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과 부모가 지각한 실패관련 의식 분석

        박영신,김의철,한기혜,김경자 한국교육학회 2011 敎育學硏究 Vol.49 No.1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failure experience among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A total of 2,499 respondents, consisting of 833 adolescents (elementary school=203, middle school=218, high school=216, and university=196 students) and 1,666 parents (father=833, mother=833) complet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first two auth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most painful failure experience, adolescents listed academic failure, followed by lack of self-regulation, and failur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parents, it was lack of self-regulation, followed by none, academic failure, occupational failure, financial difficulties, and problems in the family. Second, as for the person who contributed to the problem, majority of adolescents and parents listed themselves, followed by friends for adolescents and colleagues for parents, other family members, parents, friends, other people and spouse. Third, as for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failure, it was divided into subjective and objective reasons and how significant others perceived the reason for failure (i.e., parents, teachers, close friends, and classmate who is not for adolescents and spouse, children, colleague, and work superior for parents).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answer was lack of self-regulation such as effort, followed by personality problem, problems in interpersonal relations, lack of ability and problems in the family environment. Although there was a slight variation in order, the results parallel results found in previous studies (10 years ago, Park & Kim, 1999; five years ago, Park, Kim & Tak, 2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erception of failure and the reasons for failure remain stable among Korean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indigenous psychology and education a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한국 청소년과 부모가 지각한 실패관련 의식을 탐구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분석대상은 총 2,499명이었으며, 청소년 833명(초 203, 중 218, 고 216, 대 196)과 그들의 부모 1,666명(아버지 833, 어머니 833)이었다. 측정도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개방형 질문지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장 고통스러운 실패경험으로, 청소년은 학업실패, 자기조절 결여, 인간관계 실패를, 부모는 자기조절 결여, 없음, 학업실패, 직업실패, 경제적 어려움, 가정생활 문제를 지적하였다. 둘째, 실패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으로, 청소년과 부모 모두 과반수 이상이 나 자신이라고 응답하였다. 나 자신 외에 청소년은 친구를, 부모는 직장동료/상사, 기타 가족, 부모, 친구, 주변사람, 배우자를 지적하였다. 셋째, 실패의 가장 중요한 원인을 주관적 원인과 객관적 원인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의미있는 타인의 시각을 고려하여, 청소년은 부모, 담임선생님, 친한 친구, 친하지 않은 반 아이들의 시각에서, 부모는 배우자, 자녀, 주위동료, 윗사람/직장상사의 시각에서 실패의 가장 중요한 원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력 부족 등을 의미하는 자기조절 결여가 가장 대표적이었고, 이외에 성격문제, 인간관계, 능력부족, 가정환경 등이 지적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10여년 전(박영신・김의철, 1999) 및 5년 전(박영신・김의철・탁수연, 2005)에 이루어진 선행연구와 비교해 볼 때, 구체적인 중요도 순서에서는 약간 차이가 있었으나, 대표적인 개념 범주들은 공통적으로 밝혀졌다. 세월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는 한국 청소년과 부모의 실패관련 토착심리의 대표적인 특징들과 교육적 시사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기 신뢰의식의 형성과 집단별 차이 비교:인간관계 신뢰에서의 토착심리를 중심으로

