design but also have broader implications for product design,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Understanding how intentional transformations influence emotional bonding with possessions can empower designers to craft objects that transcend mere functionality, becoming profound sources of personal significance and enhancing the overall human experience. This research thus opens avenues for further exploration into emotional design and its potential to reshape the ways we interact with and cherish the objects in our lives.

      • KCI등재

        행정박물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프로세스 구축방안

        이예경,김금이,이진희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연구 Vol.0 No.17

        Archival Objects are defined as objects having historical, aesthetic, and artistic value as well as archival value created and used with a particular purpose in business process. Increasingly, many countries including Canada, Australia, China ar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Archival Objects and designated them as national records. In Korea, Archival Objects are involved in national records through '2006 Plan for the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Reform'. So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Service provided a foothold for comprehensive plan of national records management including Archival Objects. And also, by revising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ct in 2007,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Service declared aggressive will to management Archival Objects. Until now, Objects held in public institution were easy to be damaged because definition or scope of Archival Objects was ambiguous and management system for material character wasn't exist. Even though the revised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ct suggest definition and declare the responsibility of management, management system focused on various shape and material of objects need to be established. So this study has defined Archival Objects shortly and carried out a research 5 institutions on the actual management condition. By researching the result of institution survey,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Act and actual Records Management System, we could find some problems. In solving these problems, We provide objects management process in the order capture → register → description → preservation → use→disposition. In addition, close cooperation between records center and museum of institution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unitive management at national level.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introducing a base to manage Archival Objects systematically. By studying more, we hope to advance in management of valuable Archival Objects. 행정박물은 업무활동 과정에서 특정 목적을 지니고 생산되고 활용되었다는 기록으로써 가치를 지님과 동시에 역사성, 심미성, 예술성이라는 박물로써 가치를 지닌 물건(objects)이다. 이미 캐나다, 호주, 중국 등의 국가에서는 그 가치를 인정하여 별도의 관리대상으로 설정하여 보존관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06년 ‘기록관리혁신 종합실천계획’을 통하여 행정박물을 국가차원의 기록관리 대상으로 포함시키고 종합적인 관리방향을 제시하게 되었다. 더불어 2006년 기록물관리법을 개정하면서 행정박물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었고, 국가의 적극적인 관리의지를 표명하였다.지금까지는 행정박물의 정의 및 범주가 불명확하고 행정박물이 지니는 특성에 부합한 관리체계가 부재하여 각 기관에서 관리하던 박물들의 훼손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개정된 기록물관리법에서 행정박물의 정의를 나타내고 관리의무를 표명하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이루어진 행정박물의 특성에 부합하는 관리체계가 설립되기는 부족한 감이 있다고 여겨진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간략하게나마 행정박물의 정의를 내려 보고 행정박물의 관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관표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조사의 결과와 법령 및 현 기록관리시스템 분석을 바탕으로 행정박물 관리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행정박물 관리 프로세스를 입수→등록→기술→보존→활용→폐기의 각 단계별로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체계적인 행정박물의 관리를 위한 기반을 제시한 것에 그치며, 더욱 심도 있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행정박물을 효과적으로 보존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조선전기 국왕 儀仗制度의 정비와 상징

        강제훈 ( Jae Hoon Kang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2 사총 Vol.77 No.-

        Ceremonial objects symbolize kings apart from subjects. In the West a single symbolic icon was used, but in the East Asia more icons were used for higer-ranked figures. Ceremonial objects for queens and princes were only parts of the ceremonial objects used for kings. This article examines the ceremonial objects used in National ceremonies held at the courtyard of the palace.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rules in the Confucian countries, ceremonial objects used in the royal processions were distinguished from those used in the courtyard ceremonies in Joseon. The special feature in Joseon was that they made the items in the two sets of ceremonial objects identical. The biggest set of ceremonial objects remained constitutively unchanged in Joseon. But the size of the ceremonial objects was made to differ depending on the ceremonies. Ceremonial objects were placed on the upper and lower podium in front of Geunjeongjeon at first, but the placement was expanded to the courtyard in Sejong`s reign. And the number of items was adjusted into three tiers. At the same time, ceremonial obejcts at the processions were also divided into three tiers, and the number of items was adjusted accordingly. Sejo made the items of the 3-tiered ceremonial objects at the ceremonies identical with those at the processions. By having the same constitutive items and the same tier structure of the ceremonial objects at the ceremonies and at the processions, they secured the consistency of the symbols and enhanced the convenience of the officials who supervised the ceremonial objects.

      • KCI등재

        이상화대상에 대한 경계선성격장애인의 심리적 경험

        김동태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6 신학과 사회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henomenal aspects of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the Borderline Patients toward Idealized Objec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laizzi’s method, one of phenomenological methods to focus on the meaning and nature of human experienc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women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Data of this study were gathered from July 3, 2015, to December 20, 2015, and the method of the data collection had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m. This study categorized 8 theme clusters from themes exposed by statements of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the Borderline Patients toward Idealized Objects. As a resul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Borderline Patients went looking for attachment objects by strong desire loved by objects. Secondly, the Borderline Patients primitively idealized attachment objects, because they considered that the Idealized Objects and their parents was one and the same person.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y tried to control the Idealized Objects not to get separated from them. Fourthly, the Borderline Patients distorted the messages of the Idealized Objects. Fifthly, Because of their distorted perception, they did not readily trust the Idealized Objects, forgot themselves in anger, and expressed their insecure mind. Sixthly, the Idealized Objects suffering from stress tried to leave them and they were seized with fear to be left out from the Idealized Objects. Seventhly, it was found that the Borderline Patients craved affection and attention from the Idealized Objects. Eighthly, they felt hollow because they lost relationship of the Idealized Object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that the Idealized Objects of the Borderline Patients were the image of their parents, their emotions and behaviors toward the Idealized Objects were infant dependence on their par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이상화대상에 대한 경계선성격장애인의 심리적 경험을 이해하는데 있다. 인간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밝히는 현상학적 연구 중에서 콜라이찌(Colaizzi) 방법을 통하여 연구 참여자의 공통적인 속성을 도출해 내었다. 연구 참여자 표집방법은경계선성격장애로 판정 받은 사람 중 연구에 동의한 3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7월 3일부터 2015년 12월 20일까지 약 6개월이며, 방법은 연구 참여에동의한 3명에게 심층면담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콜라이찌의 분석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이상화대상에 대한 경계선성격장애인의 심리적 경험의 진술에서 드러난 주제들로부터 8개의 주제군으로 범주화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랑받고 싶은 강한 욕구로 애착대상을 찾아다녔다. 둘째, 애착대상이 부모와 같은 존재라서원시적 이상화가 이루어졌고, 셋째, 이상화대상을 놓치지 않으려는 생각에 대상을 통제하려는 행동이 나타났다. 넷째, 이상화대상들의 표현을 왜곡 시켰다. 다섯째, 왜곡된 인지는 과도한 의심을 이끌게 되어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는 등 불안정한 심리를 표출하게 만들었다. 여섯째, 심한 스트레스를 받은 이상화대상들이 경계선성격장애인들을 떠나려는 행동에 버림받는 두려움을 겪게 되었다. 일곱째, 이상화대상은 잃어버릴 수 없는 절대적 대상이기 때문에 사랑과 관심을 갈구하는 모습을 보였다. 여덟째, 이상화대상과의 관계상실로 마음의 공허함을 경험했다. 분석결과에 나타난 이상화대상에 대한 경계선성격장애인의 심리적 경험들 즉 대상을찾고, 이상화하고, 통제하려고 하고, 버림받지 않으려는 두려움과, 관심을 받기 위한 필사적인 노력들은 이상화대상이 부모대상의 표상이기 때문으로 드러났다. 그래서 그들이 이상화대상에게 보이는 감정과 행동들은 부모에 대한 유아적 의존을 보이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종합하여 보면 경계선성격장애인의 이상화대상에 대한 부적응적인특징들은 유아기 때 형성된 결함을 성인기에 드러내는 유아적 노력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결과에 나타난 이상화대상에 대한 경계선성격장애인의 심리적 경험은 부모를 찾는 행동이었고, 이상화대상에게 보이는 감정과 행동은 부모에 대한 유아적 의존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유체물의 영업비밀성’ 문제의 성격과 실무적 의의 -대법원 2022. 11. 17. 선고 2022다242786 판결을 계기로 삼아-