        박영신,김의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2 No.3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on and change of relational trust among Korean adolescents using indigenous psychological perspective. Among adolescents, we examine the basis of trust of their parents, friends and teacher and also their trust in people and institutions. A total of 968 adolescents (227 elementary, 284 middle school, 213 high school, and 244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that contains the Relational Trust Scale developed by Kim and Park (2004a), Generalized Trust Scale developed by Yamagishi (1998) and a scale measuring trust of people and institutions (Kim, Helgesen & Ahn, 200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trust their parents due to their sacrifice, followed by their counsel and advice, dependability, consanguinity and respects. They trust their teachers due to their counsel and advice, followed by respect, sacrifice, and mutual trust. They trust their friends due to their advice, followed by empathy, mutual trust, dependability, friendship and sacrifice. Second, trust of their parents are highest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lowest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lower for older age groups. The trust in teachers are highest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lowest among the middle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In contrast, trust in friends increase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older age groups. Third, among trust in people and institutions, they are highest for parents and family and lowest for politicians and political parties. Except for trust in friends, trust of significant others and institutions (family, teachers, neighbors, company executives and politicians) is highest among the youngest age group and it decreases with older age group. Fourth, Yamagishi's generalized trust was highest among the older age groups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The patterns of results for relational trust and generalized trust is different and it points to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rust from the indigenous psychological perspective.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인간관계 신뢰의식에서의 토착심리를 규명하고, 이러한 신뢰의식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 중 고 대학생의 부모 교사 친구에 대한 신뢰의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더불어 주위사람과 기관에 대한 신뢰, 일반적 신뢰의식의 차이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남녀 청소년 968명이었다(초 227, 중 284, 고 213, 대 244). 인간관계 신뢰 변인을 측정하는 질문지는 신뢰에 대한 토착심리분석 결과에 토대하여 연구자가 제작(박영신, 김의철, 2005c)했으며, 일반적 신뢰의식은 Yamagishi (1998)의 질문지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에 대한 신뢰의식을 형성하는 가장 대표적인 구인은 부모의 희생에 대한 지각이었으며, 그 다음은 지도 조언, 의지함, 혈연관계, 존경함이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중요하였다. 교사에 대한 신뢰는 지도 조언, 존경함, 희생, 믿어줌이 중요하였으며, 이외에도 의지함과 스승제자관계가 포함되었다. 친구에 대한 신뢰에서는 조언, 공감, 믿어줌, 의지함, 친구관계, 희생이 중요하였다. 둘째, 청소년기 동안 부모에 대한 신뢰는 초등학생 시기에 가장 높고 중학생 이후부터 낮아졌다. 교사에 대한 신뢰도 초등학생 시기에 가장 높고 중학생 시기에 낮아지나, 고등학생 시기에 다시 증가하였다가 대학생 시기에는 다시 감소하였다. 이와 달리 친구에 대한 신뢰는 초등학생 이후에 성장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셋째, 주위사람과 기관에 대한 신뢰를 분석한 결과, 가족이나 가정에 대한 신뢰가 가장 높았으며, 정치가나 정당에 대한 신뢰는 매우 낮았다. 친구에 대한 신뢰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사람(가족, 교사, 이웃, 기업가, 정치가)에 대한 신뢰는 초등학생이 가장 높고, 대학생 시기까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Yamagishi에 의해 제안된 일반적 신뢰의식은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보다 고등학생과 대학생이 높았다. 따라서 일반적 신뢰의식의 변화 패턴은 한국 청소년의 인간관계 신뢰에서의 다양한 변화 패턴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한국인 인간관계 신뢰에 대한 토착심리학적 이해의 중요성이 시사되었다.

      • KCI등재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탐구: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세대별 지각을 중심으로

        박영신,김의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2 No.1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한국 사람들이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 질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토착심리를 탐구하는데 있다.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 세대별 지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개인 삶의 질로는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에서의 삶의 질이 포함되었다. 분석대상은 총 3,406명으로서 남녀 초, 중, 고, 대학생 1,331명과 그들의 부모 및 교사 2,075명이었다. 김의철과 박영신(2004b)이 제작한 자유반응형 질문지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사회의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로 경제적 요인, 국민들의 노력, 문화/여가생활, 원만한 인간관계, 올바른 정책, 교육수준이, 한국 사회의 삶의 질을 낮추는 요소로 경제 불안, 정치 불안, 시민의식 결여, 집단 이기주의, 부정부패/비리, 여가생활 부족, 과도한 교육열이 지적되었다. 둘째, 개인의 가정생활에서 삶의 질은 화목한 가족관계와 경제적 여유가, 학교생활에서 삶의 질은 친구관계와 학업성취가, 직장생활에서 삶의 질은 원만한 인간관계와 경제적 요인 및 성취감이, 여가생활에서 삶의 질은 경제적이고 시간적인 여유 및 인간관계가 중요하였다. 셋째, 세대집단별 인식 차이가 있었다. 한국 사회 삶의 질을 낮추는 요소로 학생은 정치 불안을, 성인은 경제 불안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가정생활 삶의 질을 낮추는 요소로 학생은 가족 간의 갈등을, 성인은 경제문제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여가생활 삶의 질을 낮추는 요소로, 학생은 시간 부족을, 성인은 경제적 여건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넷째, 학생은 가정의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나이가 어릴수록, 학업성적이 좋을수록, 자기의 삶의 질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성인의 경우는 나이와 관계없이, 가정의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생활에서 성취도가 높을수록, 자기의 삶의 질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삶의 질 인식을 통해 본 한국인의 토착심리를 원만한 인간관계, 경제적 요인, 자기조절, 교육적 성취의 네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in the family, school or workplace, leisure settings, and Korean society using the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A total of 3,406 participants, consisting of 1,331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students and 2,075 parents and teacher, complet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and Park (2004b). The respondents report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in Korean society as follows: Economic condition, collective effort, leisure and cultural life,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ffective government policy, and educational attainment. The factors that reduce quality of life in Korean society are as follows: Economic uncertainty, political instability, lack of citizenry, ingroup favoritism, corruption, lack of facilities for leisure and social life, and overemphasis on educational achievement. Seco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in the family are as follows: Harmonious family relations and financial security. For students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academic achievement are reported as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t school. For adults,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hip, financial factors and occupational achievement are reported as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t the workplace. For leisure and social leisure life, financial security, leisure tim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reported as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Third, as for generational differences, students reported political instability and adults reported economic uncertainty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reducing quality of life in Korean society. For family life, students reported conflicts among family members and adults reported financial constraint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reducing quality of life. For leisure and social life, students reported lack of leisure time and adults reported financial constraint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reducing quality of life. Fourth, for student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quality of life: Higher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younger, an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For adult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quality of life: Higher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and greater achievement their social lif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on the quality of life in Korea, focusing on human relationship, financial factors, self-regulation and educational achievement a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분석: 부모의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 효능감,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