        류시원 한국법학원 2023 저스티스 Vol.197 No.-

        As evidenced by its definition, “information which belongs to a production method, sales method, or other technical or managerial information that is not publicly known and has independent economic value and is kept secret,” trade secrets are essentially information, i.e., intangible objects. However, in the practice of trade secret protection, information protected as a trade secret often exists or is managed in the form of a physical (tangible) object, and trade secrets are often infringed by acquiring, disclosing, etc. through tangible objects. Therefore, in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trade secret protection, the keyword “tangible object” is relevant to the discussion of the need and limits of protec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issues related to trade secret protection and tangible objects in light of the recent Supreme Court ruling that recognized the infringement of trade secrets by the acquisition and use of tomato seeds, which are tangible objects. It is discussed that the issue of ‘trade secrets as a tangible object’ should not be treated as a theoretical issue related to the nature of trade secrets, but as a practical issue related to the identification, use, and disclosure of trade secrets in trial proceedings. Also reviewed in this article that the basis for affirming the protection of trade secrets in the form of tangible objects other than typical media, as well as their limitations. For identification of a trade secret by means of a tangible object, if a party’s claim can be interpreted as seeking protection of the trade secret embodied in the tangible object, it is possible to proceed to the determination of infringement without being bound by the formal dichotomy of objects and information. However, by examining whether it was inevitable to identify the trade secret in such a manner and, if necessary, eliciting further identification, courts will be able to tailor the trial process to ensure that a party's claim to a trade secret is precisely identified and examined among the myriad of information contained in that object. Meanwhile, a flexible and pragmatic approach to determining the acquisition, use, and disclosure of trade secrets by means of tangible objects is also required. Specifically, the standard for determining the infringement is whether each act engaging tangible objects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trade secret for its own purpose.’ Further, the followings may be used as references to judgment : whether practices in which the trade secret is present, traded, or utilized in the form of tangible objects, the economic significance reflected in such practi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as a medium containing the trade secret. The subject case dealt with the issue whether trade secrets were infringed by the acquisition and use of tomato seeds. There are a number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that have directly recognized the trade secrets of plant seeds, bacterial strains, etc. that contain genetic information, or have recognized trade secret infringement through acts involving tangible objects containing therein trade secret information. However, it is to be kept in mind that the relatively strong nature of biological materials as a medium for storing genetic information is reflected in the recognition of their trade secrets or trade secret infringement. Instead of uncritically generalizing the positive attitude of the Supreme Court’s judgment in the subject case shed on tangible objects containing trade secrets, it is recommended to property consider factors such as the form and degree of mediumness of the tangible object in question in recognizing trade secret infringement by means of the tangible object. By doing so, the reasonable manner of trade secret can be achieved while minimizing its adverse effects that would be otherwise incurred on competition. “공공연히 알려져 있지 아니하고 독립된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서, 비밀로 관리된 생산방법, 판매방법, 그 밖에 영업활동에 유용한 기술상 또는 경영상의 정보”라는 정의에서 보듯 영업비밀은 본질상 정보 즉 무체물에 해당한다. 그러나 영업비밀 관련 실무에서는 보호 대상 정보가 유체물의 형태로 존재 및 보관되는 일이 빈번하고, 유체물을 매개로 하여 영업비밀이 취득, 공개 등의 방법으로 침해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론과 실무의 면에서 ‘유체물’이라는 키워드를 영업비밀 보호의 필요성과 한계에 관한 논의에 있어 적절히 조명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최근 토마토 원종의 취득ㆍ사용에 의한 영업비밀 침해를 인정한 대법원 2022. 11. 17. 선고 2022다242786 판결(대상판결)을 계기로 영업비밀 보호의 유체물 관련 쟁점들을 검토하였다. ‘유체물의 영업비밀성’이라는 논제를 영업비밀의 본질론이 아닌 재판절차에서의 영업비밀의 특정, 사용, 공개와 관련된 실무적 차원의 문제로 접근하여야 한다는 점과, 유체물에 담긴 영업비밀의 보호를 전형적인 매체가 아닌 기타 유체물에 대하여 확장하기 위한 논거 및 그 한계에 대해 검토하였다. 유체물에 의한 영업비밀 특정의 경우, 당사자의 주장을 그 유체물에 담긴 영업비밀의 보호를 구하는 것으로 선해할 수 있다면 물건과 정보의 형식적 이분론에 얽매이지 않고 침해행위의 판단으로 나아갈 수 있다. 다만, 법원은 그러한 특정의 불가피성을 심사하여 필요한 경우 보다 구체화된 특정을 유도함으로써 당사자가 유체물에 담긴 수많은 정보 중 어떤 것을 영업비밀로 주장하는 것인지가 제대로 파악되고 심리될 수 있도록 재판절차 운용에 적정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유체물을 매개로 한 영업비밀의 취득, 사용, 공개에 관한 판단에 있어서 유연한 시각을 바탕으로 한 실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유체물을 대상으로 한 각 행위가 ‘영업비밀의 본래 목적에 따른 사용가능성’을 지시하는지 여부를 침해행위 존부 판단의 기준으로 삼고, 이때 영업비밀이 유체물의 형태로 존재, 거래 또는 활용되는 관행의 존부와 그 경제적 의미, 영업비밀을 담은 유체물의 매체적 성격 등을 그 판단에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대상판결은 유체물인 토마토 원종의 취득, 사용에 의한 영업비밀 침해 여부가 문제가 된 사건이다. 유전정보를 담은 식물 원종, 균주 등에 대해서는 그 유체물의 영업비밀성을 직접 인정하거나 그 안에 담긴 유전정보의 영업비밀성 인정을 바탕으로 유체물을 매개로 한 영업비밀 침해행위를 인정한 국내외의 사례가 다수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생물학적 소재는 유전정보를 저장한 매체로서의 성격이 비교적 강하다는 점이 그 영업비밀성 내지 영업비밀 침해행위의 인정에 반영된 것임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대상판결의 태도를 영업비밀을 담은 유체물 일반에 무비판적으로 적용하는 대신 문제가 된 유체물의 매체성의 양상ㆍ정도 등의 요소를 유체물에 의한 영업비밀의 특정 및 침해행위의 판단에 적절히 고려할 때 영업비밀 보호의 실질화를 달성하면서도 경쟁상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아들의 복사물체의 상징적 기능에 대한 이해

        박영신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0 No.2

        Understanding of symbolic function of replica objects was examined with 24- and 30-month-old children. In Experiment 1, understanding of objects was compared with understanding of words, photographs, and gestures. 24- and 30-month-old children understand objects as well as words, photographs, and gestures. However, they understand objects worse than words and photographs. Understandings of photographs, gestures, and objects were related to each other significantly, especially at 30 month. In Experiment 1a, understanding of objects was compared again with understanding of words, pictures, and gestures in a sample of children from similar socio-economic and educational backgrounds. Unlike in Experiment 1, 30-month-old children understand all symbols whereas 24-month-old children understand only words and gestures. 24-month-old children understand objects worse than words and gestures whereas 30-month-old children understand objects worse than other symbols. Understanding of gestures and objec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t both 24- and 30-months. In addition, understanding of words and pictur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t 30-month. These results from experiment 1 and 1a showed that DeLoache's dual representation hypothesis can explain early understanding of symbolic function of replica objects. In Experiment 3, the effect of iconicity of replica objects was examined. 24- and 30-month-old children understand objects better when an object and a referent are physically similar to each other than when they are not. 24개월과 30개월 집단 유아들을 대상으로 복사물체의 상징적 기능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발달하는지 검토하였다. 연구 1에서는 복사물체에 대한 이해를 단어, 사진, 제스처에 대한 이해와 비교하였다. 24개월과 30개월 집단 모두 복사물체뿐 아니라 단어, 사진과 제스처를 이해하였다. 복사물체에 대한 이해는 제스처에 대한 이해와 차이가 없었으나 단어나 사진에 대한 이해보다 떨어졌다. 뿐만 아니라 복사물체, 사진과 제스처에 대한 이해는 특히 30개월 집단에서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연구 1a에서는 연구 1과 달리 사회경제적 배경과 교육적 경험이 비슷한 유아들을 대상으로 연구 1의 결과를 다시 확인하였을 뿐 아니라 그림을 사용하여 복사물체에 대한 이해를 단어, 그림과 제스처에 대한 이해와 비교하였다. 30개월 집단은 복사물체뿐 아니라 단어, 그림과 제스처를 이해하였으나 24개월 집단은 단어와 제스처는 이해하였지만 복사물체와 그림은 이해하지 못했다. 24개월 집단은 단어와 제스처보다, 그리고 30개월 집단은 단어, 그림과 제스처보다 복사물체를 더 이해하지 못했다. 또한 24개월 집단에서는 제스처와 복사물체에 대한 이해가, 30개월 집단에서는 제스처와 복사물체 뿐 아니라 단어와 그림에 대한 이해가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연구 1과 1a의 결과는 DeLoache의 이중표상가설이 복사물체에 대한 이해도 잘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 2에서는 복사물체와 참조물 사이의 유사성이 복사물체의 상징적 기능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24개월과 30개월 집단 모두 복사물체가 참조물과 유사할 때 복사물체를 더 잘 이해하였다.

      • A Three-Phase Algorithm for Clustering Multi-typed Objects in Star-Structured Heterogeneous Data

        Huang Yue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Database Theory and Appli Vol.9 No.8

        Heterogeneous networks, composed of multiple types of objects and relationships, are ubiquitous in real life. Although many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community detection in homogeneous networks which contain only one type of objects and one type of relationships between these objects, effective direct clustering objects of all types in heterogeneous networks without heterogeneous-to-homogeneous transformation remains a challenge. To achieve this goal, we propose a three-phase method for clustering star-structured heterogeneous data based on diffusion path. By adopting the principle that central objects are more important than attribute objects, we firstly assess the proximity of central objects in terms of their connected objects of all types, then based on which we cluster central objects, and thirdly we detect attribute objects groups according to their associated central objects. Finally, experiments on a real-world data set show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proposed methods.

      • KCI우수등재

        RFID를 이용한 웹 기반의 실시간 위험물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사례

        김주일(Kim Ju Il),이우진(Lee Woo Jin),정기원(Chong Ki Won) 한국전자거래학회 2008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3 No.2