        박영신,Tsuda Akira,김의철,한기혜,김의연,Horiuchi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5 No.1

        This study examines factors influencing stress and depression among Korean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role that parental social support, resiliency of efficacy and stress management behavior play. Four hypotheses are presented. First, parental social support will have a direct influence on resiliency of efficacy. Second, resiliency of efficacy will have a direct influence on stress management behavior and stress and depression symptoms. Third, resiliency of efficacy will have a mediating influence between parental social support and stress and depression symptoms. Fourth, stress management behavior will have a direct influence on stress and depression symptoms. A total 469 participants, consisting of 289 Korean university students (male=156, female=133) and 180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male=112, female=68) completed a questionnaire that included Rhode Island Stress Inventory-Short Version (Horiuchi, Tsuda, Tanaka, Yajima & Tsuda, in press), Stress Management Behavior (Evers et al., 2006), CES-D (Radloff, 1977), BDI-II (Beck, Steer & Brown, 1996), Resiliency of Efficacy (Bandura, 1995) and Parental Social Support (Kim & Park, 1999). The results supported the first three hypotheses for both samples. Hypothesis 4 was not supported for the Japanese sample and it was partially supported for the Korean sample. The results indicate that parental social support had a direct and positive influence on resiliency of efficacy. Second, resiliency of efficacy had a direct and positive influence on stress management behavior and stress and depression symptoms. Third, resiliency of efficacy had a mediating influence between parental social support and stress and depression symptoms. Fourth, stress management behavior did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stress symptoms. Overall, parental social support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resiliency of self-efficacy, which in turn had a direct negative influence on stress and depression symptoms.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부모의 사회적 지원과 어려움극복 효능감 및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을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부모의 사회적 지원은 어려움극복 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어려움극복 효능감은 스트레스 관리행동과 스트레스 및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어려움극복 효능감은 부모의 사회적 지원이 스트레스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과정에서 매개변인의 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 4] 스트레스 관리행동은 스트레스 및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가설에 기초하여 연구모형이 제안되었다. 분석대상은 총 469명으로, 한국 대학생 289명(남 156, 여 133)과 일본 대학생 180명(남 112, 여 68)이었다. 측정도구는 간편형 로드아일랜드 스트레스 척도(Horiuchi, Tsuda, Tanaka, Yajima & Tsuda, in press), 스트레스 관리행동 척도(Evers et al., 2006), 우울 척도(CES-D, Radloff, 1977; BDI-II, Beck, Steer & Brown, 1996), 어려움극복 효능감 척도(Bandura, 1995), 부모의 사회적 지원 척도(김의철, 박영신, 1999b)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설 1, 2, 3은 한국과 일본 대학생 자료에서 모두 긍정되었다. 가설 4는 일본 대학생 자료에서는 부정되었고, 한국 대학생 자료에서는 부분적으로 부정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로부터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을수록 어려움극복 효능감이 높았다. 둘째, 어려움극복 효능감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관리행동을 잘 하고, 스트레스가 낮을 뿐만 아니라, 우울 수준이 낮았다. 셋째, 어려움 극복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 의미 있는 작용을 하였다. 넷째, 스트레스 관리행동은 스트레스에 대해 의미 있는 영향이 없었다. 따라서 부모의 사회적 지원과 어려움극복 효능감은 스트레스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후보