        최근 사회에서는 총기를 사용하는 범죄가 증가하고 있으며, 방화 및 테러에 이용될 수 있는 화학물질 및 방사선 물질들의 부실한 관리로 인해 많은 곳에서 관련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위험물에 대한 위치를 추적함과 동시에 위험물에 대한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는 혁신적인 위험물 관리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위험물 관리 기술의 한계성 및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RFID를 이용한 웹 기반의 실시간 위험물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 사례를 보인다. RFID를 이용한 웹 기반의 실시간 위험물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아키텍처를 정의하고, RFID 태그에 위험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을 정의하며, 웹 기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여 실제로 위험물을 모니터링 하는 사례를 보인다. 논문에서 제시하는 실시간 위험물 모니터링 시스템은 위험물 정보를 관리하고 위험물을 제어하기 위한 위험물 모니터링 서버, 위험물과 모니터링 서버의 중계자 역할을 수행하는 위험물 모니터링 미들웨어, 위험물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위험물의 정보를 읽기 위한 RFID 리더기, 위험물의 정보, 상태 및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다. 이 시스템은 총기류, 방사선 물질, 유해성 화학물질 등 여러 가지 위험물에 대하여 RFID를 이용한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위험물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위험물에 대한 반입, 반출 검사 및 실시간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웹 기반의 시스템이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므로 필요할 때는 언제 어디서나 웹을 통하여 위험물에 대한 시각적인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Recently in the human society, the crime using small arms has increased. Also, many accidents happen because of incomplete management of chemicals and radiation.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nage dangerous objects by tracing the position of dangerous objects and rapidly providing the correct information for them. This paper presents a web-based system for real-time monitoring of dangerous objects using RFI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current dangerous objects management techniques. In this paper, we define the architecture for web-based dangerous objects monitoring system and the scheme for storing information of a dangerous object in the RFID tag. We also implement the web-based monitoring system and present the execution result of the system. The proposed real-time monitoring system is composed of the dangerous objects monitoring server which manages information of dangerous objects and controls them, the dangerous objects monitoring middleware which is mediator between dangerous objects and the server, the RFID reader which reads information of dangerous objects from RFID tags attached to the objects and the database which stores information, status and position of dangerous object. The proposed system manages diverse dangerous objects such as small arms, radiation and harmful chemical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m using RFID, so the user can check dangerous objects when they are checked in and checked out and the user can acquire the real-time position information of them through the system. Furthermore, the user can visually monitor dangerous objects through web browser from any where and at any time because the system is web-based system and it provides graphical user interface.

      • KCI등재

        <동명왕편> 소재 兩價物의 신화적 기능과 서사맥락에서의 의미

        이강엽 한국고전문학회 2008 古典文學硏究 Vol.34 No.-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tudy the significance of contradictory objects in mythology in that mythology cons up reality and unreality.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focused on contradictory objects in the myth of King Dong-Myeong and their aspects, functions and significances were reviewed. Eleven contradictory objects, that is, a horse, a frog, a dragon, a crow, the lips, a ball, a whip, a bow, a drum-trumpet, water and a knife, appear in the myth of King Dong-Myeong. And dualistic antagonism between the heavens and the earth is classified into three. First, it shows that the heavens are harmonious with the earth. Second, it shows a differentiated and integrated object that is the heavens as well as the earth. Third, it shows that force is transferred from the heavens to the earth. Such objects were defined as "harmonic contradictory objects", "integrated contradictory objects" and "mobile contradictory objects." First, harmonic contradictory objects epically predict the different universe and show spatial secure and show agony against a mission, as shown in the horse and the lips. Second, integrated objects show the differentiated whole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Such objects mean antagonistic characteristics, and at the same time, they show intention of overcoming antagonism. Lastly, mobile objects symbolize physical force including military power. Physical force is qualitatively changed after entering a gateway, and shows the process that force is moved to another sphere or the next generation. Three types of contradictory objects means that the hero of the myth, who is able to harmonize two different universes, integrates their characteristics and makes over his ability from the above to the below. 이 논문은 <동명왕편>에 등장하는 양가적 성격의 사물의 의미를 탐구하여 그를 중심으로 서사적 의미를 파악한 것이다. 먼저, <동명왕편>에서 파악된 양가물은 말, 개구리, 용, 까마귀, 입술, 알, 채찍, 활, 鼓角, 물, 칼 등 총 11개였으며, 이러한 양가물은 ‘하늘/땅’으로 대표되는 이원적 대립이 세 가지로 유형화될 수 있다. 첫째, 하늘과 땅이 소통함을 보이고, 둘째, 하늘이면서 땅인 미분화된 통합적인 존재가 드러나고, 셋째 하늘에서 땅으로 힘이 옮겨가는 양상을 띠는 것으로, 이들을 각기 ‘소통’형 양가물, ‘통합’형 양가물, ‘이동’형 양가물로 명명하였다. 첫째, 소통형 양가물은 말이나 용, 입술에서 보듯이, 異界와 관련하여 서사를 예시하고, 공간적 전체 장악 능력을 확인하고, 과업의 성취를 앞둔 고민을 드러내준다. 둘째, 통합형 양가물은 하늘과 땅의 미분화된 전체를 보여주는 양가물로, 대립적 특성을 동시에 드러내면서 그 대립을 넘어서려는 특징을 보인다. 셋째, 이동형 양가물은 모두 도구일 뿐만 아니라 武力을 동반하는 물리적 힘을 표상한다. <동명왕편>을 해모수-주몽-유리의 3대담으로 재편할 때, 차례로 소통형, 통합형, 이동형 중심으로 양가물이 사용되면서 대 잇기의 과업이 진행되는 과정을 살필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은 창세신화와 영웅신화를 계기적으로 이어나가면서 건국신의 좌정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면서, 동시에 ‘자의식의 미분화에서 분화로, 분화된 자의식을 토대로 자아의 성장으로, 성장을 끝낸 후 다음 세대로 힘을 넘겨주는 죽음과 재생의 과정’으로 이어지는, 인간 생애의 과업을 단계별로 펼쳐 보이는 의미를 지닌 것으로 파악된다.

      • KCI등재

        조선후기 물명서의 편찬동기와 분류체계

        장유승(Jang Yoo seung) 한국고전연구학회 2014 한국고전연구 Vol.0 No.30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the motive for a compilation of a book for the names of objects in the late Chos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s at the time, and review the features of the book for the names of objects by analyz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a currently existing book for the names of objects.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book is to let readers accurately recognize the target which the words indicate by matching the words and the objects which are indicated. Thus, editors of the book try to match the words and objects by presenting Korean words and different Chinese words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one. The book for the names of objects has been regarded as a kind of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s which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on objects, but most of existing books just present the names of objects. It is natural to regard the book as a kind of a dictionary with the purpose to match words and objects. In addition, whe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book is reviewed, it is found to mainly deal with specific objects. It suggests that interests in objects which are relatively neglected compared to Sky, Land and Humans are being highlighted. It has been known that the books for the names of objects are influenced by the Chinese classical encyclopedias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book dealing with specific objects rather than abstract concept seems to be influenced by medicinal herb books which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on objects. 이 논문의 목적은 조선후기 물명서의 편찬동기를 당대적 관점에서 조명하고, 현전하는 물명서의 분류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물명서의 성격을 재검토하는데 있다. 물명서의 근본적인 목적은 독자로 하여금 언어와 그 언어가 지시하는 대상을 일치시켜 해당 언어가 지시하는 대상을 정확히 인식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물명서의 편자들은 한자어 어휘에 해당하는 또다른 한자어 어휘 및 고유어 어휘를 제시함으로써 언어와 대상의 일치를 도모하였다. 그간 물명서는 사물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유서(類書)의 일종으로 간주되었으나, 현전하는 물명서는 사물의 이칭을 제시하는 데 머무르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물명서는 언어와 대상의 일치를 목적으로 하는 자서(字書)의 일종으로 보는 것이 온당하다. 또한 물명서의 분류체계를 검토해보면, 구체적인 사물에 큰 비중을 할애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천(天), 지(地), 인(人)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물(物)에 대한 관심의 고조를 반영한다. 그간 물명서는 명청대 백과사전식 유서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는데, 추상적인 개념보다 구체적인 사물에 큰 비중을 할애한 물명서의 분류체계는 본초서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