        IMF시대 이후 한국 학생과 성인의 성공에 대한 의식: 토착심리학적 분석

        박영신,김의철,탁수연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8 No.1

        Korean society has significantly changed with the onset of a dramatic economic crisis in 1998. From 2000, however, the Korean economy has recovered and currently Korea is enjoying a similar standard of living and economic growth as the pre-1998 levels. This study is a follow-up analysis, comparing the results examining the success attribution of Korean students and adults in 2001 with the results obtained before the economic crisis in 1997. Using the indigenous psychological approach, this study compar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Korean students and adults' attribution of their personal success before and after the economic crisis. A total of 988 participants, consisting of 481 primary, junior high, senior high and university students and 507 adults (236 fathers and 271 mothers of the stu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and Park (1998). The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perceived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adults perceived successful family life as their most proud achievement. Successful family life included items such as academic success of children, healthy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and harmonious family life. The person who provided the most significant support for students were parents and for adults, it was their spouse. For students, the importance of friends' social support increased during the high school years. In terms of type of social support, emotional support was reported to be the most important for both students and adults. As for the reason for their success, majority of students and men reported self-regulation and for women, supportive family environment was reported as being the most important. Comparing 2001 results with the 1997 results, the importance of family increased after the economic crisis. Even with the dramatic economic crisis, however, some of the underlying pattern remain strong (such as importance of academic achievement for students, family life for adults,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especially emotional social support from family members, and believing that self-regulation would lead to success). The similar pattern of results obtain before and after the economic crisis indicate that the above results reflect a fundamental values and belief system deeply imbedded in Korean mentality. 한국사회는 IMF로부터 지원을 받는 경제불황기를 경험하면서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급격한 사회변동 이후에 한국사람의 성공에 대한 의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IMF시대 이전의 선행연구(김의철, 박영신, 1998)와 비교하므로써, 한국사람의 성공에 관련된 사회적 표상을 토착심리학적 시각에서 분석하고 종합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총 988명으로, 초 중 고 대학생 481명과 그들의 부(236명) 모(271명)로 구성된 성인 507명이었다. 분석결과, 가장 자랑스러운 성공경험으로 학생은 학업성취를, 성인은 성공적인 가정생활을 지적하였다. 한국사람들에게 성공적인 가정생활이란, 자녀의 교육적 성취와 자녀의 발전 및 화목한 가정을 주로 의미하였다. 성공에 가장 큰 도움을 준 사람은 가족이었는데, 학생의 경우는 부모, 성인의 경우는 배우자가 가장 많았다. 초 중학생에서는 부모가 특히 중요하고, 고등학생 이후는 친구의 중요성이 증가하였다. 어떠한 분야에서든 성공하기 위해 다른 사람으로부터 받은 도움으로서, 학생과 성인 모두 정서적 지원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성공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서 과반수 정도의 청소년이 자기조절을 지적하였고, 성인 남자는 자기조절을, 성인 여자는 가정환경을 더욱 중요한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IMF시대 이전의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해 볼 때, 국가적인 경제 위기상황 이후에 가족의 중요성에 대한 지각이 더욱 증가하였지만, 학업성취 및 성공적인 가정생활의 중요성, 사회적 지원의 제공자로서 부모와 배우자, 이러한 가족으로부터 정서적 지원의 중요성, 성공의 원인으로서 자기조절에 대한 강조와 같은 핵심적인 결과가 일치하였다. 이와같이 반복적으로 나타난 유사한 결과를 통해, 한국인의 토착적인 성공의식을 종합하고, 이러한 의식의 기저에 있는 신념 및 가치체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친구가 청소년의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갈등 및 부모의 통제를 중심으로

        박영신,김의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6 No.3

        This study examines adolescent delinquent behavior and the influence of friends, focusing specifically on friends' delinquent behavior and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parent-child conflict and parental control. A total of 1,399 adolescents attending five different high schools (male=642, female=756, consisting of 915 student attending high school and 484 students attending vocational high school) complet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Ahn, Hwang, Kim and Park (1997) and Bandura's (1995a) self-efficacy scale. Results indicate that those students who attend high school had parents with higher education, socio-economic status and better studying environment at home, while students attending vocational high school had higher parent-child conflict. Students attending high school had higher self-efficacy scores, while students attending vocational high school had higher scores on delinquent behavior. The results of LISREL analyses revealed a similar pattern for high school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Combined analysis indicate that friends' delinquent behavior, parent-child conflict and parental control had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students' delinquency behavior. Self-efficacy had a direct and negative influence of delinquency behavior. Similar pattern was obtained for friends' delinquency behavior, in which self-efficacy had a direct and negative influence of their delinquency behavior and their parent-child conflict and parental control had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their delinquency behavior. In summary, those students who had lower self-efficacy, higher parent-child conflict and parental control, and with friends who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delinquent behavior, had higher scores on delinquent behavior. Also, those students who had friends with lower self-efficacy scores and with higher parent-child conflict and parental control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delinquent behavior, which in turn influenced their delinquent behavior. Friends' delinquent behavior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students' delinquent behavior indicating the role of friends in influencing 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친구가 청소년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친구의 일탈행동이 청소년의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와 동시에 청소년의 부모자녀 갈등과 부모통제 및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5개 남녀 고등학교에서 표집된 고등학생 총 1,399명(남 642명, 여 756명)으로서, 인문계 915명, 전문계 484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안귀덕, 황정규, 김의철, 박영신(1997)이 제작하여 사용한 것을 활용하였으며, 자기조절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효능감은 Bandura(1995a)의 질문지를 번역하였다. 학교유형별 가정환경과 부모자녀관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인문계 학생들은 부모 학력이나 직업 및 가정 내 공부방 환경이 더 좋았고, 전문계 학생들은 부모와의 갈등이 더 심하였다. 학교유형별로 자기효능감과 일탈행동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인문계 학생들이 더 높은 자기효능감을 보였으며, 전문계 학생들이 일탈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학교유형별로 이러한 차이가 밝혀짐에 따라, 인문계와 전문계 학생 데이터를 각각 분리하여 LISREL 분석을 하였다. 그러나 LISREL 분석결과, 변인들 간의 경로 패턴이 거의 일치하였기 때문에, 인문계와 전문계 학생 데이터를 합하여 전체 고등학생 데이터로 다시 LISREL분석 및 효과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 일탈행동에 대해 친구 일탈행동의 정적인 직접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은 부적인 직접효과를, 청소년의 부모와 갈등 및 부모의 통제는 정적인 직접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청소년 일탈행동에 대해 친구의 자기효능감은 부적인 간접효과를, 친구의 부모와 갈등 및 부모의 통제는 정적인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친구가 일탈행동을 많이 할수록, 청소년이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가 갈등적이고 통제적일수록, 청소년이 일탈행동을 많이 하였다. 그리고 친구가 자기효능감이 낮고, 친구가 부모와 갈등적이고 통제적인 관계에 있는 것이, 청소년 일탈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여러 변인들 중에서도 친구의 일탈행동은 청소년의 일탈행동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이 있는 예언변인이었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청소년 일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친구 일탈행동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DRM 패러다임에서 오기억과 실제 기억에 미치는 부적 정서의 효과

        박영신,박희경,김기중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16 No.2

        The effect of emotion on true and false memories using DRM paradigm was investigated in two experiments with old-new recognition test(experiment 1) and with source identification task(experiment 2). In 8 lists which were presented in the study phase, half of the list items consisted of words associated with emotionally charged critical lures and the rest of them were with non-emotional critical lures.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cognize if each of the presenting 160 stimuli contained 8 critical lure items(not presented in the study phase) and list items was old or new during recognition test. In experiment 2, participants were asked to identify and determine correctly each source of the presenting 160 stimuli included 8 critical lure items and 80 list items in the source identification test. In recognition test, Emotional valence had positive effects on true recognition. There was no-emotion related difference between emotional lure items and non-emotional lure items in false recognition. On the contrary, in source identification test, source memory about emotional list items was observed at higher level than neutral list items. However, the performance of source identification about emotional lure items were poorer than neutral lure items, which implies that false memory on emotional lures occurred more than on neutral lures during source identification. The results in two experiments suggested that emotional valence facilitated the extent of the activation and had positive effects on true memories. On the contrary, emotion affects to false memories with the various way across retrieval context.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DRM 패러다임에서 발생하는 오기억 현상에 미치는 정서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재인 과제(실험 1)와 쏘스 확인 과제(실험 2)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학습 단계에서 제시되는 8개 목록 중 4목록은 중성적인 유인 단어들과 연합된 단어들로 구성된 목록들이었고 나머지 4목록은 부적 정서 유인 단어들과 연합된 단어들로 구성되었다. 재인 과제에서 실험 참가자들은 정서 목록과 중성 목록에 대해, 학습 단계에서 제시되었던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해야 했다. 쏘스 확인과제에서 실험 참가자들은 동일한 목록에 대해, 학습 단계에서 제시된 단어 항목이 가졌던 물리적인 속성(쏘스: 단어를 채색했던 색깔이나 목소리의 성별)을 정확하게 식별해서 판단해야 했다. 재인 과제에서 정서 목록 단어들에 대한 재인율은 중성 목록 단어들 보다 높았다. 하지만, 정서 유인 단어에 대한 오 재인율은 중성 유인 단어들과 차이가 없었다. 쏘스 확인 과제에서 정서 목록 단어들에 대한 정확한 쏘스 기억율은 중성 목록 단어들에 대한 기억율 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서 유인 단어들에 대한 쏘스 오귀인율은 중성 유인 단어들에 대한 쏘스 오귀인율 보다 높게 나타났다. 쏘스 과제에서 정서 유인 단어들에 대한 오기억이 중성 유인 단어들에 비해 더 많이 나타났다. 학습 단어와 비 학습 단어의 재인 판단 과제와 쏘스 확인 과제의 결과들을 미루어 볼 때, 정서는 목록 단어에 대해 활성화를 촉진시키고 항목 기억과 쏘스 기억을 동시에 증진시키는 반면, 유인 단어에 대해 정서는 인출 맥락에서 상이한 효과를 일으키는 듯 하다. 위 결과들에 대한 오기억과 관련한 이론적 시사점들이 논의되었다.

      •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관한 종단적 연구 -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박영신,권혁호,김의철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3 교육문화연구 Vol.9 No.-

        This study examines longitudinally the experience of stress, its change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coping style, and self-efficacy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1997, a total 898 grade nin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first phase of the study. When the students became grade ten, a total of 642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492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third phase of the study in 2000 when they were grade 12. In the third phase of the study, 352 mothers of the adolescents also participated in the study. T-test and ANOVA were used to identify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 of stress and their associated changes. Two-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sex with experience of stressful events, and stress symptoms. Using correlational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variables with the experience of stress was analyzed. Path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experience of stress. First, students experienced the highest level of stress related to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friends and academic stress when they were in grade 10. Second, those students with higher academic grade were more likely to use self-regulation than those students with lower grade. Third, in school setting, they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stress related to friends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hey were most likely to receive social support from their friends. Self-efficacy played a mediational role in reducing the experience of stress symptom. Fifth, the relational efficacy and academic efficacy were the most effective in reducing the experience of stress.

      • KCI등재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 비교: 도덕적 이탈, 자기효능감, 가출, 학업성취를 중심으로

        박영신,김의철,탁수연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2 No.2

        This article compares th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rofiles of adolescents on probation and high school students. A total of 253 adolescents on probation and 257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present researchers and structured questionnaire that assessed moral disengagement and self-efficacy developed by Bandura (1995), delinquent behavior and academic achievement. Adolescents on probation reported that they engaged in delinquent behavior due to the fault of others and they were angry for being forced to be on probation. They are not likely to take responsibility and morally disengage from their delinquent actions. When compared to high school students, adolescents on probation are likely to report low self-efficacy, low academic grade, and less likely to feel proud of themselves. They are more likely to meet their friends in Internet and video game rooms and less likely to focus on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of ANCOVA indicate that adolescents on probation have higher scores on moral disengagement, social efficacy, but lower score on 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They are more likely to run away from home and have lower academic grade. The results of the discriminant analysis indicate that running away from home, social efficacy and moral disengagement are predictive of adolescents on prob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re predictive of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